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87B1 - 다기능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다기능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87B1
KR101229587B1 KR1020110062464A KR20110062464A KR101229587B1 KR 101229587 B1 KR101229587 B1 KR 101229587B1 KR 1020110062464 A KR1020110062464 A KR 1020110062464A KR 20110062464 A KR20110062464 A KR 20110062464A KR 101229587 B1 KR101229587 B1 KR 10122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dset
switch
frequency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39A (ko
Inventor
윤경호
박남수
김민
Original Assignee
윤경호
김민
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호, 김민, 박남수 filed Critical 윤경호
Priority to KR102011006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87B1/ko
Priority to PCT/KR2012/005093 priority patent/WO2013002558A2/ko
Publication of KR2013000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좌측 스피커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좌측 제어부를 갖는 좌측 몸체부와, 상기 좌측 몸체부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좌측 고정부를 구비하는 좌측 헤드셋부와, 우측 스피커와, MP3 플레이 기능과 라디오 청취 기능을 구비한 우측 제어부를 갖는 우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우측 고정부를 구비하는 우측 헤드셋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무선 헤드셋{MULTI-FUNCTIONAL WIRELESS HEADSET}
본 발명은 다기능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은 물론 라디오 기능까지 내장되고 상호간의 선을 사용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과 이어폰은 휴대폰, 라디오 기기 또는 MP3 기기와 같은 오디오 기기의 일단에 잭을 꼽아 해당 오디오 기기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음악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여 사용자가 귀에 걸치거나 꼽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헤드폰 또는 이어폰은 좌우를 선으로 연결해야만 양쪽 귀에서 스테레오로 즐길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양 헤드셋을 연결하는 선이 옷이나 가방 또는 팔에 걸려 귀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타인이나 다른 물건에 걸려 귀에서 빠지는 경우가 있고, 선이 목에 걸려 목을 돌리기에 거북하다. 또한, 사용할 때마다 꼬인 선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크고, 오래지 않아 선이 끊어져 새로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어폰의 경우 장시간 귀 구멍에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물감과 통증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선 없이도 휴대용 기기로 부터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는 무선 헤드셋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무선 헤드셋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경우 라디오를 청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는 기존의 헤드셋과 이어폰의 경우 이들을 연결한 선이 안테나로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의 경우 이러한 안테나 역할을 하는 선이 없기 때문에 FM 주파수를 직접 잡아 청취할 수 있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추장스러운 선을 제거하여 어떠한 야외활동도 쾌적하게 할 수 있고, 어느 장소에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기능과, MP3 플레이 기능 그리고, 라디오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스피커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좌측 제어부를 갖는 좌측 몸체부와, 상기 좌측 몸체부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좌측 고정부를 구비하는 좌측 헤드셋부 및 우측 스피커와, MP3 플레이 기능과 라디오 청취 기능을 구비한 우측 제어부를 갖는 우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우측 고정부를 구비하는 우측 헤드셋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을 제공한다.
좌측 몸체부는 스피커를 수납하는 좌측 하우징과, 좌측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좌측 제어부 및 좌측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좌측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측 하우징의 내측에는 배터리부와 USB 연결 단자 및 마이크와 충전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좌측 스위치부는 블루투스 제어를 위한 제 1 스위치와, 전원 제어 및 음소거 제어를 위한 제 2 스위치와, 볼륨 조절을 위한 제 3 및 제 4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측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우측 헤드셋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FM-TRX통신부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좌측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측 몸체부는 스피커와 안테나가 내장된 우측 하우징과, MP3 플레이부와 라디오 청취부를 포함하고 우측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우측 제어부와, 상기 우측 제어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창과, 상기 우측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우측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측 하우징의 내측에는 배터리부와 USB 연결 단자 및 