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421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421A
KR20080027421A KR1020060092484A KR20060092484A KR20080027421A KR 20080027421 A KR20080027421 A KR 20080027421A KR 1020060092484 A KR1020060092484 A KR 1020060092484A KR 20060092484 A KR20060092484 A KR 20060092484A KR 20080027421 A KR20080027421 A KR 20080027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국
강하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7421A/ko
Publication of KR2008002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전압제어신호 발생부와 전압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제어신호 발생부는 조도 감지부와 구동모드 선택부를 포함한다. 조도 감지부는 주변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주변조도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모드 선택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경과시간을 나타내는 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주변 조도 및 상기 구동경과시간의 시간변화에 따라 제 1 구동전압과 제 2 구동전압이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그러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P1020060092484
AVDD, 아날로그 구동전압, 조도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압 제어부의 내부 구성과 상기 전압 제어부와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전압 조정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광은 태양 또는 조명등에 의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외 부광이거나,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내부광일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광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의 밝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외부광이 충분한 곳에서는 외부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지만, 외부광이 부족한 곳에서는 내부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더 구비한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고정된 휘도를 사용한다. 이 고정된 휘도는 표시장치의 주변 조도가 높은 밝은 장소나 주변조도가 낮은 어두운 장소에서나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주변조도가 낮은 어두운 장소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휘도를 다소 낮게 설정하여도 충분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휘도를 사용하는 관계로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원 공급부, 전압제어신호 발생부, 전압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구동부, 백라이트부 및 표시패널을 구비한다. 전원 공급부는 제 1 구동전압, 제 2 구동전압 및 제 3 구동전압을 발생한다.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는 현재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에 대응하는 주변 조도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비교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경과시간을 나타내는 모드 선 택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 및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신호 및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계조 데이터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전압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2 구동전압 및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계조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백라이트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제 3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하고, 상기 전압제어부로부터의 제 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광을 입력받고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주변 조도 및 상기 구동경과시간의 시간변화에 따라 제 1 구동전압(Vdim)과 제 2 구동전압(AVDD)이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정표시장치는 전체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예로 들어 기술된다. 액정표시장치는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 액정을 주입한 표시장치로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인가시 상기 액정에 포함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에서 기술되는 신호들의 제 1 논리 상태는 논리 레벨 로우 상태('L')로 정의하며, 제 2 논리 상태는 논리 레벨 하이 상태(H)로 정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전원 ㄱ공급부(200), 전압제어신호 발생부(300), 전압 제어부(400), 타이밍컨트롤러(500), 액정표시모듈(600), 및 백라이트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00, 또는 '파워 서플라이'라고도 칭함)는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구동전압은 제 1 구동전압(Vdim), 제 2 구동 전압(AVDD) 및 제 3 구동 전압(Vin)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전압(Vdim) 및 상기 제 3 구동전압(Vin)은 백라이트부(700)로 제공되며, 상기 제 2 구동전압(AVDD)은 액정표시모듈(600)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구동전압(Vdim) 및 상기 제 3 구동전압(Vin)은 백라이트부(700)의 램프구동부(또는 '인버터')로 제공되는 전압으로서, 디밍신호(DIMM)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DC 레퍼런스 전압이다. 여기서, 상기 디 밍신호(DIMM)는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로서, 일정 듀티(DUTY)값을 갖는 디지털 신호이다. 상기 제 3 구동전압(Vin)은 백라이트부(700)의 램프부(720)로부터 광을 생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DC 전압으로서, 상기 램프 구동부(710)로 입력되어 일정과정을 거쳐 교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 2 구동전압(AVDD)은 액정표시모듈(600)의 데이터 구동부(630)의 아날로그 회로를 구동하는 아날로그 구동전압이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상기 제 1 구동전압(Vdim)과 상기 제 2 구동전압(AVDD)을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동방식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주변 환경(구체적으로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전압(Vdim)과 상기 제 2 구동전압(AVDD)이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전체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소비전력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동방식을 제안한다.
