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919A -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919A
KR20080033919A KR1020080027474A KR20080027474A KR20080033919A KR 20080033919 A KR20080033919 A KR 20080033919A KR 1020080027474 A KR1020080027474 A KR 1020080027474A KR 20080027474 A KR20080027474 A KR 20080027474A KR 20080033919 A KR20080033919 A KR 2008003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ile
usage
license
conten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851B1 (ko
Inventor
윤영선
김봉선
남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으로,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이 사용 규칙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함으로서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a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시대로부터 디지털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많은 컨텐츠가 디지털로 제작되고 있다. 아날로그 컨텐트는 그 복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나, 디지털 컨텐트는 그 복사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아날로그 컨텐트는 그 복사 횟수에 비례하여 그 품질이 저하되나, 디지털 컨텐트는 그 복사 횟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품질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디지털 컨텐트 보호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여러 기업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에서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것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케이블랩스(CableLabs)라는 단체는 컨텐트의 복사를 제어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복사 제어 정보(CCI, Copy Control Information)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2 비트의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copy free, 00), 카피 원스(copy once, 01), 카피 노모어(copy no more, 10) 및 카피 네버(copy never, 11)가 있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고,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낸다. 카피 원스인 컨텐트가 복사되면, 이 컨텐트는 카피 노모어가 된다. 카피 네버는 컨텐트의 복사 금지를 나타낸다.
또한, 미국의 연방 통신 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미국 내에서 방송되는 HD(High Definition) 급 디지털 컨텐트에 대하여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를 금지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broadcast flag)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on, 1)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off, 0)가 있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됨을 나타낸다.
그런데, 디지털 컨텐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시된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은 그 표현 내용이 매우 간단하고 한정적이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만 으로는 컨텐트가 유통이 될 때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어렵고, 특히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장치는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사용 규칙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임포트 방 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를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함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사용 제한 정보, 예를 들면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을 기반으로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이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함으로서 종래의 복사 제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에 의한 제한적인 컨텐트 보호에서 벗어나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100), HDCP(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시스템(200) 및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시스템(300)과 같은 다양한 컨텐트 보호 시스템과 이것들에 의한 보호를 받는 다수의 디바이스들(21-23)로 구성된다.
DRM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의 권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HDCP 시스템(200)은 DVI(Digital Video Interface)와 같은 고 대역폭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DTCP 시스템(30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규격을 따르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서 전송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컨텐트 보호 시스템 이외에도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시스템,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컨텐트 보호 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DRM 시스템(100)은 종래의 복사 제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하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발급하고,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파일이란 컨텐트 및 이것에 대한 복사 제어 정보 또는 라이센스 등을 포함하는 파일을 말한다. 특히, 컨텐트 파일이란 용어는 단순히 컨텐트란 용어로 호칭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수신부(101), 검출부(102), 사용 범위 결정부(103), 사용 규칙 결정부(104),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 암호화부(106), 제 1 암호화부(1061), 제 2 암호화부(1062),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 전자 서명부(108), 라이센스 발급부(109),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 저장부(111), 스토리지(112) 및 송수신부(113)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1)는 인공 위성, 지상 기지국 등의 무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인터넷 등의 유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록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검출부(102)는 수신부(101)에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및 이 컨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UCI, Usage Constraint Information)를 검출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으며,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는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고, 종래의 HDCP 시스템(200) 또는 DTCP 시스템(3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다만,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가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되기 위해서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하여야 한다.
사용 제한 정보의 예로는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 카피 원스, 카피 노모어 및 카피 네버가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가 있다.
그런데, 카피 노모어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가 일회 복사됨에 따라 발생된 복사 제어 정보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수신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최초로 수신하는 컨텐트 보호 시스템으로서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수신하는 경우는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카피 네버는 컨텐트의 복사 금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네버인 컨텐트를 복사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네버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수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이 어느 하나의 컨텐트를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복사하고, 이것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에 의한 컨텐트 보호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DRM 시스템(100)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0)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또는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usage bind)를 결정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복사 제어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 바이스 범위(device bound)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domain bound)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그러나,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컨텐트의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로 결정될 경우,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은 이들간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복사가 허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왜냐하면,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사용은 당연히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디바이스들이 어떤 도메인을 구성하는 지에 관해서는 사용 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는 사용자 범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는 도메인 범위로 결정되는 것이 사용 제한 정보에 위반되는 경우에만 결정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컨텐트 사용 권리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usage rule)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CI/UR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UCI/UR 매핑 테이블은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 임포트 필드(42), 사용 범위 필드(43) 및 사용 규칙 필드(44)로 구성된다.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는 사용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포트 필드(42)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갖는 컨텐트가 임포트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사용 범위 필드(43)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범위가 기록된다. 사용 규칙 필드(44)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기록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규칙이 기록된다.
