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541A - 다중매체 광역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다중매체 광역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541A
KR20080026541A KR1020077029345A KR20077029345A KR20080026541A KR 20080026541 A KR20080026541 A KR 20080026541A KR 1020077029345 A KR1020077029345 A KR 1020077029345A KR 20077029345 A KR20077029345 A KR 20077029345A KR 20080026541 A KR20080026541 A KR 2008002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network
stations
brid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데이비드 라르센
Original Assignee
아이윅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윅스 인크 filed Critical 아이윅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2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0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proactiv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메인 네트워크, 전형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 전형적으로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패킷 절환 네트워크(wired packet switched network)를 갖추고 있다. 메인 네트워크는 이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각각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와, 메인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보조 네트워크는 보조 스테이션과 이 보조 스테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각 브리지 스테이션에서는,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가 감시된다. 여분의 프로브 신호가 메인 스테이션으로 송신되고 있는 동안, 프로브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진다.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은 그들의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기 위해 접속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메시지 데이터는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송신된다. 시스템은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2개의 무선 네트워크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peer-to-peer communication)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다중매체 광역 통신 네트워크 {MULTI-MEDIUM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스테이션을 갖추되, 발신국이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opportunistical)으로 선택된 중간국(intermediate station)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을 목적으로,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ODMA(Opportunity Driven Multiple Access: 기회 기반의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로서 언급될 것이다.
다수의 종래의 특허 명세서들은, 데이터가 주로 무선 매체를 통해 발신국(고정 또는 이동)으로부터 수신국(고정 또는 이동)으로 다수의 홉(hop)을 통해 송신될 수 있는 멀티스테이션(multi-station: 다국) ODMA 네트워크를 개시했다. 이 동작방법은 이 문서에 있어서 "무선을 통한 ODMA(ODMA over Wireless)"로서 언급되고 있다. 그렇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매체만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발신국과 수신국은 무선 접 속(wireless connectivity)을 통해 서로의 범위 내(수용할 수 있는 홉의 최대 개수 내)에 있지 않아도 좋거나, 또는 전송(이러한 전송은 여기서는 "유선을 통한 ODMA(ODMA over Wire)"로서 언급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홉을 얻기 위해 유선 매체와 같은 보조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상황은 발신국과 수신국이 서로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 자주 일어나게 되는데, 실제로는 다른 지역, 국가 또는 대륙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을 통한 ODMA와 유선을 통한 ODMA의 양쪽을 허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국면(局面)에 따르면, 메인 네트워크(primary network)와 보조 네트워크(auxiliary network)를 갖추되, 이들 네트워크가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bridge station)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방법으로,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의 각각에서,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onward transmission)을 위한 중간국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 양쪽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activity)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데이터(connectivity data)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국면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 및 메인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인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다른 메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스테이션이 중간국으로서 그들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기 위해 접속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국면에 따르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되, 이들 네트워크가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방법으로,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 및 브리지 스테이션의 각각에서,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는 단계와,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인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가진 메인 네트워크의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편의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국이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본 발명의 제2국면에 따른 방법은,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어느 경우이건, 이 방법은 각 브리지 스테이션에서, 메인 스테이션 및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수신국 또는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접속 데이터의 항목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은,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보조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은, 각 보조 스테이션에서, 보조 스테이션 및 브리지 스테이션의 수신국 또는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접속 데이터의 항목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최초의 프로브 신호는,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스테이션에 대해 양호한 접속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네이버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다른 스테이션 또는 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에 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있어서 식별된 보조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진다.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은, 중간국으로서의 잠재적인 미래의 사용을 위해 그러한 프로빙 스테이션(probing station: 탐색국)에 대해 양호한 접속을 갖는 인접하는 스테이션의 그룹을 유지하기 위해, 이따금씩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메인 스테이션이 무선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국이 무선 스테이션이어도 좋고, 수신국이 보조 스테이션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브리지 스테이션이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발신국 및 수신국의 양쪽이 무선 스테이션이어도 좋고, 상기 방법은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무선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무선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편의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발신국 및 수신국이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피어투피어 접속을 유지한다.
프로브 신호는 네이버 수집 프로브 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네이버 수집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이 중간국으로서 그들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기 위해 접속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하도록 해도 좋다.
프로브 신호는 그래디언트(gradient: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이 스테이션간의 누적 통신비용을 나타내는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의 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전송 매체를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인지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인지에 의존해서 접속 데이터 및/또는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의 특성이 메인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변형된다.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는, 시간 지연, 데이터 레이트 및 다른 스테이션 사이의 메시지 전송에서 경험된 패킷 손실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비용 함수 및/또는 각 스테이션에서 이용가능한 상대 부하 및 리소스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비용 함수에 기초를 두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은, 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인증 스테이션으로 인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증 스테이션이 이따금씩 통신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인증하여 그것들 자신 사이의 스테이션의 접속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며,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중간국을 갖춤으로써 다른 스테이션 또는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된 접속 데이터에 따라 프로브 신호가 각 스테이션과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 사이에서 편의적으로 송신되도록 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션들은 이따금식 각 스테이션에 대해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브리지 스테이션의 인증 스테이션에서 기록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인증 스테이션과 상호작용한다.
기록 유지보수(record maintenance)의 일부 또는 전부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을 효과적으로 정의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을 통해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분배되도록 해도 좋다.
스테이션들은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상기 인증 스테이션 및/또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무선 스테이션이어도 좋다.
스테이션들은 상기 인증 스테이션 및/또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으로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때 브리지 스테이션의 상기 무선 스테이션에 대해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접속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스테이션이어도 좋다.
상기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송신되는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과 접속을 가짐에 따라 인증 스테이션 및/또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 또는 다른 네트워크 스테이션에 의해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도록 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은, 중간국으로서 즉시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잠재적인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상기 미리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을 유지하기 위해,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과 접속을 가짐에 따라 다른 스테이션에 의해 미리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를 보내는 것을 계속하도록 해도 좋다.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가, 접속이 발신국과 수신국 사이에서 더 이상 필요치 않을 때까지 상기 미리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미리 정해진 프로빙 구간에서 보내지도록 해도 좋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프로브 신호 특성을 정의하는 ODMA 데이터 패킷으로 이루어진 표준 패킷 포맷으로서 보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ODMA 데이터 패킷으로 이루어진 UDP 데이터그램 패킷으로서 보내진다.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메인 스테이션과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양쪽에 대해 직접 또는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서로 접속을 갖는 스테이션간의 메시지 전송의 누적비용에 관한 비용함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가 다른 전송 매체를 사용하고, 비용함수 정보가 메인 및 보조 매체에서 결정된 비용의 적당한 가중치에 의해 계산됨으로써, 최적 메시지 전송 경로가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에 관계없이 따르는 것을 보증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의 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그것들을 외부 네트워크의 어드레스와 매핑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3국면에 따르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고서,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메인 네트워크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다른 메인 스테이션 또는 브리지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각 메인 스테이션이,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상기 메인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편의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이 발명의 제3국면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각 브리지 스테이션이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국면에 따르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고서,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메인 네트워크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과,
상기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다른 보조 스테이션 또는 브리지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각 보조 스테이션이,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상기 보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편의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이 발명의 제4국면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각 브리지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메인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해도 좋다.
이 통신 네트워크는, 이따금씩 통신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인증하고, 그것들 자신 사이의 스테이션의 접속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중간국을 갖춤으로써 다른 스테이션 또는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된 접속 데이터에 따라 프로브 신호가 각 스테이션과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 사이에서 편의적으로 송신되도록 해도 좋다.
이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갖는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그것들을 외부 네트워크의 어드레스와 매핑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도록 해도 좋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은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가 인터넷 어드레스와 매핑되어 있는 디렉토리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전화망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은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가 전화망의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있는 디렉토리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해도 좋다.
도 1a는 이동 및 유선 네트워크의 통합 및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스테이션의 용도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광역 네트워크의 접속계통도이다.
