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116A -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116A
KR20080033116A KR1020070102540A KR20070102540A KR20080033116A KR 20080033116 A KR20080033116 A KR 20080033116A KR 1020070102540 A KR1020070102540 A KR 1020070102540A KR 20070102540 A KR20070102540 A KR 20070102540A KR 20080033116 A KR20080033116 A KR 2008003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ge
detecting
gearwheel
driv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커 차프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3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승강실이 매달려 있는 벨트 (2) 및 벨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를 구비한 승강기 (1) 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트의 제 1 면 (2.1) 은 감지기의 기어휠 (3A) 이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결합하는 치형부 (10) 를 갖는다.

Description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LIFT CAGE}
본 발명은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로에서 승강실을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승강실은 가요성 지지 및/또는 구동 수단에 매달려 있게 된다. 최근에는, 종래의 강 케이블과는 별도로 벨트가 지지 및/또는 구동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이 벨트는 승강실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견인력을 전달하고/전달하거나 승강실과 균형추를 연결시킨다.
승강실을 제어하기 위해서 승강실의 위치의 정보, 즉 승강로에서 승강실의 위치가 필요하다. 승강실의 속도 또는 가속도는 위치의 시간 미분으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고, 예컨대 제어시(예컨대 출발 또는 제동 과정 또는 최대속도/최대 가속도의 모니터링시)뿐만 아니라 구동 수단에 의해 승강실에 가해지는 힘과 결과적인 가속도의 비율로 실제 승강실의 총 중량을 결정하는데도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승강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EP 1 278 693 B1 은 승강실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로에 뻗어있는 별도의 톱니형 벨트와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상호협력하는 개별 회전 전달기(transmitter) 를 제안한다. 이 제안은 불리하게도 추가적인 톱니형 벨트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WO 2004/106208 A1 은 지지 벨트 자체를 코딩(coding)해서 승강로에 배치된 감지기에 의해 그 벨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에 따르면, 코딩은 벨트에 배치된 와이어의 변화(특히, 확대), 벨트의 추가 케이블, 또는 벨트에 삽입된 자성 재료에 의해 바람직하게 실현되고 적절한 감지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감지된다. WO 2004/106209 A1 은 소음 문제때문에 벨트에 홈을 만들 것은 명백히 권고하고 있지 않다.
WO 2004/106209 A1 에 제안된 바와 같이, 코딩의 감지시에, 벨트는 승강실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시스템 관성, 승강실 탑승자의 움직임 또는 스틱/슬립 효과에 의해 야기되는 종방향, 횡방향 및/또는 비틀림 진동때문에 감지기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벨트의 이러한 추가적인 이동은 승강실의 위치 변화로서 감지기에 의해 잘못 감지되면 위치 결정을 잘못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는 속도 또는 가속도가 위치로부터 결정될 때 커지게 된다.
WO 2004/106209 로부터 공지된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제시된 감지기, 특히 광학 또는 자기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서, 예컨대 화재 등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예컨대 승강기를 수동으로 구동시켜 감지기의 도움으로 소정 위치(예컨대 다음 층 또는 지상층에 있는 비 상 하차 위치)까지 승강실을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더이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결국, 한편으론 자기 또는 광학 코딩이 감소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코딩의 감지를 위해 필요한 고감도 감지기가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WO 2004/106209 A1 에 제시된 시스템은 승강로 내의 환경 조건 특히, 벨트의 마모 또는 오염에 대해 최적이 아니다.
따라서 WO 2004/106209 A1 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의 진동에 의해 손상되지 않거나 약간만 손상되는 승강실의 위치 감지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의 도입부에 따른 시스템은 청구항 1 의 특징적 구성으로 개선되었다. 청구항 11 에는 역시 권리 보호 대상인 대응 방법이 나와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승강실이 매달려 있는 벨트, 벨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벨트의 제 1 면은 감지기의 기어휠이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결합하는 치형부를 갖는다.
