KR20080034863A - Edu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du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863A
KR20080034863A KR1020080028554A KR20080028554A KR20080034863A KR 20080034863 A KR20080034863 A KR 20080034863A KR 1020080028554 A KR1020080028554 A KR 1020080028554A KR 20080028554 A KR20080028554 A KR 20080028554A KR 20080034863 A KR20080034863 A KR 20080034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user
content
contents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조
김희정
홍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듀
Priority to KR102008002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4863A/en
Publication of KR20080034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8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n education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make a memo according to a course of online education, store or output a plurality of stored memos in a file form, and share the stored memo with other users while receiving the online education through the network. An education system includes a contents storing part(52) storing contents, a memo storing part(60) storing memos inputted from a user in a file form according to a course of the contents, and a subject list storing part(54) storing subject list information of the course of the contents and information representing whether the user learns a subject. The memo storing part displays the memo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ourse of the contents simultaneously with the contents by using the subject list of the subject list storing part. The memo storing part allows the user to edit the stored memo, and allows the user to share the stored memos with the other user when the first user sets a part of the stored memos as a shared memo. A sever(50) provides an current online lecture to a user terminal when the ID of the user is registered and there is a online lecture.

Description

교육시스템{Education System}Education System

본 발명은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온라인 교육을 받을 때 메모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ducation system that provides a function for taking notes when a user receives an online education.

최근에는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동영상 전송에 의한 온라인 교육이 보편화되고 있다. 동영상 전송에 의한 온라인 교육은 사용자가 직접 강의실을 찾지 않고도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장소에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점점 그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as the Internet is widely used, online education through video transmission is becoming more common. Online training by video transmission is increasing in demand due to the advantage that a user can take a lecture at a desired place at a desired time without visiting a classroom.

따라서, 온라인 교육을 통해서 직접 수강하는 정도의 또는 그 이상의 학습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컴퓨터의 강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여 동영상 강의에 그림, 사운드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첨가하여 시청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말미암아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화이트보드식의 단조로운 강의에서 오는 지루함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Therefore,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achieve the learning effect of the degree or more that is taken directly through online education. As part of such efforts, education is being attempted to maximize the audiovisual effect by ad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pictures and sounds to video lectures using powerful multimedia functions of a computer. These efforts can overcome some of the boredom that comes from monotonous, whiteboard teaching in online education.

종래의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서 온라인 교육은 사용자가 동일한 동영상을 수차례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교육 서비스의 제공자의 입장에서도 사용자의 반복적인 수강으로 인해서 별도의 강좌 개설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ffline education, online educ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learn the same video repeatedly many times, and even the provider of the education service does not need to remodel the course due to the repeated course of the user. have.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온라인 교육은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교육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다수의 부족한 점들을 가진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online education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online education and has a number of shortcomings that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을 수강하면서 필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필기를 위한 별도의 노트를 문구점 등에서 구매해야 한다. 이 경우에, 필기를 한 후에 원하는 진도에 해당되는 동영상을 다시 수강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진도에 맞추어 필기가 되어 있는 부분을 찾아야 하고, 만약 노트를 잃어 버리거나 해당되는 부분을 제대로 찾지 못하면 자신이 수강하면서 기록했던 주요한 점이나 의문점을 잊어버리게 되어 학습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take notes while taking online education, the user must purchase a separate note for writing at a stationery store. In this case, if you retake the video at the desired level after taking the note, you should find the part where the note is writte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gress. If you lose the note or do not find the appropriate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you forget the main points or questions you have written down, and the effect of learning is lowered.

그리고, 온라인 교육의 진도에 따라 손으로 필기한 부분을 컴퓨터를 이용해서 별도의 화일(예를 들어, 워드화일이나 한글화일 등)로 작성한 후에야 자신의 컴퓨터에 화일로 저장할 수 있고, 인터넷 까페나 동호회 등에 업로드(uplold)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인 필기노트에 필기한 부분에 대해서 별도의 워드 작업을 수행해야되므로 사용자의 시간 및 노력을 불필요하게 요구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online education, the handwritten part can be saved as a file on one's computer only after writing it in a separate file (for example, a word file or a Korean file) using a computer. It can be uploaded to the back. In this case, since a separate word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on the part written in the physical writing note, user's time and effort are unnecessary.

