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346A -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346A
KR20080030346A KR1020060096311A KR20060096311A KR20080030346A KR 20080030346 A KR20080030346 A KR 20080030346A KR 1020060096311 A KR1020060096311 A KR 1020060096311A KR 20060096311 A KR20060096311 A KR 20060096311A KR 20080030346 A KR20080030346 A KR 2008003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vider
terminal
software
terminal information
voi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훈
이경희
임범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0346A/ko
Publication of KR2008003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2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H04L65/402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where n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통화 만으로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하고,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관리(management), 채널(channel),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Description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VOIP TERMINAL AND METHOD FOR MENAGING THEREOF}
도 1은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채널 설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 관리 방법에서 각 채널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VoIP 단말기
310: 연결 설정부
320: 채널 설정부
330: 단말기 정보 전송부
340: 소프트웨어 관리부
본 발명은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인증하고,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는 VoIP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술로, 기존에 인터넷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패킷망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 통신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통화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들이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VoIP를 이용하면 여러 명이 동시에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 기존에 널리 사용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화요금도 기존의 전화에 비하여 매우 저렴하다.
그러나 VoIP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화 통화를 연결해 주는 프록시 서버(proxy server)에 VoIP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프록시 서버를 통하여 상대방 VoIP 단말기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한다. 상기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에서 제공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단말기를 인증 받고 등록하여, 사용료를 지불하고 VoIP 단말기를 이 용할 수 있다.
도 1은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IP 단말기(1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120)에게 단말기를 인증 받고 등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단말기 정보(130)를 서비스 제공자(120)에게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VoIP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130)를 서비스 제공자(120)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VoIP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직접 VoIP 단말기(110)를 서비스 제공자(120)에게 가져 가서 서비스 제공자(120)의 관리자가 직접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고 인증해야 했다. 따라서, VoIP 단말기(1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120)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 정보(130)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120)에게 단말기 정보(130)를 전송하는 것이 힘들고, 실제 단말기를 직접 가지고 인증하지 않는다면 다른 단말기 정보를 가지고 등록하여 사용하는 등의 보안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VoIP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140)가 필요한데, 이 소프트웨어는 서비스 제공자(120)가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120)를 찾아가서 설치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아야 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 간편한 전화 통화 만으로 VoIP 단 말기(110)를 인증 받고 서비스 제공자(120)에게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사용자들이 VoIP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해 질 것이며, VoIP 단말기(110)의 사용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화 통화만으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인증 받고 등록 할 수 있는 VoIP 단말기 및 그 단말기 관리 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직접 서비스 제공자를 방문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VoIP 단말기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oIP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통한 사용자 확인 및 단말기 정보 확인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IP 망을 통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 설정부, 상기 연결에서 음성 채널(voice channel)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 수신 및 단말기 정보 전송 중에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 관리 방법은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IP 망을 통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에서 음성 채널(voice channel)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 수신 및 단말기 정보 전송 중에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채널 설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전화 통화만으로 VoIP 단말기(210)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말기 정보를 VoIP 단말기(210)에서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전송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 전화 통화를 통해서 단말기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VoIP 단말기의 단말기 정 보를 확인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자(220)의 담당자에게 전화 통화를 통하여 구두로 알려주면 서비스 제공자(220)가 이를 듣고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보안상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VoIP 단말기를 직접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가지고 가서 등록해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VoIP 단말기(210)에서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연결에 음성 채널(230)뿐만 아니라 데이터 채널(240)을 설정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VoIP 단말기(210)에서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통화 연결을 설정하면, 상기 연결은 IP 통신망을 이용한 연결이 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상기 연결에서는 음성 채널(230)이 설정된다. 상기 음성 채널(230)은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VoIP 단말기(210)의 단말기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음성 채널(230)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채널(240)을 추가로 설정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채널은 가상의 채널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는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음성 채널(230) 및 데이터 채널(240)을 설정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VoIP 단말기(2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기재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301)는 연결 설정부(310), 채널 설정부(320), 단말기 정보 전송부(330) 및 소프트웨어 관리부(34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 별로 상술하도록 한다.
