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595A -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 Google Patents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595A
KR20080028595A KR1020060094066A KR20060094066A KR20080028595A KR 20080028595 A KR20080028595 A KR 20080028595A KR 1020060094066 A KR1020060094066 A KR 1020060094066A KR 20060094066 A KR20060094066 A KR 20060094066A KR 20080028595 A KR20080028595 A KR 2008002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ser
fuzzy
lock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김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06009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595A/en
Publication of KR2008002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5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door lock device based on a fuzzy logic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hance reliability, accuracy, and security in an authentication process by defining an inputting habit of a user as a fuzzy table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a user. A detection unit(30) detects an identification number or bio-information of a user and transmits the detected contents to a control unit. An input unit(40) includes number/character buttons for receiving secret numbers or control information. A control unit(50) performs fuzzy calculation by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bio-information of a user, compares the calculated result with a fuzzy number stored in a storage unit(60), controls automatically a locking operation or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or controls the locking operation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utomatically by using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or a manual operatio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fuzzy number and the secret numbers as the calculated result of the user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bio-information of the user. A locking device control unit(70) controls a locking unit of a door lock device directly according to a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perform the locking operation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 power supply unit(80) applies electric power to the door lock device.

Description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Fuzzy-based door 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하는 세부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method of controlling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퍼지수의 행동을 정의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that defines the behavior of purg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입력수단(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등)10: Input means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etc.)

20 : 사용자의 생체정보(손바닥, 정맥, 동맥, 온도, 체온, 심박수 등)20: user's biometric information (palm, vein, artery, temperature, body temperature, heart rate, etc.)

30 : 검지수단 31 : 검지회로부30: detection means 31: detection circuit

33 : 생체정보 인식부 40 : 입력수단33: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0: input means

41 : 외측번호 입력부 43 : 내측번호 입력부41: outside number input unit 43: inside number input unit

50 : 제어수단 51 : 퍼지수 변환회로부50: control means 51: fuzzy water conversion circuit unit

53 : 퍼지연산 회로부 60 : 저장수단53: fuzzy calculation circuit unit 60: storage means

70 : 잠금장치 제어수단 71 : 원터치 잠금장치제어부70: locking device control unit 71: one-touch lock device control unit

73 : 원격 잠금장치제어부 75 : 수동 잠금장치제어부73: remote lock control unit 75: manual lock control unit

80 : 전원수단 90 : 외부장치 조작부80: power supply means 90: external device control panel

100 : 상태알림수단100: status notification means

본 발명은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더욱 상세하게는,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습관을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정의하여 퍼지테이블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fter generating a fuzzy table by defining a passwor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or a user's habit of inputt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or various scenarios,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or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fuzzy wat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a user.

일반적으로 도어락(또는 보안인증 시스템) 장치는 일반건물, 가정집 또는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시스템의 보호를 위하여 인증된 사람만 시스템을 이 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한 장치이다. In general, a door lock (o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device is a device for restricting access to a general building, a home or a specific area, or restricting access to the system to only authorized persons for protecting the system.

예컨대, 연구소나 기업체 혹은 정부기관 등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장소에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어락 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출입문을 출입할 때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허가된 사람에 한해서만 출입가능하도록 인증키가 저장된 보안카드, 이를 테면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보안인증을 허가하는 정보를 가진 칩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그 적절한 예이다.For example, a door lock system is used to control outsiders' access in public places where security is required, such as research institutes, corporations or government agencies. A good example is the use of a security card with an authentication key stored therein, such as a smart card with a chip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information that allows security authentication.

그런데, 이와 같은 보안카드는 휴대가 불편하고 분실의 위험이 높으며 사용자의 신상에 변동이 생겼을 경우 매번 새로운 보안카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such a security card is inconvenient to carry, there is a high risk of loss,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user's identity there was a need to replace a new security card every time.

최근에는 휴대의 간편성,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과 활용에 따라 그 기능이 급격히 향상되었음을 물론 거의 필수품이 되어 버린 휴대폰을 이용하여 보안카드의 기능을 대체하려는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다. 이를테면,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방식을 통해 별도의 보안카드 없이도 보안 인증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또한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보안 인증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예이다.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security card by using a mobile phone which has become a necessity as well as its function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according to the ease of portability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content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without a separate security card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Bluetooth technology, and to implement a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by assigning a password using a phone number of a mobile phone.

하지만, 이들은 단일 단말기에 대한 인증만을 거치도록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임의의 단말기 분실시 혹은 비밀번호 노출에 따른 도용시 그 대처방안이 없어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However, since they are implemented only through authentication of a single terminal, there is a continuous problem that high reliability is not provided because there is no countermeasure in case of any terminal loss or theft due to password exposure.