충전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우측 스위치부는 모드 변경과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5 스위치와, 주파수 또는 파일 선택 및 정지와 멈춤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 6 스위치와, 폴더 선택과 라디오 주파수를 상승시키는 제 7 스위치와, 폴더 선택과 라디오 주파수를 다운시키는 제 8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측 제어부는 MP3 파일과 같은 음악 파일을 플레이하는 MP3 플레이부와, 방송중인 라디오 주파수를 검색하여 FM 주파수의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라디오 청취부와, 우측 제어부에서 생성된 음량 데이터를 좌측 헤드셋부와 공유하여 스테레오로 듣도록 하기 위한 FM-TRX 통신부와, 음악 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우측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M-TRX 통신부는 FM 발신 모듈과 FM 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FM 주파수 방송이 없는 87.5 내지 108MHz 범위 중 하나의 주파수를 자동 탐색하여 사용하고, RDS 명령에 의한 지정 FM 주파수로 발신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M-TRX 통신부는 FM-TX 칩과 FM-RX칩으로 구성되거나, FM-TRX 겸용의 단일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 헤드셋부는 선국한 FM 방송국의 주파수를 우측 스피커로 송출하고 RDS로 상기 좌측 헤드셋부에 전송하며, 좌측 헤드셋부는 FM 방송을 FM-RX로 수신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측과 우측 헤드셋 내부에 블루투스 기능과 MP3와 같은 음악 파일 플레이 기능 및 라디오 청취 기능을 임베디드시키고, 두 헤드셋간을 FM-TRX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통신하게 함으로 인해 블루투스는 물론, MP3 플레이 기능 및 라디오 기능까지 선 없이 스테레오로 즐길 수 있다. 또한, 일정 범위내의 사용자에게 동일한 형태의 음악을 듣도록 할 수 있고, 멀티 기능의 탑재로 인해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고, 무선으로 어느 장소에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무선 헤드셋의 도면.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측 헤드셋부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 헤드셋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무선 헤드셋의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측 헤드셋부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 헤드셋부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 무선 헤드셋은 좌측 스피커와 좌측 제어부(112)를 갖는 좌측 몸체부(110)와, 좌측 몸체부(110)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좌측 고정부(120)를 구비한 좌측 헤드셋부(100)와, 우측 스피커와 우측 제어부(212)를 갖는 우측 몸체부(210)와, 우측 몸체부(210)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우측 고정부(220)를 구비한 우측 헤드셋부(200)를 구비한다.
좌측 몸체부(110)는 좌측 스피커와, 이를 감싸고 수납하는 좌측 하우징(111)과, 좌측 하우징(111) 내측에 위치한 좌측 제어부(112)와, 상기 좌측 제어부(1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좌측 스위치부(113, 114, 115, 116) 및 좌측 헤드셋부(100)의 동작을 표시하는 좌측 발광 표시부(117, 118, 119)를 구비한다.
상기 좌측 하우징(111)은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및 타원 형상도 가능하다. 물론 인체 공학적인 형상을 적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좌측 하우징(111)은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이 수납공간 내에 좌측 스피커와 좌측 제어부(112) 및 배터리부등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우징(111)의 상부와 하부에는 다양한 좌측 스위치부(113, 114, 115, 116)가 위치하고, 좌측 하우징(111)의 전면에는 이의 동작을 표시하는 좌측 발광 표시부(117, 118, 119)가 위치한다. 좌측 스위치부(113, 114, 115, 116)는 블루투스 제어를 위한 제 1 스위치(113)와, 전원 제어 및 음소거 제어를 위한 제 2 스위치(114)와, 볼륨 조절을 위한 제 3 및 제 4 스위치(115, 116)를 구비한다. 좌측 발광 표시부(117, 118, 119)는 파워 발광부(117)와, 블루투스 발광부(118)와, 충전 발광부(119)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들은 각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좌측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USB와 연결될 좌측 USB 연결 단자(11)가 마련되고, 일측에 마이크(12)와 충전 단자(13)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측 하우징(111)내에 수납된 좌측 제어부(112)는 블루투스 통신부(112-1)와, FM-TRX 통신부(112-2)와, 전원 제어 및 표시부(112-3)와, 음량 조절부(112-4)와, 좌측 메인 제어부(112-5)를 구비한다. 좌측 제어부(112)는 상기 각부들이 PCB 기판 상에 칩 또는 소자 형태로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제어부(112)의 내측에는 라디오 방송 수신을 위한 좌측 라디오 청취부(미도시)즉, 라디오 방송 수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좌측 제어부(112)는 블루투스 통신부(112-1)를 통해 외부 전자 기기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외부 전자 기기와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통신부(112-1)의 경우 상기의 제 1 스위치(113)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부의 파워를 온시킴으로 인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위치(113)를 1 내지 3초 동안 누를 경우 블루투스 동작이 활성화된다. 또한, 제 1 스위치(113)를 3초 이상 길게 누를 경우 블루투스로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우측 제어부(212)와 공유하여 스테레오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좌측 제어부(112)는 FM-TX(FM Transmitter) 통신부(112-2)를 구비한다.