특히,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올(all)"은 컨텐트에 대한 모든 종류의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M"은 컨텐트의 이동(Move)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이동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가 이 디바이스로부터 삭제됨과 동시에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됨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S"는 컨텐트의 스트리밍(Streaming)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스트리밍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가 다른 디바이스로 잠시 출력되나, 원래 디바이스에서 컨텐트를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P"는 컨 텐트의 재생(Play)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재생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컨텐트를 재생함을 의미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44)에 "올"이 기록된다. 반면,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디바이스가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44)에 "M, S, P"가 기록된다.
컨텐트의 사용 예들로는 상기된 이동, 스트리밍, 재생 이외에도 복사 등이 있다. 컨텐트의 복사란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가 컨텐트를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컨텐트 복사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한다면 2 회의 복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수는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하도록 허용할 수는 없다. 이것이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 사용 규칙 필드(44)에 "M, S, P"만이 기록되는 이유이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44)에 "올"이 기록된다.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암호화부(106)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암호화한다. 즉,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인 경우나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경우에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컨텐트를 임포트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부(106)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하지 않는다. 암호화부(106)는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부(1061) 및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부(1062)로 구성된다.
제 1 암호화부(1061)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로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이면, 제 1 암호화부(1061)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디바이스 키"라 함)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이면, 제 1 암호화부(1061)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도메인 키"라 함)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컨텐트 키들의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제 1 암호화부(106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들을 복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선별하여 이 컨텐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이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또는 도메인만이 컨텐트 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제 1 암호화부(106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면 된다. 다만, 제 1 암호화부(1061)는 어떤 디바이스와 어떤 암호화 키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에 관한 정보는 도메인 관리자(미 도시) 등과 같은 서버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제 2 암호화부(1062)는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한다.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는 제 1 암호화부(1061)에 의한 암호화가 완료되어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발급할 준비가 완료되면, 라이센스가 발급될 시점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을 라이센스에 삽입함으로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이 라이센스 발급 시점에서 정당한 권한을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컨텐트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라이센스의 발급 시점이 조작된다면,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 의 보안 요구를 준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DRM 시스템(100)의 컨텐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라이센스 발급 시점은 반드시 임의로 조작이 불가능한 보안 시간(secure time)을 사용하여야 한다.
전자 서명부(108)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에 의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에 전자 서명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서명은 문서 또는 메시지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 또는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에 의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이 변조된다면,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DRM 시스템(100)의 컨텐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제 1 암호화부(106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전자 서명부(108)에 의해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과 라이센스 발급 시점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특히, 이 경우에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라이센스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발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라이센스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 범위의 컨텐트의 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 또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 설정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는 컨텐트 아이디(51), 암호화된 컨텐트 키(52),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53)으로 구성된다.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컨텐트 아이디(51)를 참조하여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바와 같이 식별된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암호화된 컨텐트 키(52)에 대한 복호화를 시도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컨텐트 키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암호화된 컨텐트 키(52)를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 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복호화에 의해 복원된 컨텐트 키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호화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는 암호화된 형태의 컨텐트이기 때문이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과 라이센스 발급 시점(53)이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 규칙과 라이센스의 발급 시점(53)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53)이 변조되지 않았고,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에 포함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이것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은 라이센스 발급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에 삽입된다. 즉,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라이센스 발급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 및 제 2 암호화부(1062) 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다만, 라이센스 발급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 및 제 2 암호화부(106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는 하나로 패키징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패키징될 수도 있다.
저장부(111)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스토리지(112)에 저장한다.
송수신부(113)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들(21-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트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이 디바이스로 스토리지(112)에 저장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한다. 송수신부(111)는 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 카드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하여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에도 적용된다.
60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60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1 단계에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 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및 이 컨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한다.
60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6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60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605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606 단계로 진행한다.
60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60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60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60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609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610 단계로 진행한다.