또한, 최근의 정보기술의 전달수단으로 컴퓨터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 서 컴퓨터/망 보안 및 액세스 제어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지문인식, 손모양 인증, 혈관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그리고 발화자 인증 등 주요한 생체 측정 기술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기술이 산업체, 연구기관 및 정책기관의 수출전략 및 연구개발 계획과 정책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살아있는 개인의 신체만이 유일한 보안도구라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고, 나아가 보안도구를 결정하고 인증 및 제어하는 통제결정부가 개별의 인간이므로 생체 인식기술이 보다 유일성을 갖는 보안 인증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In addition, fingerprint, hand, authentication, blood vessel, face, iris, and narrators are gaining popularity in the field of computer / network security and access control in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computers as a mean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recent years. Major biometric technologies, such as certification, have emerged, and these technologies are being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xport strategies, R & D plans and policies of industry, research institutes and policy institutes. Furthermore, scientifically proven that the body of a living individual is the only security tool, and furthermore, since the control decision unit that determines, authenticates, and controls the security tool is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biometric technology is spotlighted as a unique security authentication means. have.

한편, 퍼지이론 [Fuzzy theory]은 1962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쟈데(L.A. Zadeh)교수가 확률이론으로 해결하기 힘든 모호한 양(Fuzzy quantity)을 다루기 위해 전개한 이론을 말하는데, 퍼지이론은 1965년 「Fuzzy Sets」이라는 논문이 발표된 후 체계적으로 발전하였으며 Fuzzy Set 의미도 이제까지의 고전적인 집합론과는 그 개념이 다르게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fuzzy theory is a theory developed in 1962 by Prof. L. A. Zadeh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lifornia, to deal with fuzzy quantitie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with probability theory.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paper, “Fuzzy Sets,” the system was developed systematically. Fuzzy Set's meaning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set theory.

즉, 고전적 집합론은 「1 이든가, 0 이든가」 또는 「YES 이든가, NO 이든가」 등의 확정적인 사상을 대상으로 하는데 대하여 퍼지집합론은 「1 도 0 도 아니다」 또는 「1 에 가깝다」 등의 애매한 사상을 대상으로 하는 집합론이다.In other words, the classical set theory targets definite ideas such as "1, 0" or "YES, NO", and fuzzy set theory is ambiguous, such as "not 1 or 0" or "close to 1". It is a set theory targeting.

이러한 퍼지집합의 대상인 「애매모호성」은 인간에게 있어 본질적인 요소로서, 인간사회의 유일한 정보수단인 대화에 있어서도 'YES 이든가 NO 이든가' 등의 확정적인 표현보다는 '완전한 YES'나 'YES 에 가깝다'라는 등의 애매한 표현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대상은 확정적인 사상은 물론 불확정한 사상까지도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불확정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퍼지이론 이다Ambiguity, which is the object of such a fuzzy set, is an essential element for humans.In dialogue, which is the only means of information in human society, rather than a definite expression such as YES or NO, it is more like 'complete YES' or 'YES'. Ambiguous expressions such as are frequently used. Therefore, the object of information has important value not only in definite ideas but also in indefinite ideas, and the fuzzy theory is to process such indeterminate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습관을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정의하여 퍼지테이블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defining a user's habit of inputting a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or various scenarios, and then create a fuzzy table by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zzy-based door loc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fuzzy water using an input passwor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n input means, or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퍼지기반의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The purpose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such as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In th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 door lock device provides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the fuzzy based control means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지하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도어락의 내외부에 사용자별 비밀번호 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 형태의 버튼을 제공하는 입력수단 과, 상기 검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퍼지연산을 수행하고 저장수단에 기 저장된 퍼지수와 비교하여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자동제어하거나, 유무선 통신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미리 입력된 사용자별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퍼지연산 결과에 의해 생성된 퍼지수와 사용자별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장치제어수단 및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y one or mor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ing it to the control means, and provides a button in the form of letters or numbers to enter the user-specific password or information required for control in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lock Perform fuzzy operation using the input means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input from the detection means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comparing with the purge numbe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manual operation, and storing and providing the previously input user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by the fuzzy calculation result and the user password. Storage means for locking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It provides a fuzzy-based door lock device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or unlocking the door lock directly by controlling the control means and a power supply means for a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main power or emergency power,