좌측 제어부(112)는 FM-TRX 통신부(112-2)를 통해 우측 제어부(212)와 FM 주파수 대역에서 음성 데이터에 관한 통신을 통해 서로간 동일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FM-TRX 통신부(112-2)는 FM 발신 모듈과 FM 수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FM-TRX 통신부(112-2)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를 발신 또는 수신하여 좌측과 우측의 헤드셋부가 동일한 음향/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선 없이도 스테레오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좌측 제어부와 우측 제어부간의 FM 주파수가 일치하여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FM-TRX 통신부(112-2)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로 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우측 제어부(212) 즉, 우측 헤드셋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FM-TRX 통신부(112-2)로 FM-TRX 겸용침을 탑재하거나, FM-TX, FM-RX칩을 별도로 각기 탑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과 원가 대비 TRX겸용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메인 제어부(112-5)는 상기 각부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더욱이 좌측 메인 제어부(112-5)는 블루투스 통신부(112-1) 및 FM-TRX 통신부(112-2)를 통해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좌측 스피커에 제공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 통신부(112-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이의 동작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필요시 다른 동작의 제어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FM-TRX 통신부(112-2)의 제어를 통해 좌측 헤드셋부(100)로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우측 헤드셋부(200)로 제공하고, 우측 헤드셋부(200)로 부터 제공된 음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앞에 언급한 바와 같이 좌측 헤드셋부(100)에 좌측 라디오 청취부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FM-TRX 통신부의 RDS로 방송되는 FM 주파수를 제공 받고, FM-RX로 FM 방송을 수신하여 해당 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방송한다. 즉, 이를 통해 좌측 헤드셋부(100) 또한 FM 라디오 수신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메인 제어부(112-5)는 마이크로부터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가공하여 블루투스 통신부(112-1)를 통해 외부 기기(휴대폰)로 제공한다.
전원 제어 및 표시부(112-3)는 각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앞서 언급한 좌측 발광 표시부(117, 118, 119)에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동작을 표시한다. 즉, 전원 제어 및 표시부(112-3)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13, 114)로 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된다. 물론 해당 스위치들의 입력이 좌측 메인 제어부(112-5)에 제공된 이후에 전원 제어 및 표시부(112-3)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음량 조절부(112-4)는 제 3 및 제 4 스위치(115, 116)로 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송출되는 음량을 제어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좌측 메인 제어부(112-5)로 부터 음량 제어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 몸체부(110)에는 좌측 고정부(120)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귀에 좌측 헤드셋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좌측 고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몸체부(110)의 좌측 하우징(111)의 상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걸이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1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막대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좌측 고정부(120)는 인체 공학적 설계를 통해 다양한 형태와 굴곡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좌측 헤드셋부(100)와 FM-TX(FM Transmitter) 통신을 통해 음성 및 음향 데이터를 주고 받는 우측 헤드셋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좌측 헤드셋부(100)에는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외부 기기와 통신을 한다. 그리고, 이 통신 결과를 필요에 따라 우측 헤드셋부(200)와 공유하여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다.
단,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보안상 좌측의 FM-TX는 정지된다. 따라서, 통화시에는 좌측만 소리가 난다. 하지만, 블루투스로 음악을 듣거나, 우측의 MP3와 같은 음악파일을 듣거나, FM 라디오를 스테레오로 들을 때 전화가 걸려오거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면 블루투스와 음악재생은 일시정지되고, FM 라디오는 소리멈춤 상태가 되어 마이크가 있는 좌측으로만 통화를 하고 통화가 끝나면 자동으로 이전 상태로 돌아간다.
