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265A -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 Google Patents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265A
KR20080034265A KR1020060100264A KR20060100264A KR20080034265A KR 20080034265 A KR20080034265 A KR 20080034265A KR 1020060100264 A KR1020060100264 A KR 1020060100264A KR 20060100264 A KR20060100264 A KR 20060100264A KR 20080034265 A KR20080034265 A KR 20080034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xternal input
flip
detect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4265A/en
Publication of KR2008003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7Bi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13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 H03K3/356121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with synchronous operation

Abstract

An align circuit for external input signals of a flip flop is provided to precisely define the state of output signals when input signals supplied to a flip flop circuit are asynchronous with one another by utilizing the align circuit. An align circuit includes a detecting unit and an align unit(200). The detecting unit detects whether or not the transition time of an external input signal is in a dead zone of a flip flop circuit, generates a first detecting signal when the transition time is in the dead zone, and generates a second detecting signal when the transition time is not in the dead zone. The align unit delays the external input signal when the first detecting signal is inputted longer than when the second signal is inputted.

Description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Align circuit for flip-flop external input signal

도 1은 종래의 도메인 변환회로도이고, 1 is a conventional domain conversion circuit diagram.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동작타이밍도들이고, 2 and 3 are operation timing diagrams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회로가 구비된 도메인 변환회로도이고, 4 is a domain conversion circuit diagram including an alignmen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얼라인 회로의 얼라인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alignment part of the alignment circuit of FIG. 4.

도 6은 도 4의 얼라인 회로의 디텍팅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ing unit of the alignment circuit of FIG. 4.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의 동작 타이밍도들 이다.7 and 8 are operation timing diagrams of FIGS. 5 and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얼라인 회로 200 : 얼라인부110: alignment circuit 200: alignment unit

300 : 디텍팅부300: detecting unit

본 발명은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립플롭에 입력되는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이 플롭플롭의 데드존 영역에 존재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gnment circuit of an external input signal of a flip flop. More specifically, the flip-flop circuit of the flip-flop circuit is controlled so that a transition time point of an external input signal input to the flip-flop does not exist in a dead zone of the flop flop. An alignment circuit of a flip-flop external input signal for solving instability.

일반적으로 플립플롭회로는 여러 장치나 회로에서 사용되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Generally, flip-flop circuits are used in various devices or circuits, but they are frequently used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특히 DDR SDRAM의 경우에는 도메인 변환회로(domain change)에 상기 플립플롭회로가 이용된다. 즉 리드(READ)동작에서 데이터 신호(DQ,DQS)를 외부 클럭신호(ECLK)와 얼라인 시키기 위해서 DLL이라는 내부 클럭 발생회로를 사용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DR SDRAM, the flip-flop circuit is used for a domain change circuit. That is,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called a DLL is used to align the data signals DQ and DQS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ECLK in the read operation.

상기 내부클럭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DLL 클럭은 디램 내부의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하여 커맨드(CMD) 조건에 따라 온(ON)/오프(OFF) 컨트롤이 수행된다.The DLL clock generated by the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is ON / OFF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mand (CMD) condition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DRAM.

일반적으로 이러한 온/오프 컨트롤은 플립플롭을 이용한 도메인 변환회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In general, such on / off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a domain conversion circuit using flip-flops.

도 1은 종래의 도메인 변환회로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conventional domain conversion circu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메인 변환회로(10)는 플립플롭(flipflop)(20)과 논리 게이트들(12,14,16,1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domain conversion circuit 10 includes a flip-flop 20 and logic gates 12, 14, 16, and 18.

상기 플립플롭(20)은 d-플립플롭이며, 외부 입력신호(dll_on)를 입력으로 하며 내부 클럭신호(pdll_pre)의 반전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된다. 상기 외부 입 력신호(dll_on)는 외부클럭신호에 의해 발생된 DLL 온/오프 신호이며, 상기 내부 클럭신호(pdll_pre)는 상기 DLL에 의해 만들어진 내부 클럭이다. The flip-flop 20 is a d-flip-flop and is controlled by an inverted signal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as a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is a DLL on / off signal generated by an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is an internal clock generated by the DLL.

