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63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635A
KR20080033635A KR1020060099361A KR20060099361A KR20080033635A KR 20080033635 A KR20080033635 A KR 20080033635A KR 1020060099361 A KR1020060099361 A KR 1020060099361A KR 20060099361 A KR20060099361 A KR 20060099361A KR 20080033635 A KR20080033635 A KR 2008003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dielectric wall
substrate
phosph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영
홍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3635A/ko
Publication of KR2008003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15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cerium
    • C09K11/77216Aluminium Nitrides or Aluminium Oxy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43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erbium
    • C09K11/77496Aluminium Nitrides or Aluminium Oxy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기판;과,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서, 기판과 함께 방전 셀을 구획하는 유전체벽;과, 유전체벽내에 매립되고, 각 방전 셀별로 대향되게 분리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쌍;과, 각 단위 방전 셀 내에 도포되어서 서브 픽셀을 이루며, 적어도 4 가지 이상의 색상이 도포된 복수의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4 가지 이상 색상의 단위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이루고, 백색광을 발광하는 형광체층이 포함됨으로써, 휘도가 높아지게 되어서,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방전 전극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방전 셀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형광체층의 발광 여기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1...제 1 기판 102...제 2 기판
103...유전체벽 106...유지 방전 전극쌍
107...X 전극 108...Y 전극
109...보호막층 110...격벽
113...어드레스 전극 114...유전체층
115...형광체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방전을 하는 패널 구조에서 휘도를 향상시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방전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 사이에 방전 가스를 주입하여 방전시키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층의 형광 물질을 여기시켜서 소망하는 숫자, 문자, 또는 그래픽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를 말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 셀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의 형식, 예컨대, 방전 형식에 따라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분류하고, 전극들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대향 방전형 및 면 방전형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든 전극들이 방전 공간에 노출되는 구조로서,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에 전하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한 전극이 유전체층에 매립되고,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에 직접적인 전하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신에, 유전체층 표면에 방전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과 전자가 부착하여 벽 전압(wall voltage)을 형성하고, 벽전하의 전계에 의하여 방전이 수행된다.
대향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브 픽셀(sub pixel)마다 어드레스 전극과 스캔 전극이 대향하여 마련되고, 두 전극간에 어드레싱 방전 및 유지 방전이 일어나는 방식이다. 반면에,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서브픽셀마다 어드레스 전극과 그에 해당되는 유지 방전 전극쌍이 마련되어 어드레싱 방전과 유지 방전이 발생하게 되는 방식이다.
종래의 3전극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기판과, 이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며, X 전극과 Y 전극을 가지는 유지 방전 전극쌍과, 유지 방전 전극쌍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과, 제 1 유전체층의 표면에 코팅된 보호막층과,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며, 유지 방전 전극쌍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설치된 격벽과, 방전 셀내에 형성된 적,녹,청색의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결합된 내부 공간에는 방전 가스를 주입하여서 방전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Y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방전 셀을 선택한 다음에 X 전극과, Y 전극에 교대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 1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면 방전이 일어나서 자외선이 발생되고, 선택된 방전 셀의 형광체층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출되어서 정지 화상 또는 동 영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 지고 있다.
첫째, 방전 셀내에 10 부피% 이상의 고농도 Xe 가스를 적용하게 되면, 구동 전압이 높아지고, 방전 응답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또한, 고농도 Xe의 적용은 높은 구동 전압으로 인하여 방전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서, 패널 수명이 나빠지게 된다.
둘째, 제 1 기판의 내면에 유지 방전 전극쌍과, 제 1 유전체층과, 보호막층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고, 제 2 기판의 내면에 어드레스 전극과, 제 2 유전체층과, 격벽과, 형광체층을 형성하고, 그 이후에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정렬하여서 조립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셋째, 제 1 기판의 내면에는 유지 방전 전극쌍과, 이를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과, 보호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시광의 투과율이 60%에도 미치지 못하게 되어서 휘도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광체층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휘도를 높이고, 방전 효율을 향상시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기판;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기판과 함께 방전 셀을 구획하는 유전체벽;
상기 유전체벽내에 매립되고, 각 방전 셀별로 대향되게 분리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쌍; 및
각 단위 방전 셀 내에 도포되어서 서브 픽셀을 이루며, 적어도 4 가지 이상의 색상이 도포된 복수의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광체층은 적색, 녹색, 청색, 백색의 형광체층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백색의 형광체층은 (CaSr)Al2SiO7:Tb,Ce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백색의 형광체층은 400 내지 600 나노미터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소재이다.
