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779A -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779A
KR20080032779A KR1020060098702A KR20060098702A KR20080032779A KR 20080032779 A KR20080032779 A KR 20080032779A KR 1020060098702 A KR1020060098702 A KR 1020060098702A KR 20060098702 A KR20060098702 A KR 20060098702A KR 20080032779 A KR20080032779 A KR 2008003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ject
unit
pointing devic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64289B1 (en
Inventor
전정범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289B1/en
Publication of KR2008003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A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realize easy and various input modes, and reduce the volume of the optical pointing device. A light penetrating part(11) penetrates light output from a light source(21). The light source outputs the light to an object(23) touched with the light penetrating part. An image sensor(15)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A switch(19) performs a function when the object presses the light penetrating part. A controller makes information inputted when the switch is pressed, and realizes information input by recognizing movement of the object on the light penetrating part, and a distance change between the object and the light penetrating par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sensor. A lens(13) forms a focu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penetrating part.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light penetrating part and the object by analyzing a histogram of the object.

Description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Optical poin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에서 소프트 스위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피사체가 투광부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ject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erform a soft switch input in the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위치에 따른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3A to 3E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put according to a soft switch using an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에서 하드 스위치 입력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피사체가 스위치를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4A to 4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ubject presses a switch to perform a hard switch input method in the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포인팅 장치에서 하드 스위치 및 소프트 스위치가 동시에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hard switch and a soft switch are executed simultaneously in an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30)를 도시한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30 having an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10 광 포인팅 장치 11 투광부10 Light pointing device 11 Floodlight

13 렌즈 15 이미지 센서13 Lens 15 Image Sensor

17 기판 19 스위치17 board 19 switch

21 광원부 23 피사체21 Light source 23 Subject

25 하우징 27 반사광 25 housing 27 reflected light

본 발명은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 등은 숫자 및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눌러서 전화번호 또는 문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In gener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employ a user interface using a keypad. That is, a conventional portable telephone or the like has a key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nputting numbers and letters, etc., and adopts a method in which a user inputs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or a letter by pressing the switch.

최근 WIBRO(Wireless Broadband) 서비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에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윈도우 운용체계가 채용되었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위한 운영체계로는 Windows CE 등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 휴대 단말기는 위성 방송의 송신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구비하게 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편리한 운용을 위해서도 GUI를 지원하는 윈도우 운영체계가 채용되기도 하 였다. Recently, as wireless Internet services such as WIBRO (Wireless Broadband) services have been commercialized, a Windows operating system suppor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has been adopted for personal portable terminals. An operating system for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is Windows CE.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satellite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supporting the GUI is also adopted for convenient operation of such additional services.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입력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As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licated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input increases, the development of an input device capable of easily inputting information is urgently required.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 등에는 터치 패드(touch pad) 또는 트랙 볼(track ball) 등을 채용하였으나, 이러한 입력장치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입력 방식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터치 패드 또는 트랙 볼의 경우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패드 상에서 움직이거나 볼을 움직여서 커서 등과 같은 포인터 등을 원하는 메뉴가 있는 부분에 위치시킨 후 터치패드 또는 트랙볼과는 별도로 구비된 입력 스위치를 눌러서 입력한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터치패드 또는 트랙볼 등은 입력이 불편하고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다. In response to such demands, a touch pad or a track ball is employ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computer, but such an input device has been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relatively small portable terminal.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wa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or track ball, move the ball on the pad by using a finger or the like to place the pointer such as a cursor on the desired menu part, and then press an input switch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uch pad or track ball to input. do. Therefore, the touch pad or the trackball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input is inconvenient and monotonous.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하고 다양한 입력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poin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input and implement various input methods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point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volum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와, 투광부에 접촉한 피사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가 투광부를 가압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행되는 스위치와, 스위치가 가압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되게 하고,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투광부 상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및 투광부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인식하여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pointing device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 light source unit irradiating light toward a subject in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 image sensor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the subject, and a subject Presses the light projecting unit to cause the switch to perform its function, and when the switch is pressed, inputs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subject on the light projecting unit and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ight projecting unit and the subject using a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포인팅 장치는 투광부의 표면에 초점이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피사체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투광부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와 투광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 후 복원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되거나, 피사체와 투광부의 이격 상태가 해제된 후 복원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Embodiments of the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optical pointing device may include a lens having a focus formed on a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subject by analyzing a histogram of the subjec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y be input 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subject and the light emitter is released and restored, or the information may be input when the subject is separated from the light emitter.