(a) 최초 사용자별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별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퍼지연산에 의해 생성된 퍼지수를 사용자별로 등록하는 단계와, (b)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값으로 받아 퍼지연산에 의한 퍼지수를 생성하고 기 저장된 사용자의 퍼지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의 퍼지수에 해당하는 다양한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 receiving an initial user-specific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purge water generated by fuzzy operation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input user-specific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for each user; (b) receiving at least one of a password, an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user as an input value, generating a purge number by fuzzy operation, and comparing the stored number with the stored user's purge number; and (c) the user's purge number Controll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locks corresponding to the door locks;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을 더 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 발명의 제어수단(5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정을 위해 사용되는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입력수단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 또는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또는 보안인증 시스템)나, 사용자마다 고유한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얼굴형태, 눈동자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또는 보안인증 시스템)에 탑재되게 되는데,Control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uthent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input means, such as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commonly used door lock device The door lock device (o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that authenticates the user, or the user's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face shape, eyes, etc. By using the door lock device (o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that performs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lock,

상기 도어락 장치에 탑재된 제어수단(50)은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미리 정의한 시나리오별로 상기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퍼지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The control means 50 mounted on the door lock device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password for each predefined scenario according to a user's habit, and generates and stores a fuzzy table as shown in FIG. 5. Done.

상기 퍼지테이블은 사용자의 습관에 따른 시나리오별 퍼지수를 정의하고 그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미리 정의하여 등록하게 되는데, The fuzzy table defines a purge number for each scenario according to a user's habit, and registers the lock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in advance.

예를 들면, RFID 카드의 식별번호를 입력받고, 오른손 바닥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으면 퍼지수 90으로 할당하고 도어락은 '정상해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행동 을 정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도어락의 행동은 최초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도 설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ID card is inpu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bottom of the right hand is input, the fuzzy number 90 is assigned, and the door lock defines an action to perform the 'normal unlock' operation. Of course, the behavior of the door lock may be set by the original manufacturer, it is preferable that it can also be set by the user.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와 같이 퍼지수와 그에 따른 도어락의 행동을 설정한 퍼지테이블이 미리 등록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생성된 퍼지수는 기 저장된 퍼지테이블의 퍼지수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도어락의 행동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trol means 50 is a fuzzy operation when the purge table setting the purge water and the door lock behavior according to the above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the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password of the user is input by the user. To generate a purge water, the generated purge water is to control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matching door lock compared to the purge water of the pre-stored purge table.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입력수단(10), 생체정보(20), 검지수단(30), 입력수단(40), 제어수단(50), 저장수단(60), 잠금장치 제어수단(70), 전원수단(80), 외부장치 조작부(90), 상태알림수단(1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put means 10, biometric information 20, detection means 30, input means 40, control means 50, storage means 60, lock device control means 70, power supply means ( 80),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unit 90, the status notification means 100 and the like.

상기 입력수단(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정을 위해 사용되는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입력수단(10)은 고유한 식별번호 또는 인증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입력수단(10)에 부여된 식별번호 또는 인증번호를 도어락 장치가 읽어들여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The input means 10 includes an RFID card, a magnetic card, a remote controll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which are used for locking or unlocking a door lock device which is generally used, and the input means 10 h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uthentication. The number is assigned, and the door lock device reads and confirms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authent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input means 10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상기 생체정보(2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로써, 사용자의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얼굴형태, 눈동자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만의 고유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게 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20 is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includes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a palm, an artery, a vein, a heart rate, a temperature, a face shape, and a pupil of the user, and uses the biometric information unique to the use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lock.

상기 검지수단(30)은 상기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지하여 제어수단(5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The detecting means 30 detects one or mor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means to the control means 50.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이동통신단말기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를 읽어들여 제어수단(50)으로 출력하는 검지 회로부(31)와,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얼굴형태, 눈동자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제어수단(50)으로 출력하는 생체정보 인식부(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 detection circuit unit 31 which read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n input means such as an RFID card, a magnetic card, a remote controll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means 50, a fingerprint, a palm, an artery, a vein, a heart rate, a temperature, a face shape, It further comprises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33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user, such as the pupil to the control means (50).

상기 입력수단(40)은 상기 도어락의 내외부에 사용자별 비밀번호 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 형태의 버튼을 제공하는 데,The input means 40 provides a button in the form of a letter or a number so as to enter the user-specific password or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lock,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버튼을 도어의 바깥쪽에 제공하는 외측번호 입력부(41)와, 사용자의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어의 안쪽으로 제공하는 내측번호 입력부(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uter number input unit 41 provides a button such as letters or numbers on the outside of the door so that the user can enter a password, and the inner side provides the inside of the door so that the user's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entered. It further comprises a number input section 43.