여기서 상기 외부 입력신호(pdll_on)와 상기 내부클럭신호(pdll_pre)는 서로 다른 도메인에 속해 있어서, 즉 서로 비동기되어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20)에 입력되는 경우 입력시점의 두 신호가 어떤 위상을 가질지 예측할 수 없다.Here, the external input signal pdll_on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belong to different domains, i.e., are asynchronous with each other. Unpredictable

이에 정상적인 경우와 글리치(glitch)가 발생되는 경우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2 and 3 illustrate the operation timing diagrams of the normal case and the glitch gener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메인 변환회로(10)의 정상적인 동작의 경우에는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상기 플립플롭회로(20)의 출력신호(en)가 하이레벨로의 천이시점은 상기 내부클럭신호(pdll_pre)의 하이레벨에서 로우 레벨로의 천이시점에 동기된다. 그리고 상기 플립플롭회로(20)의 출력신호(en)가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DLL 컨트롤 신호인 상기 도메인 변환회로의 출력신호(pdll)가 생성된다.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가 하이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상기 DLL 컨트롤 신호가 생성된다. As shown in FIG. 2,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omain conversion circuit 10, when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transitions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the output signal en of the flip-flop circuit 20 is increased. The transition time from the high level to the high level is synchronized with the transition time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The output signal pdll of the domain conversion circuit, which is a DLL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output signal en of the flip-flop circuit 20 maintains a high level. The DLL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ame process even when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transitions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의 라이징(rising) 시점이 상기 내부클럭신호(pdll_pre)의 폴링(falling) 시점과 만날 경우(22)에 상기 플립플롭회로(20)가 불안정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립플롭회로(20)의 출력신호(en)는 예측할 수 없는 신호가 되며, 이 경우에 상기 DLL 컨트롤신호(pdll)에 표시부분(24)과 같이 글리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립플 롭을 이용하는 회로에서 입력신호들이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dead zone)에서 폴링시점 또는 라이징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출력신호의 상태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rising time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meets the falling time point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the flip-flop circuit 20 It will be in an unstable state. In this case, the output signal en of the flip-flop circuit 20 becomes an unpredictable signal. In this case, glitches may occur in the DLL control signal pdll as shown in the display portion 24. Therefore, in the circuit using the flip-flop,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fine the state of the out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s have a polling time or a rising time in the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ignment circuit for a flip-flop external input signal that can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신호의 상태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ignment circuit for an external input signal of a flip-flop that can accurately define a state of an output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비동기되는 입력신호들에 대한 출력신호의 글리치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ignment circuit for a flip-flop external input signal that can prevent or minimize glitches of output signals with respect to input signals that are asynchronous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립플롭회로의 출력의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플립플롭 외부입력신호의 얼라인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ignment circuit for an external input signal of a flip flop that can improve instability of an output of a flip flop circuit.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비동기되는 외부 입력신호 및 내부 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회로에서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 얼라인하기 위한 얼라인 회로는,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 구간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디텍팅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 구간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1디텍팅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 이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 구간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디텍팅신호를 발생시키는 디텍팅부와; 상기 디텍팅부에서 출력되는 디텍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를 얼라인하되, 상기 제1디텍팅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 상기 제2디텍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소정의 딜레이만큼 더 딜레이시켜 상기 플립플롭회로에 입력하기 위한 얼라인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ome of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 align for align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in a flip-flop circuit having an external input signal and an internal clock signal asynchronous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detects whether a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exists within a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and if the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falls within a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A detecting unit generating a detecting signal and generating a second detecting signal when a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oes not fall within a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ng unit, the external input signal is aligned, and when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input, the external input signal is more predetermined than when the second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an alignment unit for delaying the delay further and inputting the delay to the flip-flop circuit.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제1디텍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 상기 제2디텍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상기 내부 클럭신호의 1/2 클럭주기 만큼 더 딜레이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텍팅부는 두개의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이에 대응되는 위상 디텍팅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디텍터 회로를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할 수 있다.The alignment unit may delay the external input signal by 1/2 clock period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when the first detecting signal is input than when the second detecting signal is input. The detec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hase detector circuit that compares the phases of two signals and outputs a phase detect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플립플롭회로는 D-플립플롭회로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은 라이징 에지시점 또는 폴링에지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디텍팅 신호와 상기 제2디텍팅 신호는 서로 상보관계일 수 있다.The flip-flop circuit may be a D-flip-flop circuit, and the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a rising edge point or a falling edge point. The first detecting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ng signal may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플립플롭회로에 입력되는 신호들이 서로 비동기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stability that may occur when the signals input to the flip-flop circuit is asynchronous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any other intention than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회로가 추가된 도메인 변환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4 illustrates a domain conversion circuit to which an alignment circuit is a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메인 변환회로(100)는 도메인 변환부(120)와 얼라인회로(110)를 구비한다. 상기 도메인 변환부(120)는 플립플롭(flipflop)(123)과 논리 게이트들(122,124,12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메인 변환부(120)의 구성은 도 1이 종래 도메인 변환회로의 구성과 같다. 즉, 상기 플립플롭(20)은 d-플립플롭이며, 입력신호(dll_on_a)를 입력으로 하며 내부 클럭신호(pdll_pre)의 반전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된다. 상기 입력신호(dll_on_a)는 외부클럭신호에 의해 발생된 외부 입력신호(dll_on)를 얼라인 입력신호로써 DLL 온/오프 신호이며, 상기 내부 클럭신호(pdll_pre)는 상기 DLL에 의해 만들어진 내부 클럭이다. The domain conversion circuit 100 includes a domain conversion unit 120 and an alignment circuit 110. The domain converter 120 includes a flip-flop 123 and logic gates 122, 124, and 126.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converter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domain converter. That is, the flip-flop 20 is a d-flip-flop, which is input by the input signal dll_on_a and controlled by the inverted signal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The input signal dll_on_a is a DLL on / off signal us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generated by the external clock signal as an align input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is an internal clock generated by the DLL.

