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488A -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488A
KR20080032488A KR1020060098394A KR20060098394A KR20080032488A KR 20080032488 A KR20080032488 A KR 20080032488A KR 1020060098394 A KR1020060098394 A KR 1020060098394A KR 20060098394 A KR20060098394 A KR 20060098394A KR 20080032488 A KR20080032488 A KR 2008003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necklace
amplified
rece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호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오디오인핸스먼트인터네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디오인핸스먼트인터네셔널 filed Critical (주)오디오인핸스먼트인터네셔널
Priority to KR102006009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488A/ko
Publication of KR2008003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펄스 위치 변조 기술을 채용하는 이동용 적외선 원격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 오디오 신호를 적외선 수신기로 전송하여 제한된 공간에서도 청중들에게 잘 전달될 수 있고 휴대 가능하고,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는 개선된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며 FM 간섭에 영향 받지 않도록 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도 효율적인 송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격송신장치, 음성오디오 신호, 펄스변조

Description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necklace typed remote transmitting de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그림 1은 본 발명의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의 조립도이다.
그림 2는 본 발명의 IR 원격송신장치 컴포넌트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그림 3은 본 발명의 음성 프로세서 컴포넌트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그림 4는 본 발명의 IR 원격송신장치 컴포넌트의 다이어그램이다.
그림 5는 본 발명의 음성 프로세서 컴포넌트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0: 원격 송신장치 101: 마이크로폰 102: 배터리
103: 3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뱅크 104: 음성 프로세서
105: 스위치 106: 목걸이줄 201: 프리 증폭기 217: 지시 LED
219: 파워-온 지시 LED 301: 동작 증폭기 303: 정류기
306: 차등 증폭 및 오디오 주파수 응답 회로
602: 555 타이머 집적 회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전송하는 마이크를 내장한 원격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 위치 변조 기술을 채용하여 음성신호를 원거리 지점에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내장한 이동용 적외선을 이용한 원격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성처리시스템은 음성방송 수신 장치 및 음성기록 재생장치를 비롯하여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기기들을 통칭한다. 이러한 음성처리시스템은 자체 내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시스템과 멀리 떨어진 지점에 출력하기 위해서 원거리에 설치된 스피커와 유선을 통해 접속되어야 한다. 한편, 마이크를 유선으로 엠프 세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원격송신장치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므로, 마이크를 유선으로 엠프 세트에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피커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전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과다한 FM 주파수로 인해 사용자들은 신호간섭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즉, 주파수 변조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시스템은 혼선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유선마이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안고 있기 때문에 활용상 제한이 따르고 있다.
한편, 다양한 적외선 통신 장치들이 개발되어 통신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이들 장치들은 통신 수단의 일부분만을 제공하며, 전송장치와 통합되지 못하고 또한 펄스 위치 변조 기술을 이용한 잡음 개선된 신호를 채용하지도 못하고 있으며 휴대에 어려운 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전송장치와 개선된 신호대 잡음비를 가지며 FM 간섭에 영향 받지 않는 휴대용 오디오 원격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펄스 위치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오디오 원격송신 장치는 (i)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입력 전기 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목걸이 소자에 부착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소자; (ii) 휴대용 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 팩 소자; (iii) 사용자의 목 주위에 두르기에 적합하며 그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탑재하는 목걸이 소자; (iV)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미리 증폭된(pre-amplified) 신호로 증폭하는 프리-증폭기; (V) 상기 미리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압축 음성 신호로 압축하는 음성 프로세서; (vi) 상기 압축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 음성 신호를 변조 음성 신호로 변조하는 버퍼; (vii) 상기 변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펄스 위치 변조 신호로 제공하는 펄스 발생기; 및
(viii) 상기 전기 펄스 위치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송신을 위한 상기 적외선 펄스 위치 변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목걸이 소자에 부착 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음성 프로세서는 (1) 상기 미리 증폭된 신호를 받아 증폭된 음성 신호로 제공하는 전압 조절 증폭기; (2) 상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비교기 및 응답 조절 회로; (3) 상기 미리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정류된 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 및 (4) 상기 미리 정류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압 조절 증폭기에 조절 신호를 제공하는 정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ed) 부반송파 변조 적외선 마이크를 내장한 원격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한 원격송신 장치는 휴대가능하며, 배터리로 동작하고 배터리 팩, 3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뱅크, 음성 프로세서, 마이크로폰 및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1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원격 송신장치(100)는 마이크로폰(101), 배터 리(102), 3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뱅크(103), 음성 프로세서(104), 스위치(105)및 목걸이줄(106)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격송신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고 있다. 콘덴서 타입 마이크로폰(108)이 프리 증폭기(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리 증폭기(201)의 출력은 증폭된 오디오 신호(202)이다. 증폭된 오디오 신호(202)는 프리 증폭기(201)로부터 음성 프로세서(203)로 입력된다. 상기 음성 프로세서(203)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음성 프로세서(203)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202)를 수신하고 처리되거나 압축된 오디오 신호(204)를 발생한다. 음성 프로세서(203)에 의한 압축레벨은 전기적으로 음성 프로세서(203)에 연결된 포텐셔미터(205)의 압축 레벨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결정된다.