연결 설정부(310)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IP 망을 통하여 연결을 설정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VoIP 단말기(301)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하기 위하여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VoIP 단말기를 인증하는 서버이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VoIP 단말기(301)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VoIP 단말기(301)를 인증하고, 상기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VoIP 단말기(301)와 전화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콜센터 등에서 상기 VoIP 단말기(301)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VoIP 단말기(301)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VoIP 단말기(301)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 설정부(310)에서 IP 망을 통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IP 주소 등 네트워크 상에서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프록시 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아직 서비스 제공자에게 VoIP 단말기가 인증되고 등록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프록시 서버를 이용할 수 없다. 하지만,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등록을 하고자 할 때에, 그 식별자를 찾아서 등록할 수 있고, VoIP 단말기(301)가 출시될 때에 이미 사용 가능한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를 거치지 않고도,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을 설정하여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채널 설정부(320)는 연결 설정부(310)에서 설정한 연결에 음성 채널(voice channel)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설정한다. 상기 채널 설정을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일례로,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단말기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준비하여 소정의 개수의 bit씩 교대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의 각 bit가 0 또는 1을 가지는 점에 주목하여, 1의 값을 가지는 bit에는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bit만큼 기록하여 전송하고, 0의 값을 가지는 bit는 비워 두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두 채널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통신망에서 채널을 구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채널 설정부(320)에서 연결에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자 서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연결된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측의 콜센터 직원과 직접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채널을 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 정보를 수신함 으로써, 안전하게 사용자 단말기를 전화통화만으로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이 별개의 통신망을 통한 연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신망의 연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VoIP 단말기(301)를 등록하기 위하여 직접 서비스 제공자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전화 통화만으로 간단하게 VoIP 단말기(301)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인증 받고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정보 전송부(330)는 채널 설정부(320)에서 설정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자에서 VoIP 단말기(301)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VoIP 단말기를 인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VoIP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VoIP 단말기를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VoIP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와 같은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VoIP 단말기에 요청하고, VoIP 단말기는 이와 같은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기 정보 전송부(330)에서 단말기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것은 채널 설정부(320)에서 설정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와 전화 통화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치는 동안, 단말기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가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 제 공자에게 알려주거나, VoIP 단말기를 직접 서비스 제공자에게 가져갈 필요가 없게 된다.
소프트웨어 관리부(340)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VoIP를 이용한 전화 통화는 기존의 PSTN을 이용한 전화 통화에 비하여 넓은 대역폭의 IP 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자간 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VoIP 단말기(301)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VoIP 단말기(301)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연결되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연결에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와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VoIP 단말기(301)의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소프트웨어 관리부(340)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버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현재 VoIP 단말기(301)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VoIP 단말기(301)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VoIP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VoIP 단말기(301)의 사용자가 설치할 소 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제공자 서버 측의 콜센터 직원과의 통화를 통하여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라도, 간단한 전화 통화만으로 원하는 최신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소프트웨어 관리부(340)로부터 수신한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기초로 VoIP 단말기(301)에 설치되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로 선정하여 VoIP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전송은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할 때뿐만 아니라, 다른 VoIP 단말기 또는 PSTN 전화기와 통화를 연결할 때에도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VoIP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의 프록시 서버를 통하여 통화 연결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른 VoIP 단말기 등과 연결할 때에도 프록시 서버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프록시 서버에서 음성 채널의 연결을 설정해 주면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전송하게 되면 소프트웨어 관리부(340)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상적으로 통화에 VoIP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401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IP 망을 통하여 연결을 설정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하기 위하여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VoIP 단말기를 인증하는 서버이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VoIP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를 인증하고, 상 기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VoIP 단말기(301)와 전화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콜센터 등에서 상기 VoIP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VoIP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VoIP 단말기(301)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VoIP 단말기에서 IP 망을 통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IP 주소 등 네트워크 상에서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프록시 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아직 서비스 제공자에게 VoIP 단말기가 인증되고 등록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프록시 서버를 이용할 수 없다. 하지만,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등록을 하고자 할 때에, 그 식별자를 찾아서 등록할 수 있고, VoIP 단말기가 출시될 때에 이미 사용 가능한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를 거치지 않고도,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을 설정하여 전화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402에서는 단계 S401에서 설정한 연결에 음성 채널(voice channel)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설정한다. 상기 채널 설정을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단계 S402에서 연결에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설정함으로써, VoIP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자 서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연결된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측의 콜센터 직원과 직접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채널을 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자 단말기를 전화통화만으로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이 별개의 통신망을 통한 연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신망의 연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VoIP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하여 직접 서비스 제공자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전화 통화만으로 간단하게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인증 받고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S403에서는 단계 S402에서 설정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자에서 VoIP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VoIP 단말기를 인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VoIP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VoIP 단말기를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VoIP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와 같은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VoIP 단말기에 요청하고, VoIP 단말기는 이와 같은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403에서 단말기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것은 단계 S402에서 설정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와 전화 통화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치는 동안, 단말기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가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알려주거나, VoIP 단말기를 직접 서비스 제공자에게 가져갈 필요가 없게 된다.