그리고 상기 얼라인 회로(110)는 상기 도메인 변환부(120)를 구성하는 플립플롭(123)의 불안정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를 얼라인하기 위한 회로이다. 상기 얼라인 회로(110)는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가 상기 내부 클럭신호(pdll_pre)와 천이시점이 겹치는 것을 막아 상기 플립플롭(123)의 불안정상태를 해소한다.The alignment circuit 110 is a circuit for align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to solve an instability of the flip-flop 123 constituting the domain converter 120. The alignment circuit 110 prevents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from overlapp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with a transition time point, thereby solving the instability of the flip-flop 123.

도 5 및 도 6은 상기 얼라인 회로(11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얼라인 회로(110)는 얼라인부(200)와 디텍팅부(300)를 구비한다. 도 5는 상기 얼라인부(2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상기 디텍팅부(300)를 나타낸 것이다.5 and 6 illustrate the alignment circuit 110. The alignment circuit 110 includes an alignment unit 200 and a detecting unit 300. 5 illustrates the alignment unit 200, and FIG. 6 illustrates the detecting unit 300.

상기 디텍팅부(300)는,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123)의 데드존 구간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디텍팅하여, 상기 외부 입력 신호(dll_on)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123)의 데드존 구간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1디텍팅신호(pd180)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123)의 데드존 구간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디텍팅신호(pd0)를 발생시킨다. The detecting unit 300 detects whether a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exists within a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123, and detects a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In case of falling within the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123, a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is generated, and a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is within the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123. If not,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is generated.