상기 제어수단(50)는 퍼지기반의 퍼지회로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검지수단(30)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입력수단(40)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 등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퍼지연산을 수행하고 저장수단(60)에 기 저장된 퍼지수와 비교하여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을 자동제어하거나, 리모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유선전화 등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 means 50 constitutes a fuzzy-based purge circuit, any one of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n input means input from the detecting means 30,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or a password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40. Perform the fuzzy operation using the above and compare the purge numbe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60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lock of the door lock or unlocking the door lock, or us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remote contro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andline telephone or It controls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by manual operation.

상기 제어수단(50)은 사용자별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 는 사용자별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입력값에 따른 시나리오별로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한 후 퍼지연산 회로부로 출력하는 퍼지수 변환회로부(51)와, 상기 퍼지수 변환회로부(51)에서 입력된 퍼지수와 기 저장된 퍼지수와 비교하여 기 정의된 다양한 도어락 장치의 잠금 또는 도어락 장치의 해정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퍼지연산 회로부(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50 performs a fuzzy operation for each scenario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for each use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user-specific password to generate a fuzzy water after the fuzzy operation circuit unit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lock of the various door lock device or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device in comparison with the purge water conversion circuit unit 51 and the purge water input from the purge water conversion circuit unit 51 and the stored purge water It further comprises a fuzzy calculation circuit unit 53 for outputting the.

특히,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도어락의 해정 및 잠금에 따른 정보를 외부에 알리거나 경보장치, 조명장치, 녹화장치, 실내 온도조절 장치, 가스제어장치, 창문도어, 환풍기 등 도어락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외부장치 조작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particular, the control means 50 is notified to the outside of the information on the unlocking and locking of the door lock or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such as an alarm device, lighting device, recording device, room temperature control device, gas control device, window door, venti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device operation unit 90 for directly controlling any one or more of the external devices.

상기 저장수단(60)은 미리 입력된 사용자별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퍼지연산 결과에 의해 생성된 퍼지수와 사용자별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orage means 60 stores and provides the user's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for each user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which is generated by the fuzzy calculation result and the user-specific password.

상기 잠금장치 제어수단(70)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locking device control means 70 performs a role of controlling the lock of the door lock 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o perform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release of the door lock.

상기 잠금장치 제어수단(70)은 입력수단에 제공되는 특정버튼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원터치 잠금장치제어부(71)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원격 잠금장치제어부(73)와, 사용자 직접 도어락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동 잠금장치제어부(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 device control unit 70 is a one-touch lock device control unit 71 performs a lock or unlock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a specific button provided on the input means, and remotely lock or unlock the door lock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further comprises a remote lock control unit 73 for controlling and a manual lock device control unit 75 provided to perform th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user directly door lock.

상기 전원수단(80)은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80 serves to apply power to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main power or emergency power.

상기 상태알림수단(100)은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에 따른 해당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가족에게 알리거나 위급 또는 비상해정에 따른 경보신호를 해당 경비담당자, 소방서 또는 경찰서 등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ate notification means 100 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50 to inform the family or alert the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emergency or emergency release Notify personnel, fire or polic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퍼지수의 행동을 정의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that defines the behavior of purg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3 and 5 in more detail,

최초 도어락 장치를 설치한 후 전원을 온(ON)하여 사용자별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별 습관에 따른 퍼지테이블을 생성하여 등록하게 된다(S302).After installing the first door lock device, the power is turned on to input a user passwor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n input means, o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generate and register a fuzzy table according to a user's habit (S302).

먼저, 최초 사용자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이동통신단말기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나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얼굴형태, 눈동자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자의 습관에 따른 시나리오별로 검지수단(30)과 입력수단(40) 중 내측번호 입력부(43)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S304),First, the first user is any one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password,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face shape, eyes, etc. When inputting one or more through the inner number input unit 43 of the detection means 30 and the input means 40 according to the scenario according to the habit of the user (S304),

상기 시나리오별로 입력된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퍼지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수단(60)에 등록게 된다(S306). By using any one or more of a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input for each scenario, a fuzzy table as shown in FIG. 5 is generated and registered in the storage means 60 (S306).