광원부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투광부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함으로써 피사체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이 더욱 선명하게 촬영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광 포인팅 장치는 투광부, 광원부 및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투광부는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위치는 하우징의 하부에서 하우징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may radiate light from the side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ject can be captured more clearly. And the light poi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housing for receiv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e light source portion and the image sensor,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witch may be pressed by the housing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또한, 스위치는 가압되는 횟수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투광부에는 적외선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광원부는 적외선을 투광부에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it is presse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filter, the light source unit can irradiate the light emitting portion with the infrared ligh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기는 광 포인팅 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결합하고 광 포인팅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투광부는 본체부의 일면에서 노출된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point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the optical pointing device is mounted, and information input by the optical pointing device in combination with the main body porti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투광부 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에는 포인터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스위치가 1회 가압됨으로써 선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가 2회 가압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서 더블 클릭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피사체가 투광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초점에서 벗어나는 경우 메뉴 오픈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여 상기 투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광원부 및 이미지 센서를 작동하게 할 수 있다. The pointer may mov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o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the selection function may be executed by pressing the switch once. In addition, when the switch is pressed twice, the double-click function may be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and the menu opening function may be executed when the subject is out of focus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ight-e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mage sensor when the display unit is moved to expose the light emitting unit to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provid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11), 투광부(11)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광원부(21), 투광부(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렌즈(13), 렌즈(13)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 서(15), 투광부(11), 렌즈(13), 이미지 센서(15) 등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25), 그리고 하우징(25)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위치(19)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포인팅 장치(10)는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수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포인팅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rough which light may pass, a light source part 21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The lens 13 positioned below the light portion 11, the image sensor 15 positioned below the lens 13,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the lens 13, the image sensor 15,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therein. It includes a housing 25 for receiving in, and a switch 19 located below the housing (25). Although not shown, the pointing device 10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mage sensor 15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10.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는 "하드 스위치", "소프트 스위치"및 "접촉 입력"의 3가지 입력 방식을 갖는다. 하드 스위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23)가 투광부(11)를 물리적으로 누르면 하우징(25)이 이동하면서 그 하부에 있는 스위치(19)을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입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소프트 스위치는 피사체(23)가 투광부(11)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영상처리를 통해 이를 입력 행위로 인식하여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피사체(23)는 투광부(11)의 표면을 따라서 2차원적으로 움직이는데 접촉 입력은 피사체의 2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는 이와 같은 입력 방식들을 응용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생성할 수도 있다.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ree input methods of "hard switch", "soft switch" and "contact input". The hard switch refers to a physical input made by pressing a switch 19 under the housing 25 while the subject 23, such as a user's finger, physically presses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n addition, the soft switch means that when the subject 23 moves on the light-emitting unit 11, the input i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ing as an input action. In addition, the object 23 moves two-dimensionally along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and the contact input refers to an input corresponding to two-dimensional movement of the subject.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various input methods by applying such input methods.

도 1에서는 피사체(23)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도시하였지만 피사체(23)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움직임을 이미지 센서(15)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볼펜 등과 같은 필기 도구는 물론 터치 패드의 포인터 등이 피사체(23)로서 사용 가능하다.Although FIG. 1 illustrates the user's finger as the subject 23, the subject 23 is not limited thereto. Any object may be used as long as the image sensor 15 can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For example, a writing tool such as a ballpoint pen or the like as well as a pointer of a touch pad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ubject 23.