도 1b는 위성을 갖춘 패킷 절환 보조 네트워크의 합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의 것과 유사한 네트워크의 접속도이다.
도 2는 사용하고 있는 도 1의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는 접속계통도이다.
도 3은 이동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는 접속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발신국와 수신국 사이의 메시지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을 설명하는 간단화된 계통도이다.
도 5는 더 복잡한 라우팅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의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라우팅 프로세스에 있어서 비용 함수(cost function)의 수립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의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7은 메시지 데이터 패킷이 비용 함수에 의해 결정된 다른 라우트를 매개로 수신국을 향하여 송신되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의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주요한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간단화된 블록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그 내용이 레퍼런스에 의해 여기에 짜 넣어져 있는 국제특허출원 WO 96/19887호(명칭: 멀티홉 패킷 무선 네트워크)에 기술된 일반적인 종류의 ODMA(Opportunity Driven Multiple Access: 기회 기반의 다중 액세스)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ODMA 네트워크를 채용된 형태의 ODMA 기술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패킷 절환 네트워크와 통합함으로써, 지역, 국가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 등과 같은 광역을 통한 네트워크의 실시에 관한 것이다. 보조 네트워크는 이더넷 네트워크 및 인터넷 등과 같은 통상의 유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위성 노드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네트워크와 같은 "가상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이들 네트워크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의 중요한 컴포넌트는, 서로 근접하여 가깝거나 다른 나라에 있는 다수의 이동 ODMA 클라이언트 스테이션 사이의 참된 피어투피어 접속(peer-to-peer connectivity)이다. 이러한 피어투피어 접속은 이동 ODMA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전송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보조 네트워크(전형적으로는 인터넷) 를 통해 제공된다.
몇몇의 실제의 "유선" 및 가상 "유선" 패킷 절환 매체는 그러한 "글로벌 네트워크"에서의 이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매체 중 가장 알맞은 것은 인터넷이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이 문서에서 상세히 논의된다. 그렇지만, ODMA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 또는 실제로 일반적인 "유선", 특히 실제 또는 가상의 유선 매체를 통한 혼잡(congestion)의 가능성이 있는 유선을 통해 데이터를 라우팅할 때 처리되지 않으면 안되는 몇 가지 주요한 장애가 있다. 한층 더 해결하기 어려운 점은, 서로에 관해 이동가능하거나 보조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이동가능한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과 통신함으로써 야기되는 복잡성(complexity)이다. 이것은, 임의의 이동 수신국이 임의의 주어진 시간(수억 이상의 단위일 수 있음)에 글로벌 ODMA 네트워크에 대해 이용가능한 잠재적으로 큰 수의 이동국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는 방식에 관한 장애를 방지한다.
보조 네트워크에 대해 몇 개의 액세스 포인트만 있는 경우에는, 그 해법은 비교적 평범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해법에서는, 몇 개의 유선 경로만이 이용가능한 경우, 이들은 포화되기 쉬워 접속에 대한 병목(bottleneck)을 유효하게 형성한다. 접속이 실패하거나 접속을 잃은 액세스 포인트가 있다면, 설사 이용가능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있다 해도 한층 더 혼잡하게 되고, 그 액세스 포인트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에 대한 접속 결과가 파멸될 수 있다.
전체적인 네트워크 접속을 더 탄력있게 만들기 위해, 이동 클라이언트 스테 이션은 보조 네트워크에 대해 많은 잠재적인 액세스 포인트를 갖지 않으면 안된다. 이상적으로는, 데이터 전송은 바로 지금 이용가능한 가장 알맞은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라우트되어야 하고, 이 전송은 ODMA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전방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무선 스테이션에 대해 최적의 접속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어느 정도 확신을 가지고 알려지지 않으면 안되고, 이 정보는 무선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리프레시(refresh: 재생)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만, 스테이션이 위치되는 방식도 또한 보조 네트워크 매체에 불필요한 프로빙 전송을 지나치게 부담시키는 일없이 달성되어야 한다.
게다가, 액세스 포인트는 쉽게 인스톨되고 또 쉽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구성된 복잡하지 않은 비전용의 장치(undedicated unit)로 될 것 같다. 결국, 하나의 사용자 스테이션이 다른 사용자 스테이션과 통신하려고 할 때, 목표는 네트워크의 아주 많은 이동가능한 사용자로부터 신속히 수신지를 정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확실히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용량 및 품질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 문서는 수 백만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에 이를 수 있는 ODMA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복잡성을 처리하는 데이터 및/또는 음성 통신을 위한 광역("글로벌") ODMA 네트워크의 토폴로지(topology: 위상 기하학)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네트워크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다중매체 ODMA 아키텍처 및 글로벌 네트워크 를 수립하는데 필요한 컴포넌트 장치도 개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개요
도 1a는 본 발명의 광역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간단화된 계통행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메시지 데이터는 다중매체 ODMA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이동,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발신국(originating station)]으로부터 다른 클라이언트 스테이션[발신국(originating station)]으로 송신된다. 이 메시지 데이터는 먼저 발신국에 의해 무선 매체를 통해 송신되고, 그 후 다시 무선 매체를 통해 최종적으로 수신국으로 송신되기 전에 유선매체를 통해(하나 이상의 이더넷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통해) 송신된다. 이 네트워크에서는 다수의 대체 경로가 따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지만,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의 하나의 잠재적인 경로(밑줄이 쳐진 스테이션을 통한 경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토폴로지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위성이 인터넷과 같은 통상의 유선 보조 네트워크를 대체하거나 보충하기 위해 가상의 "유선" 매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를 수립하는데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 장치가 필요하고, 이들은 도 1에 타입 A∼E의 스테이션으로서 라벨이 붙여져 있다. 다른 타입의 스테이션의 간단화된 블록계통도는 도 8∼도 13에 나타내어져 있다.
타입 A 스테이션 -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 및 무선 시드(wireless seed)
무선 클라이언트(사용자) 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무선을 통한 ODMA를 이용 하여 다른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 및 무선 시드국(wireless seed station; 전형적으로는 고정되어 있음)과 통신하는 이동가능한 무선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이다. 전형적으로,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은 결합된 계산 장치가 유닛을 통해 (표준 TCP/IP 또는 유사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너넷 인터페이스를 갖거나, 음성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전화 하드웨어와 접속을 갖는다. 타입 A 스테이션은 무선 접속을 통한 ODMA를 이용하여 그들 자신 사이에서 통신한다.
도 8a는 전형적인 타입 A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의 주요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이 스테이션은, 메인 마이크로컨트롤러/마이크로프로세서(14)와, 적당한 안테나(20)를 가진 무선 송수신기 회로(18)에 접속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MAC 회로(16)를 갖추고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14)의 입력에 접속된 것은,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의 인가된 사용자의 안전한 스마트카드 "토큰(tokens)"을 판독하기 위한 스마트카드 리더(smartcard reader; 22),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이 스테이션을 이더넷 네트워크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LAN 인터페이스 카드(24) 및/또는 이 스테이션을 이동전화, 통상의 전화 또는 비디오 입출력장치와 같은 사용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보코더 인터페이스(26)이다.
타입 A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의 기본회로의 상세한 설명은, 그 내용이 레퍼런스로 여기에 짜넣어져 있는 국제특허출원 PCT/IB2004/004111호[명칭: 다국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빙 방법(Probing Method for a Multi-Station Network)]에 주어져 있다.
무선 시드국은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과 마찬가지로, 서로 통신하고 있는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에 의한 이용을 위해 중간국으로서 작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무선 커버리지(wireless coverage)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시드국은 일반적으로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의 경우와 같이 임의의 다른 접속이나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지 않다. 무선 시드국은 전형적으로는 아마도 특별한 안테나를 가지고 있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설비이다. 그렇지만, 이들 스테이션도 이동할 수 있고, 예컨대 자동차나 열차에 탑재될 수도 있다. 전형적인 무선 시드국의 주요한 컴포넌트는 도 8b에 나타내어져 있다.