본 실시예의 우측 헤드셋부(200)의 우측 몸체부(210)는 우측 스피커와, 이를 감싸고 수납하며, 라디오 청취를 위한 안테나가 내장된 우측 하우징(211)과, MP3 플레이부와, 라디오 청취부를 포함하고 우측 하우징(211) 내측에 위치한 우측 제어부(212)와, 우측 제어부(212)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창(213)과, 상기 우측 제어부(2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우측 스위치부(214, 215, 216, 217)와, 우측 헤드셋부(200)의 동작을 표시하는 우측 발광 표시부(218, 219)를 구비한다.
상기 우측 하우징(211)은 앞서 언급한 좌측 하우징과 그 구성이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우측 하우징(211)의 내측에 안테나가 실장된다. 이때, 안테나는 FM 전파를 수신, 발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가 상기 우측 고정부(22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우측 하우징(210)에도 우측 스위치부(214, 215, 216, 217)가 위치한다. 우측 스위치부(214, 215, 216, 217)는 모드 변경과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5 스위치(214)와, 주파수 또는 파일 선택 및 정지와 멈춤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 6 스위치(215)와, 폴더 선택과 주파수를 상승시키는 제 7 스위치(216)와, 폴더 선택과 주파수를 다운시키는 제 8 스위치(217)를 구비한다.
우측 발광 표시부(218, 219)는 파워 발광부(218)와 충전 발광부(219)를 구비한다.
또한, 우측 하우징(211)의 일측에는 USB와 연결될 우측 USB 연결 단자(21)와, 일측에 충전 단자(22)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하우징(211)에는 표시창(213)이 위치한다. 이때, 표시창으로 LC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시창(213)에는 장치의 동작 유무가 표시되거나, MP3 파일이 표시되거나 파일이 담겨있는 메모리 공간의 내용이 표시되거나, FM 주파수가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측 하우징(211)내에 수납된 우측 제어부(212)는 MP3 플레이부(212-1)와, 라디오 청취부(212-2)와, FM-TRX 통신부(121-3)와, 전원 제어 및 표시부(212-4)와, 저장부(212-5)와, 우측 메인 제어부(212-6)를 구비한다. 우측 제어부(212)는 상기 각부들이 PCB 기판 상에 칩 또는 소자 형태로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우측 헤드셋부에 MP3 플레이 기능과 라디오 청취 기능을 임베디드시킴으로 인해 단일의 헤드셋 몸체 하나 만으로 다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별도의 MP3 플레이를 위한 기기 또는 라디오 청취를 위한 기기가 분리되지 않고, 헤드셋 내에 일체화되었다. 이는 기존의 블루투스 헤드셋 제품과, MP3 플레이 제품 및 라디오 제품을 각기 분할하여 구매하던 것을 하나의 통합 제품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제품들을 각기 분리하여 소장하던 것을 하나의 제품만을 소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우측 제어부(212)의 MP3 플레이부(212-1)는 저장된 MP3 파일을 플레이한다. 이러한 MP3 플레이부의 구성은 매우 다양하고 본 발명에서는 그 구성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MP3 플레이부(212-1)는 MP3 파일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음악 파일을 변환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듣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MP3 파일을 포함하는 음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저장부 즉, 메모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4G의 메모리를 사용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작거나 큰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라디오 청취부(212-2)를 통해 또한 사용자가 라디오 주파수를 검색하여 FM 주파수의 라디오를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드셋은 우측 헤드셋부(200)에서 생성된 음성/음량 데이터를 좌측 헤드셋부(100)와 공유하여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측 제어부(212) 또한 FM-TRX 통신부(212-3)를 구비한다.
우측 FM-TRX 통신부(212-3) 또한, FM 주파수 대역에서 음성 데이터에 관한 통신을 통해 서로간 동일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FM-TRX 통신부(212-3)는 FM 발신 모듈과 FM 수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FM-TRX 통신부(212-3)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를 발신 또는 수신하여 좌측과 우측의 헤드셋부가 동일한 음향/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선 없이도 스테레오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우측 FM-TRX 통신부(212-3) 또한 FM-TRX 겸용침을 탑재하거나, FM-TX, FM-RX칩을 별도로 각기 탑재할 수도 있다.