투광부(11)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 져서 피사체(23)로부터 반사된 빛이 렌즈(13)를 통해 이미지 센서(15)로 입사되게 한다. 하드 스위치 방식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피사체(23)는 투광부(11)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소프트 스위치 방식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피사체(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1) 상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접촉 입력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피사체(23)는 투광부(11)의 표면과 접하면서 2차원적으로 이동한다.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s made of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which can transmit light, so that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23 is incident to the image sensor 15 through the lens 13. When information is input by the hard switch method, the subject 23 presses the light projector 11 downward.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by the soft switch method, the subject 23 moves up and down on the light projector 11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is input by the contact input method, the subject 23 moves in two dimensions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광원부(21)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투광부(11)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광원부(21)는 투광부(11)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투광부(11)에 접촉한 피사체(23)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27)을 생성한다. 광원부(21으로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ED) 및 텅스텐 광원, 광섬유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광 섬유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 한 쌍의 광섬유 또는 갈라진 섬유가 반사 레이저 빔을 광검출기에 향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part 21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on part 11 at a fixed angle. The light source unit 21 emits light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to generate the reflected light 27 reflected by the subject 23 in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For example, a laser dio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 tungsten light source, and an optical fiber light source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unit 21. If an optical fiber light source is used, a pair of optical fibers or split fibers may emit a reflective laser beam. It can be used to face.

그리고 투광부(11)에 적외선 필터(infrared filter)(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면, 광원부(21)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 및 적외선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광원부(21) 이외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자연광, 실내의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로부터 입사되는 잡광을 필터링하고 광원부(21)에 의해 조사되어 피사체(23)에 의해 반사된 빛만 입사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15)는 피사체(23)의 이동에 더욱 민감하게 된다. If an infrared filte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unit 21. In the case of using an infrared filter and an infrared light source, natur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f the light source unit 21 and the light incident from a lighting device such as a fluorescent lamp in the room are filtered and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21 and reflected by the subject 23. Since only the received light is incident, the image sensor 15 is more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23.

렌즈(13)는 투광부(11)의 상면 즉, 피사체(23)와 접촉하는 면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한다. 렌즈(13)로는 종래의 볼록 렌즈, 구형 또는 실린더형 미러, GRIN 렌 즈, 또는 몰드 비구면 렌즈가 이용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어안 렌즈 등과 같은 광각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하나의 렌즈(13)가 구비되어 있지만, 다양한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군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ens 13 allows focus t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at i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ject 23. As the lens 13, a conventional convex lens, a spherical or cylindrical mirror, a GRIN lens, or a mold aspherical lens may be used, and a wide-angle lens such as a fisheye lens capable of capturing a wide range of images may be used. In addition, although one lens 13 is provided in FIG. 1, a lens group consisting of various lenses may be used.

렌즈(13)의 초점은 투광부(11)의 표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투광부(11)에 접촉하는 피사체(23)의 영상이 이미지 센서(15)에 선명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피사체(23)가 사용자의 손가락인 경우, 투광부(11)에 접한 손가락의 지문 형태가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선명하게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지면 아웃 포커싱 되어 피사체(23)의 영상이 희미하게 된다. Since the focal point of the lens 13 is aligned with the surface of the light projecting portion 11, an image of the subject 23 in contact with the light projecting portion 11 is clearly formed in the image sensor 15. Therefore, when the subject 23 is the user's finger, the fingerprint shape of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may be clearly recognized by the image sensor 15. When the subject 23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mage of the subject 23 is blurred.