상기 얼라인부(200)는, 상기 디텍팅부(300)에서 출력되는 디텍팅 신호(pd0,pd180)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를 얼라인하되, 상기 제1디텍팅신호(pd180)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를 상기 제2디텍팅 신호(pd0)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소정의 딜레이만큼 더 딜레이시킨 얼라인 외부 입력신호(dll_on_a)를 발생시킨다. 상기 얼라인 외부 입력신호(dll_on_a)는 상기 플립플롭회로(123)에 입력된다.The alignment unit 200 aligns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s pd0 and pd180 output from the detecting unit 300, and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is aligned. When input, the alig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is generated by delay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by a predetermined delay than when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is input. The alig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is input to the flip-flop circuit 12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라인부(200)는 플립플롭들(112,114,116), 논리회로들(117,118,119)을 구비하여 도 5와 같은 결선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플립플롭(112,114,116)은 D-플립플롭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lignment unit 200 includes flip-flops 112, 114, and 116 and logic circuits 117, 118, and 119, and has a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5. The flip-flops 112, 114, and 116 may be D-flip flops.

상기 얼라인부(200)는 외부 입력신호(dll_on)을 얼라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텍팅부(300)에서 제1디텍팅 신호(pd180)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입력신호(dll_on)를 상기 제2디텍팅 신호(pd0)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상기 내부 클럭신호(pdll_pre)의 1/2 클럭주기 만큼 더 딜레이 시킨다. The alignment unit 200 is for align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When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is input from the detecting unit 300, the alignment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The delay is further delayed by 1/2 the clock period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than when the 2 detecting signal pd0 is inpu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럭신호(pclk)는 외부클럭신호에 동기된 클럭신호이고, 제2클럭신호(pclkb)는 상기 제1클럭신호(pclk)의 반전신호이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first clock signal pclk is a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clock signal pclkb is an inverted signal of the first clock signal pclk.

상기 얼라인부(20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lignment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텍팅부(300)는 위상디텍터회로(332,342), 논리회로들(312,314,315,316, 322,323,324,326,352,354,356)을 구비하여 도 6과 같은 결선 구조를 가진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detecting unit 300 includes phase detector circuits 332 and 342 and logic circuits 312, 314, 315, 316, 322, 323, 324, 326, 352, 354, and 356.

상기 디텍팅부(300)는 클럭 발생부(310), 데드존 설정부(320), 위상 디텍팅부(330,340), 및 디텍팅 신호 발생부(350)을 구비한다.The detecting unit 300 includes a clock generator 310, a dead zone setting unit 320, phase detecting units 330 and 340, and a detecting signal generator 350.

상기 클럭발생부(310)는 제1클럭신호(pclk)의 라이징 에지에서 상기 얼라인 외부입력신호(dll_on_a)의 라이징 에지까지의 딜레이와 동일한 딜레이를 가지는 제3클럭신호(pclk_rep)를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는 상기 제1클럭신호(pclk)를 딜레이하여 생성한다.The clock generator 310 generates a third clock signal pclk_rep having the same delay as the delay from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clock signal pclk to the rising edge of the alig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will be.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generated by delaying the first clock signal pclk.

상기 데드존 설정부(320)는 상기 플립플롭회로(123)의 데드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두개의 신호를 이용한다. 즉 상기 내부클럭신호(pdll_pre)를 가운데에 두고, 상기 내부 클럭신호(pdll_pre)보다 일정 딜레이 빠른 제1설정신호(pdll_w1)와 일정 딜레이 느린 제2설정신호(pdll_w2)를 이용하여 데드존(w)을 설정한다. The dead zone setter 320 uses two signals to set the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123. That is, the dead zone w is formed by using the first setting signal pdll_w1 having a predetermined delay faster than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and the second setting signal pdll_w2 having a predetermined delay slower than the internal clock signal pdll_pre. Set.

상기 데드존(w)은 적당한 영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데드존(w)을 너무 넓게하면 고주파수 제한(high frequency limit)이 발생될 수 있고, 너무 좁게하면, DLL 지터(jitter)로 인해 오작동이 위험이 있으므로 범위를 적정범위로 정한다.The dead zone w is set to an appropriate area. If the dead zone w is too wide, a high frequency limit may be generated. If the dead zone is too narrow, a malfunction may be caused by DLL jitter, so the range is set to an appropriate range.