처리되거나 압축된 오디오 신호(204)는 버퍼(206)로 전기적으로 입력된다. 신호 변조의 레벨은 버퍼(2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조 레벨 포텐셔미터(207)에 의해서 제어된다. 버퍼(206)는 처리되고 압축된 오디오 신호(204)를 증폭하여 버퍼된 오디오 신호(208)를 발생하여 펄스 발생부(209)로 인가한다.
펄스 발생부(209)는 타이머 집적 회로(602)의 제어 전압 입력(601)으로의 버퍼된 오디오 신호(208)의 인가에 의해서 변조된 펄스 열 주파수를 발생한다.
주파수의 제어는 펄스 발생부(20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파수 제어 포텐셔미터(210)를 설정함에 의해서 수행된다. 펄스 발생부(209)는 펄스 위치 변조 신호(211)를 발생한다. 펄스 위치 변조 신호(211)는 드라이버 회로(212)로 인가된다. 드라이버 회로(212)는 적외선 전송부(101, 102)의 출력단에서 바람직한 적외선 신호를 생산하도록 적외선 LED들(214)의 뱅크들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LED 입력 신호(213)를 생산한다.
도 3은 원격송신 장치(101, 102)를 위한 전압 공급원(215)을 도시한다. 전압 공급원(215)은 배터리 충전기를 위한 입력 플러그를 가지는 전압 레귤레이터(216)로 구성된다. 지시 LED(217)는 배터리 충전기가 플러그인 되면 켜진다. 전압 레귤레이터(216) 출력(221)은 배터리(220)와 온/오프 스위치(218)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파워-온 지시 LED(219)는 파워 스위치(218)가 턴 온 되면 켜진다.
도 4는 음성 프로세서(203)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증폭된 오디오 신호(202)는 동작 증폭기(302) 및 전압 제어 증폭기(301)로 입력된다. 동작 증폭기(302)는 정류기(303)로의 신호의 양을 조절한다. 정류기(303)는 전압 제어 증폭기(301)의 이득을 차례대로 제어하는 제어 전압 신호(304)를 발생한다. 전압 제어 증폭기의 출력(305)은 차동 증폭 및 오디오 주파수 응답 회로(306)에 인가된다.
차동 증폭 및 오디오 주파수 응답 회로(306)의 출력(307)은 전송부(102)나 마스터 수신기(104)로 인가된다. 파워 분산 소자(308)는 전송부(102)나 마스터 수신기(104)로부터 파워를 수신하고 파워를 음성 프로세서의 소자들(301, 302, 303, 306)에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송신 장치(10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 도면을 나타낸다. 콘덴서 형태의 마이크로폰(108)이 pre-증폭기(201)에 연결된다. 이러한 pre-증폭기(201)은 하나의 공급을 위해 와이어된 구동증폭기(603)를 사용하고 약 200 정도의 이득 셋을 갖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구동 증폭기(603)의 출력은 음성 프로세서(203)에 공급된다. 음성 프로세서(203)로 부터의 처리되고 압축된 오디오 신호(204)은 커플링 커패시타(604)를 통해 버퍼(206)에 연결된 변조 레벨 포텐셔미터(207)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기로 반환된다. 상기 버퍼(206)는 구동 증폭기(605)를 사용한다. 펄스 발생부(209)는 555 타이머 집적 회로(60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555 타이머 집적 회로(602)는 약 2 미리초의 부의 펄스로 약 100K 헤르쯔의 비율로 발생시키기 위해 와이어로 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주파수 트림 조절은 상기 펄스 발생기(20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파수 조절 포텐셔미터(210)를 조정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555 타이머 집적회로(602)의 출력(605)은 분류 네트웍(608)을 통해 PNP 구동 트랜지스타(607)에 인가된다. 상기 분류 네트웍(608)의 값이 선택되어 상기 구동 트랜지스타(607)는 상기 타이머의 출력(606) 전압이 약 6 볼트로 내려 갈때 턴 온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타(607)의 콜렉터는 전류 제어 저항(610)을 통해 목걸이 연결자(609)로 연결된다. 상기 목걸이 연결자(609)의 신호는 적외선 LED 뱅크가 약 2초간 턴온하고 약 8초간 턴 오프 하도록 한다. 이러한 짧은 턴온 시간은 배터리(220)로부터의 평균 전류를 줄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성 프로세서 컴포넌트의 도면이다.
