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678A -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678A
KR20080034678A KR1020060100936A KR20060100936A KR20080034678A KR 20080034678 A KR20080034678 A KR 20080034678A KR 1020060100936 A KR1020060100936 A KR 1020060100936A KR 20060100936 A KR20060100936 A KR 20060100936A KR 20080034678 A KR20080034678 A KR 2008003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channel
audio signal
frequency
device b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수
송연정
Original Assignee
박흥수
송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수, 송연정 filed Critical 박흥수
Priority to KR102006010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4678A/ko
Publication of KR2008003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 및 출력장치에서 RF방식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여 FM라디오를 통해 고음질의 스테레오로 출력되도록 하는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있어서, 소정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시켜 소정 주파수대역에 실어 송출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FM 라디오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FM 라디오에서 위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에 맞춘 복수의 채널을 할당해 놓고, 이 송출된 주파수에 동조된 하나의 채널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받아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송출되는 주파수에 정확하게 동조되어 최고 음질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이어폰, RF 방식, FM 라디오, 스테레오, 고음질,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Description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Audio Output Device Based Upon RF Mod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이용한 오디오를 출력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무선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 오디오 재생장치
300 : 무선 이어폰
310 : 오디오 신호 수신부
320 : 채널 설정부
330 : 스피커
34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350 : LED 표시부
360 : 제어부
370 : 저장부
380 : 채널 선국부
390 : 표시부
395 : 유선 케이블 연결부
396 : 충전용 배터리
본 발명은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 및 출력장치에서 RF방식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여 FM라디오를 통해 고음질의 스테레오로 출력되도록 하는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악재생기와 헤드폰 사이의 연결도로서, 이하에서의 음악재생기(110)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 Player),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같이 자기 테이프, 콤팩트 디스크(CD), 멀티미디어 카드(MMC: MultiMedia Card)등 임의의 음악저장매체에 기록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악재생기(110)는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휴대용 음악재생기는 그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내장하지 않고, 헤드폰(120)을 통해서만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이 때, 음악재생기(110)와 헤드폰(120)은 헤드폰 연결선(130)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헤드폰 연결선(130)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거추장스러운 존재여서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원인이 되며, 특히 음악재생기(110)에서 재생된 음악을 무선으로 헤드폰(120)에 송신한다고 해도 하나의 음악재생기에는 음악재생기의 사용 채널에 고정된 하나의 헤드폰만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신으로 음질이 나빠지게 되어, 각기 헤드폰을 가지고 있는 여러 사람들이 하나의 음악재생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음악을 즐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 및 출력장치에서 RF방식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여 FM라디오를 통해 고음질의 스테레오로 출력되도록 하는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있어서, 소정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시키고 상용 및 공용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활용되지 않는 선정된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주파수 중 선택된 하나의 주파수에 오디오 신호를 실어 송출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및 FM 라디오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FM 라디오에서는 위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와 동조될 수 있는 복수의 채널을 할당해 놓고,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에 동조된 하나의 채널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받아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국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무선이어폰에서는 위 임의로 선국된 주파수에 동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시켜 상용 및 공용 라디오 방송 주파수로 활용되지 않은 주파수대역의 소정 주파수에 오디오 신호를 실어 송출하는 오디오 재생장치(200)와, FM 라디오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FM 라디오에서 위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에 동조되는 주파수가 선정되도록 하여 위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받아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는 디지털 방식(바람직하게는 P.L.L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0.05 ~ 0.15MHz 범위내의 단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작은 단위로서 주파수가 송출되고, 상기 무선 이어폰에서 이 송출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에 정확히 동조되도록 주파수를 선정하여 최고 음질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200)는 휴대용 기기이고, 상용 또는 공용 라디오 방송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트랜스미터와 같은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용 기기는 MP3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폰(cellular phone 또는 mobile phone 등), 워크맨(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무선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이어폰(300)은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RF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310)와, 후술하는 제어부(360)로부터 입력되는 채널 선국 제어신호에 응하여 채널을 선국하 는 채널 설정부(320)와, 상기 채널 설정부(320)에 의해 설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330)로 출력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킨 후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40)와, 충전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다수의 LED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부(360)로부터 충전용배터리(396)(도 4 참조) 충전정도의 신호에 응하여 상기 LED들 중 해당 LED만 점등시키는 LED 표시부(350)와,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310)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널 설정부(320)에서는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채널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복수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이 선국되도록 한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채널을 선국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선국부(380)와, 상기 사용자가 선국하거나 또는 이미 선국된 채널의 주파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39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사용자가 상기 채널 선국부(380)를 통해 채널을 선국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주파수를 상기 채널 설정부(320)를 통해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39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확한 주파수를 선정하여 최고 음질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으며, 일반 공중파 FM 방송도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라디오 주파수는 상용 또는 공공 목적의 방송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가 송출되는 것이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받아 출력하기 위한 채널은 위 재생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채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300)는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시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30)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선 케이블 연결부(39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제어부(360)가 읽어들여 전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도시하지 않았음)와,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39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396)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리튬 폴리머 충전용 배터리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무선 이어폰을 귀에 걸고 전원을 온 시키면, 제어부(360)는 채널 설정부(320)를 통해 RF 방식으로 오디오 재생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특정 의 주파수를 가진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채널이 설정될 수 있도록 채널 설정부(320)로 채널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채널 설정부(320)는 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송출된 주파수에 일치하는 채널이 설정된다. 한편 채널 선국부(380)로서 직접 주파수를 선정하는 경우에는 표시부(390)를 확인하여 정확한 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60)가 동작하는 사이에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장치(200)를 작동시켜 소정 음악을 선곡한 후 재생시키게 되면, 오디오 재생장치(200)는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중에서 선정되는 하나의 라디오 주파수로 변환시켜 송출하고, 무선 이어폰(300)의 오디오 신호 수신부(310)는 상기 RF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받고, 채널 설정부(320)에 의하여 설정된 채널을 통해 오디오 신호 처리부(3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오디오 신호 처리부(34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30)로 출력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한 다음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60)는 채널 설정부(320)를 통해 일반 방송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를 설정시키는 것으로, 이때 채널은 오디오 재생장치(200)에 특정된 주파수와 대응되는 4 ~ 10개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어부(360)는 상기 4 ~ 10개로 고정되어 있는 채널 중 임의의 채널을 스캔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채널선국부(380)에 의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재생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특정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도 설정하여 상용 또는 공용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는 충전용배터리(396)을 충전하는 경우 LED 표시부(350)에 의하여 충전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충전되었던 전력이 소모되는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충전용배터리(396)의 충전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360)가 자동적으로 채널을 스캔시켜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주파수를 스캔시키면서 최상의 음질을 제공하는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선국부(380)와, 상기 채널 선국부(380)를 통해 선국되는 채널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39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더 포함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표시부(390)는 액정 디스플레이소자이다. 이때 채널 선국부(380)에서 일반 방송주파수를 설정하여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파 혼선지역이나 지하철 등에서 주파수 혼신이 있을 때 무선 이어폰(300)에 유선 케이블 연결부(395)를 더 구비시켜, 이 유선 케이블에 의해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200)와 연결되고,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330)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이어폰(300)에는 볼륨 조절부(398)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볼륨 조절부(398)를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330)로 출력되는 볼륨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 및 출력장치에서 RF방식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여 FM라디오를 통해 고음질의 스테레오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오디오 파일을 RF 방식으로 출력할 때 정해진 주파수를 디지털 방식으로 주파수를 공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주파수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깨끗한 음질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여러 채널의 주파수를 이용하게 되므로 혼선의 위험이 없고, 무선으로 음악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연결선이 존재하지 않아 활동이 자유롭게 되고, RF 방식으로 신호가 송출되므로 하나의 음악재생기에서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무선 이어폰에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공중파 방송도 청취할 수 있으며, 전파의 방해는 받는 장소에서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잡음 없이 재생되는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Claims (9)