벨트의 길이 방향의 길이 방향 진동, 벨트의 가로 방향 축으로의 가로 방향 진동 및 벨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한 비틀림 진동은 벨트의 감지된 위치를 손상시키지 않거나, 아주 약간만 손상시키게 되는데, 왜냐하면 한편으론 벨트의 치형부와 기어휠의 기계적으로 확고한 결합에 의해 상기 진동들이 감쇠되거나 방지되고, 다른 한편으론 상기 비틀림 또는 가로방향 진동으로 발생하는 치형부의 롤링 방향 외의 다른 방향으로의 벨트의 상대 운동이 기어휠의 각 위치의 어떠한 변화도 유발하지 않거나 또는 아주 약간의 변화만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어휠에 의한 벨트 위치의 기계적 형상 결합식 측정은 전기 에너지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은 예컨대 화재 발생의 결과로 에너지 공급이 끊기는 경우에도 벨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비상 하차 위치까지 승강실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벨트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기어휠은 공지된 광학 또는 자기 감지기보다, 승강로 내의 환경 조건, 특히 오물, 습기 등에 대해 실질적으로 보다 큰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 예컨대 승강실을 상승시키는 전기 모터의 근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해 방해를 받지도 않는다. 또한, 예컨대 승강로의 경고 램프를 켤 때 빛의 상태가 변화하여도 광학 시스템과는 달리 기어휠에 의한 위치 감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치형부" 는 벨트의 가로 방향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치부) 및 함몰부 (치간) 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뜻하며, 특히 직선, 경사지거나, 이중 또는 다중 치형부를 말한다. 개별 돌출부 및 이와 상보적이며 치형부 또는 기어휠에 있는 치형부는 예컨대 원호형, 사이클로이드형 또는 인볼루트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치형부, 특히 인볼루트 또는 둥근 치부를 갖는 치형부 또는 나선형 치형부는 작동시 발생하는 벨트의 진동 및 소음을 유리하게 감소시켜준다. 이들은 특히 정확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 또는 스프링력을 받는 텐셔너(tensioner) 등의 인장 요소는 기어휠에 대해서 벨트를 한쪽으로 치우치게 해서 기계적으로 확고한 결합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을 저해시키는 벨트의 진동은 더 감쇠되거나 완전히 억제될 수 있다.
벨트는 단일 또는 다중으로 꼬인 와이어 및/또는 합성 재료로 된 실의 여러 스트랜드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이들은 인장 캐리어의 기능을 하며 예컨대 탄성 합성재로 된 벨트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 치형부는 이 합성재 인케이싱의 1 차 형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합성재 인케이싱은, 형상 안정성 및/또는 내마모성을 가지며 단단한 것이 바 람직한 상이한 재료, 특히 상이한 합성재로 되어 있고 치형부를 갖는 1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어휠은 회전 전달기, 특히 증분 회전 전달기 또는 각 코더와 연결되며, 이들 전달기 또는 코더는 절대 또는 상대 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대 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회전 전달기는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으로/경제적이거나 튼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승강실의 절대 위치는 완전 회전수를 더함으로써 이러한 회전 전달기로 간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로 위치로부터의 절대 각 위치 및 기어휠의 (부분)회전수를 직접 나타내는 회전 전달기를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회전 전달기의 축에 권취된 스트립은 벨트의 절대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어휠은 회전 전달기의 완전 일회전이 기어휠의 여러 번의 회전에 상응하도록 속도 스텝업 변속기에 의해 회전 전달기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회전 전달기는 그레이 코딩(Gray coding)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전달기는 절대 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각각이 1 이상의 병렬 코드 트랙을 가지며 또한 속도 스텝다운 변속기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2 이상의 코드 디스크를 포함하는 멀티-턴 회전 전달기를 포함한다.
절대 각 위치의 출력은 위치, 특히 기어휠이 미리 행한 완전 회전이 저장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예컨대, 전원이 나간 후에, 초기에 기준 위치로 다시 이동하지 않고도 절대 각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벨트의 위치가 직 접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혼합 형태도 가능한데, 회전 전달기는 각 층에서부터 출발한 벨트의 위치를 나타내고, 즉 승강실이 한 층 이동한 후에, 다시 동일한 위치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그 후에 벨트 또는 승강실의 절대위치는 이동한 층의 합에 의해 처리 논리 시스템에서 재결정될 수 있다. 그래서, 손상을 입은 경우에, 승강실을 비상 하차 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가까운 층의 문에 대한 승강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위치 신호로부터 승강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회전 전달기로부터 절대 또는 상대 각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위치는 기어휠 또는 회전 전달기에 의해 실행되는 2π 모듈의 회전으로 나타나고, 반면 절대 각 위치는 기준 위치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전체 회전을 나타내며, 이 전체 회전은 따라서 2π 의 배수가 될 수 있다.