타입 B 스테이션 - ODMA 무선 대 이더넷 어댑터
무선-이더넷 어댑터(wireless to Ethernet adapter)는 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 및 무선 시드국과 유사하지만, 이들 유닛은 ODMA 이더넷 인터페이스(30)의 제공으로 인해 ODMA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이더넷 백본(Ethernet backbone)이나 서브네트워크(28)를 매개로 해서 함께 링크되는 부가 능력을 가진다. 이들 장치는 무선을 통한 ODMA 및 이더넷을 통한 ODMA의 양쪽을 지원한다. 전형적으로, 이 어댑터는 인터넷 접속점 근방의 처리능력(throughput)을 증가시키도록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클러스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아마도 큰 사무실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그러한 장치를 몇 개 서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더넷 접속은 통상 몇몇 다른 무선-이더넷 어댑터와 타입 C 이더넷-인터넷 어댑터를 갖는 유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다(이하의 설명 참조). 타입 B 스테이션은 타입 C 스테이션으로부터 실제로 멀리 떨어져서 위치되어도 좋고(이하의 설명 참조), 타입 B 스테이션으로의 이더넷 접속은 일정한 케이블 작업을 통해, 또는 필요에 따라 고용량 마이크로웨이브 링크, 광섬유 케이블 작업 등을 통해 수행되어도 좋다.
전형적인 타입 B 스테이션의 주요한 컴포넌트는 도 9의 블록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 스테이션은 타입 A 스테이션과 유사하지만, LAN 인터페이스 카드(24)가 ODMA에 의해 이네이블되는 이더넷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테이션은 선택적으로 다른 LAN 인터페이스 카드(30)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타입 C 스테이션 - 이더넷 대 인터넷 어댑터
이들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더넷 네트워크(28) 및 인터넷(32)을 통한 ODMA 사이의 브리지 또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고, 인터넷 상에 고정 또는 동적 인터넷(IP) 어드레스를 갖게 된다. 각 장치는, 설치된 유닛이 인터넷에 존재하고 있는 인터넷 장치를 통한 다른 타입 C ODMA를 식별하는 데이터의 캐시를 유지하게 되고, 하나 이상의 인증 및 디렉토리 서버(이하의 설명 참조)에 대해 리퀘스트를 만듦으로써 그러한 다른 장치의 위치를 정할 수 있게 된다. 타입 C 스테이션이 동적 어드레스를 가지면, 인증서버가 스테이션을 그 ODMA 어드레스와 정합함으로써 타입 C 스테이션을 추적하게 된다.
도 10은 전형적인 타입 C 스테이션의 주요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타입 C 스테이션의 핵심 컴포넌트는 타입 A 및 B 스테이션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전형적으로는 무선 접속이 없다. 대신에, WAN 인터페이스(34; 전형적으로는 케이 블 모뎀) 및 인터넷(32)으로의 유선 또는 케이블 접속(36)이 설치된다. ODMA 이더넷 인터페이스(24)는 스테이션을 이더넷 서브네트워크(28)를 통한 ODMA에 접속한다.
타입 C 브리지 스테이션은 중간의 이더넷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ODMA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갖는 것으로서 여기에 개시되어 설명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 근방의 네트워크 처리능력을 증가시킬 이유로 타입 C 스테이션은 이더넷 접속 대신 직접 무선 접속을 갖거나, 또는 이더넷 접속에 더하여 직접 무선 접속을 가질 수 있다.
타입 D 스테이션 - 인터넷 대 TCP/IP 어댑터
전형적인 타입 D 스테이션의 주요한 컴포넌트는 도 11에 계통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장치는 타입 C 브리지 스테이션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터넷(32)에 접속되어 인터넷 프로토콜 및 표준 TCP/IP를 통한 ODMA 사이에서 데이터를 번역/변환한다. 이들 장치는 일반적으로 TCP/IP 인터넷("실제의 인터넷"으로, 여기서는 표준 인터넷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이 이용가능함)과 광역 ODMA 네트워크 사이의 브리지 또는 게이트웨이로서 작용한다. 명백하게는 이들 장치의 대부분을 필요로 해도 좋고, 그들의 존재 및 부하는 인증 및 디렉토리 서버에 의해 감시되게 된다. ODMA 네트워크의 TCP/IP 서버에 대해 들어오는 트래픽은 적절한 ODMA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것으로 된다. 이들 스테이션은 인터넷과 높은 접속을 하는 위치에 위치되지만, 이론상 그들은 모두 임의의 한 위치, 또는 부하 요구 및 요구되는 유연성에 의존해서 전 세계의 많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타입 E 스테이션 - 인터넷 대 PSTN 어탭터
이들 장치는 인터넷을 통한 ODMA와 "실제의"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중 전화 교환망) 사이에서 번역/변환하는 어댑터 및 게이트웨이로서 기능한다. 이 어댑터는 ODMA 음성 데이터 트래픽을 그러한 전화망으로 접속하여 표준 PSTN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이얼링되는 지역에서의 지역적인 호출 속도가 바람직한 경우, 이들 스테이션은 ODMA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전 세계의 많은 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 장치의 주요한 기능이 ODMA 데이터의 PSTN에 의해 인식된 데이터로의 번역/변환이기 때문에, 이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필요조건은 용량이 충분한 곳(예컨대 타입 B 스테이션일 수 있음)에 유닛이 위치된다는 것뿐이다. 그렇지만, 전형적으로는 이 매체를 통해 시종일관 고용량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능성은 인터넷이 접속의 포인트로서 인용될 것이라는 점이다.
도 12는 타입 D 스테이션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PSTN 네트워크(40)에 접속을 제공하는 여분의 WAN 인터페이스(38)가 부가된 전형적인 타입 E 스테이션의 주요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타입 AS 스테이션 - 인증 및 디렉토리 서버
전형적인 인증 서버(또는 인증 스테이션)의 주요한 컴포넌트의 기본적인 레이아웃(layout: 배치)이 도 13에 계통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다른 스테이션처럼, 인증서버는 메인 프로세서(14; 다른 스테이션과 비교해서 증가된 데이터 저장용량을 가짐)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MAC 회로(16)를 포함하고 있다. 인증서버는 타입 D 및 E 스테이션과 마찬가지로 인터넷(32)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케이블 모뎀과 같은 WAN 인터페이스(38)를 포함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복제될지도 모르는 이들 서버는, 광역 ODMA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이용가능한 모든 ODMA 장치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증서버는 네트워크 상에 장치의 위치를 정해도 좋고, 인증서버가 ODMA 장치 변환을 위해 전화번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 네트워크에서와 같은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디렉토리로서 작용해도 좋으며, 또는 가입자 빌링(billing) 및 관리 등을 촉진해도 좋다. 복제된 경우는, 네트워크의 다른 인증서버가 임의의 서버에서 이용가능한 정보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갱신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서로 통신하는 일도 있다. 이러한 상태를 얻는 많은 방법이 있다. 예컨대, 서버가 이용가능한 정보를 모두 복제할 수 있고, 서버가 (예컨대, 스테이션 타입, 또는 ODMA 어드레스-어플리케이션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해서) 정보의 특정 카테고리만을 유지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버가 계층적, 지역적 등일 수도 있다.
만일 각 서버가 정보를 다른 서버로부터 어떻게 액세스해도 좋은지에 관한 현재의 정보를 갖는다면, 서버의 실제적인 수 및 각 서버에 의해 유지된 정보의 본 질은 적절하지 않다. 적어도 하나의 인증서버는, 시스템 상에 동적 어드레스를 갖는 다른 인증서버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 어드레스를 갖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들 서버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 규칙적으로 ODMA 스테이션을 인증하는 기능.