계속해서,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300)는 액정표시장치(100)가 동작됨에 따라 센싱 신호(SEN)와 모드 선택신호(MOD)를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상기 센싱 신호(SEN)와 모드 선택신호(MOD)는 전압 제어부(400)와 타이밍 컨트롤러(500)로 각각 제공된다.
상기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300)는 현재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조도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비교하여 센싱신호(SE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200)의 구동경과시간을 나타내는 모드 선택신호(MOD)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 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300)는 조도 감지부(310)와 구동모드 선택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 감지부(310)는 조도 감지센서(312) 및 비교기(314)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 감지센서(312)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314, COM)는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REF)과 조도 감지센서(312)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IL)를 입력받고 이 두 개의 입력신호를 비교하여 센싱신호(SEN)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조도값(REF)은 액정표시장치(100)의 주변환경의 밝기와 어두움의 경계값을 나타내는 기준으로써, 사용자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신호(SEN)는 두 개의 논리 상태를 갖는 일종의 구형 펄스로서, 제 1 논리 레벨(논리 'L')을 갖는 제 1 센싱 신호(sen1)와 상기 제 1 논리상태의 반전된 제 2 논리 레벨(논리 'H')을 갖는 제 2 센싱 신호(sen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기(314)는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값(IL)이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높은 경우 제 1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낮은 경우 제 2 센싱 신호(sen2)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도 감지부(310)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의 주변 조도가 밝은 경우, 제 1 논리 상태의 제 1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변 조도가 어두운 경우, 상기 제 1 논리 상태의 반전된 제 2 논리 상태의 제 2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조도 감시센서(312)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광 감도(light sensitivity) 또는 허용 오차 매개변수에 근거하여 적절한 광센서를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기 광센서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등록된 상품(즉 상용 제품), 주문 형태 또는 특허권이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센서라는 용어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현재 이용 가능하고 추후에 개발될 이 분야에서 공지된 광센서 구조 또는 회로를 포함하도록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모드 선택부(32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경과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기준 경과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논리 상태를 갖는 모드 선택신호(MOD)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드 선택부(320)는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의 클록신호를 받을 때마다 내부 레지스터의 값이 증가하고, 이 증가된 값이 미리 지정된 값(기준 경과시간)에 도달하면 일정 펄스(MOD)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지정된 값 즉, 기준 경과시간은 사용자 등에 의해 다양한 값을 설정되어 상기 타이머(322)에 입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경과시간은 1 시간으로 설정되며, 상기 1 시간에 대응한 미리 지정된 값이 상기 타이머(320)에 기입된다.
상기 모드 선택신호(MOD)는 일종의 구형 펄스로서, 제 2 논리레벨(논리 'H')을 갖는 제 1 모드 선택신호(mod1)와 상기 제 2 논리레벨(논리 'L')을 갖는 제 2 모드 선택신호(mod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드 선택부(320)는 전원 공급부(200)의 구동 경과시간이 기준경과 시간보다 작은 경우 제 1 모드 선택신호(mod1)를 출력하며, 구동 경과시간이 기준경과시간보다 큰 경우 제 2 모드 선택신호(mod1)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구동모드 선택부(3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모드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단기 구동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장기 구동모드로 구별된다. 각 구동모드 별로 서로 다른 구동방식을 갖는다. 상기 단기 구동모드는 많은 응용제품에서 채택하고 있는 절전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제어부(400)는 상기 전압제어신호 발생부(300)로부터의 상기 센싱신호(SEN(sen1/sen2)) 및 모드선택신호(MOD(mod1/mod2))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압(Vdim, AVDD)을 가변하여 지정된 장소로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압 제어부(400)의 내부 구성과 상기 전압 제어부(400)와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300)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제어부(400)는 제 1 전압 조정부(410)와 제 2 전압 조정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압 조정부(410)는 조도 감지부(300)로부터의 상기 센싱신호(sen1 또는 sen2)와 상기 모드 선택신호(mod1 또는 mod2)를 각각 입력받아 제 1 구동전압(Vdim)을 조정한다.