시스템은 실행을 위해, 보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처리 유닛은 벨트의 기준 위치를 저장하게 된다. 이 기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처리 유닛은 회전 전달기의 절대각 위치에 예컨대 기어휠의 기준원 반경을 곱하여 회전 전달기의 절대 각위치로부터 승강실의 이론적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처리 유닛이 상대 각 위치만을 받게 된다면, 실행된 완전 회전을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상대 각 위치에 더한 다음, 얻어진 합에 기어휠의 기준원 반경을 곱하게 된다.
벨트는, 벨트의 위치 변화가 승강실의 위치 변화에 직접적으로 상응하지 않 도록 예컨대 스탭-업 또는 스텝-다운 병진운동을 갖는 도르래 장치의 형태의 승상실과 유기적으로 연결, 즉 체결되거나 방향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벨트가 자유 롤러에 의해 승강실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면, 처리 유닛은 승강로내 승강실의 위치를 계산하기 전에 벨트의 위치 변화 또는 위치 신호를 반으로 나누게 된다.
벨트와 승강실의 위치 사이의 이 체계적인 차이와 별개로, 예컨대 벨트가 정적 또는 동적 하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신된다면 다른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개량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위치 신호의 정정을 위한 정정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승강실의 실제 중량, 이런 경우 발생하는 벨트의 연신 등을 고려한 정정값이 표값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예컨대, 실제 승강실의 중량을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이 중량이 최대로 가능한 전체 중량에 대응하는 것이 확인되고 벨트가 공칭 중량에 비해 10% 연신됨이 계산 또는 시험으로 알려져 있으면, 정정 유닛은 각위치에 근거하여 처리 유닛에 의하여 결정된 이론적 승강실 위치를 10% 정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승강실에 의해 작동개시되는 접촉 스위치 등의 다른 측정 장치에 위해 결정된 승강실 위치가 위치 결정의 정정시에 고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처리 유닛에 의해 벨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계산된 이론적 승강실 위치와 측정 장치 등에 의해 감지된 실제 승강실의 위치 사이의 편차는 예컨대 벨트의 연신으로 생길 수 있고 정정 유닛에 의해 감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처리 유닛에 의해 결정된 승강실의 위치는 이 저장된 편차에 의해 정정될 수 있고, 유리하게는 이 편차값은 새로운 승강실 위치가 다른 측정 장치에 의해 감지되자마자 각 경우에 업데이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벨트는 제 1 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면을 가지며, 이 제 2 면에 의해 벨트는 마찰 결합에 의한 구동축 또는 구동 휠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는 제 1 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면에서 벨트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쐐기형 리브 또는 평면을 가지며, 이를 통해서 벨트는 구동휠 또는 구동축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동력이 더 낮은 벨트 인장력에 의해 유리하게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낮은 벨트 인장력의 경우에, 더 강한 벨트 진동이 발생되어서 종래의 감지기를 사용한 위치 결정을 불리하게 저해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 1 벨트면에 잇는 치형부와 제 2 벨트면에 있는 쐐기형 리브의 조합으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벨트 진동에 의해 저해를 덜 받으면서 벨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쐐기형 리브는 구동 또는 방향전환 휠에서 벨트를 측방향에서 안내한다. 이에 따라 벨트의 옆을 향한 이동이 방지되어 감지기에 의한 위치 감지가 문제점 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형부는 하나 이상의 구동 및/또는 방향전환 휠과 결합하거나 접촉하게 되는 제 2 면의 반대편에 있는 평벨트의 제 1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기의 기어휠에 대한 변위 (치형부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발생함) 에 더욱 민감하지 않는 비교적 넓은 치형부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 다. 또한, 구동 및/또는 방향전환 휠은 치형부에 벨트를 단단하게 조여서 치부 결합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대안으로, 치형부는 평벨트의 좁은 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면은 하나 이상의 구동 및/또는 방향전환 휠과 결합하는 면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벨트는 더 높은 면적 관성 모멘트로 인해 횡방향 굽힘 강성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치형부는 형상 안정성이 더욱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위치 결정을 저해하는 벨트의 변형이 적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평벨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벨트는 치형부를 갖는 제 1 면에서 하나 이상의 구동 및/또는 방향전환 휠과 접촉하거나 결합할 수도 있다. 방향전환 휠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1 면의 반대쪽의 제 2 면은 평평하거나 또는 구동 또는 방향전환 휠에서의 안내를 위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쐐기형 리브 또는 치형부를 비슷하게 가질 수 있다. 벨트는 치형부를 갖는 제 1 면에서만 또는 바람직하게 쐐기형 리브를 갖는 제 1 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면에서만 또는 제 1, 2 면 모두에서 하나 이상의 구동 및/방향전환 휠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는 제 1 면의 반대쪽에 있는 동일한 제 2 면에서 방향전환 및/또는 구동 휠 장치 주위를 항상 감아돌며, 치형부를 갖는 제 1 면은 이 방향전환 및/또는 구동 휠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리하여 치형부가 보존되어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특히 이를 위해서, 벨트는 방향전환 및/또는 구동 휠 장치의 두 휠 사이에 서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비틀릴 수 있다. 예컨대, 벨트가 동일한 평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두 개의 연속된 휠을 감아돈다면, 벨트는 벨트가 동일한 (제 2) 면에서 두 개의 휠 주위를 감아돌도록 이 두 개의 휠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180 °로 비틀릴 수 있다. 반면 두 연속된 휠의 축선이 평행하지 않지만 예컨대 서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다면, 벨트는 적절한 각으로 비틀릴 수 있고, 이 경우에는 90°이다.