즉, 예를 들면, 내부 온도센서의 온도가 100도씨 이상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면 퍼지수 100으로 주고 위급해정 및 119에 통보하도록 정의하고,That is, for example, if it detect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rises by more than 100 degrees Celsius, it is given to the purge water 100 and defined to notify the emergency release and 119,

모뎀에 의한 전화번호, 비밀번호 입력, 무선리모콘이나 원터치 버튼, 수동조작에 의한 입력이거나 입력수단 중 RFID 카드와 오른손바닥의 입력이면, 퍼지수를 90으로 주고, 노약자에 의한 비상해정으로 판단하거나 정상해정으로 판단하여 도어락의 자동 해정 및 해정 정보를 가족들에게 통보하도록 정의하고,If the phone number is input by modem, password input, wireless remote control or one-touch button, manual operation, or the input of RFID card and right hand of input means, give fuzzy number of 90 and judge it as emergency release by senior citizen or normal release Judge to define the automatic un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to the family,

입력수단 중 RFID 카드 분실, 비밀번호 입력 및 오른손바닥의 입력이면, 퍼지수를 80으로 주고 접근방법 일부 분실에 의한 비상해정으로 판단하여 도어락의 자동 해정 및 해정정보를 가족들에게 통보하도록 정의하고,If the input means RFID card loss, password input and right palm input, the fuzzy number is set to 80 and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release due to the partial loss of access method, and it is defined to notify the family of automatic unlocking and release information of door lock,

입력수단 중 무력적 가용에 의한 출입, RFID 카드 입력 및 왼손바닥 입력 또는 이상행동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등이면 외부압력에 의한 비상접근으로 판단하여 도어락의 자동잠금 및 112에 통보하거나 경비담당자에게 통보하도록 정의하고,If the input means access by force, RFID card input, left palm input or password input according to abnormal behavior, it is determined as emergency access by external pressure, and it is defined as automatic lock of door lock and 112 or notified to security officer. and,

도어락의 잠금장치 확인 후 오른손바닥 또는 주어진 시간까지 비밀번호 입력이 없으면 퍼지수를 40으로 주고 이중잠김으로 판단하여 도어락의 이중잠금장치를 가동하도록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checking the lock of the door lock, if there is no password input by the right hand or a given time, it is possible to define a fuzzy water of 40 and determine the double lock to operate the double lock of the door lock.

물론, 상기 퍼지테이블의 정의는 최초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정의할 수가 있고, 상기에서 정상해정 및 잠금이면 외부장치 조작부(90)를 제어하여 가정집이나 특정지역 내에 있는 경보장치, 조명장치, 녹화장치, 보일러, 에어컨, 가스제어장치, 창문도어 등을 개폐하도록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Of course, the definition of the fuzzy table may be set by the first manufacturer, but can be defined by the user, if the normal unlocking and locking in the above, by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unit 90, alarm devices, lighting in a home or a specific area It is possible to make a reservation to open and close the device, the recording device, the boiler, the air conditioner, the gas control device, and the window door.

또한,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결과에 따른 학습행동점수를 퍼지수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learning can be performed using any one or more of a user's passwor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or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behavior score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 can be reflected in the fuzzy number.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퍼지테이블을 생성하여 등록한 후,After creating and registering the fuzzy table through the above process,

상기 검지수단(30)과 입력수단(40)을 통하여 사용자의 비밀번호,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이동통신단말기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나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얼굴형태, 눈동자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S308), Through the detection means 30 and the input means 40,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fingerprint of the user's password,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face shape If any one or more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input, such as pupils (S308),

상기 제어수단의 퍼지수 변환회로부(510)는 입력된 사용자의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여 퍼지연산 회로부(53)에 전달하게 된다(S310).The fuzzy number converting circuit unit 510 of the control means performs a fuzzy operation using any one or more of an input user's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to generate a fuzzy water and transmit the generated fuzzy number to the fuzzy calculation circuit unit 53. (S310).

상기 퍼지연산 회로부(53)는 생성된 퍼지수와 상기 저장수단(60)에 기 저장된 퍼지테이블의 퍼지수와 비교하게 되고(S312),The purge calculation circuit unit 53 compares the generated purge water with the purge water of the purge tabl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60 (S312),

상기 생성된 퍼지수와 퍼지테이블의 퍼지수가 일치하는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S314).The oper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lock in which the generated purge water coincides with the purge number of the purge table is performed (S314).

이하, 상기 S312계 및 S314단계를 일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eps S312 and S3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하는 세부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method of controlling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in more detail,

먼저, 가정집 또는 특정 지역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실내 온도가 100도씨 이상 올라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센서의 입력값을 이용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퍼지수가 100이면(S402),Firs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rises by more than 100 degrees Celsius using a sensor in a home or a specific area, the control means 50 performs a fuzzy operation using the input value of the sensor to generate purge water. If the purge number is 100 (S402),

화재에 의한 위급해정으로 판단하고(S404), 기 설정된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고 상태알림수단(100)을 통하여 외부로 위급해정임을 알리게 되고, 또한 119에 통보하게 된다(S406).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release by the fire (S404), and performs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preset door lock and informs the emergency release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atus notification means 100, and also to notify the 119 (S406).