더욱이, 상기 형광체층은 방전 셀과 대응되는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의 내면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도포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방전 전극쌍은 단위 방전 셀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유전체벽의 일방향을 따라 스트립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 전극쌍은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X 전극과, Y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사이에는 상기 Y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키는 어드레스 전극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 도시하여 결합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방전 전극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기판(201)과, 상기 제 1 기판(101)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10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1)의 대향되는 내면 가장자리에는 프릿트 글래스(frit glass)와 같은 실런트(sealant)가 도포되어서,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1)과의 열적 융착에 의하여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서 방전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 1 기판(101)은 광투과성이 우수한 소재, 예컨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로 제조될 수가 있다. 대안으로는 제 1 기판(101)은 반사 휘도를 감소시켜서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색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제조하거나, 유연성을 가진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할 수도 있는등 어느 하나의 기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기판(102)의 경우에는 가시광이 투과되지 않을 경우에는 비교적 고가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조할 필요없지만, 투과형 패널 구조일 경우에는 제 1 기판(101)과 마찬가지로 광투과성이 우수한 소재나, 착색층을 형성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제조하거나,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는 이들과 함께 방전 셀을 구획하는 유전체벽(103)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유전체벽(103)은 글래스 페이스트(glass paste)에 각종 필러(filler)를 첨가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전체벽(103)은 방전시 방전 전극이 직접 통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이온 또는 전자가 방전 전극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여서 방전 전극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전하를 유도하여서 벽전하를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전체벽(103)은 패널(100)의 패널(100)의 X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유전체벽(104)과, 상기 패널(100)의 Y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유전체벽(105)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유전체벽(105)은 제 1 유전체벽(104)의 내측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의 다른 제 1 유전체벽(104)의 내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서 격자형으로 된 다수의 방전 셀을 구획하고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유전체벽(103)으로는 미앤더형(meander type)이나, 델타형(delta type)이나, 육각형이나, 벌집형(honeycomb)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존재가능하다. 또한, 유전체벽(103)에 의하여 구획된 방전 셀은 횡단면이 사각형 이외에도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등 방전 셀을 구획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전체벽(103)의 내부에는 X 전극(107)과, 상기 X 전극(107)과 함께 유지 방전을 수행하는 Y 전극(108)을 구비한 한 쌍의 유지 방전 전극쌍(106)이 매립되어 있다. 상기 X 전극(107)과, Y 전극(108)은 방전 셀(S)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 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X 전극(107)과, Y 전극(108)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유전체벽(103)의 내표면에는 상기 유지 방전 전극쌍(106)의 절연 파괴를 방지하고, 2차 전자의 방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그네슘 옥사이드(MgO)와 같은 소재로 된 보호막층(1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막층(109)은 각 방전 셀별로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판(102)과, 유전체벽(103) 사이에는 격벽(110)이 더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격벽(110)은 상기 유전체벽(103)과는 달리 저유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 격벽(110)은 상기 유전체벽(103)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10)은 상기 제 1 유전체벽(104)과 나란한 방향(패널의 X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격벽(111)과, 상기 제 2 유전체벽(105)과 나란한 방향(패널의 Y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격벽(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격벽(112)은 제 1 격벽(111)의 내측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이 다른 제 1 격벽(11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서, 격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유전체벽(103)만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는 단일 벽이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경우이고, 유전체벽(103)과, 격벽(110)이 다같이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는 유전성이 다른 소재로 된 이중 벽이 방전 셀을 구획하는 구조가 된다.