특히, 벨트에 인장력을 도입하지 않고 그 벨트를 안내만 하는 방향전환 휠은 벨트의 치형부를 구비한 제 1 면과 결합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한편으론 치형부가 이에 따라 거의 하중을 받지 않지만, 예컨대 다른 한편으론, 특히, 이중 나선형 치형부의 경우에, 벨트는 횡방향으로도 충분하게 안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지기는 승강실이 이동하는 승강로에 비활성 고정되어 배치된다. 이는 감지기에 의해 발생된 위치 신호가 비활성 고정된 승강기 제어기까지 간단하게 전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실패하는 경우에도, 벨트와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상호협력하여 벨트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기어휠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감지기는 바람직하게도 전기 에너지 없이 결정가능하게 하고 또한 비상 하차 위치까지 승강실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예컨대, 위치를 시각적으로도 나타내는 감지기를 보면서 전원 공급이 끊긴 경우에도, 승객들을 대피시키기 위해서 구동 엔진의 구동 휠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지기는 바람직하게 벨트의 절대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대피의 경우에, 이 감지 기를 봄으로써 수동으로 상승되거나 하상된 승강실이 소정의 비상 하차 위치(예컨대, 지상층)에 도달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기어휠은 균형추의 영역에서의 벨트의 연신이 위치 결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 휠과 승강실이 서스펜션 사이에서 비활성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지기는 승강실에 배치된다. 따라서, 승강실에서 위치를 직접 알 수 있다. 한편, 벨트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에 의해 승강실에서 안내되며, 벨트의 이 안내 롤러에 의해 기어휠에 유리하게 편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형태의 예 및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히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벨트의 진동에 의해 손상되지 않거나 약간만 손상되는 승강실의 위치 감지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승강로 (7) 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실 (1) 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를 도시한다. 승강실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서, 벨트 (2) 는 그의 일단부에서 승강로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고, 거기서부터 기작하여 승강실 (1) 의 지붕에 배치된 두 개의 방향전환 휠 (5) 과 전기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휠 (4), 및 균형추 (6) 에 있는 방향전환 휠을 지난다.
벨트는 평벨트로 구성되고, 이 평벨트에는 인장 캐리어로서 여러 개의 와이어 케이블이 폴리우레탄으로 된 벨트 본체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는 제 2 평면 (2.2)(도 1 에 까맣게 표시됨) 으로 구동 휠 (4) 및 방향전환 휠 (5) 주위를 감는다. 이 제 2 평면은, 벨트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구동 휠 (4) 과 방향전환 휠 (5) 의 상보적인 홈과 결합하는 여러 개의 쐐기형 리브를 갖는다. 이에 따라 벨트 인장력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동시에 구동 휠 (4) 의 충분한 구동 용량이 확보될 수 있다.
벨트가 구동 휠 (4) 과 인접한 휠 (5) 주위를 반대방향으로 감아돌기 때문에(도 1 에서 벨트 (2) 는 균형추 (6) 로부터 나와, 구동 휠 (4) 주위에서 수학적으로는 음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인접한 방향전환 휠 (5) 주위에서는 수학적으로 양의 방향으로 굴곡된다), 벨트 (2) 는 각각의 경우에 쐐기형 리브를 구비한 평면 (2.2) 이 휠 (4, 5) 의 안내면과 결합하게 되도록 이 두 휠 (4, 5) 사이에서 그 종방향축을 중심으로 180°비틀리게 된다.