만약, 모뎀에 의한 전화번호, 비밀번호 입력, 무선 리모콘이나 원터치 버튼, 수동조작에 의한 입력이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상접근 방법인 RFID 카드의 식별번호 입력 및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오른 손바닥 입력이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RFID 카드의 식별번호 및 사용자의 오른 손바닥 입력값을 이용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퍼지수가 90 이상이면(S408),If the phone number, password input, wireless remote control or one-touch button, manual operation input by the modem or the user inpu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ID card, which is a normal access method previously set, and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e right palm input. The control means 50 generates a purge water by performing a fuzzy opera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ID card and the user's right palm input value, if the purge number is 90 or more (S408),

노약자에 의한 비상해정으로 판단하거나 정상해정으로 판단하여(S410),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고 해정 정보를 가족들에게 단문메시지 등을 통해 통보하게 된다(S412).Judging by the emergency release by the elderly or determined to be normal (S410), performs the lock operation of the door lock and informs the family through the short message to the unlock information (S412).

또한, 정상해정이면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보장치, 조명장치, 녹화장치, 보일러, 에어컨, 가스제어장치, 창문도어 등 기 저장된 외부장치 조작에 관한 예약 설정이 되었는가를 확인하게 되고(S414), 기 설정된 해당 외부장 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416).In addition, if the normal unlocking is performed to unlock the door lock and at the same time check whether the reservation setting for the operation of the stored external devices such as alarm device, lighting device, recording device, boiler, air conditioner, gas control device, window door and so on (S414) ), The preset external device operation is performed (S416).

만약, 사용자가 RFID 카드를 분실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오른 손바닥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오른 손바닥 입력값을 이용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퍼지수가 80이상이면(S418),If the user loses the RFID card, inputs a password and inputs the right palm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e control means 50 performs a fuzzy operation using the password and the user's right palm input value to purge water. To generate, if the purge number is 80 or more (S418),

사용자가 정해진 접근방법을 분실한 접근방법 분실에 의한 비상해정으로 판단하게 되고(S420),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고 해정 정보를 가족들에게 단문메시지 등을 통해 통보하게 된다(S422).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unlock by the lost access method lost access method (S420), perform the lock operation of the door lock and inform the family of the unlock information through a short message (S422).

만약, 외부 침입자나 외부의 협박에 의해 RFID 카드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왼 손바닥을 입력하거나, 이상행동에 따른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RFID 카드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왼 손바닥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값을 이용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퍼지수가 70이상이면(S424), If the RFID card is input by an external intruder or an external threat and the left palm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input or a password is input according to an abnormal behavior, the control means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ID card and the left palm of the user. Alternatively, the fuzzy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input value of the password to generate the fuzzy water, and if the fuzzy number is 70 or more (S424),

사용자의 정상적인 접근방법이 아니라 외부 침입자나 외부압력에 의한 비상접근으로 판단하여 도어락의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112에 통보하거나 경비담당자에게 통보하게 된다(S428).It determines the emergency approach by the external intruder or external pressure rather than the normal approach of the user to perform the lock operation of the door lock, and notify 112 or the security officer (S428).

만약, 도어락의 잠금장치 확인 후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오른 손바닥 또는 주어진 시간까지 비밀번호 입력 및 RFID 카드입력 등이 있으면, 상기 제어수단은 도어락의 잠금장치 정보, 사용자의 오른 손바닥 입력값을 이용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퍼지수가 40이면(S430),If, after checking the lock of the door lock, if there is a password input and RFID card input to the right palm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or a given time, the control means performs the fuzzy operation using the lock devic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the user's right palm input value. When the purge water is generated, the purge water is 40 (S430),

도어락의 이중잠금으로 판단하여(S432), 도어락의 이중잠금 동작을 수행하고(S434),Judging by the double lock of the door lock (S432), and performs a double lock operation of the door lock (S434),

동시에 경보장치, 조명장치, 녹화장치, 보일러, 에어컨, 가스제어장치, 창문도어 등 기 저장된 외부장치 조작에 관한 예약 설정이 되었는가를 확인하게 되고(S436), 기 설정된 해당 외부장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S438). At the same time, it is checked whether a reservation is set for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alarm device, a lighting device, a recording device, a boiler, an air conditioner, a gas control device, and a window door (S436). (S438).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및 제어방법은, 입력방법에 따른 사용자의 습관을 퍼지테이블로 정의하고,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퍼지수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입력수단을 분실하거나 사용자의 신상에 변동이 생기더라도 새로운 입력수단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As described above, the fuzzy-based door 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 a user's habit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as a fuzzy table, generate a fuzzy number by receiving a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and perform user authentication. If you lose your input means or change your identity, you don't need to replace them.