이때, FM 주파수는 방송이 없는 87.5 내지 108MHz 중에서 가장 깨끗한 주파수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좌, 우가 음향을 보내므로 원하는 경우 본인뿐만 아니라 송출주파수를 아는 타인도 일정 거리 내에서 내 음악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이때, 송출주파수는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MP3 플레이부(212-1)에서 MP3 파일 관련된 음향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우측 헤드셋부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FM-TRX 통신부를 통해 FM 주파수로 지정 송출(TX) 한다. 이때, 좌측 헤드셋부는 우측에서 송출된 RDS(Radio Data System)로 명령에 의한 지정 FM 주파수로 수신하고, 이에 따라 좌측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RDS는 FM방송에 부가적인 데이터 신호를 실어 간단한 정보를 알려준다. 이는 FM신호 중 57khz에 약 1.1kbps정도로 시간, 현재 방송장르, 유사한 장르의 주파수, 등등을 데이터로 실어 보내주면 헤드셋을 통해 단순히 소리만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현재 방송의 정보 등을 문자로 보여준다.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의 버튼스위치 키를 누를 때 프로그램된 제어신호로 RDS 데이터를 보내 주면, 좌측 또는 우측의 헤드셋부는 이를 받아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볼륨 조정의 경우 좌측 헤드셋부에서 볼륨을 올리면 동시에 우측 헤드셋부도 좌측 헤드셋부로부터 RDS로 명령을 받아 좌측 헤드셋부와 같은 레벨로 볼륨을 올리게 된다. 또한, 모드 변경의 경우 우측에서 모드를 변경하면 좌측도 동시에 RDS 명령을 받아 거기에 맞게 좌측 헤드셋부도 변경한다. 음악 듣기의 경우에도 우측 헤드셋부에서 음악을 플레이하면 플레이하는 음악의 스테레오부분 중 우측 헤드셋부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하고, 동시에 지정한 FM주파수로 음악과 RDS를 송출한다. 이때, 좌측은 우측 헤드셋부에서 송출한 RDS로 지정된 FM주파수로 우측의 음악을 수신하고 스테레오 중 좌측 헤드셋부만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한다.
또한, 라디오 송출의 경우, 우측 헤드셋부에서 원하는 방송국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스테레오부분 중 우측 헤드셋부만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하고, 동시에 RDS로만 지정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송출한다. 좌측 헤드셋부는 RDS로 수신, 명령된 지정주파수로 같은 방송국의 주파수를 수신하고 스테레오 중 좌측 헤드셋부만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한다.
RDS로 수신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시간은 몇 백만 분의 1초 정도이므로 딜레이 타임은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처음 헤드셋을 구매한 경우 기기의 좌측, 우측만이 동작하도록 페어링 한다. RDS에 페어링된 PW가 같이 실려 오면 같은 기종의 타기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페어링은 한번만 하면 되고 전원을 껏다 켜더라도 지워지지 않는다. 하지만, 리셋 버튼에 의해 초기화된다. PW는 수 천만 분의 1로 랜덤 부여하므로 겹칠 우려가 없다.
이와 같은 RDS 명령에 의한 지정 FM 주파수의 수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음성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좌측과 우측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라디오 또한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때, 지정 FM 주파수의 경우 방송되지 않는 주파수를 사용하고, 지정 FM 주파수의 범위는 2~5m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범위 내의 모든 FM-RM 통신부에서는 동일한 음악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들이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방송되는 FM 주파수와 겹치지 않도록 자동으로 회피하여 주파수를 선정한다.
우측 메인 제어부(212-6)는 상기 각부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이는 현재 동작되는 상황에 따라 각 스위치에서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판단하고, 해당 입력에 의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5 스위치(214)를 길게 누를 경우 전원 인가로 인식하고,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라디오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제 5 스위치(214)를 누를 경우 모드 변경을 통해 블루투스 또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제 6 스위치(215)를 누를 경우 라디오가 동작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라디오 채널이 변경되거나, 현재 듣고 있는 라디오 채널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만일 MP3 음악을 듣고 있는 경우에는 음악의 중지 또는 시작을 제어하게 된다. 초기 화면의 경우 MP3 음악을 들을 것인지 라디오를 들을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 제 7 및 제 8 스위치(216, 217)를 누를 경우, 라디오 동작 시에는 라디오 주파수를 업/다운 시키고, 음악을 들을 경우에는 전후 음악 파일로 이동하고, 폴더 또는 파일을 선택한 경우 이들의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 판단을 우측 메인 제어부에서 실시하고, 판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부를 제어한다.