상기 제 2 기판(102)과, 격벽(110)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13)은 상기 Y 전극(108)과 교차하는 방향(패널의 Y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Y 전극(107)과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13)은 유전체층(114)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격벽(110)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 2 기판(102)과, 유전체벽(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전체벽(103) 내에서 Y 전극(108)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 2 유전체벽(105)내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도 있는등, 배치되는 위치나, 구조는 반드시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과, 유전체벽(103)과, 격벽(110)으로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제논(Xe)을 포함한 네온(Ne), 헬륨(He) 또는 아르곤(Ar)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가스로 이루어진 방전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또한, 방전 셀(S) 내에는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서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체층(115)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115)은 방전 셀(S)의 어느 영역에도 코팅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10)의 내측면과, 유전체층(114)의 윗면에 소정 두께로 코팅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113)은 방전 셀의 어느 영역에도 코팅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110)의 내측면과, 제 2 기판(102)의 상부면에 소정 두께로 코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체층(113)은 적어도 4가지 색상이 단위 방전 셀(S)내에 도 포되며, 4개의 단위 방전 셀(S)로 이루어진 서브 픽셀(sub pixel)은 하나의 픽셀(pixel)을 형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단위 방전 셀(S)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앞선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X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유전체벽(104)과, 제 1 유전체벽(104)의 내측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제 1 유전체벽(104)의 내측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Y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유전체벽(105)을 구비한 유전체벽(10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유전체벽(104)과, 제 2 유전체벽(105)에 의하여 구획된 방전 셀은 격자형의 유전체벽(103)의 형상으로 인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유전체벽(103) 내에는 X 전극(107)과, Y 전극(108)이 매립되어 있다. 상기 X 전극(107)은 패널(100)의 X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방전 셀(S)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Y 전극(108)은 방전 셀을 중심으로 상기 X 전극(107)이 배치된 반대 영역에서 상기 X 전극(107)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X 전극(107)과, Y 전극(108)은 다같이 스트라이프형을 이루고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전 셀(S)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변에 위치한 상태에서 대향 방전을 수행하거나, 대향 방전과 면 방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의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어드레스 전극(113)은 상기 Y 전극(10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패널(100)의 Y 방향으로 인접한 방전 셀을 가로질러 연장되거나, 상기 제 2 유전체벽(105) 내에 매립될 수도 있는등 상기 Y 전극(108)과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 방전 셀(S)내에 도포된 형광체층(115)의 형광 물질이 여기되어서 가시광이 생성시 화상을 구현하는 하나의 픽셀(P)은 4 가지 색상의 형광체층(115R, 115G, 115B, 115W)이 4 개의 단위 방전 셀(S)내에 각각 도포된 4 개의 서브 픽셀(sub pixel)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하나의 픽셀(P)은 적색의 형광체층(115R)이 도포된 적색 서브 픽셀(401SP)과, 녹색의 형광체층(115G)이 도포된 녹색 서브 픽셀(402SP)과, 청색의 형광체층(115B)이 도포된 청색 서브 픽셀(403SP)과, 백색의 형광체층(115W)이 도포된 백색 서브 픽셀(404SP)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널(100)의 X 방향을 따라 제 1 행의 방전 셀에는 적색 서브 픽셀(401SP)과, 녹색 서브 픽셀(402SP)이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제 2 행의 방전 셀에는 청색 서브 픽셀(403SP)과, 백색 서브 픽셀(404SP)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며, 제 3 행, 제 4 행, ..., 제 n-1 방전 셀에는 상기 배열순으로 패널(100) 전체에 걸쳐서 적,녹,청,백색 서브 픽셀(401SP 내지 404SP)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행의 적색 서브 픽셀(401SP)과, 제 1 행의 녹색 서브 픽셀(402SP)과, 이와 상하로 인접한(패널의 Y 방향) 제 2 행의 청색 서브 픽 셀(403SP)과, 제 2 행의 백색 서브 픽셀(404SP)은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P)을 이루게 된다.
대안으로는, 4 개의 적,녹,청,백색의 서브 픽셀(401SP 내지 404SP)이 인접하게 배열되어서 하나의 픽셀(P)을 이루는 구조라면, 델타형이나, 미앤더형등 다양한 형상의 서브 픽셀군이나, 4 가지 색상 이상의 형광체층으로 형성된 서브 픽셀을 설계하여서 하나의 픽셀로 형성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형광체층(115)은 자외선을 받아서 가시광을 발생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즉, 적색 형광체층(115R)은 (Y,Gd)BO3;Eu+3 과 같은 적색광을 생성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지고, 녹색 형광체층(115G)은 Zn2SiO4:Mn2+ 과 같은 녹색광을 생성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지고, 청색 형광체층(115B)은 BaMgAl10O17:Eu2+나, CaMgSi2O8:Eu2+나, BaMgAl10O17:Eu2+와 CaMgSi2O8:Eu2+ 를 혼합한 것과 같은 청색광을 생성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백색 형광체층(115W)은 (CaSr)Al2SiO7:Tb,Ce와 같은 백색광을 생성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백색 형광체층(115W)이 도포된 서브 픽셀에서 발생되는 발광 여기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논(Xe)을 포함한 네온(Ne), 헬륨(He) 또는 아르곤(Ar)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가스로 이루어진 방전 가스에 의하여 형성된 147 나노미터, 173 나노미터의 진공 자외선에 의하여 (CaSr)Al2SiO7:Tb,Ce와 같은 백색 형광체층을 여기시킨 결과, 400 나노미터와, 550 나노미터 부근의 가시광의 강도가 가장 크며, 400 나노미터 내지 600 나노미터 부근에서의 가시광이 발광됨을 알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패널의 휘도가 높아지고, 방전 효율도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0)은 제 1 기판(601)과, 이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60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기판(601)과, 제 2 기판(602) 사이에는 유전체벽(603)이 배치되어 이들과 함께 방전 셀(S)을 구획하고 있다. 상기 유전체벽(603) 내에는 방전 셀(S)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X 전극(607)과, Y 전극(608)을 구비한 한 쌍의 유지 방전 전극쌍(606)이 매립되어 있다.