609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610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61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607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키로 6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한다.
61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9 단계 또는 610 단계에서의 암호화가 완료되어 라이센스를 발급할 준비가 완료되면, 라이센스가 발급될 시점을 측정한다.
61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5 단계 또는 606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 및 612 단계에서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에 전자 서명을 한다.
61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7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609 단계 또는 610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613 단계에서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과 라이센스 발급 시점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61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5 단계 또는 606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즉, 61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4 단계에서 발급된 라이센스 및 611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61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5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저장한다.
61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들(21-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트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618 단계로 진행한다.
61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6 단계에서 저장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CI/UR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5)

  1.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아이디에 해당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라이센스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는 상기 라이센스가 발급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3. 디바이스 범위의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아이디에 해당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장치에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센스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디바이스 범위의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아이디에 해당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라이센스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센스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도메인 범위의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아이디에 해당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도메인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 키로 상기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27474A 2006-01-03 2008-03-25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0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509606P 2006-01-03 2006-01-03
US60/755,096 2006-01-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38A Division KR100856404B1 (ko) 2006-01-03 2006-03-08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919A true KR20080033919A (ko) 2008-04-17
KR101105851B1 KR101105851B1 (ko) 2012-01-13

Family

ID=382514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38A KR100856404B1 (ko) 2006-01-03 2006-03-08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80027474A KR101105851B1 (ko) 2006-01-03 2008-03-25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38A KR100856404B1 (ko) 2006-01-03 2006-03-08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983989B2 (ko)
EP (1) EP1809035A3 (ko)
JP (1) JP5111861B2 (ko)
KR (2) KR100856404B1 (ko)
CN (2) CN1996325B (ko)
TW (1) TWI386059B (ko)
WO (1) WO2007078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7976A1 (en) * 2006-01-03 2010-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KR100924777B1 (ko) * 2006-01-03 2009-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6017B1 (ko) * 2009-04-30 201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56404B1 (ko) 2006-01-03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41535B1 (ko) * 2006-06-09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서 장치의 도메인 탈퇴 방법, 그 장치및 그 시스템
JP4895113B2 (ja) * 2007-02-21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51158B2 (ja) * 2007-07-23 2013-11-27 インタートラスト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テザード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2494489B1 (fr) * 2009-10-26 2018-02-28 Orange Procédé et agent client pour contrôler l'utilisation d'un contenu protégé
KR101672445B1 (ko) * 2010-03-19 2016-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US8726010B2 (en) * 2010-10-21 2014-05-13 Qumu Corporation Secure content distribution
US8832801B1 (en) 2012-05-11 2014-09-09 Ravi Ganesan JUBISM: judgement based information sharing with monitoring
CN102663323A (zh) * 2012-03-09 2012-09-12 无锡华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支持移动介质的加密方法
US8856864B2 (en) 2012-09-27 2014-10-07 Intel Corporation Detecting, enforcing and controlling access privileges based on sandbox usage
US9219791B2 (en) 2012-12-13 2015-12-22 Digiboo Llc Digital filling station for digital locker content
US8560455B1 (en) * 2012-12-13 2013-10-15 Digiboo L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rental domains within a single credit card domain
US9369754B2 (en) * 2014-06-13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ntent tracking
KR101960316B1 (ko) * 2014-06-25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제한 수신 모듈 및 제한 수신 모듈의 동작 방법
KR101952628B1 (ko) * 2017-06-02 2019-02-27 (주) 위너다임 샌드박스가 적용된 실행 가능한 보안 컨테이너를 이용한 콘텐츠 보안유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209B1 (ko) * 1998-09-24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컨텐트암호화/해독화장치및그방법
US7103574B1 (en) 1999-03-27 2006-09-05 Microsoft Corporation Enforcemen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6816596B1 (en) 2000-01-14 2004-11-09 Microsoft Corporation Encrypting a digital object based on a key ID selected therefor