또한, 어느 사용자가 기록한 필기내용을 필기노트를 교환하지 않는 이상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신의 필기가 틀렸음에도 틀렸다는 사실을 알지 못해서 잘못된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writing contents recorded by one user cannot be shared with other users unless the writing notes are exchang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you get wrong knowledge because you do not know that your writing is wrong even though it is wro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시 진도에 따라 메모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ucation system that can be stored by inputting a memo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online training.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출력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ucation system that can output or keep a plurality of stored memo in the form of a file.

그리고, 한 사용자가 저장한 메모를 다른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어서 온라인 교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emo stored by one user can be shared by other users to provide an educa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online edu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contents)가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 및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입력한 메모가 저장되는 메모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교육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contents); And a memo storage unit for storing a memo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또한,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상기 메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메모를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memo storage unit may provide the memo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In other words, the memo storage unit may allow a user to input a memo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provide the input memo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특히,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메모를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memo storage unit may display the memo simultaneously with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나아가, 상기 메모저장부는 저장된 메모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mo storage unit preferably allows the user to modify the stored memo.

한편,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관한 목차정보 및 해당 목차를 학습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목차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목차에 따라 상기 메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a table of contents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table of contents is stored, the memo storage unit may provide the memo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나아가,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모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memo storage unit may store a plurality of memo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the memo storage unit may store the plurality of memos as one file and provide the memo to the user.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메모의 내용을 포함하는 하나의 메모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memo storage unit may generate one memo including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memos and provide the memo to the user.

그리고, 상기 메모저장부는 복수 명의 사용자가 저장한 메모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저장한 자신의 메모에 한해서 액세스(access)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 storage unit may store memos stored by a plurality of users for each user, and may be accessible only to a memo stored by the user.

이때,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복수 명의 사용자 중 제1사용자가 자신의 복수 개의 메모 중 일부를 공유메모로 설정하는 경우에, 제2사용자는 상기 공유메모를 액세스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sets some of their plurality of memos as a shared memo, the second user may access the shared memo.

특히, 상기 제2사용자는 상기 공유메모를 자신의 메모로 저장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second user may be able to store the shared memo as his memo.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를 이용해서 다양한 측면에서 온라인 학습의 효율을 향상시켜, 더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 교육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using the memo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online learning in various aspects, so that more users can use the online educa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s as follows.

본 발명의 교육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제1사용자단말기(20), 제2사용자단말기(30) 및 서버(50)를 포함하며, 서로 다양한 정보를 교류한다. 물론, 도 1에서는 사용자단말기(20,30)를 두 개만 도시했지만, 사용자단말기(20,30)는 세 개 이상의 복수 개가 통신망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20, a second user terminal 30, and a server 50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Of course, although only two user terminals 20 and 30 are illustrated in FIG. 1, three or more user terminals 20 and 3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통신망(10)은 인터넷(Internet) 및 인트라넷(Intranet) 등을 포함한다. 인터넷은 누구나 접속이 가능한 공용망이고, 인트라넷은 인가되거나 특정 통신망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한 망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ncludes the Internet and the Intranet. The Internet is a public network that anyone can access, and an intranet is a network that can be accessed only through terminals that are authorized or connected inside a specific communication network.

그리고, 상기 통신망(10)은 랜(LAN), 왠(WAN: Wide Area Network), 공중 전화망(PSTN)을 포함한 유선망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과 같은 무선망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ncludes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a wired network including a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상기 서버(50)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52), 목차저장부(54) 및 사용자가 저장한 메모가 저장되는 메모저장부(60)를 포함한다.The server 50 includes a content storage unit 52 in which content is stored, a table of contents storage unit 54, and a memo storage unit 60 in which a memo stored by a user is stored.

상기 컨텐츠저장부(52)는 사용자단말기(20,30)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저장부(52)는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공유하고 있어서, 사용자별로 다른 진도를 갖는 경우 해당 사용자별로 대응하는 진도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 하다. 물론, 상기 컨텐츠저장부(52)는 동일한 컨텐츠를 가진 저장부가 복수 개 구비되어, 사용자별로 개별적인 컨텐츠저장부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ent storage unit 52 provides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 30). Since the content storage unit 52 is shared by several users, if the user has different progress for each user, the content storage unit 52 may provide content according to the progres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user. Of course, the content storage unit 5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having the same conten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eparate content storage unit for each user.

이때, 컨텐츠는 사용자가 온라인교육을 통해서 수강하고자하는 주된 교육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includes main education contents that the user intends to take through online education.