이미지 센서(15)는 렌즈(13)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피사체(23)에 의한 반사광(27)을 수광한 후 일정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미지 센서(15)는 표면에 복수 개의 픽셀(pixel)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소자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5)는 기판(17) 상에 실장되어 외부의 제어부와 연결된다. 기판(17)은 하드 인쇄회로기판(Hard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The image sensor 15 is positioned below the lens 13 and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27 by the subject 23, and then generate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image sensor 15 may be a general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on its surface. The image sensor 15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7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troller. The substrate 17 may be a hard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미지 센서(15)는 소프트 스위치 및 접촉 입력 방식에 의한 입력의 경우 피사체(23)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한다. 즉, 소프트 스위치 방식에 의해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15)는 투광부(11)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아 웃 포커싱(out focusing)되는 피사체(23)에 의한 반사광(27)을 수광한다(도 2 참조). 그리고 접촉 입력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15)는 투광부(11)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2차원적으로 이동하는 피사체(23)에 의한 반사광(27)을 수광한다.The image sensor 15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23 in the case of input by a soft switch and a contact input method. That is, when information is input by the soft switch method, the image sensor 15 may reflect the reflected light 27 by the subject 23 spaced ou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t receives light (refer FIG. 2). In the cas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the contact input method, the image sensor 15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27 by the subject 23 moving in two dimension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하우징(25)은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져서 그 내부에 투광부(11), 렌즈(13), 광원부(21), 이미지 센서(15) 및 기판(17) 등을 수용한다. 그리고 하우징(25)의 상부에는 투광부(11)가 고정되며, 투광부(11)는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5)의 하부에는 스위치(19)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피사체(23)가 투광부(11)를 가압하는 경우 하우징(25)이 아래로 이동하여 스위치(19)를 가압한 후 스위치(19)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housing 25 has a constant internal space and accommodates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e lens 13, the light source part 21, the image sensor 15, the substrate 17, and the like t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5, and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witch 19 is located under the housing 25. Therefore, when the subject 23 presses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e housing 25 moves downward to press the switch 19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witch 19.

스위치(19)는 돔(dome) 형상의 금속편을 갖는데, 상기 금속편이 하우징(25)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일정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스위치(19)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하우징(25)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한다. 하우징(25)에 의해 가압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으면 어떤 형태의 스위치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witch 19 has a dome-shaped metal piece, and the metal piece is pressed by the housing 25 so that constant information is input. The switch 19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allow the input of information when pressed by the housing 25. Of course, any type of switch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being pressed by the housing 25.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수광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영상처리 하여 소프트 스위치 및 접촉 입력 방식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제어부에 구비되어 있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ing Signal Processing, ISP)는 소프트 스위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영상처리를 통해 히스토그램(histogram)을 분석하고 이의 변화를 파악하여 일정한 정보가 입력되게 한다. 그 리고 접촉 입력 방식에 의한 경우,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영된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일부가 후속 프레임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한 후 이를 이용하여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구해서 피사체(23)의 이동 방향을 트랙킹(tracking) 한다.The controller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of the subject received by the image sensor 15 to input information by a soft switch and a touch input method. That is,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ISP)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histogram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grasps the change thereof so as to input certain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by the soft switch method. .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ouch input method, the image signal processor uses the frames continuously photographed by the image sensor 15 to determine where the part of the captured image is located in the subsequent frame, and then uses the same. A motion vector is obtained to track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ject 23.

그리고 제어부는 하드 스위치 방식에 의해 스위치(19)가 눌려지는 경우 이에 따른 일정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 포인팅 장치(10)가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시에만 광원부(21) 및 이미지 센서(15)가 작동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switch 19 is pressed by the hard switch method, the control unit may input certain information accordingly. In addition, as described below, when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21 and the image sensor 15 to be operated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do.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15)와 구별되는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미지 센서(15)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블록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block from the image sensor 15 or may be a block formed integrally with the image sensor 15.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위치 방식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putting a soft switch method using the optic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가 투광부(11)에서 △z만큼 이격되면 피사체(23)의 영상은 아웃 포커싱(out focusing)되어 희미하게 된다(도 3a 또는 도 3e 참조).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13)의 초점이 투광부(11)의 표면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subject 23 is spaced apart by Δz from the light projector 11, the image of the subject 23 is out of focus and blurred (see FIG. 3A or 3E). This is because the focus of the lens 13 is set to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as described above.