상기 위상 디텍팅부(330,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상 디텍터 회로(332,342)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phase detectors 330 and 340 are configured by at least one phase detector circuit 332 and 342.

상기 위상 디텍팅부(330,340)는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과 상기 데드존(w) 설정을 위한 설정신호들(pdll_w1,pdll_w2)의 위상을 비교하여 이의 위상디텍 팅 신호(det1,det2)를 발생시킨다.The phase detecting unit 330 or 340 compares the phases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and the setting signals pdll_w1 and pdll_w2 for setting the dead zone w, and compares the phase detecting signals det1 and det2 thereof. Generate.

상기 디텍팅 신호 발생부(350)는 인버터(352,356), 및 낸드회로(354)를 구비하여 제1디텍팅 신호(pd180) 및 제2디텍팅 신호(pd0)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디텍팅 신호(pd180) 및 상기 2디텍팅 신호(pd0)는 서로 상보관계를 가진다.The detecting signal generator 350 includes inverters 352 and 356 and a NAND circuit 354 to generate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and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and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즉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상기 제1설정신호(pdll_w1)의 폴링에지시점보다 빠르거나 상기 제2설정신호(pdll_w2)의 폴링에지시점보다 느리면(즉 데드존 영역(w) 밖에 있으면) 상기 제2디텍팅신호(pd0)가 하이, 제1디텍팅 신호(pd180)가 로우 레벨로 발생된다.That is, when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faster than the falling edge of the first setting signal pdll_w1 or is slower than the falling edge of the second setting signal pdll_w2 (that is, the dead zone area w).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is high and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is generated at a low level.

그리고,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상기 제1설정신호(pdll_w1)의 폴링에지시점과 상기 제2설정신호(pdll_w2)의 폴링에지시점 사이에 있으면(즉 데드존 영역(w) 내에 있으면) 상기 제2디텍팅신호(pd0)가 로우, 제1디텍팅 신호(pd180)가 하이 레벨로 발생된다.When the rising edge point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between the falling edge point of the first setting signal pdll_w1 and the falling edge point of the second setting signal pdll_w2 (that is, the dead zone area w).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is low and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is generated at a high level.

이하에서는 상기 얼라인 회로(110)의 동작을 도 7 및 도 8의 타이밍도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상기 제1설정신호(pdll_w1)의 폴링에지시점보다 빠르거나 상기 제2설정신호(pdll_w2)의 폴링에지시점보다 느린 경우, 즉 데드존 영역(w) 밖에 있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lignment circuit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diagrams of FIGS. 7 and 8. 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faster than the falling edge of the first setting signal pdll_w1 or slower than the falling edge of the second setting signal pdll_w2, that is, a dead zone. The operation when outside the area w is show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클럭신호(ext.clk)가 일정주기로 입력된다. 그리고 이에 동기되는 제1클럭신호(pclk)가 일정 딜레이(td1)후에 발생된다. 그리고 커맨드(CMD)에 의해 외부 입력신호(dll_on)가 발생된다. 상기 제1클럭신 호(pclk)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가 클럭발생부(310)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는 상기 제1클럭신호(pclk)를 일정딜레이(td2)만큼 딜레이 시킨 클럭신호이다. 상기 딜레이의 정도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external clock signal ext.clk is input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first clock signal pclk synchronized with this is generated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d1.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is generated by the command CMD. As the first clock signal pclk is generated,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generated by the clock generator 310.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a clock signal obtained by delaying the first clock signal pclk by a predetermined delay td2. The degree of delay has been described above.