증폭된 음성 신호(202)는 전압 조절 증폭기(301)의 입력단에 나타나며 상기 전압 조절 신호(301)는 트랜지스타(701)(702)(703)와 연결된 소자들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트랜지스타(703)은 전류 조절을 하며 2개의 저항(704)(705)와 한개의 다오드(706)에 의해 선형 구동 영역으로 바이어스된다. 포텐셔미터(707)과 그의 연결 소자들은 증폭기(301)를 위해 베이스 이득까지 셋업된다.
포텐셔미터(205)와 부착된 소자들을 갖는 구동 증폭기(708)은 한개의 커패시터(709)와 두개의 다이오드(710)(711)로 구성된 정류기(303)에 어떤 신호의 양을 셋팅한다. 상기 정류기(303)의 조절 전압의 어택 및 쇠퇴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는 두개의 저항(713)(714)와 한개의 커패시터(7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 조절 증폭기(301)의 출력은 증폭기(716)으로 이송된다. 하나의 포텐셔미터를 사용하는 상기 증폭기(716)내의 회로는 음성 주파수 응답의 정교한 튜닝을 해주며 프로세스된 음성 신호는 커플링 커패시터(718)를 통해 송신한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를 내장한 원격송신장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마이크 제품을 일체화하여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 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개선된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며 FM 간섭에 영향 받지 않는 오디오 증폭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소리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2)

  1. (i)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입력 전기 신호로 전환하고 목걸이 소자에 부착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소자;
    (ii) 휴대용 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 팩 소자;
    (iii) 사용자의 목 주위에 두르기에 적합하며 그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탑재하는 상기 목걸이 소자;
    (iV)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미리 증폭된(pre-amplified) 신호로 증폭하는 프리-증폭기;
    (V) 상기 미리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압축 음성 신호로 압축하는 음성 프로세서;
    (vi) 상기 압축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 음성 신호를 변조 음성 신호로 변조하는 버퍼;
    (vii) 상기 변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펄스 위치 변조 신호로 제공하는 펄스 발생기 ; 및
    (viii) 상기 전기 펄스 위치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송신을 위한 상기 적외선 펄스 위치 변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목걸이 소자에 부착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프로세서는,
    (1) 상기 미리 증폭된 신호를 받아 증폭된 음성 신호로 제공하는 전압 조절 증폭기;
    (2) 상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비교기 및 응답 조절 회로;
    (3) 상기 미리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정류된 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 및
    (4) 상기 미리 정류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압 조절 증폭기에 조절 신호를 제공하는 정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KR1020060098394A 2006-10-10 2006-10-10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KR20080032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94A KR20080032488A (ko) 2006-10-10 2006-10-10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94A KR20080032488A (ko) 2006-10-10 2006-10-10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488A true KR20080032488A (ko) 2008-04-15

Family

ID=3953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94A KR20080032488A (ko) 2006-10-10 2006-10-10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4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648A (en) Infrared audio transmitter system
US20050018859A1 (en) Optically driven audio system
US581832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proved wireless audio transmission
US5548654A (en) Infrared audio transmitter system
US20020102949A1 (en) Remote control having an audio port
JPH10145156A (ja) 音量調節回路
TWM373617U (en) Waistband typ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unit
US4178548A (en) Voice actuated mobile radio
KR200434358Y1 (ko)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KR20080032488A (ko) 목걸이형 원격송신장치
KR100641657B1 (ko)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1002162B1 (ko) 휴대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증폭기
KR200387116Y1 (ko)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JP2000083297A (ja) 音聴取装置
CN201222732Y (zh) 有声遥控器及与之配合的视听系统
CN208940162U (zh) 带有外置功能按键的无线麦克风
SE9302741D0 (sv) Anordning för alstring av ljud i fordon
KR200432101Y1 (ko) 밀폐공간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424413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강의용 무선 앰프장치
KR200443221Y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무선 마이크 장치
JP4121681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送信装置および送受信装置
KR20080022935A (ko) 밀폐공간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409761Y1 (ko) 소리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신 모듈
KR200366525Y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음향 제공장치
GB2252013A (en) Wireless television head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