상기 제 2 전압 조정부(420)는 조도 감지부(300)로부터의 모드 선택신호(mod1 또는 mod2)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구동전압(AVDD)을 조정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전압 조정부(41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 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압 조정부(410)는 2개의 제어단자(OE1, OE2)와 4개의 포트(A1, A2, B1, B2)를 구비하며,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2개의 포트(A1, B1)를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제 1 스위칭부(S1)와 나머지 2개의 포트(A2, B2)를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제 2 스위칭부(S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단자(OE1)는 조도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도 감지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sen1 또는 sen2)를 입력받는다. 나머지 제어단자(OE2)는 구동모드 선태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드 선택부(320)로부터 출력되는 모드 선택신호(mod1 또는 mod2)를 입력받는다.
상기 2개의 포트(A1, A2)는 전원 공급부(200)로부터의 제 1 구동 전압(Vdim)을 전송하는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나머지 2개의 포트(B1, B2)는 접지 전압(VSS)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2개의 포트(B1, B2)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는 R1과 R2로 이루어진 부하소자(저항)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R1과 상기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칭부(S1)는 상기 제어단자(OE1)를 통해 입력되는 센싱 신호(sen1/sen2)의 논리 상태에 따라 단락 또는 단선의 스위칭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자(OE1)를 통해 제 1 논리 상태(논리 레벨'L')의 제 1 센싱 신호(sen1)가 입력되면, 제 1 스위칭부(S1)의 A1포트와 B1포트는 단선된다. 반면에 제 2 논리 상태(논리 레벨'H')의 제 2 센싱 신호(sen2)가 입력되면, 제 1 스위칭부(S1)의 A1포트와 B1포트는 단락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단자(OE2)를 통해 제 1 논리 상태(논리 레벨 'L' 또는 '0')의 제 1 모드선택 신호(mod1)가 입력되면, 제 2 스위칭부(S2)의 A2포트와 B2포트는 단선된다. 반면에 제 2 논리 상태(논리 레벨 'H' 또는 '1')의 제 2 모드선택 신호(sen2)가 입력되면, 제 2 스위칭부(S2)의 A2포트와 B2포트는 단락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전압 조정부(410)는 입력되는 센싱 신호와 모드 선택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B1 포트와 B2 포트에 연결된 각 저항소자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전압레벨로 조정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전압 조정부(420)는 상술한 제 1 전압 조정부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어지며, 다만, 1개의 제어단자(OE2)와 2개 포트(A2, B2)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압 조정부(410)와 동일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전압 조정부(420)는 제어단자(OE1)를 통해 구동모드 선택부(320)로부터 출력되는 모드 선택신호(mod1/mod2)의 논리 상태에 따라 A1포트와 B1포트의 연결상태가 결정된다. 즉, 상기 제 2 전압 조정부의 제어단자(OE1)를 통해 제 1 논리 상태('L' 또는 'O')의 제 1 모드 선택신호(mod1)가 입력되면, A1포트와 B1포트는 단선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전압 조정부의 제어단자(OE1)를 통해 제 2 논리 상태('H' 또는 '1')의 제 2 모드 선택신호(mod1)가 입력되면, A1포트와 B1포트는 단락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500)는 외부(그래픽 제어기)로 부터의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액정표시패널(610)을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센싱신호 및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계조 데이터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600)은 표시패널(610)과 구동부(620, 63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610)은 광을 입력받아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구동신호는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게이트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620, 630)는 게이트 구동부(620)와 데이터 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패널(610)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630)는 상기 계조전압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계조 전압과 타이밍 컨트롤러(5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CNT1)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패널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630)는 전압제어부(400)에 의해 조정된 제 1 구동전압(AVDD)의 전압레벨에 따라 표시패널(610)의 휘도가 제어된다.