· 네트워크의 모든 스테이션의 행방의 지식(접속의 품질의 항목과 함께 타입 C 스테이션이 모든 타입 A 스테이션과 접속을 갖는다는 지식을 포함함)을 유지 및 살포하는 기능.
· 맵을 유지하고, ODMA 네트워크(서버 등) 상의 고정 인터넷 어드레스 및/또는 ODMA 유닛에 대응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어드레스에 대한 인터넷 어드레스-ODMA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정보를 살포하는 기능.
· 모든 이더넷-인터넷, 인터넷-TCP/IP, 인터넷-PSTN 어댑터 및 유사 장치의 지식을 유지 및 살포하는 기능.
· 가입자 관리, 보안, 인증 및 빌링 어플리케이션 등을 수행하는 기능.
인증서버 스테이션과 타입 C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은 인터넷을 통한 ODMA와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광역 ODMA 네트워크는 2개의 주요한 컴포넌트 네트워크, 즉 제1로, 결합된 선택적인 이더넷 서브네트워크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와, 제2로, 보조 패킷 절환 네트워크, 전형적으로는 인터넷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광역망에 접속된 것은, PSTN 전화망과 TCP/IP를 이용하는 "일반 인터넷"이다. 메인 및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에 접속된 것은 타입 C 브리지 스테이션이다. 광역 ODMA 네트워크 및 그 컴포넌트의 각종 태양(態樣)의 기능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입 A의 발신국(10)과 모아진 그 각종 타입 A 및 B ODMA 네이버는 그들에 이용가능한 다수의 형태의 통신을 가져도 좋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발신국(10) 및 수신국(12)은, 이것이 현재의 경우 어렵게 취급되는 제1 윈리이기 때문에, 즉 스테이션(수백만의 가능한 스테이션 중의 하나)이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많이 있는 것 중)에 관하여 이동성을 가질 때 복잡성이 수반되기 때문에, 무선 접속만을 갖는 것으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발신국 근방에 모아진 네이버는, 무선 ODMA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능동형 무선카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 예컨대 이더넷-LAN(Ethernet to 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모뎀 또는 ADSL 등 접속을 매개로)에 동시에 접속되어 있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는 네이버 스테이션(neighbor station)을 통해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그들의 이용가능한 다수의 형태의 접속을 가져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그러한 스테이션은 단일의 유닛에서 타입 A, B 및 C의 기능을 모두 통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발신국 대신에 데이터가 라우트되어도 좋은 유사하거나 더 작은 상관관계(functionality)를 갖는 네이버일 수 있다. 그렇지만, 네이버는 전형적으로 A타입 스테이션이거나 B타입 스테이션의 어느 하나일 것이다.
발신국(10)의 잠재적인 접속이 변환함에 따라, 특히 스테이션이 주위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액세스가능하고, 스테이션(10)을 위한 ODMA 네트워크에 액 세스를 제공하는 네이버의 "클라우드(cloud: 패)"가 가능한 가장 유효한 열의 스테이션을 통해 임의의 데이터 전송을 라우트하기 위해 변화하게 될 것이다. 또한, 설명되는 클라우드 형성(cloud formation)에 있어서의 임의의 A 타입 스테이션은 이 발명의 광역 ODMA 네트워크의 (임의의 타입의) 모든 스테이션과 실제의 피어투피어 무선 접속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인증서버는 그 자체로는 반드시 보조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인증서버는 무선접속을 갖는 지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2가지 환경에서 특히 알맞다. 첫번째로, 보조 네트워크와 빈약한 접속을 갖는 지역, 또는 실제로 글로벌 네트워크의 나머지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 있는 지역은 아직까지 지역적으로 통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무선 로컬 인증서버의 공급은, 예컨대 경찰, 구급차 및 소방대원이 적어도 지역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완전한 붕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응급 서비스의 요구를 처리한다. 마찬가지로, 보조 네트워크로의 제한된 액세스를 갖는 지역이나 국가는 축소된 글로벌 네트워크 커버리지(coverage: 도달범위)를 가져도 좋지만, 지역적으로 충분한 성능을 즐길 것이다.
두번째 상황은, 공항 및 경기장 등에서 고밀도 또는 접속의 지역에서 일어난다. 다수의 스테이션이 보조 네트워크에서만 액세스가능한 인증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동시에 시도하는 상황은 액세스 포인트를 지나치게 충전하는 전위를 갖는다. 고농도 지역에서의 무선 인증서버는, 보조 매체 상에 위치된 인증서버와 통신하려고 하는 문제를 처리하려고 한다. 인증과 디렉토리 상관관계의 분산 및 분포에 대해서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중 매체 아키텍처
광역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각종 장치는, ODMA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종(異種)의 통신매체를 처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각종 매체의 특성이 변동하기 때문에, 각 매체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처리를 취급하기 위해 다른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이 채용된다.
특히, 어떤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그 대응하는 프로토콜(무선을 통한 ODMA, 이더넷을 통한 ODMA, 인터넷을 통한 ODMA 등)을 갖는 각 매체(예컨대, 무선, 이더넷 및 인터넷 등)는 그 자신의 네이버 테이블 및 매체와 관련이 있는 결합된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슬로우 및 패스트 프로빙(slow and fast probing: 저속 및 고속 탐색)은 각 매체에 있어서 그 매체에 적절한 파라미터에 의존해서 적당히 분리해서 수행된다. 그렇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슬로우 프로빙의 목적은 궁극적으로는 네이버 수집(neighbor gathering), 또는 스테이션 사이의 접속의 품질에 관한 정보의 수집이고, 반면에 패스트 프로빙의 목적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그래디언트(gradient: 구배) 정보의 제공이다.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구성된 그래디언트 테이블은 어느 매체가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각종 매체 모두에 공통이고, 식별되는 그래디언트는 각 매체를 통해 적절한 네이버 정보 모두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그래디언트 테이블은 데이터가 실제로 나중에 송신되는 임의의 매체와 관계없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이더넷 장치로의 ODMA(B 타입 스테이션)는 무선 접속과 이더넷 접속의 양쪽을 모두 갖고 있다. 양 매체는 ODMA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모아 져 처리되고 통신되는 적절한 정보는 라우팅 알고리즘에 적용된 팩터도 그런 것처럼 현저히 다르다. 이더넷 매체에서는, 네이버는 즉시 생성되고,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더넷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은 다른 이더넷 스테이션 모두에서도 쉽게 식별된다. 이 매체에는 경로 손실이 없기 때문에, 모든 네이버가 동일하게 낮은 비용을 갖는다. 고려해야 할 전력제어 태양도 없어 처리능력이 (잠재적으로) 높다.