또한, 입력수단 분실시 혹은 비밀번호 노출에 따른 도용시에도 사용자 인증의 높은 신뢰성, 정확도 및 보안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high reliability, accuracy and security of user authentication even when the input means lost or stolen by the password exposure.

Claims (10)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In the door lock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such as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etc.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입력된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퍼지기반의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The door lock device is a fuzzy-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the fuzzy-based control means using the input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In the door lock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such as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etc.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지하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검지수단;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an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number to the control means; 상기 도어락의 내외부에 사용자별 비밀번호 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 형태의 버튼을 제공하는 입력수단;Input means for providing a button in the form of a letter or a number so as to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a user's password or control into and out of the door lock; 상기 검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퍼지연산을 수행하고 저장수단에 기 저장된 퍼지수와 비교하여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자동제어하거나, 유무선 통신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락 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Perform fuzzy opera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input from the detection means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comparing with the purg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r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or manual opera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미리 입력된 사용자별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퍼지연산 결과에 의해 생성된 퍼지수와 사용자별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저장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and providing a user-generate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previously inputted by a fuzzy calculation result and a user-specific password;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장치제어수단; 및Locking device control means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o perform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or unlocking the door lock; And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device using a main power source or an emergency power source;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means 사용자별 식별번호,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별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입력값에 따른 시나리오별로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퍼지수를 생성한 후 퍼지연산 회로부로 출력하는 퍼지수 변환회로부; 및A fuzzy number conversion circuit unit for generating fuzzy water by performing fuzzy operation for each scenario according to an input value using at least one of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user,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a user's password; And 상기 퍼지수 변환회로부에서 입력된 퍼지수와 기 저장된 퍼지수와 비교하여 기 정의된 다양한 도어락 장치의 잠금 또는 도어락 장치의 해정 동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퍼지연산 회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A fuzzy calculation circui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lock of various door lock devices or a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by comparing the purge water inputted from the purge water conversion circuit unit with pre-stored purge water; Fuzzy-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 means 상기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에 따른 정보를 외부에 알리거나 경보장치, 조명장치, 녹화장치, 실내 온도조절 장치, 가스제어장치, 창문도어, 환풍기 등 도어락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외부장치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Inform the outside information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lock to the outside or directly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such as an alarm device, lighting device, recording device, room temperature control device, gas control device, window door, ventilator A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device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cting means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를 검출하여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검지 회로부; 및A detection circuit unit for detect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n input means such as an RFID card, a magnetic card, a remot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a control means; And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생체정보 인식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uch as a fingerprint, a palm, an artery, a vein, a heart rate, and a temperature to a control means; Fuzzy-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means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버튼을 도어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번호 입력부; 및An outer number input unit for installing a button such as letters or numbers on an outer side of the door so that a user may input a password; And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버튼을 제공하고, 외부와의 무선통신을 기능을 제공하며,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어 사용자별 비밀번호 설정, 아이디(ID)설정 또는 시나리오 설정 등을 수행하는 내측번호 입력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It provides buttons such as letters or numbers to input the user's password, provides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to set password for each user, ID (ID) setting or scenario setting. An inner number input unit to perform; Fuzzy-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제어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device control means 입력수단에 제공되는 특정버튼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원터치 잠금장치제어부; One-touch locking device control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lock by a specific button provided to the input means; 유선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원격 잠금장치제어부; 및A remote locking devic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사용자 직접 도어락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동 잠금장치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A manual locking device control unit provided to perform a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directly by the user; Fuzzy-based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RFID 카드, 마그네틱 카드, 리모콘 등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지문, 손바닥, 동맥, 정맥, 심박수, 온도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door lock device control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such as RFID card, magnetic card, remote control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palm, artery, vein, heart rate, temperature, etc. (a) 최초 사용자별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별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퍼지연산에 의해 생성된 퍼지수를 사용자별로 등록하는 단계;(a) receiving an initial user-specific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and registering purge water generated by fuzzy operation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input user-specific password, identification number or biometric information for each user; (b)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값으로 받아 퍼지연산에 의한 퍼지수를 생성하고 기 저장된 사용자의 퍼지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b) receiving at least one of a password,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biometric information from an user as an input value to generate a purge number by fuzzy operation and comparing the stored number with the stored user's purge number; And (c) 상기 사용자의 퍼지수에 해당하는 다양한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c)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various door locks or the unlocking operations of the door locks corresponding to the purge water of the user;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tep (a)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수단의 식별번호 또는 생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결과에 따른 학습행동점수를 퍼지수에 반영하거나, 또는 퍼지수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또는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Learning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user's passwor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put means or biometric information and reflect the learning behavior score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 in the fuzzy water, or lock the door lock or unlock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fuzzy water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inpu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tep (c) (c-1) 만약, 상기 퍼지수가 접근방법 분실에 해당되는 외부비상시 해정이면 비상해정 정보를 가족에게 통보하거나 상기 퍼지수가 외부압력에 의한 외부비상시 해정이면 비상해정 정보를 경비담당자에게 알리는 단계;(c-1) if the purge water is an external emergency release corresponding to a lost access method, notifying the emergency release information to a family or notifying the security officer of the emergency release information if the purge water is released during an external emergency by external pressure; (c-2) 만약, 상기 퍼지수가 화재에 의한 내부비상시 해정이면, 위급해정 정보 및 화재경보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퍼지수가 노약자에 의한 내부비상시 해 정이면 정상해정을 판단하여 도어락의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c-2) If the purge water is released during internal emergency by fire, the emergency release information and fire alarm are output to the outside or when the purge water is released during internal emergency by the elderly, the normal lock is determined and the door lock is released. Performing; (c-3) 만약, 상기 퍼지수가 이중잠금에 해당되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이중잠금하는 단계; 및(c-3) if the purge water corresponds to a double lock, double locking the door lock device; And (c-4) 만약, 퍼지수가 정상해정이고 예약설정이 되어 있다면, 외부장치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외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반의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c-4) if the purge number is normally set and the reservation is se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t external device by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Fuzzy based door lock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060094066A 2006-09-27 2006-09-27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KR200800285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066A KR20080028595A (en) 2006-09-27 2006-09-27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066A KR20080028595A (en) 2006-09-27 2006-09-27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595A true KR20080028595A (en) 2008-04-01