이후 상기 위상 디텍팅부(330,340)에서는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데드존 영역(w)내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상 디텍팅 신호(det1,det2)를 발생시킨다.Thereafter, the phase detecting units 330 and 340 determine whether a rising edge point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exists in the dead zone region w to generate phase detecting signals det1 and det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데드존 영역(w)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디텍팅신호(pd0)가 하이, 제1디텍팅 신호(pd180)가 로우 레벨로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얼라인 동작이 필요없이 상기 얼라인 외부 입력신호(dll_on_a)는 상기 제1클럭신호(pclk)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발생된다. 상기 얼라인 외부 입력신호(dll_on_a)는 상기 제1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시점에서 일정딜레이(td2)후에 발생된다.As illustrated in FIG. 7, since the rising edge point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does not exist in the dead zone region w,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is high and the first detecting signal ( pd180 is generated at a low level. Accordingly, the alignment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is gener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clock signal pclk without requiring an additional alignment operation. The alig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is generated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d2 at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clock signal.

도 8은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상기 제1설정신호(pdll_w1)의 폴링에지시점과 상기 제2설정신호(pdll_w2)의 폴링에지시점 사이에 있는 경우 즉 데드존 영역(w) 내에 있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G. 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ising edge point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between the falling edge point of the first setting signal pdll_w1 and the falling edge point of the second setting signal pdll_w2, that is, a dead zone region ( The operation in the case of w) is show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클럭신호(ext.clk)가 일정주기로 입력된다. 그리고 이에 동기되는 제1클럭신호(pclk)가 일정 딜레이(td1)후에 발생된다. 그리고 커맨드(CMD)에 의해 외부 입력신호(dll_on)가 발생된다. 상기 제1클럭신호(pclk)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가 클럭발생부(310)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는 상기 제1클럭신호(pclk)를 일정딜레이(td2)만큼 딜레이 시킨 클럭신호이다. 상기 딜레이의 정도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external clock signal ext.clk is input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first clock signal pclk synchronized with this is generated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d1. The external input signal dll_on is generated by the command CMD. As the first clock signal pclk is generated,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generated by the clock generator 310.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a clock signal obtained by delaying the first clock signal pclk by a predetermined delay td2. The degree of delay has been described above.

이후 상기 위상 디텍팅부(330,340)에서는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데드존 영역(w)내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상 디텍팅 신호(det1,det2)를 발생시킨다.Thereafter, the phase detecting units 330 and 340 determine whether a rising edge point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exists in the dead zone region w to generate phase detecting signals det1 and det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데드존 영역(w)내에 존재하므로, 상기 제2디텍팅신호(pd0)가 로우, 제1디텍팅 신호(pd180)가 하이 레벨로 발생된다. 이 경우에 상기 얼라인 외부 입력신호(dll_on_a)는 상기 제1클럭신호(pclk)의 폴링 에지에 동기되어 발생된다. 즉 상기 제3클럭신호(pclk_rep)의 라이징 에지시점이 데드존 영역(w)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1/2클럭주기 만큼 더 딜레이되어 발생된다. 상기 얼라인 외부 입력신호(dll_on_a)는 상기 제1클럭신호의 폴링 에지시점에서 일정딜레이(td2)후에 발생된다.As shown in FIG. 7, since the rising edge point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exists in the dead zone area w, the second detecting signal pd0 is low and the first detecting signal pd180 is used. ) Is generated at a high level. In this case, the alig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is gener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alling edge of the first clock signal pclk. That is,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is delayed by 1/2 clock period more than the case where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clock signal pclk_rep does not exist in the dead zone region w. The align external input signal dll_on_a is generated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d2 at the falling edge of the first clock signal.

따라서 플립플롭회로에 입력되는 신호들이 서로 비동기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stability that may occur when signals input to the flip-flop circuit are asynchronous with each other can be eliminated.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 백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사안이 다른 경우에 회로의 내부 구성을 변경하거나, 회로의 내부 구성 소자들을 다른 등가적 소자들로 대치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is merely given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clear that in other case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may be changed or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ircuit may be replaced with other equivalent elem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롭플롭회로에 제공되는 입력신호들이 서로 비동기되어 있는 경우에 얼라인 회로를 구비함에 의하여 출력신호의 상태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신호들에 대한 출력신호의 글리치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플립플롭회로의 출력의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signals provided to the flop-flop circuits are asynchronous with each other, an alignment circuit can be provided to accurately define the state of the output sig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glitch of the output signal to the input signals, and to improve the instability of the output of the flip-flop circuit.