도 3a 내지 도 3e는 피사체(23)와 투광부(11) 사이의 거리에 따른 피사체의 영상 및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3A to 3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mage and a histogram of a subject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23 and the light projector 11.

도 3a를 참조하면,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경우 이미지 센서(15)는 허공을 촬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피사체(23)의 희미한 영상이 촬영된다. 그리고 이에 따른 히스토그램은 좁은 스펙트럼 상에 분포한다.Referring to FIG. 3A, when the subject 23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mage sensor 15 photographs the air, so that a faint image of the subject 23 is captured. The resulting histogram is distributed on a narrow spectrum.

피사체(23)가 투광부(11)에 접근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의 영상은 도 3a에 도시된 영상에 비해 비교적 선명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른 히스토그램도 비교적 더 넓은 스펙트럼 상에 분포한다. When the subject 23 approaches the light projector 11, as shown in FIG. 3B, the image of the subject 23 becomes relatively clear as compared to the image shown in FIG. 3A. The resulting histogram is also distributed over a relatively broad spectrum.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가 투광부(11)와 접촉하는 경우 피사체(23)는 렌즈(13)에 의해 포커싱 되어 선명하게 촬영된다. 따라서 도 3c와 같이 피사체(23)가 손가락인 경우 손가락의 지문이 선명하게 촬영된다. 그리고 이때는 지문의 명암이 또렷하기 때문에 히스토그램이 아주 넓은 스펙트럼 상에 분포한다. As shown in FIG. 3C, when the subject 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e subject 23 is focused by the lens 13 and is clearly captured. Therefore, as shown in FIG. 3C, when the subject 23 is a finger,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is clearly captured. And since the contrast of the fingerprint is clear, the histogram is distributed over a very broad spectrum.

그리고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가 투광부(11)로부터 떨어지는 경우에는 피사체(23)와 투광부(11)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피사체(23)의 영상이 희미해지고 그에 따른 히스토그램 또한 좁은 스펙트럼에 분포함을 알 수 있다. 3D and 3E, when the subject 23 falls from the light projector 11, the fa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23 and the light projector 11 is, the blurred the image of the subject 23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stogram is also distributed in a narrow spectrum.

제어부는 이와 같은 히스토그램의 변화가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일정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한다. 예를 들면, 피사체(23)의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소프트 스위치 입력 방법이 구현되는 경우 메뉴의 선택 또는 메뉴의 실행 등과 같은 기능이 실행되게 할 수 있다. If there is such a change in the histogram,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change and inputs certai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soft switch input method is implemented by the movement of the subject 23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unction such as selection of a menu or execution of a menu may be executed.

도 3에서는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상부에서 하향 이동하여 투광부(11)의 표면과 접촉한 후 다시 그 상부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 짐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입력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후 다시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영상에 따른 히스토그램의 변화만 있으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FIG. 3, the object 23 is move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and then moved back to the upper part thereof. However, the input method by the soft switch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a process of contacting the subject 23 again after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erefore, if there is a change in the histogram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subject,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e input and input information.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를 이용하여 하드 스위치 방식에 따른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4A through 4B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put according to a hard switch method using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피사체(23)가 하우징(25)의 상면에 구비된 투광부(11)를 누르면 하우징(25)이 하향 이동하여 스위치(19)를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스위치(19)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일정한 기능이 실행된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스위치(19)가 변형되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피사체(23)를 하우징(25)에서 떼면 스위치(19)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25)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subject 23 presses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5, the housing 25 moves downward to press the switch 19, whereby the switch 19 is pressed. It is elastically deform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As shown in FIG. 4B, when the switch 19 is deformed to input information and the subject 23 is removed from the housing 25, the housing 2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witch 19.