컨텐츠는 상기 통신망(10)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부호·음성·음향·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다. 즉,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의미한다.Content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 variety of information or contents thereof for digitally producing, processing, and distributing text, codes, sounds, sounds, images, videos, and the like for us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at is, it mean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its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or computer communication.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온라인 교육을 위한 강의 동영상 화일(file), 음성 화일 및 플레쉬 등의 다양한 툴을 이용해서 구현되는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s may include contents that are implemented using various tools such as lecture video files, voice files, and flash for online education.

상기 목차저장부(54)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관한 목차정보 및 해당 목차를 학습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는 상기 목차저장부(54)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컨텐츠에 대한 전체 목차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현재 수강하고 있는 진도는 어느 정도 완료되었는지, 남은 컨텐츠에 대한 수강을 완료하기 위해서 남은 진도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The table storage unit 54 stores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table of contents has been learned. The user can determine how the entire contents of the contents are configured b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s storage unit 54, how much progress the students are currently taking and how much progress is remaining to complete the remaining contents. I can see that.

또한, 상기 목차저장부(54)는 남은 컨텐츠를 수강완료하기 위해 소요되는 예정시간, 제출해야되는 과제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able of contents storage unit 54 may provide the user with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completing the remaining content, information on the task to be submitted, and the like.

이때, 컨텐츠의 진도는 사용자가 수강하고자 하는 온라인 강의의 전체 강의 중 현재 수강하고 있는 부분, 학습 시차 등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progress of the content refers to the portion currently being taken, learning parallax, etc. of the entire lecture of the online lecture that the user wants to take.

예를 들어, 전체 컨텐츠가 10강으로 되어있는 경우 상기 진도는 제1강 내지 제10강 중 어느 하나의 강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도는 상기 제1강의 세부구성이 프리뷰(Preview),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언더스탠딩(Understanding),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키펙터(Key factor)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ntire content is 10 lectures, the progress may mean any one of the first to tenth lectur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lecture comprises a preview (Preview), Orientation (Undertation), Understanding (Understanding), Case study (Case study), Key factor (key factor) This may be the case.

즉, 진도는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진도는 해당 컨텐츠가 수강 정도나 상태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면 그 구분되는 단위 등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your progress may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nline course you are taking. The progress means that the content is classified if the content can be classifi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degree or status of attendance.

또한, 상기 진도는 상기 컨텐츠에 설정된 일일 학습량을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일일학습량은 컨텐츠제공자에 의해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학습을 하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gress may mean a daily learning amount set in the content. Of course, the daily learning amount may be set by a content provider, or may be set by a user who learns.

상기 메모저장부(60)는 제1사용자메모저장부(62) 및 제2사용자 메모저장부(64)를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가 많은 경우 사용자별로 메모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명인 경우 사용자메모저장부를 100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mo storage unit 60 includes a first user memo storage unit 62 and a second user memo storage unit 64. Of course, if there are many users, it is possible to have a memo storage unit for each user. For example, if there are 100 users, it is preferable to have 100 user memo storage units.

상기 제1사용자메모저장부(62)는 제1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저장하고, 상기 제2사용자메모저장부(64)는 제2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는 메모를 저장한 후에 자신이 저장한 메모를 개별적으로 조회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The first user memo storage unit 62 stores the memo input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emo storage unit 64 stores the memo input by the second user. Therefore, after storing the memo,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may individually search or modify the memo stored by the user.

한편, 사용자단말기(20,30)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단말기는 상기 통신망(10)에 접속되어 다양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피디에이(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 피시(Handheld Personnel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및 데스크탑 피시(Desktop Personnel Computer)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refer to terminals commonly used by a user in an office or home.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ny one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erson computer, a cellular phone, and a desktop person computer.

상기 단말기는 씨디엠에이(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 와이브로(WiBro:Wireless Broadband) 모듈, 더블유 씨디엠에이(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과 같은 소정의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The terminal include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a WiBro (Wireless Broadband) module, and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사용자단말기(20,30)는 상기 서버(5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단말기는(20,30)는 모니터(monitor)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 및 스피커(speaker) 등의 음향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50)로부터 사용자에게 컨텐츠, 메모, 목차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may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20, 30 provides information about contents, memos, contents, etc. to the user from the server 50 by a display means such as a monitor and sound means such as a speaker. It is preferable.