Family

ID=3953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066A KR20080028595A (en) 2006-09-27 2006-09-27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859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7017A (en) * 2018-07-24 2018-11-23 北京建筑大学 Intelligent door lock and control method based on cloud platform
KR20200014521A (en) * 2018-08-01 2020-02-11 기 동 조 A Operating Equipment of Window Exhaust Smoke Locking and Gas Valve on-off Apparatus used of Door Lock
WO2023277210A1 (en)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Smart door lock based on revocable biometric technolog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7017A (en) * 2018-07-24 2018-11-23 北京建筑大学 Intelligent door lock and control method based on cloud platform
KR20200014521A (en) * 2018-08-01 2020-02-11 기 동 조 A Operating Equipment of Window Exhaust Smoke Locking and Gas Valve on-off Apparatus used of Door Lock
WO2023277210A1 (en)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Smart door lock based on revocable biometric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558B2 (en) Biometric verification and du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7818583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JP2006209642A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JP2007327253A (en) Storage box with biological feature authenticating function
KR20080028595A (en) The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fuzzy-logic
JP2020077148A (en) Security system and control program
KR100564996B1 (en) Door Lock Providing Multiple Authentication
TWI729657B (en) Security system
Hossain et al. A prototype of automated vault locker solu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
TWI452204B (en) Security system with mulitple safety control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ecurity signals
JP2006048470A (en) Personal id detecting apparatus
JP2008009600A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processing device,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program
CA2629271C (en) A biometric verification and du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040098725A (en) Method for opening the door-lock apparatus by authentication keys
TWI715391B (en) Security system
JP2004116024A (en) Electric_lock control device
Alam et al. IoT Based Biometrie Home Security Managemant and Alert System
KR200217982Y1 (en) Door opening-shutting apparatus using fingerprints and key recognition
KR102087521B1 (en) A Password changing apparatus of Digital doorlock
Mostafa et al. Smart Gateway Receptionist with Smart Security System for Bank Vault
TW201812158A (en) Electronic lock with hand shape identification
Premalatha et al. A 2-Way Verification Process using One Time Password Key for Home Authentication System
ReddiRani et al. IoT Based Bank Locker System using Finger Print and OTP
KR101633393B1 (en) Enhanced security triple locking system having dual keypad
JP5925088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