그렇지만, 이더넷 매체는 그 매체를 이용한 스테이션으로의 방송이 가능한 곳에서 공유되는 매체라는 점에서 무선 매체와 유사하다. 이더넷 매체에서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적절한 네트워크 세그먼트 상의 어디에나 전파된다. 각 스테이션은 세그먼트 상으로 송신된 모든 프레임의 어드레스를 검사한 후, 송신되는 적절한 패킷을 해독 및 판독함으로써(응답을 위해 특별한 스테이션을 목표로 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것으로 되길 바라는 데이터의 프레임을 선택한다. 슬로우 프로빙은, 그 이웃이 잠재적으로 크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더넷 매체에 있어서 상당히 느릴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점에서 기본 원리는 무선 매체를 통해 적용되는 방법론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더넷 매체에서는 장치의 상대 부하(그 장치들이 어느 정도 분주한지)는 필요하다면 비용함수의 더 적당한 표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터넷 매체에 있어서 네이버 스테이션을 식별하여 모으는데 수반되는 방법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지만, 데이터 전송 시에 사용되는 매체가 무엇이든지 네이버는 협력하여 동작하게 되고 그들 접속의 상대강도를 추적한다. 큰 버퍼용량을 갖는 네이버는 예컨대 큰 비용함수를 표시하게 되고, 따라서 부하는 송신되고 있는 패킷에 제공되는 패킷 전송의 우선순위, 존속시간 및 패킷의 사이즈 등과 같은 정보로부터 이용가능한 팩터에 기초해서 가능하다면 더 좋은 용량을 갖는 네이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렇지만, 다중매체 네트워크에서는, 각종 매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라우트하는데 사용되는 비용함수가 호환가능하다는 것을 보증하고, 최적 경로가 따른다는 것, 예컨대 더 높은 용량의 매체가 더 낮은 비용 팩터를 갖게 된다는 등을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다른 매체에 의해 결정되는 비용에 대해 적당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로써 각종 잠재적인 매체에 걸쳐 비교가능한 상대 비용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비용은 통상 가장 적은 비용(1)에서 할당된 비용함수를 갖는 무선 매체를 통한 각 홉이 가지는 정수로서 결정된다. 이더넷 매체는 무선 매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통상 이 매체에서의 비용함수도 1의 비용으로 할당된다. 전형적으로, 인터넷 매체는 식별되는 팩터에 의존해서 1과 5 사이의 비용으로 할당된다. 누적 비용함수는 단순히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비용함수의 총계이고, 이것은 정의된 그래디언트와 동등하게 생각하고 있다.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의 다른 타입에 적용하는 비용함수는 변동하게 된다. 예컨대, 데이터가 시간 종속인지의 여부에 의존해서(예컨대, 일반적으로 짧은 지연을 필요로 하는 음성 데이터의 경우) 특정 팩터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비용이 어느 주어진 순간에 네이버에 관하여 그래디언트 테이블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 더해지는 동안, 비용의 타입은 ODMA 패킷의 다른 필드에서 구별되어 지정될 수 있다(예컨대,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지로의 특별한 그래디언트는 11의 누적 비용함수를 운반할 수 있거나, 또는 5개의 무선 + 3개의 유선 + 3개의 무선으로서, 또는 8개의 무선 + 3개의 유선 등으로서 설명될 수 있음). 이것은 더 좋은 결정 표시(decision marking)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응용에 유용하지만, 그래디언트의 처리는 대응해서 더 복잡하게 된다.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
글로벌 ODMA 네트워크는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각종 타입의 패킷 프로토콜은 다른 패킷 프로토콜에 들어가도 좋다. 헤더는 들어간 패킷에 더해지고 일단 데이터가 그 매체를 통해 전송되기만 하면, 들어간 패킷은 프로토콜로부터 제거되고 헤더는 벗겨진다. 이들 프로토콜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제공된다.
2개의 컴퓨터가 서로 접속되어 있을 때나 컴퓨터가 "실제의"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즉, 브라우징(browsing)을 목적으로)에는, 전형적으로 TCP/IP를 이용해서 통신이 수행된다. TCP/IP 패킷은, 이더넷 매체로 전송되면 이더넷 패킷과 같은 다른 패킷에 위치되거나, 또는 ODMA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전송되면 ODMA 패킷에 위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ODMA 네트워크는 무선과 "유선" 매체의 양쪽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유선 매체에서는 ODMA 패킷은 인터넷을 통해 UDP 패킷에 전송되 어도 좋고, 또는 이더넷 패킷에서는 이더넷 매체를 통해 전송되어도 좋다. 보안은 필요에 따라 다른 레벨의 전송에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관해서는 엄격한 계층(hierarchy)이 없다. 전형적으로, ODMA 패킷은 다른 패킷에 들어가기 전에 소스국(source station)에서 암호화되고, 그 후 수신지에서 복호화된다. 그렇지만, ODMA을 전송하는 패킷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무선을 통한 ODMA
간략하게는, 무선을 통한 ODMA 방법은 서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서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스테이션을 갖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제1의 방송 프로브 신호의 다른 스테이션으로의 전송을 위해 제1 프로빙 채널을 정의하는 단계를 갖추고 있다. 프로빙 스테이션으로부터 제1프로브 신호(슬로우 프로브로서도 언급됨)를 수신하는 다른 스테이션은 수신국 또는 중간국으로서 그들의 이용가능성을 프로빙 스테이션에 지시한다. 이들 다른 이용가능한 스테이션에 관한 접속 데이터의 항목을 갖춘 네이버 테이블은 각 스테이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방송 슬로우 프로브 신호는 유효하게는 네이버 수집 프로브 신호(neighbor gathering probe signal)이다.
무선 매체에서는, 아주 근접하여 다수의 스테이션이 있을 때, 그 스테이션들은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데이터 전송속도) 및 낮은 송신 전력으로 프로빙을 끝내게 된다. 스테이션들은 때때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할 수 없거나 충분한 네이버를 갖지 않는 임의의 고립된 (떨어져 있는) 스테이션(이후 고립 된 네이버라고도 함)을 돕기 위해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서의 프로빙 중이거나 충분한 네이버를 갖지 않는 스테이션에 응답하게 된다. 스테이션들은 그들이 고립되어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최대 전력에서 충분한 네이버를 찾을 수 없을 때,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만을 사용하게 된다.
각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을 찾으려고 하는 (슬로우 프로브 타이머에 의해 결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슬로우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들의 슬로우 프로브에 있어서 스테이션들은 그들이 프로브하고 있는 다른 스테이션을 검출할 수 있음을 가리키고, 그와 같이 스테이션들은 어떤 미리 정해진 수의 스테이션이 그들이 프로브를 검출할 수 있음을 가리킬 때까지 그들의 프로브 전력을 변동시킨다. 어떤 스테이션이 필요한 수의 네이버를 결코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 및 최대 송신전력에 남아 있게 된다.
각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슬로우 프로브 신호 전송 사이에서 약간 슬로우 프로브 타이머를 무작위로 변동시키게 된다. 임의의 스테이션이 다른 스테이션의 전송을 수신하기 시작하면, 슬로우 프로브 타이머를 새로운 간격으로 재장전하게 된다.
이동국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스테이션들은 일정하게 이동하고, 그 자체로 네이버의 수가 일정하게 변화하게 된다. 네이버의 수가 필요한 수를 넘으면, 어떤 스테이션이 프로빙 채널 상에서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시작한다. 필요한 수의 네이버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그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계속하게 된다. 이것이 최대 데이터 레이트에 도달하면, 이것이 최소 송신전력에 도달하거나, 또는 필요한 수의 네이버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그 슬로우 프로브 송신전력을 작은 증분값(increment)만큼 떨어뜨리기 시작한다.
어떤 스테이션이 프로빙 채널 상에서 다른 스테이션의 슬로우 프로브에 응답할 때, 그 데이터 패킷의 길이를 슬로우 프로브 타이머 간격으로 제한하게 된다. 이것은 그 응답에 의해 다른 스테이션을 프로빙하는 것을 회피하게 한다. 응답하고 있는 스테이션이 작은 패킷으로 고정되는 것보다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패킷의 헤더에 있어서 다른 스테이션이 특정의 데이터 채널로 이동해야 함을 지시하게 된다.
프로빙 채널마다 데이터 채널의 수를 정의할 수 있다. 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스테이션은 이용가능한 데이터 채널 중 하나의 데이터 채널을 무작위로 선택하게 된다. 어느 쪽이나 다 송신해야 할 임의의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을 때까지 2개의 스테이션이 통신하는 것을 계속하는 경우, 또는 데이터 채널 상에 잔존하기 위한 최대시간(데이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됨)이 끝난 경우, 다른 스테이션은 그 리퀘스트를 수신할 때 그 데이터 채널로 즉시 변화하게 된다. 대체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도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스테이션이 데이터 채널에 대해 변화할 때 이것은 데이터 타이머를 로드한다. 이것은 데이터 타이머가 허용할 수 있는 길이만큼이나 긴 시간동안 데이터 채널 상에 남아 있게 된다. 데이터 타이머가 끝날 때 스테이션들은 프로빙 채널로 거꾸로 되돌아가 다시 프로빙하기 시작한다.
슬로우 프로빙 처리(slow probing process)는 3가지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이 루어진다.