상기 백라이트부(700)는 광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패널(610)로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부(700)는 램프 구동부(710)와 램프부(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구동부(710)는 전압제어부(400)로부터 조정되는 제 1 구동전압(Vdim)과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 3 구동전압(Vin)에 응답하여 램프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램프부(720)는 상기 출력된 램프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전압 제어부(400)에 의해 조정된 제 2 구동전압(Vdim)에 의해 상기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 공급부(200)의 구동경과시간이 기준경과시간(REF, 본 예에서는 1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를 단기 구동모드로 정의하며, 전원 공급부(200)의 구동경과시간이 기준경과시간(REF, 본 예에서는 1 시간)을 초과한 경우를 장기 구동모드로 정의한다.
액정표시장치(100)의 주변 조도값(IL)이 기준 조도값(REF)보다 높은 경우, 먼저, 액정표시장치(100)가 단기 구동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제 1 구동전압(Vdim)은 저항 R2(도 3의 제 1 전압 조정부(410)를 참조)에 연결되어 제 1 전압레벨(V1)로 조정되어 램프 구동부(710)로 제공된다.
이후, 액정표시장치(100)가 장기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구동전압(Vdim)은 저항 R1 및 저항 R2에 모두 단선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전압레벨(V1) 보다높은 제 2 전압레벨(V2)로 조정된다(V1<V2).
한편, 제 2 구동전압(AVDD)은, 액정표시장치(100)가 단기 구동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저항 R3에 연결되어 제 4 전압레벨(V4)로 조정된다. 이후, 액정표시장치(100)가 장기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2 구동전압은 상기 제 4 전압레벨(V4)보다 낮은 제 5 전압레벨로 조정된다.
액정표시장치(100)의 주변 조도값(IL)이 기준 조도값(REF)보다 낮은 경우, 먼저, 액정표시장치(100)가 단기 구동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제 1 구동전압(Vdim)은 저항 R2 및 저항 R1에 모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압레벨(V2)보다 더 낮은 제 3 전압레벨(V3)로 조정된다.(V2>V3)
이후, 액정표시장치(100)가 장기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구동전 압(Vdim)은 저항 R1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압레벨(V1)로 조정된다.
한편, 제 2 구동전압(AVDD)은 앞서 기술된 액정표시장치(100)의 주변 조도값(IL)이 기준 조도값(REF)보다 높은 경우에서와 동일하게 조정된다.
정리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주변조도가 밝은 경우, 제 1 구동전압이 단기 구동모드에서 저레벨(V1)로 유지되다가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장기 구동모드로 전환되면, 고레벨(V2)로 바뀐다. 반대로 제 2 구동전압은 단기 구동모드에서 고레벨로 유지되다가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장기 구동모드로 전환되면 저레벨로 유지된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의 주변조도가 밝은 경우, 제 1 구동전압이 단기 구동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전압(V1) 보다 더 낮은 저레벨(V3)로 유지되다가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장기 구동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V3보다 높은 고레벨(V1)로 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조도가 밝은 장소에서 각 구동 전압의 전압 상태와 전압제어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논리레벨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AVDD Vdim 조도 센서부 구동모드선택부
단기구동모드 V4(제4전압레벨) V1(제1전압레벨) L H
장기구동모드 V5(제5전압레벨) V2(제2전압레벨) L L
여기서, V1<V2 이고 V4>V5
아래의 표 2는 주변조도가 어두운 장소에서 각 구동전압의 전압상태와 전압제어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논리레벨을 나타낸다.