감지기 (도시되지 않음) 의 기어휠 (3A) 이 결합하는 치형부가 벨트의 제 1 평면 (2.1)(도 1 에서 밝게 도시됨) 에 형성되고, 이 제 1 평면은 제 2 평면 (2.2) 의 반대쪽에 있다. 기어휠 (3A) 은 벨트 (2) 가 구동 휠 (4) 과 기어휠 (3A) 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동 휠 (4) 의 근처에서 승강로 (7) 에 비활성 고정(inertially fixed)되어 배치되어 있다. 기어휠과 구동 휠이 서로 충분히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면, 특히 실질적으로 벨트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만큼만 서로 떨어져 있다면, 구동 휠은 구동 휠에 벨트를 유리하게 눌러서 치형부의 점핑-오 버(jumping-over)를 방지하게 되고, 이는 위치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켜준다.
기어휠 (3A) 은 기어휠의 상대 각 위치, 즉 2π 모듈의 회전을 결정하는 회전 전달기 (도시되지 않음) 와 연결되고, 대응 신호를 처리 유닛에 전달한다. 이 처리 유닛은 회전 부호에 따라 (즉, 반대 방향 회전인 경우에는 빼기) 이미 일어난 완전 회전을 더하고 결과적으로 얻어진 전체 각 (상대각 위치+ 완전 회전) 에 기어휠 (3A) 의 기준원 반경을 곱함으로써 벨트 (2) 의 절대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처리 유닛은 이어서 벨트 (2) 의 도드래형 배열을 고려하기 위해서 이 값을 반으로 나누고 이로부터 승강로 (7) 내의 승강실 (1) 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승강실 (1) 이 승강로 문 근처에 배치된 접촉 스위치 (도시되지 않음) 를 작동시킬 때마다, 정정 유닛이 승강실 (1) 의 실제 위치를 감지하고 벨트 위치로부터 확인된 이론값과 비교한다. 벨트 위치로부터 확인된 값이 이렇게 결정된 승강실 (1) 의 실제 위치와 편차가 생긴다면(예컨대, 기어휠 (3A) 의 치형부의 점핑-오버 또는 벨트 연신으로 인해서), 정정 유닛은 이 편차를 저장한 후에 기어휠 위치로부터 결정된 이론적 승강실 위치에 더하게 된다.
벨트 위치가 기계적 도출에 의해 고분해능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시간에 대해 1 차 또는 2 차 미분함으로써 벨트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특히 일정한 벨트의 신장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로 발생하는 속도 및 가속도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소정의 속도 프로파일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 휠 (4) 에 의해 벨트 (2) 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최종 가속도의 비율로부터 승강실의 전체 질량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춘 승강기 설비를 도 1 에 대응되게 도시한다. 이 경우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코딩이 부여되어서, 앞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기어휠 (3B) 은 승강실 (1) 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전환 휠 (5) 의 근처에서 벨트 (2) 의 제 1 평면 (2.1) 의 치형부와 결합하여서, 벨트는 방향전환 휠 (5) 과 기어휠 (3B) 사이에서 추가적으로 안내된다.