1. 네이버 수집(Neighbor collection)
2. 파워 런닝(Power learning: 전력 습득)
3. 네이버의 램핑(Ramping of neighbor)
네이버 수집의 처리는 인접하는 스테이션이 그들 자신의 프로브에서 그들이 첫번째 스테이션의 프로브를 검출하고 있다고 지시할 때까지 증가된 레벨의 전력에서의 스테이션 프로빙(station probing: 스테이션 탐색)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을 네이버 수집이라 한다. 프로브의 전력은 미리 정해진 수의 네이버가 그들이 프로브를 검출하고 있다고 지시할 때까지 증가된다.
모든 프로빙 스테이션은 모든 스테이션이 미리 정해진 수의 네이버를 수집할 때까지 그들의 프로브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 처리는 프로브의 전력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과 프로브에 있어서 다른 스테이션의 프로브가 들리는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모든 스테이션은 그들이 여러 네이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전력 레벨이 얼마인지를 알 수 있다.
스테이션이 탐색할 때마다 그 송신 전력 및 노이즈 플로어와 어느 스테이션이 네이버로서 존재하는지를 지시한다. 스테이션이 다른 스테이션 프로브를 들을 때마다 그 프로브로부터 경로 손실 및 그 스테이션의 경로 손실과 노이즈 플로어로부터 그 스테이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계산한다. 네이버로의 경로 손실과 그 네이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네이버 테이블이라 부르는 각 스테이션에 보유된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다. 네이버가 더 이상 들리지 않고, 그 후 일정한 레 벨이 어느 점에 도달할 때까지 경로 손실 및 그 스테이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전력 레벨이 테이블에서 증가되거나 "램프"되는 경우, 네이버가 네이버 테이블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두번째 프로브 신호(패스트 프로브)는 송신되어 네이버 테이블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고, 각 네이버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비용에 관련된 데이터로 이루어진 그래디언트 테이블은 각 스테이션에 유지되어 있다. 네이버 테이블은 각 스테이션이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최소비용의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해 미리 정해진 수의 중간국을 선택하도록 한다. 따라서, 패스트 프로브 신호는 효과적으로 그래디언트를 모으는 프로브 신호이다.
스테이션이 그 네이버들 중의 하나, 예컨대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멀리 떨어진 스테이션이 아니라는 수신 메시지를 가진 경우에는, 수신지에 어떻게 도달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전개하기 위해 패스트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그 정보는 그래디언트라 불리고, 수신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누적 비용의 표시이다. 어떤 스테이션이 패스트 프로브하기 시작할 때, 수신지를 찾아 수신지가 그 네이버의 패스트 프로브를 들을 때까지 패스트 프로브를 듣는 네이버들 자신이 패스트 프로브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래디언트는 그 그래디언트가 소스에 도달할 때까지 누적 비용의 가산을 통해 수립되고, 소스는 더 낮은 그래디언트를 갖는 네이버로의 메시지를 수신지로 송신하는 것을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지는 그 수신지가 도달할 때까지 그것들을 그들의 네이버로 교대로 송신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는, 다른 스테이션간의 메시지 전송에서 경험한 시간 지연, 데이터 레이트 및 패킷 손실로부터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비용함수 및/또는 각 스테이션에서 이용가능한 상태 부하 및 리소스로부터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비용함수에 기초를 두고 있다.
각 스테이션은 그래디언트 테이블의 형태로 (누적 비용) 그래디언트의 레코드(record: 기록)를 그 네이버의 각각의 수신지에 유지하고, 그 자신의 그래디언트를 수신지에 유지한다. 각 스테이션은 더 낮은 누적 비용을 갖는 스테이션으로의 메시지를 수신지로 통과시킬 뿐이다. 스테이션은 더 낮은 그래디언트를 갖는 그 네이버들의 임의의 네이버로의 메시지를 수신지로 통과시킬 수 있다. 슬로우 프로빙을 매개로 한 네이버 수집과 패스트 프로빙을 매개로 한 그래디언트 발생은, 스테이션이 더 낮은 비용을 갖는 스테이션의 다수의 선택을 그러한 수신지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수신지로 전개하도록 한다. 그 네이버들은 슬로우 프로빙을 매개로 해서 언제나 유지되고, 그래디언트는 메시지가 네이버가 아닌 스테이션으로 송신될 필요가 있을 때 요구에 기초해서 전개될 뿐이다.
ODMA 방법, 특히 네이버 테이블 및 그래디언트 테이블의 이용에 관한 방법은, 그 내용이 레퍼런스에 의해 여기에 짜 넣어져 있는 국제특허출원 PCT/IB2004/004111호(명칭: 다국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빙 방법)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더넷을 통한 ODMA
프로빙은 이더넷 방송 패킷을 매개로 착수된다. 데이터 전송은 직결된 이더 넷 패킷(directed Ethernet packet)을 매개로 해서 이루어진다. RTS(request to send message: 송신해야 할 리퀘스트 메시지)가 단순한 ACK(acknowledgement)를 필요로 하는 일은 없다. 매체에 하나의 채널만 있기 때문에, 프로빙 및 데이터 전송은 항상 단일 채널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슬로우 프로빙이 비교적 드물게 행해지고, 네이버 비용이 기본적으로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네이버 테이블은 다른 매체에 비해 다수의 네이버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2개의 이더넷에 접속되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발신국 지역에서 타입 B 스테이션 중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예컨대 사용자 스테이션이 다른 사업부 단위(business unit)의 LAN과의 접속을 필요로 하는 경우의 오피스 환경에서 발생한다. 그러한 환경에서는, 타입 B 스테이션은 무선 매체에서의 타입 A 스테이션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타입 B 스테이션은 2개의 집합의 네이버로 효과적으로 전개된다(ODMA 장치에 의해 가입된 이더넷의 섹션에서 각각). 하나의 LAN이 특별히 분주하고, 그로벌 또는 로컬 트래픽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ODMA 방법은 양 네이버에서의 트래픽에 사용된다. 스테이션의 각 이더넷 그룹은 다른 그룹의 스테이션을 네이버로서 볼 수 없지만, 타입 B 스테이션은 적당할 때 각 그룹에서의 스테이션과 정합하는 중간국으로서 작용함으로써, 근거리 멀티홉 릴레이의 역할을 하여 이더넷 매체에 있어서 이웃에 걸쳐 하나 이상의 홉을 조장한다. 하나 이상의 타입 B 스테이션은 이러한 특징의 2개(또는 그 이상)의 LAN에 가입될 수 있다. 이더넷 매체를 통해 ODMA 패킷의 실제의 전송 메카니즘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인터넷 매체에 관한 한에 있어서는 이하에 제공된다.
인터넷을 통한 ODMA
글로벌 네트워크의 개요
일반적인 ODMA 환경은, 네트워크의 모든 타입 A 스테이션(무선 클라이언트 스테이션 및 시드국(seed station))이 갱신된 인증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인증서버로 반복해서 송신한다는 것을 직시한다. 네트워크의 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임의의 수의 잠재적인 인증서버로의 그래디언트가 모든 시간에서 유지된다. 이들 인증서버는 ODMA 네트워크를 갖춘 모든 스테이션에서 정보의 갱신된 테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상호작용한다(실제로 임의의 타입의 모든 ODMA 스테이션은 지속적으로 그들 자신을 인증하게 된다).
무선 타입 A 스테이션이 인증서버로 패킷을 송신할 때(인증서버로 그래디언트를 올릴 때), 타입 A 스테이션의 지역에서 가장 잠재적인 접속을 제공하도록 결정된 미리 정해진 수의 최상의 타입 C(이더넷 대 인터넷 어댑터)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인증패킷이 인증서버로 송신될 때마다, 인증서버는 타입 C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그래디언트를 따르게 되고, 또한 이 정보는 인증패킷에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인증서버는 항상 어떤 타입 C 스테이션의 지역에 있는 타입 A 스테이션의 비교적 현재의 레코드를 갖는다. 게다가, 타입 A 스테이션은 모든 시간에 인증서버로 인증을 어떻게 송신해야 할 것인지를 알게 된다.