그리고 접촉 입력에 의한 입력 방법은 일반적인 광 마우스(optical mouse)의 원리가 그대로 이용된다. 다만, 광 마우스는 접촉 표면을 일정 해상도의 카메라로 연속적으로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의 일부가 후속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그 움직임을 인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는 특정 표면에서 광 포인팅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를 투광부(11) 위에서 움직여서 피사체의 패턴을 통해 이동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접촉 입력에 의한 입력 방법에서는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2차원적으로 이동하면 영상처리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 진다. And the input method by contact input uses the principle of the general optical mouse as it is. However, the optical mouse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contact surface with a camera having a constant resolution, and then recognizes the movement by identifying whether a part of the captured image exists in a subsequent frame. However,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uses a method of determining a moving position through a pattern of the subject by moving the subject o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rather than mo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on a specific surface. Therefore, in the input method by contact input, when the subject 23 moves two-dimensionally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nformation is input by image processing.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에서 소프트 스위치 방식과 하드 스위치 방식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soft switch method and a hard switch method in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은 히스토그램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가 하향 투광부(11)에 접한 상태에서 일정한 힘을 가하여 누르면 스위치(19)가 변형되어 하드 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며, 이때 히스토그램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3)가 상향 이동하여 투광부(1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면 스위치(19)가 원형으로 복귀하고 히스토그램의 변화가 발생하여 소프트 스위치에 따른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즉,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입력 방식은 하드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진 후 소프트 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subject 23 moves downwar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change in the histogram occur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B. As shown in FIG. 5B, when the subject 23 contacts the downward light emitter 11 while applying a constant force, the switch 19 is deformed to input by the hard switch, and the histogram is shown in FIG. As shown in 3c.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when the subject 23 moves upwar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projecting portion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witch 19 returns to a circle and a change in the histogram occurs to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oft switch. This is done. That is, the input method illustrated in FIGS. 5A to 5C is an input by a soft switch after an input by a hard switch is mad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는 종래의 광 마우스(optical mouse)의 왼쪽 버튼을 누를 때 실행되는 "선택", 오른쪽 버튼을 누를 때 실행되는 "메뉴오픈", 왼쪽 버튼을 누를 때 실행되는 "실행" 및 마우스의 이동에 의해 실행되는 포인터 등의 이동 입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마우스의 선택 기능은 본 실시예에서 하드 스위치에 대응되고, 메뉴오픈 기능은 소프트 스위치에 대응되며, 실행 기능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스위 치와 소프트 스위치를 동시에 수행하는 입력 방식에 대응된다. 그리고 종래의 마우스의 이동 입력은 본 실시예의 접촉 입력에 대응된다. Accordingly,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lection" executed when the left button of a conventional optical mouse is pressed, a "menu open" executed when the right button is pressed, and a left button. Both movement input such as "execute" executed when pressed and a pointer executed by moving the mouse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selection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ouse corresponds to the hard switch in this embodiment, the menu open function corresponds to the soft switch, and the execution function simultaneously uses the hard switch and the soft switch as shown in FIGS. 5A to 5C. Corresponds to the input method to be performed. The movement input of the conventional mouse corresponds to the contact input of this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30 having an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부(31) 및 본체부(33)로 이루어지고 본체부(33)의 상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의 투광부(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본체부(33)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 등을 투광부(11)에 접촉하여 이동하거나 투광부(11)를 물리적으로 눌러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투광부(11)에 손가락을 살짝 붙였다가 떼는 동작을 통해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의 움직임은 디스플레이부(31)에서 포인터(35)로 표시되어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원하는 메뉴 목록에 포인터(35)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portable terminal 30 includes a display unit 31 and a main body unit 33, and a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33 includes an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er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may move the thumb or index finger by touching the light emitting unit 11 while holding the main body unit 33 with one hand, or physically press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to inpu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by lightly attaching and releasing a finger to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uch as a finger, is indicated by the pointer 35 on the display 31 so that the pointer 35 can be positioned in a desired menu lis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디스플레이부(31)와 본체부(33)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1)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광 포인팅 장치(10)가 외부로 노출된다. 디스플레이부(31)가 본체부(33)에 대해 포개져서 광 포인팅 장치(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오프되고 광 포인팅 장치(10)의 광원부(21) 및 이미지 센서(15)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unit 31 and the main body unit 33 are coupled by a hinge, and the display unit 31 rotates around the hinge so that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play unit 31 overlaps the main body unit 33 so that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display unit 31 is turned off and the light source unit 21 and the image of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re turned off. Since the sensor 15 does not operat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31)가 회전하여 광 포인팅 장치(10)의 투광부(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이를 인식하여 광원부(21) 및 이미지 센서(1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31)가 회전하여 투광부(11)가 디스플레이부(31)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1) 및 광 포인팅 장치(10)를 오프한다. 디스플레이부(31)의 회전은 본체부(33) 및 디스플레이부(31)의 결합 힌지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If the display unit 31 is rotat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of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is and operates the light source unit 21 and the image sensor 15.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display unit 31 and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when the display unit 31 rotates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is closed by the display unit 31.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31 may be sensed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coupling hinge of the main body 33 and the display 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의 하드 스위치 방식에 의한 입력은 선택 기능 또는 실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투광부(11)를 한 번 누르면 마우스 왼쪽 버튼의 클릭 기능과 같은 선택 기능이 실행되고, 연속해서 두 번 누르면 마우스의 더블 클릭 기능과 같은 수행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의 소프트 스위치 방식에 의한 입력은 마우스의 우측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와 같이 메뉴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입력 방식은 포인터(35)를 디스플레이부(31)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촉 입력 방식에 의해 손가락을 투광부(11) 상에서 이동하여 포인터(35)를 원하는 아이콘 또는 메뉴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 후, 하드 스위치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아이콘, 메뉴를 선택 또는 실행을 하거나 소프트 스위치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아이콘 등에 대한 메뉴 표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An input by a hard switch method of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selection function or an execution function.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light projector 11 once, a selection function such as a click function of the left mouse button is executed, and if a user presses twice in succession, an execution function such as a double click function of the mouse may be executed. In addition, the input by the soft switch method of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menu display function as when the right switch of the mouse is pressed. In addition, the touch input method may cause the pointer 35 to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31. Therefore, the user moves the finger on the light emitting unit 11 by the touch input method to move the pointer 35 to the desired icon or menu, and then selects or executes the icon or menu using the hard switch input method. You can activate the menu display function for the icon or by using the soft switch input method.