기어휠 (3B) 이 몇 번의 완전 화전을 하게 되는 최대 가능한 최상부 위치와 최하부 위치 사이에서의 승강실 (1) 의 이동이 엔코딩 디스크의 완전 회전에 상응하도록 기어휠 (3B) 은 스텝-다운 변속기를 통해 회전 전달기 (도시되지 않음) 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엔코딩 디스크의 절대 각 위치는 벨트 (2) 의 절대 위치를 직접 나타내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벨트의 절대 위치로부터 승강실 (1) 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 은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외에도 승강실용 지지 및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상기 설명된 벨트 (2) 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벨트는 실질적으로 평벨트의 형태를 갖는다. 제 1 평면 (2.1) 에서, 이 벨트는 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향하는 치부를 갖는 치형부 (10) 를 가지며,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의 기어휠이 치형부와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결합한다. 벨트는 제 2 평면 (2.2) 에서,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구동 휠 (4) 과 방향전환 휠 (5) 의 상보적인 홈과 결합하게 되는 여러 개의 쐐기형 리브 (8) 를 갖 는다. 벨트 (2) 의 벨트 본체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케이블 또는 합성 섬유 케이블로 되어 있는 인장 캐리어는 도면 부호 "5" 로 표시되어 있다. 벨트 본체의 강도가 벨트에서 생기는 인장력을 전달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인장 캐리어가 필요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서,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승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서,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승강기 설비를 도 1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3 은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벨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Claims (11)

  1. 승강실이 매달려 있는 벨트 (2) 및 벨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를 구비한 승강기 (1) 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트의 제 1 면 (2.1) 은 감지기의 기어휠 (3A, 3B) 이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결합하는 치형부 (1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은 절대 또는 상대 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내보내는 회전 전달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위치 신호로부터 승강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위치 신호를 정정하기 위한 정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2) 는 제 1 면 (2.1) 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면 (2.2) 을 가지며, 이 제 2 면 (2.2) 을 통해서 벨트 (2) 는 마찰 결합에 의해 구동축 또는 구동휠 (4) 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벨트 (2) 는 제 1 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면 (2.2) 에서 하나 이상의 쐐기형 리브 (8) 또는 평면을 가지며, 이를 통해서 벨트 (2) 는 구동휠 (4) 또는 구동축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는 동일한 면으로 방향전환 및/또는 구동 휠 (4, 5) 의 배열체를 감아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벨트는 방향전환 및/또는 구동 휠의 배열체의 두 휠 사이에서, 종방향축을 중심으로 특히 180°로 비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기는 승강실이 이동하는 승강로 (7) 에 비활성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기는 승강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승강실 (1) 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어휠 (3A, 3B) 의 각 위치를 감지하고 이 각 위치로부터 승강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70102540A 2006-10-12 2007-10-11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33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2159 2006-10-12
EP06122159.4 2006-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116A true KR20080033116A (ko) 2008-04-16

Family

ID=3815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540A KR20080033116A (ko) 2006-10-12 2007-10-11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7857106B2 (ko)
JP (1) JP2008094625A (ko)
KR (1) KR20080033116A (ko)
CN (1) CN101161580B (ko)
AR (1) AR063253A1 (ko)
AT (1) ATE537098T1 (ko)
AU (1) AU2007221944A1 (ko)
BR (1) BRPI0703642A (ko)
CA (1) CA2606417A1 (ko)
CL (1) CL2007002912A1 (ko)
ES (1) ES2379289T3 (ko)
HK (1) HK1119424A1 (ko)
IL (1) IL186493A0 (ko)
MX (1) MX2007012254A (ko)
NO (1) NO20075197L (ko)
NZ (1) NZ562228A (ko)
RU (1) RU2007137701A (ko)
SG (1) SG142231A1 (ko)
TW (1) TW200831384A (ko)
ZA (1) ZA2007086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0230A1 (en) * 2004-08-12 2006-03-28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with a cage and equipment for detecting a cage position as well as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lift installation
SG120250A1 (en) * 2004-08-12 2006-03-2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car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a car posi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WO2006099770A1 (de) * 2005-03-22 2006-09-28 Inventio Ag Verfahren zur erfassung des zustands der aufzugskabine und aufzugsanlage, in der das verfahren angewandt ist.