  1. RF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있어서,
    소정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시키고, 고정된 하나의 주파수 또는 선정된 다수의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로 오디오 신호를 실어 송출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및
    FM 라디오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FM 라디오에서는 위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와 동조될 수 있는 복수의 채널을 할당해 놓고 있으며, 위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송출되는 주파수에 동조된 하나의 채널에 의하여 위 오디오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받아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폰은,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
    위 오디오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입력되는 채널 선국 제어신호에 응하여 채널을 선국하는 채널 설정부;
    위 채널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채널을 통해 위 오디오 신호 수신부로부터 출 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킨 후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및
    위 오디오 신호 수신부, 채널 설정부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며, 위 오디오 신호 수신부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위 채널 설정부로 채널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채널이 선국되도록 하고 스피커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휴대용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는,
    MP3플레이어, PMP, 핸드폰, 워크맨 또는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폰은,
    임의의 주파수를 갖는 채널이 선국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선국부; 및
    위에서 선국된 채널의 주파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의 채널은,
    상용 또는 공용방송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진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시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선 케이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되는 주파 수가,
    디지털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식이
    P.L.L. 방식으로서 0.05 ~ 0.15MHz 단위로 분할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KR1020060100936A 2006-10-17 2006-10-17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KR20080034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36A KR20080034678A (ko) 2006-10-17 2006-10-17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36A KR20080034678A (ko) 2006-10-17 2006-10-17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78A true KR20080034678A (ko) 2008-04-22

Family

ID=3957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936A KR20080034678A (ko) 2006-10-17 2006-10-17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46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58A2 (ko) * 2011-06-27 2013-01-03 Park Nam Soo 다기능 무선 헤드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58A2 (ko) * 2011-06-27 2013-01-03 Park Nam Soo 다기능 무선 헤드셋
KR101229587B1 (ko) * 2011-06-27 2013-02-05 윤경호 다기능 무선 헤드셋
WO2013002558A3 (ko) * 2011-06-27 2013-04-11 Park Nam Soo 다기능 무선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024B1 (en) Portable audio listening apparatus
US20120155649A1 (en) Wireless personal listening system and method
CN101132474A (zh) 由多个移动终端实现视听内容播放的方法和系统
KR20020006678A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 및 음향 재생장치
KR20110125650A (ko) 헤드폰
US20050143880A1 (en) Wireless transmitter for use in a vehicle
US20120208481A1 (en) Remotely controlling sound system in enclosure
KR20020010350A (ko) 엠피3 플레이어의 재생음 무선송출장치
US9300416B2 (en) Live radio transformer
KR200444074Y1 (ko) 블루투스 통신장치
KR20080034678A (ko)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WO2001084727A1 (fr) Emetteur/recepteur sous forme de casque
CN201503696U (zh) 可控制噪音污染的卡拉ok系统
US20190327559A1 (en) Multi-listener bluetooth (bt) audio system
JP2008263638A (ja) データ配信方法
JP2001069205A (ja) 携帯無線電話端末を利用した音響装置
KR200494601Y1 (ko) 오디오 입력 플러그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2082393B1 (ko) 다기능 무선 이어폰
KR100708255B1 (ko) 인공지능형 리모콘 장치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JPH0733520Y2 (ja) ポ−タブルステレオ再生装置
KR200169265Y1 (ko) 오토스캔 및 멀티채널엑세스 기능을 갖는 무선송수신수단과 음악재생기
CN205069128U (zh) 数字音频接收器
WO2005096666A1 (en) Entertainment device
KR200375494Y1 (ko) 엠피쓰리핸드폰용 에프엠송신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