본 실시예에서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 타입 또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고 나아가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 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bar type or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applied to a gener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computer.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10)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30)는 소프트 스위치, 하드 스위치 및 접촉 입력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의 입력이 투광부(11)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거나 그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투광부(11)를 눌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정보의 입력이 투광부(11)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피가 비교적 작은 이미지 센서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pointing device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put information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soft switch, a hard switch, and a contact input method. Can be. And input of information is made to move up and down on the light transmission part 11, or to move in the state which contacted the surface, or press the light transmission part 11, and is made. Therefore,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of easy operation and convenient use because the input of information is made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mage sensor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miniaturization is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본 발명은 입력이 용이하고 다양한 입력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cal pointing device that can easily input and implement various input methods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cal point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volum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laims (14)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와;A light transmitting part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상기 투광부에 접촉한 피사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A light source unit irradiating light toward a subject in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상기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이미지 센서와;An image sensor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the subject; 상기 피사체가 상기 투광부를 가압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행되는 스위치와;A switch for executing the function by the subject pressing the light projecting portion;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되게 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투광부 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및 상기 투광부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인식하여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포인팅 장치.When the switch is pressed, information is inputted, and information is input b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subject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Optical poin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포인팅 장치는 상기 투광부의 표면에 초점이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고,The optical pointing device includes a lens having a focus formed on a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상기 투광부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And the controller analyzes the histogram of the subject to recognize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ight projector and the subjec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사체와 상기 투광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 후 복원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And information is input 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subject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released and then restor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사체와 상기 투광부의 이격 상태가 해제된 후 복원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And when information is restored after the separ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ight emitter is releas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부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And the light source unit emits light from the side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포인팅 장치는 상기 투광부,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The optical poi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housing accommodating the light projecting unit,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mage sensor, 상기 투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And the switch is pressed by the housing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위치는 가압되는 횟수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And said switch has a different fun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it is press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광부에는 적외선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을 상기 투광부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filter,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s irradiated to the light transmit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point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광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optical point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부와;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unit on which the optical pointing device is mounted;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고 상기 광 포인팅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put by the optical pointing device; 상기 투광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노출되는 휴대 단말기.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a portable terminal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투광부 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포인터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moves a point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on the light projecto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위치가 1회 가압됨으로써 선택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selection function is executed by pressing the switch onc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위치가 2회 가압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더블 클릭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switch is pressed twice to execute a double click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피사체가 상기 투광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초점에서 벗어나는 경우 메뉴 오픈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nd the menu opening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subject is out of focus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ight projecting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여 상기 투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mage sensor when the display unit is mov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KR1020060098702A 2006-10-11 2006-10-11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642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02A KR100864289B1 (en) 2006-10-11 2006-10-11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02A KR100864289B1 (en) 2006-10-11 2006-10-11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779A true KR20080032779A (en) 2008-04-16
KR100864289B1 KR100864289B1 (en) 2008-10-20