물론, 사용자단말기(20,30)는 사용자정보, 컨텐츠과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서버(50)에 전송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과정정보는 상기 서버(50)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may check the user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process information to the server 50. The content process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server 50.

한편,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ID), 비밀번호(password)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디는 사용자의 개인아이디 또는 회사의 사번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 user's ID (ID), password (password) and the like. The ID is preferably a personal ID of a user or a company numb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30)에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에 의해서 자신의 사용자정보 중 아이디(ID)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30)는 상기 아이디를 상기 서버(50)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50)는 상기 아이디가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input an ID (ID) of his or her user information by means of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to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may transmit the ID to the server 50, and the server 50 may check whether the ID is registered as a user.

그리고, 상기 서버(50)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이면서 현재 수강 중인 온라인 교육이 있는 경우에는 수강 중인 온라인 강의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3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50)는 해당되는 사용자의 컨텐츠과정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When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and there is online education currently being taken, the server 50 transmits the online lecture being taken to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At this time, the server 50 provides the content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ent process information of the user.

따라서, 사용자는 이전에 수강 중이었던 컨텐츠 즉, 온라인 강의를 이어서 수강하거나 과거에 수강했던 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ontent that was previously taken, that is, the content that was taken in the past or the content that was taken in the pas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화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sic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30)를 통해서 상기 서버(50)에 접속하여, 사용자 확인 절차를 통과한 후에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교육을 진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수강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사용자가 컨텐츠를 수강하는 기본화면이라고 하고,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accesses the server 50 through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and passes the user confirmation procedure to conduct online training on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user may take the content in various ways,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2 is referred to as a basic screen in which the user takes the conten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서버(50)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20,30)에 다양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30)의 화면에 전송된 정보가 도시되어야 하는 데, 상기 정보가 도시될 수 있는 전체 영역을 프레임(100)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When vario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50 to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the information transmit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20 and 30 should be shown. The entire area where the information can be shown is shown. The frame 100 will be called.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에는 컨텐츠영역(110)이 마련된다. 상기 컨텐츠영역(110)에는 상기 컨텐츠저장부(52)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도시된다. 물론, 상기 컨텐츠영역(110)은 상기 프레임(100) 내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ent area 11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100. The content area 110 show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storage unit 52. Of course, the content area 110 may be located in another part of the frame 100.

상기 프레임(100)의 우측 하단에는 목차영역(150)이 마련된다. 상기 목차영역(150)에는 상기 목차저장부(54)에서 제공되는 목차가 도시된다. 상기 목차영역(150)은 상기 프레임(100) 내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able of contents area 150 is provid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rame 100. The table of contents area 150 shows the table of contents provided by the table storage unit 54. The table of contents area 150 may be located at another part of the frame 100.

한편, 상기 목차영역(150)에는 컨텐츠의 진도에 관한 목차정보가 도시된다. 상기 목차영역(150)에는 해당 목차를 학습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도시된다. 즉, 상기 목차영역(150)에는 상기 목차저장부(54)에서 제공된 정보가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table of contents area 150,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ontent is shown. The table of contents area 150 shows information on whether the table of contents has been learned. 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able storage unit 54 is shown in the table of contents area 150.

이때, 상기 목차를 학습했는지 여부는 세부 목차의 앞에 도시된 아이콘의 형태를 다르게 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연필'형태의 아이콘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의 편의나 친근성을 고려하여 다른 형태의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table of contents has been learned may take a manner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icon shown in front of the detailed table of contents. For example, in FIG. 2, an icon in the form of a “pencil” is used, but another icon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or friendliness.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우측 상단에는 메모영역(130)이 마련된다. 상기 메모영역(130)에는 상기 메모저장부(60)에서 제공되는 메모가 도시된다. 한편, 상기 메모영역(130)은 상기 프레임(100) 내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memo area 130 is provided at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ame 100. In the memo area 130, a memo provided by the memo storage unit 60 is illustrated. The memo area 130 may be located at another part of the frame 100.

상기 메모저장부(60)는 메모영역(130)을 컨텐츠영역(110)과 동시에 도시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보거나 들으면서 해당되는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메모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 storage unit 60 preferably shows the memo area 130 at the same time as the content area 110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memo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while viewing or listening to the content.