우측 메인 제어부(212-6)는 MP3 플레이부(212-1)의 음성 데이터를 FM-TRX 통신부(212-3)를 통해 좌측 헤드셋부(100)에 제공하고, 라디오청취부(212-2)가 선국한 FM주파수를 RDS로 FM-TRX 통신부(212-3)를 통해 좌측 헤드셋부(100)에 명령하면 명령받은 FM 주파수로 방송의 좌측 부분만을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 및 우측 헤드셋부(100, 200)를 구비한 무선 헤드셋은 FM-TRX 칩을 이어셋 즉, 헤드셋의 좌우가 각기 장착하여 각종 미디어의 음향 데이터, RDS 데이터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제공하고 제공 받음으로, 별도의 선 없이도 스테레오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이때, FM TRX의 경우 데이터 발신 TX와 데이터 수신 RX를 구비한다.
우측 몸체부(210)에는 우측 고정부(220)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귀에 우측 헤드셋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우측 고정부(220)에 안테나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을 일 헤드셋에 장착하고, MP3 플레이어와 라디오 기능을 타측 헤드셋에 장착하여 단순히 타기기에 의존하여 듣기만 하던 헤드셋(즉, 이어폰)의 기능에서 벗어나 자체에서도 좌, 우 선이 없이 음악을 즐길 수 있으며, FM 라디오도 자체 청취할 수 있다. 즉, 휴대폰이든 MP3든 유선이어폰을 연결하여야만 이어폰의 선이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하여 FM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이어셋은 자체에 안테나를 장착하므로서 거추장스럽고 꼭 선이 있어야만 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블루투스 기기(3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제공 받는 경우, 좌측 헤드셋부(100)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블루투스 기기(300)의 경우 휴대폰, MP3, PMP, 컴퓨터, TV, 게임기 및 기타 블루투스 탑재기기일 수 있다.
좌측 헤드셋부(100)는 제공 받은 블루투스 신호 내의 음악 데이터를 지체 연결 스피커로 좌측 헤드셋부(100)만 나오게 하고, 동시에 음향 데이터를 방송이 없는 영역의 FM 주파수로 지정 송출(TX)한다. 이를 통해 우측 헤드셋부(200)는 좌측 헤드셋부(100)에서 RDS로 명령 받은 지정 FM 주파수로 수신하여 우측 헤드셋부(200)의 스피커로 소리가 나오게 한다. 이를 통해 좌측과 우측 헤드셋부(200) 양측에 무선으로 스테레오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전화가 오거나 거는 경우 좌측 헤드셋부(100)가 대기 중에는 좌측 헤드셋부(100)에서 직접 전화를 받고, 음악 재생, FM라디오를 청취 중이었다면 우측의 동작은 차단되고 통화기 진행된다. 만일 통화가 끝나면 자동으로 다시 재생, FM 라디오를 청취하게 된다. 여기서, 통화는 기존의 블루투스의 통화 방법과 동일하다.
우측 헤드셋부(200)에는 MP3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MP3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우측 헤드셋부(200)는 지체연결 스피커에 의해 음악이 나오고, 동시에 음향 데이터를 방송이 없는 영역의 FM 주파수로 지정 송출한다. 이로 인해 우측 헤드셋부(200)에서 좌측 헤드셋부(100)로 RDS로 명령받은 지정 FM 주파수로 수신하여 좌측 헤드셋부만 스피커로 소리가 나오게 한다. 이를 통해 좌측과 우측 모두 무선으로 스테레오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재생의 경우 MP3가 대표적인 파일 형식이기 때문에 MP3 플레이 기능으로 지칭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우측 헤드셋부(200)의 MP3 플레이 기능은 MP3 파일 포멧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음악 파일 포멧(WMA, WAV 등)도 재생할 수 있고, 이들을 FM-TX로 송출할 수 있다.