EP2157334B1 (de) * 2008-07-14 2013-10-09 Komax Holding AG Vorrichtung zum linearen Bewegen eines Schlittens
EP2322463A1 (de) * 2009-11-12 2011-05-18 Inventio AG Aufzuganlage
WO2011072725A1 (en) * 2009-12-15 2011-06-23 Kone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a car position of an elevator
CN101850925A (zh) * 2010-06-21 2010-10-06 马海英 一种电梯曳引机布置方法
ES2636263T3 (es) * 2011-03-31 2017-10-05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de sensor basado en óptica
WO2013091695A1 (en) * 2011-12-21 2013-06-27 Kone Corporation Elevator
ES2576355T3 (es) * 2012-06-29 2016-07-07 Inventio Ag Instalación de ascensor
US9463952B2 (en) * 2012-08-30 2016-10-11 Steve Romne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vator positioning
CN102976188B (zh) * 2012-11-26 2016-01-27 宁波申菱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曳引比为4:1的电梯对重系统
ES2765424T3 (es) 2014-02-06 2020-06-09 Otis Elevator Co Gestión de la operación de frenos en ascensores
EP3085653B1 (en) * 2015-04-24 2019-04-10 KONE Corporation Elevator
IT201900004071A1 (it) * 2019-03-20 2020-09-20 Stem Srl Sistema di misurazione del posizionamento di un oggetto rispetto ad un riferimento fisso
WO2021013635A1 (en) * 2019-07-24 2021-01-28 Inventio Ag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current precis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in an elevator hoistway
DE102022210450A1 (de) 2022-09-30 2024-04-04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Selbstführender Zahnriem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4801A1 (de) 1995-04-21 1996-10-24 Wittur Aufzugteile Gmbh & Co Verfahren zum Steuern und Überwachen des Betriebes einer Aufzugsanlage und Wälzlager zur Anwendung bei dem Verfahren
DE50100768D1 (de) 2000-04-27 2003-11-13 Inventio A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achtinformation eines aufzugs
US6776263B2 (en) * 2000-05-19 2004-08-17 Esw-Extel Systems Wedel Gesellschaft Fuer Austruestung Mbh Elevator system for the vertical transport of loads in an aircraft
JP2002120977A (ja) * 2000-10-13 2002-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装置
CN100448767C (zh) 2003-05-13 2009-01-07 奥蒂斯电梯公司 利用实时业务分配进行具有保证时间性能的电梯调度
US7540357B2 (en) * 2003-05-15 2009-06-02 Otis Elevator Company Position reference system for elevators
WO2004106209A1 (en) * 2003-05-15 2004-12-09 Otis Elevator Company Absolute position reference system
EP1530040B1 (de) 2003-11-04 2012-09-12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Kontrolle von Tragmitteln
ZA200409347B (en) * 2003-12-01 2005-07-27 Inventio Ag Lift system
DE102004047158A1 (de) 2004-09-29 2006-03-30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ufzugssystem mit riemenartigem Übertragungsmittel als Tragmittel und/oder Treibmittel
WO2006099770A1 (de) * 2005-03-22 2006-09-28 Inventio Ag Verfahren zur erfassung des zustands der aufzugskabine und aufzugsanlage, in der das verfahren angewandt 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62228A (en) 2009-04-30
CA2606417A1 (en) 2008-04-12
CL2007002912A1 (es) 2008-03-24
ZA200708645B (en) 2008-10-29
CN101161580A (zh) 2008-04-16
US7857106B2 (en) 2010-12-28
TW200831384A (en) 2008-08-01
ATE537098T1 (de) 2011-12-15
SG142231A1 (en) 2008-05-28
AU2007221944A1 (en) 2008-05-01
IL186493A0 (en) 2008-02-09
US20080087502A1 (en) 2008-04-17
BRPI0703642A (pt) 2008-06-03
CN101161580B (zh) 2010-09-29
NO20075197L (no) 2008-04-14
JP2008094625A (ja) 2008-04-24
RU2007137701A (ru) 2009-04-20
ES2379289T3 (es) 2012-04-24
AR063253A1 (es) 2009-01-14
MX2007012254A (es) 2009-02-17
HK1119424A1 (en)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116A (ko) 승강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50362B2 (ja) エレベータ
EP2957534B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in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vator rope
AU2002358252B2 (en) Lift belt system
EP2834627B1 (en) Calibration of wear detection system
CN106429699B (zh) 电梯
US10829989B2 (en) Motor-operable and vertically movable gate
US8166886B2 (en) Wear monitoring system, cable operated transport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wear-prone parts therein
CN102405182B (zh) 电梯设备中的承载机构的运行状态监控装置
EP2812482B1 (en) Wear detection for coated belt or rope
CN210505153U (zh) 电梯及电梯中的标记检测部
CN108946418B (zh) 人输送机
JP2008156127A (ja) エレベータ
WO2021005264A1 (en) Measurement arrangement and method of monitoring rotation speed of a component of an elevator, escalator, moving walkway or moving ramp
WO2020217352A1 (ja) エレベーターの滑り検出システム
WO2021229698A1 (ja) 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JP2005030186A (ja) 昇降リフトの検出装置。
EP1911713B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Erfassung der Position einer Aufzugskabine
KR100628559B1 (ko) 운행거리 및 운행여건의 측정이 가능한 승강기
CN112125088A (zh) 基于双子电梯的测速装置以及双子电梯和双子电梯的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