임의의 타입 A 스테이션(발신국)이 다른 타입 A 스테이션(수신국)으로 정보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인증서버가 이 상관관계를 가지면 이론상 메시지는 무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그 지역에서 가장 좋게 위치된 타입 C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패킷을 인증서버로 보낸다. 수신지가 이미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알려져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이용가능한 최상의 경로를 수립하기 위해 패킷은 가까운 인증서버와 타입 C 스테이션의 양쪽으로 보내져도 좋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인터넷이 보조 네트워크의 예로 알맞다.
가장 간단한 레벨에서는, 인터넷 상의 노드로서 작용하는 스테이션이 그와 같이 인증 스테이션을 액세스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인터넷(또는 다른 패킷 절환 네트워크)에 액세스 가능하게 스위치를 온했을 때, 스테이션은 네이버에 대한 검색을 자동으로 개시하게 된다. 처리를 진행하기 위해 스테이션의 하드웨어에 제공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초기 어드레스일 수 있고, 프로브되는 수취국(addressee station)은 그들 자신의 잘 접속된 네이버 및 그것에 의해 프로브될 수 있는 다른 스테이션의 어드바이스에 관하여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스테이션은 더 많은 어드레스를 프로브할 수 있게 만드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위치를 정하게 된다. 이들 네이버가 일반적으로 잘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은 일반적으로 최적의 트랜잭션을 보증하는 다른 잘 접속된 네이버와 양호한 접속을 가질 것이다.
각 스테이션이 잠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무선 스테이션의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상의 스테이션은 마찬가지로 이 프로빙 메카니즘을 통해 무선 스테이션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의 네이버 테이블은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이로써 임의의 스테이션은 그 자신의 잘 접속된 네이버의 추적과 수신 국(보조 네트워크의 것인지 무선 네트워크의 것인지)의 잘 접속된 네이버의 추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일단 발견되면, 요구에 따라 네이버로서 프로브해야 할 키 스테이션(key station)은 필요한 시간만큼 길게 연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수신국이 타입 C 스테이션 또는 그들의 가까운 네이버에 즉시 알려져 있지 않다고 가정하면, 그때 인증서버는 수신국의 최후로 알려진 위치를 결정하고, 그 테이블로부터 타입 C 스테이션이 발신국과 수신국 사이의 접속에 가장 적합하게 나타난다고 설정한다. 인증서버는 인터넷의 "발신 측"의 타입 C 스테이션에 "수신 측"의 UDP를 매개로 해서 프로브해야 할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이 어느 것인지를 알리게 된다. 발신국 및 수신국의 지역에서 가장 좋은 타입 C 스테이션(이후 지속적으로 결정되어도 좋음)은, 인터넷 "홉"의 양측의 스테이션이 그들 사이의 그래디언트를 필요로 하는 동안 서로 프로빙하게 된다.
메카니즘 - 인터넷 매체로의 액세스
타입 A 스테이션이 이동가능하고 타입 C 인터넷 스테이션(가장 좋은 그래디언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래 결정된 스테이션)의 초기의 집합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서 이동하거나, 또는 접속의 품질이 어떤 다른 이유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는, 타입 A 스테이션은 그들 최초의 C 타입 스테이션(더 이상 그래디언트를 유지하기에 알맞지 않은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정지하게 되고, 대신에 그래디언트를 유지하기에 더 알맞은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을 이용하게 된다. 이 처리가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다.
그들 자신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타입 A 발신 및 수신국은, 그들 자신의 지역에서 이용가능한 가장 좋은 타입 C 스테이션의 식별에 관하여 서로에게 계속 알릴 수 있다. 이것은, 발신 및 수신국이 각각 그들 자신 측의 그들 각각의 타입 C 스테이션에게 UDP를 매개로 해서 프로브해야 할 다른 단의 타입 C 스테이션이 어느 것인지를 알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에서는, 초기에 위치 S1에 위치된 타입 A 발신국은 초기에 위치 D1에 위치된 다른 타입 A 수신국으로 TCP/IP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고 있다. 발신국은 몇 개의 타입 C 스테이션(C1, C2, C5)을 통해 적당한 접속을 가진다. 이 설명으로부터, 타입 C 스테이션으로의 그래디언트가 유사한 스테이션을 통해 가능하게 되는 다수의 홉에 의해 다수의 경로를 통해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예컨대, 경로는 A-B-C로부터 나아가거나, 또는 A-A-B-B-C를 통해 우회하거나, 또는 A-A-B-A-B-C 등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타입 C 스테이션은 모든 타입 A 스테이션과 그들 자신 사이의 그래디언트 정보(홉의 수와 비용)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접속의 특정의 품질 내의 타입 C 스테이션도 그들의 그래디언트에 관한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을 타입 A 스테이션에 알리고, 또 아마도 특정 환경의 인증서버에 알릴지도 모른다. 타입 C 스테이션은 그래디언트를 프로브를 통해 바깥쪽으로 방출함으로써 이 그래디언트정보를 얻고, (특정 수의 홉, 즉 10홉 내의) 각 타입 C 스테이션은 이들의 그래디언트를 계속 추적하게 된다(그 네이버의 각각은 누적 비용을 그 포인트에 알린다). 그에 의해 타입 A 스테이션은 그들에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타입 C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고, 이들 스테이션으로부터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할 수 있다(그리고 이들이 변화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정보는 주기적으로 인증서버로 중계된다.
접속의 품질에 의존해서, 메시지 데이터는 타입 A 발신국으로부터 타입 B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알맞은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게 된다. 경로는 비용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반드시 가장 적은 홉의 수에 걸쳐 나아갈 필요는 없다. 또한, 이 설명에 있어서, 특정의 타입 B 스테이션은 타입 C 스테이션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타입 A 스테이션은 아마도 타입 A 스테이션 사이에 몇 개의 홉을 필요로 하는 타입 B 스테이션로부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되어도 좋을 뿐만 아니라, 타입 B 스테이션은 타입 C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도 좋다. 게다가, 중요한 접속의 용량 및 품질로도 경로에서 사용되는 타입 B 스테이션이 타입 A 스테이션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스테이션인지 모 른다. 그렇지 않으면 처리되는 문제는 하찮다.
마찬가지로, 수신 측에서 타입 A 발신국은 초기에 다수의 경로를 통해 C23 내지 C25에서 인터넷 액세스를 갖는다. 그 후, 인증서버는 수신국의 위치 상의 정보를 위해 (타입 C 스테이션을 통해 작용하는 발신국에 의해) 접속된다. 스테이션(C1, C2, C5)은 수신 측의 타입 C 스테이션을 프로빙할 뿐만 아니라 서로를 프로빙하기 시작한다(이에 대해서는 이 명세서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전형적으로, 인증서버는 그 후에는 필요치 않다. 일단 발신 및 수신국 사이의 그래디언트가 수립되면, 데이터는 스테이션 사이에서 전송되게 된다.
타입 A 스테이션 및 그들의 네이버가 타입 B 스테이션에 비례하여 이동하기 때문에(발신국이 위치(S2)로 이동하고 수신국이 위치(D2)로 이동하기 때문에), 각 측의 적절한 타입 C 스테이션이 변화한다. 동일한 발신국에 대해서는, 가장 좋은 C 스테이션이 제2의 위치(S2)가 도달할 때까지 (들어간 C 스테이션을 통해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대체된다. 이 경우에는, 스테이션(C8∼C10)이 가장 알맞은 액세스 포인트이다. 새로운 타입 C 스테이션이 발신국에 의해 검출됨에 따라 이 정보는 소스 그룹 및 수신 그룹의 양쪽에 포함된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중계된다. 이와 같이 양측의 잠재적인 접속의 클라우드가 점진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타입 C 스테이션 및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은 것들에 관하여 감시된다. 또한, 이 정보는 어떤 포인트에서 인증서버로 인증으로서 보내지지만, (타입 C 스테이션 네이버도 빠르게 변화하도록) 접속된 타입 A 스테이션이 아주 빠르게 이동하고 있으면 알고리즘은 타입 C 스테이션의 즉시 통지되는 인증서버가 타입 A 스테이션이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증하도록 변화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발신국의 제3의 위치(S3)에서는 스테이션(C10∼C12)이 발신 측에 적절하고, 반면에 최종 위치(S4)에서는 더 이상 모두에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ODMA 네트워크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다.