FM 라디오 청취의 경우 우측 헤드셋부(200)에서 원하는 FM 방송을 지정 수신(RX) 한다. 이를 통해 우측 헤드셋부(200)는 자체 연결 스피커로 우측 부분만 나온다. 또한, 동시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RDS로 명령 받은 지정 방송국 FM 주파수로 수신(RX)하여 좌측 부분만 스피커로 소리가 나오게 하여 좌우측 모두 무선으로 스테레오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즉, FM 라디오 모드에서 우측 헤드셋부(200)를 통해 FM 라디오 방송국의 주파수를 탐색하여 일 방송국의 주파수를 선정하면 우측 헤드셋부(200)는 선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방송을 우측 헤드셋부(200)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한다. 이후, 우측이 탐색 및 선국한 방송국의 주파수를 좌측 헤드셋부(100)에 RDS로 알려준다.
이어서, 좌측 헤드셋부(100)는 우측 헤드셋부(100)에서 선정한 FM 방송국의 주파수를 RDS로 명령 받아 우측 헤드셋부(100)와 같이 FM 방송을 FM-RX로 수신하여 좌측 헤드셋부(100)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게 한다. 따라서, 좌측 헤드셋부(100)와 우측 헤드셋부(200) 모두가 FM 라디오 수신기이고, 이들은 소리만을 나누어 내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좌측과 우측 헤드셋 2개만으로 좌우 분리형 무선 헤드셋 기능, 블루투스 기능, MP3 기능과 라디오 청취 기능을 모두 갖춘다. 또한, FM TRX를 통해 기존 방송과 겹치지 않도록 FM 칩에서 자동으로 피하여 주파수를 선정 송신할 수 있다. 이는 국내에 한정되지 않고, 해외 어디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지체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좌측 헤드셋부 110 : 좌측 몸체부
112 : 좌측 제어부 112-1 : 블루투스 통신부
112-2, 212-3 : FM-TRX 통신부 120 : 좌측 고정부
200 : 우측 헤드셋부 210 : 우측 몸체부
212 : 우측 제어부 212-1 : MP3 플레이부
212-2 : 라디오 청취부 220 : 우측 고정부

Claims (10)

  1. 좌측 스피커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좌측 제어부를 갖는 좌측 몸체부와, 상기 좌측 몸체부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좌측 고정부를 구비하는 좌측 헤드셋부; 및
    우측 스피커와, MP3 플레이 기능과 라디오 청취 기능을 구비한 우측 제어부를 갖는 우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우측 고정부를 구비하는 우측 헤드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몸체부는 스피커와 안테나를 수납하는 좌측 하우징과, 좌측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좌측 제어부 및 좌측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좌측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좌측 하우징의 내측에는 배터리부와 USB 연결 단자 및 마이크와 충전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좌측 스위치부는 블루투스 제어를 위한 제 1 스위치와, 전원 제어 및 음소거 제어를 위한 제 2 스위치와, 볼륨 조절을 위한 제 3 및 제 4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4.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우측 헤드셋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FM-TRX통신부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좌측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5. 제1항에 있어서,
    우측 몸체부는 스피커와 안테나가 내장된 우측 하우징과, MP3 플레이부와 라디오 청취부를 포함하고 우측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우측 제어부와, 상기 우측 제어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창과, 상기 우측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우측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6. 제5항에 있어서,
    우측 하우징의 내측에는 배터리부와 USB 연결 단자 및 충전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우측 스위치부는 모드 변경과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5 스위치와, 주파수 또는 파일 선택 및 정지와 멈춤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 6 스위치와, 폴더 선택과 라디오 주파수를 상승시키는 제 7 스위치와, 폴더 선택과 라디오 주파수를 다운시키는 제 8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7. 제5항에 있어서,
    우측 제어부는 MP3 파일과 같은 음악 파일을 플레이하는 MP3 플레이부와, 방송중인 라디오 주파수를 검색하여 FM 주파수의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라디오 청취부와, 우측 제어부에서 생성된 음량 데이터를 좌측 헤드셋부와 공유하여 스테레오로 듣도록 하기 위한 FM-TRX 통신부와, 음악 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우측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8.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M-TRX 통신부는 FM 발신 모듈과 FM 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FM 주파수 방송이 없는 87.5 내지 108MHz 범위 중 하나의 주파수를 자동 탐색하여 사용하고, RDS 명령에 의한 지정 FM 주파수로 발신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9.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M-TRX 통신부는 FM-TX 칩과 FM-RX칩으로 구성되거나, FM-TRX 겸용의 단일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10.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헤드셋부는 선국한 FM 방송국의 주파수를 우측 스피커로 송출하고 RDS로 상기 좌측 헤드셋부에 전송하며, 좌측 헤드셋부는 FM 방송을 FM-RX로 수신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선 헤드셋.