상기 배면 기판(602)과 유전체벽(603) 사이에는 Y 전극(60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613)이 배치되며, 상기 어드레스 전극(613)은 유전체층(614)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방전 셀(S)과 대응되는 제 1 기판(601)의 내면에는 형광체층(615)이 도포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픽셀은 4 색상의 형광체층(615)이 각 단위 방전 셀(S)별로 도포된 4 개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전시에, 백색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CaSr)Al2SiO7:Tb,Ce와 같은 백색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어드레스 전극(113)과, Y 전극(108) 사이에 어드레스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될 방전 셀이 선택된다. 선택된 방전 셀의 측면에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113)과, Y 전극(108)의 전위차에 의하여 벽전하(wall charge)가 축적된다.
다음으로, 선택된 방전 셀의 X 전극(107)과, Y 전극(108) 사이에 유지 전압이 인가되면, 이들의 전위차에 의하여 방전 셀의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그 후에 X 전극(107)과, Y 전극(108)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가 교번되면서, 유지 방전이 계속된다. 이때, 상기 X 전극(107)과 Y 전극(108)은 방전 셀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향 방전이 수행되어서, 방전 공간의 활용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전이 형성된 다음에는 X 전극(107)과, Y 전극(108) 사이의 전압 차이가 방전 개시 전압보다 낮아지면, 방전은 더 이상 발생되지 않고, 공간 전하 및 벽전하가 방전 셀에 형성된다.
이어서, X 전극(107)과, Y 전극(108)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을 서로 바꾸어 주면, 벽전하의 도움을 받아서 방전 개시 전압에 도달하게 되어서 방전이 다시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X 전극(107)과, Y 전극(108)의 극성을 바로 바꾸어 주면, 처음의 방전 과정이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방전이 안정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지 방전시에 여기된 방전 기체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방출된 자외선은 각 방전 셀내에 도포된 형광체층(115)의 형광 물질을 여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가시광을 얻게 된다. 생성된 가시광은 방전 셀로 방출되어서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픽셀(P)은 4개의 적,녹,청,백색의 서브 픽셀(401SP 내지 404SP)로 이루어지고, (CaSr)Al2SiO7:Tb,Ce와 같은 백색 형광체층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400 나노미터 내지 600 나노미터에서의 가시광을 발광하여서 휘도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4 가지 이상 색상의 단위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이루고, 백색광을 발광하는 형광체층이 포함됨으로써, 휘도가 높아지게 되어서,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유지 방전 전극쌍이 대향 방전을 이루고 있으므로, 방전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서, 방전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기판;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기판과 함께 방전 셀을 구획하는 유전체벽;
    상기 유전체벽내에 매립되고, 각 방전 셀별로 대향되게 분리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쌍; 및
    각 단위 방전 셀 내에 도포되어서 서브 픽셀을 이루며, 적어도 4 가지 이상의 색상이 도포된 복수의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적색, 녹색, 청색, 백색의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의 형광체층은 (CaSr)Al2SiO7:Tb,Ce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의 형광체층은 400 내지 600 나노미터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방전 셀과 대응되는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의 내면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쌍은 단위 방전 셀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유전체벽의 일방향을 따라 스트립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쌍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벽은 기판의 일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유전체벽과, 인접한 제 1 유전체벽의 내측으로부터 대향되는 다른 제 1 유전체벽으로 연장되어서 복수의 방전 셀을 구획하는 제 2 유전체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유전체벽 사이에는 격벽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쌍은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X 전극과, Y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사이에는 상기 Y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키는 어드레스 전극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은 유전체벽과 제 2 기판 사이에서 유전체층에 의하여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벽의 표면에는 보호막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99361A 2006-10-12 2006-10-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361A KR20080033635A (ko) 2006-10-12 2006-10-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361A KR20080033635A (ko) 2006-10-12 2006-10-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635A true KR20080033635A (ko) 2008-04-17

Family

ID=3957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361A KR20080033635A (ko) 2006-10-12 2006-10-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3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8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41B1 (ko) 방전 전극의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363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57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5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897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00073503A (ko) 백색 방전셀의 형광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380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66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138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200501041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6986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713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