사용자가 해당되는 컨텐츠를 보거나 들으면서 메모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저장되는 메모는 해당되는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ave the memo while viewing or listen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is case, the memo to be stored is preferably stor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컨텐츠를 보거나 들으면서 기존에 입력한 메모가 없다면 사용자는 메모를 새롭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입력된 메모가 있다면 사용자는 상기 메모저장부(60)에서 제공하는 메모를 수정할 수 있다. If there is no existing memo while viewing or listening to the content, the user may enter a new memo. In addition, if there is an existing memo, the user may modify the memo provided by the memo storage unit 60.

이때, 메모를 수정하는 방법은 기존에 작성된 메모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기존에 작성된 메모를 삭제하고 새로운 내용을 가진 메모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modifying the memo may be able to add content to the existing memo or delete the existing memo and create a memo with new content.

그리고, 이후에 다시 해당되는 컨텐츠를 보거나 듣는 경우에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메모가 상기 메모영역(130)에 도시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컨텐츠를 보면서 기억하고 싶었던 점이나, 추후에 시청하면서 해결하고자 했던 의문점, 간과했던 점, 전체 컨텐츠 과정을 마친 후에 기억하고 싶었던 점 등을 기록해서 정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viewing or listen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later, the memo is displayed in the memo area 130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wants to remember the content while viewing the content, the question that he wants to solve while watching later, You can keep track of what you missed and what you wanted to remember after completing the entire content course.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필기를 하기 위해 별도로 노트 등을 마련해서 보관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컨텐츠를 수강하면서 상기 메모영역(130)에 필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memo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prepare a note or the like for writing. This is because writing in the memo area 130 can be performed while taking contents.

또한, 노트에 필기한 부분이 컨텐츠의 진도의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별도로 기록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메모가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도시되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의 진도를 선택하거나, 목차의 진도를 선택하기만 하면 컨텐츠의 진도 또는 목차의 진도에 따라서 저장된 메모가 함께 도시된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record which part of the progress of the content corresponds to the part written in the note. This is because the memo is automatically show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That is, if the user selects the progress of the content or simply selects the progress of the table of contents, the memo stor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or the progress of the table of contents is shown together.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메모영역이 팝업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 다. FIG. 3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emo area is popped up in FIG. 2.

상기 프레임(100) 내의 다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도 3과 같은 화면이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영역(130)이 직접 클릭되어, 상기 메모영역(130)이 팝업되는 형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another icon in the frame 100 is clicked, a screen as shown in FIG. 3 may be shown. On the other hand, the memo area 130 is directly clicke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form in which the memo area 130 is popped up.

상기 팝업된 메모영역(130)을 설명의 편의상 이하, 메모장(170)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상기 메모장(170)은 사용자가 목록버튼(132)이나 메모장버튼(102)을 클릭하면 팝업(Pop-up)되는 형태이다. 물론, 다른 메뉴버튼이 상기 목록버튼(132)이나 상기 메모장버튼(10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목록버튼(132) 및 상기 메모장버튼(102)을 클릭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장(170)이 팝업된다고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p-up memo area 130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a notepad 170. The notepad 170 is a pop-up form when the user clicks the list button 132 or the notepad button 102. Of course, other menu buttons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list button 132 or the notepad button 102,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ist button 132 and the notepad button 102 may be clicked. In this case, the notepad 170 will be described as being popped up.

도 4는 도 3의 메모장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tepad of FIG. 3.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is as follows.

한편, 상기 메모저장부(60)는 메모를 컨텐츠의 목차에 따라 사용자가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를 컨텐츠의 목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처럼, 선택된 세부 목차(도 4의 경우는 'Intro')에 따라 기존에 저장된 메모가 도시되고, 사용자가 추가로 메모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memo storage unit 60 may store a memo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memo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memo previously sto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table of contents (“Intro” in FIG. 4) is shown, and the user may further edit the memo.

다시 말해서, 상기 메모장의 편집영역(160)에는 이전에 저장한 메모가 있다면 그 메모가 도시되고, 그 메모에 추가로 다른 내용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편집영역(160)에 입력되거나 수정된 메모 내용은 저장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저장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re is a memo previously stored in the edit area 160 of the memo pad, the memo is shown, and it is possible to input other contents in addition to the memo. In particular, the memo content input or modified in the editing area 160 may be stored by pressing the save button.

이때, 상기 편집영역(160)에는 문자 등을 다양한 글꼴 및 크기로 추가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edit area 160 may add or edit characters in various fonts and sizes.