KR1020110062464A 2011-06-27 2011-06-27 다기능 무선 헤드셋 KR10122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64A KR101229587B1 (ko) 2011-06-27 2011-06-27 다기능 무선 헤드셋
PCT/KR2012/005093 WO2013002558A2 (ko) 2011-06-27 2012-06-27 다기능 무선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64A KR101229587B1 (ko) 2011-06-27 2011-06-27 다기능 무선 헤드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39A KR20130006939A (ko) 2013-01-18
KR101229587B1 true KR101229587B1 (ko) 2013-02-05

Family

ID=4742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464A KR101229587B1 (ko) 2011-06-27 2011-06-27 다기능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9587B1 (ko)
WO (1) WO201300255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280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KR20180070095A (ko)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KR20180072532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헤드셋 충전 시스템
KR20180129724A (ko) 2016-12-16 2018-12-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5055B2 (en) 2014-12-23 2019-10-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udio output device and audio output system comprising same
KR102166659B1 (ko) * 2020-01-10 2020-10-16 (주)마키나 다기기 호환형 무선 사운드 디바이스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348A (ja) 2000-08-29 2002-03-15 Funai Electric Co Ltd 多機能携帯端末用ヘッドセットおよびヘッドセット付き多機能携帯端末装置
KR20050097590A (ko) * 2004-04-01 2005-10-10 주식회사 에이엠지테크놀러지 무선 헤드셋 유닛
KR20080014241A (ko) * 2006-08-10 2008-02-14 강인석 무선 mp3 이어폰
KR20080034678A (ko) * 2006-10-17 2008-04-22 박흥수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348A (ja) 2000-08-29 2002-03-15 Funai Electric Co Ltd 多機能携帯端末用ヘッドセットおよびヘッドセット付き多機能携帯端末装置
KR20050097590A (ko) * 2004-04-01 2005-10-10 주식회사 에이엠지테크놀러지 무선 헤드셋 유닛
KR20080014241A (ko) * 2006-08-10 2008-02-14 강인석 무선 mp3 이어폰
KR20080034678A (ko) * 2006-10-17 2008-04-22 박흥수 알에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280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KR20180070095A (ko)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KR20180129724A (ko) 2016-12-16 2018-12-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KR20180072532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헤드셋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2558A3 (ko) 2013-04-11
KR20130006939A (ko) 2013-01-18
WO2013002558A2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587B1 (ko) 다기능 무선 헤드셋
KR101960680B1 (ko) 이어폰 충전 케이스
KR20090007694A (ko) 오디오 헤드셋
US20150078554A1 (en) Wireless personal listening system and method
US20130064393A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reproducing method
CN201039450Y (zh) 一种无线耳机
TW200843542A (en) Wireless headphone
CN104796816A (zh) 一种自动开关的wifi智能音箱
KR200397845Y1 (ko)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
US20070019819A1 (en) Audio entertainment system
JP3489817B2 (ja) ヘッドフォン型送受信機
US20060258411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KR200444074Y1 (ko) 블루투스 통신장치
US8655417B2 (en)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CN201114442Y (zh) 具有无线音频传输功能的电视机
CN209002184U (zh) 一种具有音乐无线共享功能的头戴式蓝牙耳机
CN102348000A (zh) 一种设有调频信号发射模块的手机保护套及其系统
US7623895B1 (en) FM transmitter for portable audio device
JP3132766U (ja) コードレスイヤホーン
KR101808253B1 (ko) 무선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음향 증폭 시스템
KR200172561Y1 (ko) 휴대전화기 및 음향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핸즈프리 이어폰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CN104811850A (zh) 一种基于wifi的智能音箱
US20040052382A1 (en) Automatic switching bi-directional vehicle-used speaker
CN202907026U (zh) 一种智能手机基座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