Family

ID=395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702A KR100864289B1 (en) 2006-10-11 2006-10-11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8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85B1 (en) * 2010-01-11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Laser Naviga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2614B1 (en) * 2010-01-19 2012-04-06 박철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personal portable device
US20230283897A1 (en) * 2019-04-04 2023-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e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improving an operation of moving a focal point detection reg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60B1 (en) 2008-11-14 2010-11-02 크루셜텍 (주) Optical joystick and portable device having optical joysti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623B1 (en) * 2004-03-12 2006-12-06 (주)모비솔 Optical pointing device having switch function
KR100615554B1 (en) * 2005-01-25 2006-08-25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A tactile input system and device for very small information device
KR100534397B1 (en) * 2005-04-09 2005-12-09 퍼셉컴(주) Optical pointing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reof
KR100711790B1 (en) * 2005-09-27 2007-05-02 (주)모비솔 Pointing device with optical matched fil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85B1 (en) * 2010-01-11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Laser Naviga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2614B1 (en) * 2010-01-19 2012-04-06 박철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personal portable device
US20230283897A1 (en) * 2019-04-04 2023-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e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improving an operation of moving a focal point detection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289B1 (en) 200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3306B2 (en)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ultra-thin optical joystick and ultra-thin optical joystick
US73132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ly detecting a click event
TWI450159B (en) Optical touch device, passive touch system and its input detection method
JP2008507787A (e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10558279B2 (en) Dual mode optical navigation device
KR20150032028A (en) Three dimensional space-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636412B1 (en) Ultra thin optical joystick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n ultra thin optical joystick
KR100864289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43590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60128785A (en) A pointing device using scrolling of variable speed and its scroll method
KR20060088589A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using an integrated illumination units of lens
KR100666197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KR20080020343A (en) Fingerprint recogniton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6195706A (en) Optical coordinat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734246B1 (en) Optical pointing device with reflector
KR100788499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50623B1 (en) Optical pointing device having switch function
JP2011170754A (e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same
KR100816095B1 (en)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508702B1 (en) Pointing device with half transmission mirror
KR100690298B1 (en) Wearable micro information input device
KR100801755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032446A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092855B1 (en) Optical joystick and portable device having it
KR101089065B1 (en) Ultra slim optical joy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