JP3977549B2 (ja) 1999-04-30 2007-09-19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管理装置及び再生装置
US20020078178A1 (en) 2000-08-29 2002-06-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nt distribution control
KR100601635B1 (ko) * 2000-09-0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권리 관리의 구조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20073177A1 (en) 2000-10-25 2002-06-13 Clark George Philip Processing content for electronic distribution us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JP4409081B2 (ja) 2000-11-28 2010-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端末装置
US20050120232A1 (en) * 2000-11-28 2005-06-02 Yoshihiro Hori Data terminal managing ciphered content data and license acquired by software
US20020107806A1 (en) 2001-02-02 2002-08-08 Akio Higashi Conten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usage management method
KR100408287B1 (ko) 2001-06-15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0449084B1 (ko) 2001-07-16 2004-09-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분 영역별 이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여 디지털 컨텐츠를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29404A (ko) 2001-08-06 2004-04-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라이센스 관리 서버, 단말 장치,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이용 제한 제어 방법
JP2003085321A (ja) 2001-09-11 2003-03-20 Sony Corp コンテンツ利用権限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権限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77822B2 (ja) * 2001-11-30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変換装置
KR20030047559A (ko) * 2001-12-11 2003-06-18 소프트캠프(주) 재생 프로그램의 종류와 무관한 암호화 파일 생성 및 재생시스템
JP3744870B2 (ja) * 2002-03-22 2006-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SE0202451D0 (sv) * 2002-08-15 2002-08-15 Ericsson Telefon Ab L M Flexible Sim-Based DRM agent and architecture
KR20040028086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단말에서의 컨텐츠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3054B1 (ko) * 2002-11-19 2005-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제어 장치
US20060046011A1 (en) 2003-01-16 2006-03-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key generation for digital rights control, recording medium, player, recorder and system for copy right control
JP3791499B2 (ja) * 2003-01-23 2006-06-28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又は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0070886A (ko) 2003-02-05 2004-08-11 웹데이터뱅크 주식회사 시간을 제한하여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060075424A1 (en) 2003-02-10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port control of content
KR20040099943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71663A1 (en) 2003-09-26 2005-03-3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paration of copy protection rul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50102513A1 (en) * 2003-11-10 2005-05-12 Nokia Corporation Enforcing authorized domains with domain membership vouchers
ES2534831T3 (es) 2003-12-04 2015-04-29 Koninklijke Philips N.V. Protección de derechos vinculados a una conexión
KR101058002B1 (ko) * 2004-02-02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메인 관리 시스템하에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US8843413B2 (en) 2004-02-13 2014-09-23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content to a domain
KR101254209B1 (ko) * 2004-03-22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와 휴대용 저장장치간에 권리 객체를 이동,복사하는 방법 및 장치
EP1619898A1 (en) * 2004-07-19 2006-01-25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operating in a home network
KR100628655B1 (ko) 2004-10-20 2006-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이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도메인간의 콘텐츠 교환을 위한방법 및 시스템
KR100761270B1 (ko) * 2004-1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컨텐츠가 첨부된 디지털저작권관리 컨텐츠 처리 방법및 장치
US20060159424A1 (en) * 2005-01-19 2006-07-20 Chenming Hu Tamper-Proof Content-Playback System Offering Excellent Copyright Protection
KR100713844B1 (ko) * 2005-05-06 2007-05-02 주식회사 코어트러스트 디알엠 컨버터
US20100217976A1 (en) 2006-01-03 2010-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KR100924777B1 (ko) 2006-01-03 2009-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56404B1 (ko) 2006-01-03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EP2009566A1 (en) 2007-06-29 2008-12-3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digital content licenses
US20090180617A1 (en) * 2008-01-10 2009-07-1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Removable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83966A (ja) 2007-07-19
CN101430748B (zh) 2010-10-13
US8355989B2 (en) 2013-01-15
EP1809035A2 (en) 2007-07-18
WO2007078108A1 (en) 2007-07-12
KR100856404B1 (ko) 2008-09-04
JP5111861B2 (ja) 2013-01-09
TWI386059B (zh) 2013-02-11
CN101430748A (zh) 2009-05-13
CN1996325A (zh) 2007-07-11
KR20070073550A (ko) 2007-07-10
US20110067112A1 (en) 2011-03-17
CN1996325B (zh) 2012-05-16
TW200740240A (en) 2007-10-16
EP1809035A3 (en) 2011-08-10
KR101105851B1 (ko) 2012-01-13
US7983989B2 (en) 2011-07-19
US20070156599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851B1 (ko)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23261B1 (ko)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8044B1 (ko) 복수의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처리하는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101105852B1 (ko)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KR101185560B1 (ko) 컨텐트를 재-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EP24588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