Claims (6)

서로 비동기되는 외부 입력신호 및 내부 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회로에서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 얼라인하기 위한 얼라인 회로에 있어서:An align circuit for align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in a flip-flop circuit having an external input signal and an internal clock signal which are asynchronous with each other: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 구간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디텍팅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 구간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1디텍팅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이 상기 플립플롭회로의 데드존 구간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디텍팅신호를 발생시키는 디텍팅부와;Detecting whether the transition time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exists within the dead zone section of the flip-flop circuit, and if the transition time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falls within the dead zone section of the flip-flop circuit, the first detecting signal A detecting unit for generating a second detecting signal when the transition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oes not belong to a dead zone of the flip-flop circuit; 상기 디텍팅부에서 출력되는 디텍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를 얼라인하되, 상기 제1디텍팅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 상기 제2디텍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소정의 딜레이만큼 더 딜레이시켜 상기 플립플롭회로에 입력하기 위한 얼라인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 회로.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ng unit, the external input signal is aligned, and when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input, the external input signal is more predetermined than when the second detection signal is input. And an alignment unit for delaying the delay further and inputting the input to the flip-flop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ignment unit, 상기 제1디텍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입력신호를 상기 제2디텍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상기 내부 클럭신호의 1/2 클럭주기 만큼 더 딜레이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 회로.And delay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by 1/2 clock period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when the first detecting signal is input than when the second detecting signal is inpu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디텍팅부는 두개의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이에 대응되는 위상 디텍팅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디텍터 회로를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 회로.And the detec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phase detector circuit for comparing phases of two signals and outputting a phas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플립플롭회로는 D-플립플롭회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 회로.And the flip-flop circuit is a D-flip flop circu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외부 입력신호의 천이시점을 라이징 에지시점 또는 폴링에지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 회로.And a transition edge point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is a rising edge point or a falling edge poin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디텍팅 신호와 상기 제2디텍팅 신호는 서로 상보관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라인 회로.And the first detecting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ng signal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KR1020060100264A 2006-10-16 2006-10-16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KR20080034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64A KR20080034265A (en) 2006-10-16 2006-10-16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64A KR20080034265A (en) 2006-10-16 2006-10-16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265A true KR20080034265A (en) 2008-04-21

Family

ID=3957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264A KR20080034265A (en) 2006-10-16 2006-10-16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42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6501B2 (en) Delay locked loop
KR100696957B1 (en)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delay locked loop circuit and their methods
US7365583B2 (en) Delay locked loop for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11263B1 (en) DCC circuit and DLL circuit with DCC
US6445231B1 (en) Digital dual-loop DLL design using coarse and fine loops
KR100527402B1 (en) Delay locked loop of DDR SDRAM
KR100871704B1 (en) On-Die Termin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ODT synchronous buffer
KR20090071892A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7768327B2 (en) Delay locked loop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0213308A (en) Delay line unit for delay locked loop circuit and method of locking clock signal delay in delay locked loop circuit
US8482331B2 (en) Open loop type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161391B2 (en) Skew tolerant high-speed digital phase detector
KR20100081483A (en) Dll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34617B1 (en) Delay locked loop
US790289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reference clock for DLL circuit
KR100892678B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50104835A (en) Delay locked loop device
KR20080034265A (en) Align circuit for f/f external input signal
KR100792379B1 (en) Delay locked loop that is capable of multi frequency operation and method for dividing frequency of the same
KR100422583B1 (en) Phase Compa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Method
KR100732766B1 (en) Circuit for generating output enable signal
KR20170045057A (en) Clock control device
KR20000065632A (en) A circuit for generating internal clock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35367A (en) Delay locked loop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50076117A (en) Data synchroniz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