도 5는 메모장에서 메모의 리스트가 나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st of memos is listed in the notepad.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is as follows.

상기 메모저장부(60)는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모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컨텐츠의 하나의 세부목차에 복수 개의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첸츠의 여러 개의 세부목차에 복수 개의 메모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emo storage unit 60 may store a plurality of memo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That is, the user may store a plurality of memos in one detailed table of contents.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a plurality of memos in several detailed contents of the contents.

도 5에 도시된 바처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저장된 메모를 상기 메모장(170)에서 하나의 리스트형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전에 저장된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화면에 의해 간략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메모를 쉽게 찾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user may view a plurality of stored memos in a list form on the memo pad 17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memos by one screen and easily find the desired memo.

상기 메모장(170)에서 나열된 복수 개의 메모는 메모의 간략한 내용을 보여주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처럼 각각의 메모의 첫 줄을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메모가 제목을 가지고 있다면 각각의 제목을 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memos listed in the memo pad 170 may show brief contents of the memo or may show the first line of each memo as shown in FIG. 5. Of course, if the memo has a title, it is also possible to show each title.

도 6은 복수 개의 메모가 하나의 파일로 변환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a plurality of memos into one file.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s as follows.

사용자는 컨텐츠의 진도마다 복수 개의 메모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후에는 복수 개의 메모가 저장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복수 개의 메모를 사용자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창을 띄워놓고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Since the user can store a plurality of memos for each progress of the content, the plurality of memos are stored after the user completes learning about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user may edit a plurality of memos by leaving a plurality of windows on the user terminal.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전체메모장 편집영역(180)을 팝업시킨 후에, '전체 편집하여 출력하기'버튼을 누르고 이전에 저장된 메모를 개별적으로 보거나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메모를 보거나 출력시키는 방법은 다른 방식을 따르는 것도 가능하며,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실시예를 한정해서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After popping up the entire memo pad editing area 180 shown in FIG. 6, the user may press the 'Edit All Outputs' button and view or output previously stored memos individually. Of course, the method of viewing or outputting the memo may be performed in other manners, and FIG. 6 is only illustrative of the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하지만, 메모의 개수가 많아지면 여러 개의 메모를 한 화면에 띄워서 보거나 편집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notes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display or edit several notes on one screen.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emos may be stored or edited as one file.

상기 메모저장부(60)는 사용자가 저장한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파일로 생성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나의 파일은 워드프로그램에서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워드파일(word file), 한글 프로그램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한글파일(hwp file) 및 아크로뱃리더(acrobat reader)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피디에프파일(pdf file) 등의 파일의 형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mo storage unit 60 preferably generates a plurality of memos stored by the user as one file and provides the memo to the user. At this time, one file is a word file accessible from a word program, a Hwp file accessible from a Hangul program, and a PD reader accessible from an Acrobat reader.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format of a file such as a pdf file.

상기 전체메모장 편집영역(180)을 통해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저장된 메모를 하나의 파일로 보거나 출력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메모가 가진 내용이 서로 합쳐진 형태로 보거나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view or output a plurality of stored memos as a single file through the entire memo pad editing area 180, the contents of each memo may be viewed or output in a combined form.

이 경우 상기 전체메모장 편집영역(180)에 도시된 바처럼, 각각의 메모는 각각 진도(도 6에서는 1차시, 2차시)가 상단에 명기된 상태로 하나의 파일의 형태를 갖도록 병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각각의 메모를 하나의 파일로 볼 수 있어 편리하며, 메모의 내용은 각각의 진도별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entire notepad editing area 180, each memo may be merged so as to have a form of one file with the progress (first and second times in FIG. 6) specified at the top. Do. Then, the user can see each memo as a single file, and the memo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grasp the contents of each memo.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피디에프화일(pdf file)로 변환되어서 출력되는 방식에 대해서 한정하여 설명한다. In FIG. 6,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method of converting a PDF file into a PDF file and output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전체 편집하여 출력하기'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화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각 메모들은 진도별로 나누어서 저장되되, 하나의 화일로 저장된다. 물론 상기 하나의 화일은 사용자단말기(20,30)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user may transform a plurality of memos into a single file by pressing the 'edit and output all' button shown in FIG. 6. At this time, each memo is divided by progress and stored as one file. Of course, the one file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30.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화일로 변형시켜 메모를 한꺼번에 출력할 수 있으며 한꺼번에 편집할 수 있다. 각각의 화일을 사용자단말기(20,30)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모저장부(60)에 하나의 화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user may transform a plurality of memos into a single file to output the memos at once and edit them all at once. Each file may be individual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 or 30. In addition, the memo storage unit 60 may be stored as a single file.