AVDD Vdim 조도 센서부 구동모드선택부
단기구동모드 V4(제4전압레벨) V3(제3전압레벨) H H
장기구동모드 V5(제5전압레벨) V1(제1전압레벨) H L
여기서, V3<V1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주변 조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라 2개의 구동전압(Vdim, AVDD)를 상보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조도 감지부와 구동모드 선택부를 포함한다. 조도 감지부는 주변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주변조도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모드 선택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경과시간을 나타내는 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주변 조도 및 상기 구동경과시간의 시간변화에 따라 제 1 구동전압(Vdim)과 제 2 구동전압(AVDD)이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체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 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 1 구동전압, 제 2 구동전압 및 제 3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부;
    현재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에 대응하는 주변 조도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비교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경과시간을 나타내는 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전압제어신호 발생부;
    상기 센싱신호 및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전압 제어부;
    상기 센싱신호 및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계조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전압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2 구동전압 및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계조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제 3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하고, 상기 전압제어부로부터의 제 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을 제어하는 백라이트부; 및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광을 입력받고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높은 경우 제 1 센싱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낮은 경우 제 2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감지부; 및
    상기 구동경과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경과시간보다 작은 경우 제 1 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구동경과시간이 상기 기준경과시간보다 큰 경우 제 2 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신호는 논리 로우의 제 1 논리 레벨이며, 상기 제 2 센싱신호는 논리 하이의 제 2 논리 레벨이고,
    상기 제 1 모드 선택신호는 상기 제 2 논리 레벨이며,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는 상기 제 1 논리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 선택부는 상기 구동경과시간이 상기 기준 경과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기준경과시간은 1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와 상기 모드 선택신호 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구동전압을 가변하는 제 1 전압 조정부; 및
    상기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가변하는 제 2 전압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조정부는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높은 경우 제 1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구동전압을 제 1 전압레벨로 조정하고,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구동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레벨보다 높은 제 2 전압레벨로 조정하고,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낮은 경우 제 1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구동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레벨보다 낮은 제 3 전압레벨로 조정하며,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구동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레벨로 조정하며,
    상기 제 2 전압 조정부는
    상기 제 1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제 4 전압레벨로 조정하며,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상기 제 4 전압레벨보다 낮은 제 5 전압레벨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신호는 논리 로우의 제 1 논리 레벨이며, 상기 제 2 센싱신호는 논리 하이의 제 2 논리 레벨이고,
    상기 제 1 모드 선택신호는 상기 제 2 논리 레벨이며, 상기 제 2 모드 선택신호는 상기 제 1 논리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전압은 상기 백라이트부의 광량을 조절하는 펄스변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압이며,
    상기 제 2 구동전압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아날로그 회로를 구동하는 아날로그 구동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60092484A 2006-09-22 2006-09-22 표시장치 KR20080027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484A KR20080027421A (ko) 2006-09-22 2006-09-22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484A KR20080027421A (ko) 2006-09-22 2006-09-22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21A true KR20080027421A (ko) 2008-03-27

Family

ID=3941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484A KR20080027421A (ko) 2006-09-22 2006-09-2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74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936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665400B2 (en) 2006-12-22 2014-03-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269301B2 (en) 2013-05-28 2016-02-23 Samsung Display Co., Ltd. Self-ligh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297191B2 (en) 2016-01-29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Dynamic net power control for OLED and local dimming LCD display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5400B2 (en) 2006-12-22 2014-03-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30044936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269301B2 (en) 2013-05-28 2016-02-23 Samsung Display Co., Ltd. Self-ligh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297191B2 (en) 2016-01-29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Dynamic net power control for OLED and local dimming LCD displa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3004B2 (en) Method of driving a light source, light sourc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 source device
US7391167B2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of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KR101225317B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962036B1 (ko) 디스플레이의 재생빈도 조절
US7944661B2 (en) Protection circuit, fla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fla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92870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802722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light source and displaying apparatus
US20070114944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00020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backlight assembly
US775058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08173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50073869A (ko)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JP200704778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201426699A (zh) 伽瑪電壓產生單元以及使用該伽瑪電壓產生單元的顯示裝置
US201100902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021508A1 (en) Light sourc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563793B2 (ja) 表示装置の駆動装置
TWI381207B (zh) 液晶顯示器
CN102404901A (zh) 照明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80027421A (ko) 표시장치
KR20080079862A (ko) 온도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10133201A (ko) Led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510885B1 (ko)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구동장치 및 방법
US9265123B2 (en) Controlling brightness of lamp in display device
KR2007006046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