단계 S404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다 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VoIP를 이용한 전화 통화는 기존의 PSTN을 이용한 전화 통화에 비하여 넓은 대역폭의 IP 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자간 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VoIP 단말기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VoIP 단말기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연결되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연결에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와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VoIP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S404에서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버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현재 VoIP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VoIP 단말기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VoIP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VoIP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치할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제공자 서버 측의 콜센터 직원과의 통화를 통하여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라도, 간단한 전화 통화만으로 원하는 최신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 관리 방법에서 각 채널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50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기에서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결에 음성 채널(510) 및 데이터 채널(520)을 설정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음성 채널(510) 및 데이터 채널(520)이 연결과 동시에 설정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통화 연결에서처럼 기본적으로 음성 채널(510)이 설정되고, 추후 요청 등에 의하여 데이터 채널(520)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502에서는 음성 채널(51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콜센터와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를 통하여 사용자는 VoIP 단말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본명, 생년월일,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를 통해서 사용자가 VoIP 단말기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콜센터 직원이 데이터 채널(520)을 통하여 단말기 정보 요청을 전송(S503)하도록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VoIP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연결되는 순간부터 데이터 채널(520)이 설정되어, VoIP 단말기가 등록된 것인지 확인하고,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단말기 정보 요청을 전송(S503)함으로써, 단말기 정보 전송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503 내지 단계 S506에서는 데이터 채널(520)을 통하여 단말기 정보 및 소프트웨어를 주고 받는다. 도면에서와 같이 단계 S503 내지 단계 S506이 데이터 채널(520)을 통하여 수행되는 동안 음성 채널(510)에서는 단계 S502의 통화가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VoIP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것만으로,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고,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단계 S503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VoIP 단말기로 단말기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요청은 단계 S5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콜센터 직원의 제어에 의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며, VoIP 단말기의 연결에 따라 자동으로 요청되는 것일 수도 있다.
단계 S504에서는 단계 S503에서의 단말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단계 S505에서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VoIP 단말기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확인하고, VoIP 단말기로 소프트웨어를 전송하여 다운로드 받도록 한다(S506).
본 발명에 따른 VoIP 단말기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서비스 제공자를 방문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VoIP 단말기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를 통한 사용자 확인 및 단말기 정보 확인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IP 망을 통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 설정부;
    상기 연결에 음성 채널(voice channel)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 수신 및 상기 단말기 정보 전송 중에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VoIP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소프트웨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는,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부에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버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VoIP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상기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로 선정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부는,
    전화 통화를 위하여 연결하는 프록시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8.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IP 망을 통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에 음성 채널(voice channel)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단말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요청 수신 및 상기 단말기 정보 전송 중에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VoIP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소프트웨어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관리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0096311A 2006-09-29 2006-09-29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KR20080030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311A KR20080030346A (ko) 2006-09-29 2006-09-29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311A KR20080030346A (ko) 2006-09-29 2006-09-29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46A true KR20080030346A (ko) 2008-04-04

Family

ID=3953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311A KR20080030346A (ko) 2006-09-29 2006-09-29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0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62B1 (ko) * 2013-06-24 2014-04-22 주식회사 퍼플즈 초음파를 이용한 단말기 간의 콘텐츠 전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62B1 (ko) * 2013-06-24 2014-04-22 주식회사 퍼플즈 초음파를 이용한 단말기 간의 콘텐츠 전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2455B2 (en)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communications using decentralized security gateway
US8091116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092385B2 (en) Policy control and billing support for call transfer in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network
US8130635B2 (en) Network access nodes
CN110266576B (zh) 语音通话方法及装置
US20140044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communicating with a client application
US201301360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e Sharing Through Mobile Devices
US201300192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Client Application
US20070143470A1 (en) Facilitating integrated web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with collaborating web and telecommunication clients
KR101224254B1 (ko) 통신 네트워크 통합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8582542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4636617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接続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JP2014096181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特権を付与してリソースを共有する方法
JP2015507901A5 (ko)
US201600729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ata usage accounting for unreliable transport communication
US8437254B2 (en) Dynamic configuration of VoIP trunks
JP2009296333A (ja) 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WO2007090320A1 (fr) Système d&#39;identité d&#39;utilisateur et procédé d&#39;enregistrement et de configuration d&#39;un service et d&#39;un chemin
JP4472566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呼制御方法
JP4950095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06229265A (ja) 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
KR20080030346A (ko) VoIP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KR100457195B1 (ko)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JP5296602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4750046B2 (ja) 通信制御処理提供システム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