도 7은 메모가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emo is shared with other users.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7 is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저장한 메모는 상기 메모저장부(60)에 사용자별로 저장된다. 즉, 제1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사용자단말기(20)를 통해서 저장된 메모는 제1사용자메모저장부(62)에 저장된다. 또한, 제2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사용자단말기(30)를 통해서 저장된 메모는 제2사용자메모저장부(64)에 저장된다. 물론 사용자가 3인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메모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memos individually stored by a user are stored for each user in the memo storage unit 60. That is, the memo stored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 used by the first user is stored in the first user memo storage 62. In addition, the memo stored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30 used by the second user is stored in the second user memo storage unit 64. Of course, if more than three users are stored in each user memo storage unit.

이는 사용자간에 자신이 저장한 메모에 한해서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물론, 개별적인 메모가 상기 사용자별 메모저장부(60)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개인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액세스권한이 개별적으로 관리되는 것도 가능하다.This is to give users the right to access only the memos they have saved. Of course, the individual memo is not stored in the user-specific memo storage unit 60, but may be stored in an individual personal database so that access rights can be managed separately.

이때, 메모를 액세스한다는 의미는 메모를 읽기, 저장, 수정, 삭제하는 등의 행위를 의미한다. 개인별로 자신의 메모에 한해서 읽기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ing a memo means an action of reading, storing, modifying, or deleting a memo. Individuals can read only their own memos.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1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기를 원해서 공유가 되도록 설정한 공유메모에 한해서는 다른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of online education, it is preferable that other users can access only the shared memo that the first user wants to share with other users.

오프라인 교육에서 사용자 간에 학습정보를 교류하려면 개별적으로 필기한 필기노트를 서로 교환하는 방식에 따라야 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를 공유한다는 설정만으로 원하는 사용자간에 메모를 공유하여, 학습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order to exchange learn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in offlin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method of exchanging individually handwritten notes.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can share the learning information by sharing the memo between the desired users only with the setting of sharing the memo.

나아가, 공유메모를 동일한 컨텐츠를 수강하는 익명의 사용자들간에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수강시 서로 간의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학습의 효율이 향상된다.Furthermore, since the shared memo can be shared among anonymous users taking the same content, various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when the content is taken. As a result, various perspectives on the content can be access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online learning.

도 7에 도시된 바처럼, 제1사용자는 메모공유공간(190)에 제2사용자가 공유해놓은 메모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제1사용자는 제2사용자가 공유해 놓은 공유메모를 액세스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user may add a memo shared by the second user to the memo sharing space 190. That is, the first user can access the shared memo shared by the second user.

이때, 상기 공유메모는 상기 제2사용자메모저장부(64)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메모저장부(62)로 복사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사용자메모저장부(62)에 서 상기 제2사용자메모저장부(64)의 공유메모에 링크를 추가하여, 제2사용자의 공유메모에 한해서 제1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hared memo may be copied from the second user memo storage 64 to the first user memo storage 62. Meanwhile, the first user memo storage unit 62 adds a link to the shared memo of the second user memo storage unit 64 so that the first user can access only the shared memo of the second user. It is also possible.

도 8은 도 2의 기본화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사용자는 도 8의 도면과 다른 방식에 의해서 컨텐츠를 제공받고, 컨텐츠에 대한 메모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8 illustrates the basic screen of FIG. 2 in detail. Of cours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of FIG. 8, and input a memo for the content.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화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sic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메모영역이 팝업된 방식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memo area is popped up in FIG. 2.

도 4는 도 3의 메모영역을 확대한 도면.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emo area of FIG. 3;

도 5는 메모장에서 메모의 리스트가 나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list of memos is listed in a notepad;

도 6은 복수 개의 메모가 하나의 파일로 변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emos are converted into one file.

도 7은 메모가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emo is shared with other users.

도 8은 도 2의 기본화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8 is a view illustrating the basic screen of FIG. 2 in detai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통신망 20: 제1사용자단말기10: communication network 20: first user terminal

30 : 제2사용자단말기 50: 서버30: second user terminal 50: server

52 : 컨텐츠저장부 54 : 목차저장부52: content storage unit 54: table of contents storage unit

60 : 메모저장부 60: memo storage unit

100 : 프레임 110 : 컨텐츠영역100: frame 110: content area

130 : 메모영역 150 : 목차영역130: memo area 150: table of contents area

160 : 편집영역 170 : 메모장160: edit area 170: notepad

180 : 전체메모장 편집영역 190: 메모공유공간180: All memo notebook editing area 190: Memo sharing space

Claims (14)

컨텐츠(contents)가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 및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s; And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입력한 메모가 저장되는 메모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교육시스템.And a memo storage unit for storing a memo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메모를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 The memo storage unit allows a user to input a memo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input memo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content at the same time as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모저장부는 저장된 메모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o modify the stored memo edu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관한 목차정보가 저장되는 목차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교육시스템.Educ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table of contents storage unit for storing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of the conten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목차에 따라 상기 메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provides the memo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컨텐츠의 진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모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stores a plurality of memo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메모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stores the plurality of memos as a file, and provides the education system to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복수 개의 메모의 내용을 포함하는 하나의 메모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is an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memo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memos to provide to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저장부는 복수 명의 사용자가 저장한 메모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memo stored by a plurality of users for each us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모저장부는 사용자가 저장한 자신의 메모에 한해서 액세스(access)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memo storage unit is an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access) can only access (access).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메모저장부는 상기 복수 명의 사용자 중 제1사용자가 자신의 복수 개의 메모 중 일부를 공유메모로 설정하는 경우에,The memo storage unit when a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sets some of their plurality of memos as a shared memo, 제2사용자는 상기 공유메모를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user can access the shared memo.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사용자는 상기 공유메모를 자신의 메모로 저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second user can save the shared memo as an own memo edu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도는 상기 컨텐츠에 기 설정된 일일학습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스템.The progress is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daily learning amount preset to the content.
KR1020080028554A 2008-03-27 2008-03-27 Education system KR200800348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54A KR20080034863A (en) 2008-03-27 2008-03-27 Edu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54A KR20080034863A (en) 2008-03-27 2008-03-27 Edu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863A true KR20080034863A (en) 2008-04-22

Family

ID=3957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554A KR20080034863A (en) 2008-03-27 2008-03-27 Edu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486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3878A (en) * 2017-03-31 2018-11-08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Support system, self-support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elf-learning information medium
KR102247507B1 (en) * 2020-07-20 2021-05-03 (주)듣는교과서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notes based on listening learn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3878A (en) * 2017-03-31 2018-11-08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Support system, self-support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elf-learning information medium
KR102247507B1 (en) * 2020-07-20 2021-05-03 (주)듣는교과서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notes based on listening lea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15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cial electronic learning
Paulus et al. Digital tools for qualitative research
Auld et al. Using mobile phones as placed resources for literacy learning in a remote Indigenous community in Australia
US20130031208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Longo Using social media for collective knowledge-making: Techni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global north and south
Shao et al. The potential of a mobile group blog to support cultural learning among overseas students
Wilson et al. Retooling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the current generation
McIntyre et al. How Rwandan journalists use WhatsApp to advance their profession and collaborate for the good of their country
Rodríguez-Rodríguez et al. Personalization of Moodle with the integration of most used web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KR1016213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reader participation type electronic books
Davis Museums and climate action: a special issue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McCarron et al. Stakeholder engagement to enhance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case study of care to plan
US8112029B1 (en) Method for developing writing skills by creating customized books using a network
KR20080034863A (en) Education system
Baker et al. Space, text and selfhood: Encounters with the personal computer in the mass observation project archive, 1991–2004
JP6966752B1 (en) Artist management system and server equipment
TW201224985A (en) A mobile device of the invention supporting interactive learning methods
Tualla Mobile engagement at Scottsdale community college: The apple iPad in an English honors class
JP2004126401A (en) History information utilization type education method and history information utilization type education system
Farneth How can we achieve GLAM?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the challenges to integrating metadata across museums, archives, and libraries: part 2
Zawacki-Richter et al. Mobile learning–a new paradigm shift in distance education?
Pink* Making links: on situating a new web site
Livingston Beats, rhymes, and college life: making a case for mixtape methodology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Hemmig et al. Create a sense of place for the mobile learner
Shakeel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 Internet application to support communications across literacy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