타입 A 발신국이 그 최종 위치(D2)에 위치될 때, 스테이션(C23, C14, C16∼C18)을 수신 측에서 이용할 수 있다.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은 원래의 타입 C 스테이션(C23을 제외한 초기의 스테이션 모두)은 프로빙을 정지하도록 알리거나, 또는 일정의 지연 후에 시간종료(time out)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래 이용가능하다고 간주된 네이버가 접속 옵션으로서 아직까지 적절하지만 실제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그들은 그들을 "살아 있거나" 이용가능하다고 유지하도록 프로브되어도 좋다. 택일적으로 이들 스테이션은, 그들이 더 이상 (특정 수의 홉 내의) 그들의 네이버로부터 프로브나 응답을 통해 활동도를 듣지 않을 때까지 프로빙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수신국이 위치(D2)에 있을 때 가장 알맞은 타입 C 스테이션 네이버가 가장 가까이 위치된 스테이션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도 3은 도 2와 같은 개념을 설명하고 있지만, 하나의 타입 A 스테이션의 사시도로부터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이동가능한 타입 A 스테이션은 초기의 위치(S1)로부터 최종 위치(S4)까지 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마트 폰"이다. 이동국이 이동함에 따라 그 인터넷으로의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하는 타입 C 스테이션이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이동국의 위치(S1)에서는, 도시 지역에서 타입 C 스테이션(C1∼C4)은 인터넷 매체와의 접속에 이용할 수 있다. 위치(S2)에서는, 교외 지역에서 타입 C 스테이션(C1, C2)만을 이용할 수 있다. 타입 A 스테이션이 위치(S3)로 이동함에 따라, 철도 상 및 삼림 지대에 위치된 다른 이동국 사용자에 의해 이동국이 도시 및 교외 지역의 양쪽으로부터 멀리 떨어져도, 공업 지대에서는 타입 C 스테이션(C3∼C6)을 이용할 수 있다. 최종 위치(S4)에서는, 더 격리된 지역에서 보다 소수의 타입 A 및 타입 B 스테이션이 있고, 여기서는 타입 C 스테이션(C5, C6)만이 알맞다.
이 설명에서 보강되고 있는 중요한 특징은, 이동국이 주위로 이동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타입 C 스테이션이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지만, 이용가능한 선택이 있 다는 점이다. 예컨대, 스테이션(C3, C4)은 대부분의 여행을 위해 이동가능한 타입 A 스테이션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의 중요성은, 타입 A 스테이션 사이 및 타입 A 및 B 스테이션 사이의 홉의 수가 타입 C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에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타입 C 스테이션에 하나의 이용가능한 홉만이 있는 경우에는, 기회를 잃어버리게 된다.
인증서버는 전형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신 처리를 개시하는데 사용될 뿐이라는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일단 패킷이 발신국과 수신국 사이에서 흐르면, 발신국 및 수신국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이용가능한 기회를 기초로 해서 다른 측에서 프로브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타입 C 스테이션의 리스트를 수정하게 된다. 각 타입 A 스테이션은 그 지역에서 가장 좋은 타입 C 스테이션을 연속해서 결정하는 바, 따라서 송신된 데이터는 이들 스테이션으로 최적으로 경로를 정하게 된다. 게다가, 이따금씩 가장 좋은 타입 C 스테이션의 리스트의 식별은 임의의 응답에서 프로브해야 할 가장 알맞은 타입 C 스테이션인 다른 측으로 보내진 패킷에 포함된 정보의 일부로서 통신된다.
그 결과, 소스국 및 수신국은 그들의 접속 정보에 관해서 서로에게 계속 알려주고 있다. 이것은, 예컨대 소스국 및 수신국이 모든 타입 C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하나 또는 양쪽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거나, 또는 타입 C 스테이션이 서로 갱신될 수 있는 등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의 시도로 얻어질 수 있다. 여하튼 어떤 이유로 소스국 또는 수신국과의 접속이 끊어지면, 타입 C 스테이션은 이용가능한 가장 최근의 정보로부터 스테이션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지연기간 후에 통상 시간종료(time out)되기 때문에 잠시 동안 그래디언트를 유지하도록 명령해도 좋다. 일단 스테이션이 재배치되면, 진행 중의 통신을 위해 더 유효한 경로를 수립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스테이션은 또한 이것이 더 최신이면 인증서버로부터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수신한 정보에 기초해서, 응답에 있어서 제1 측으로 가꾸로 보내진 데이터는 식별된 최후로 알려진 가장 좋은 타입 C 스테이션을 통해 라우트되게 된다. 일단 발신국과 수신국이 더 이상 그들 사이의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래디언트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 그들은 다른 측의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을 프로브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타입 C 스테이션에게 알린다. 가장 적절한 타입 C 스테이션("주문형 네이버(neighbors on demand)"라고 함 - 더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내용을 참조)만을 이용하는 이러한 특징은, 이 발명의 "유선"을 통한 ODMA 태양의 핵심 사항으로, 광역 글로벌 ODMA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메카니즘이다.
메카니즘 - 인터넷 매체를 통한 접속
인터넷을 통한 ODMA는 인터넷을 통신 매체로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 아마도 충분히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스테이션 사이에서 통신하는 수단이다. 인터넷을 통한 방송이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메시지가 어드레스 지정된 수신지로 송신되기 때문에), 네이버의 집합은 그래디언트 요구에 의해 결정된다. 정보가 특별한 타입 A 스테이션으로의 그래디언트에 관하여 요구되면, 인증서버는 수신국의 (접속에 관하여) 최후로 알려진 장소의 정보에 액세스된다. 각 타입 A 스테이션이 그 자체를 인증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요구하고 이 정보는 인증서버에 기록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서버는 이용가능한 그러한 정보를 가져야 한다. 수신국에 이용가능한 가장 알맞은 알려진 이더넷 대 인터넷 어댑터(타입 C 스테이션)의 인터넷 어드레스는 발신국에 이용할 수 있는 타입 C 스테이션으로 리턴되고, 이들은 프로브해야 할 잠재적인 네이버로서 타입 A 스테이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 매체에서의 비용 함수는 (필요한 네이버를 핑(ping)하고 무선 매체를 통해 사용되는 "슬로우 프로브"에 가까운 프로빙 메카니즘을 매개로 해서 전송시간을 결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는) 인터넷 지연과 같은 조건에 의존하게 된다.
인터넷을 통한 ODMA 방법은, "데이터그램(datagram)"의 형태로 컴퓨터 사이에서 테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UDP(User Data Protocol: 사용자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UDP는 데이터 및 헤더가 제공될 수 있는 패킷 구조를 갖는 비연결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connectionless transport-layer protocol)이고, 인터넷을 통한 ODMA에서의 모든 프로빙 및 데이터 전송은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UDP를 매개로 해서 보증된다. UDP 헤더는, 발신 및 수신 포트의 정보, 데이터 및 (UDP 헤더 및 데이터에 선택적인 완전성 검사(optional integrity check)를 제공하는) 체크섬(checksum: 검사 합계)의 길이를 포함한 4개의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UDP에 관한 더 상세한 정보는 인터넷 상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지만, 몇 가지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웹사이트에서도 찾을 수 있다.
http://compnetworking.about.com/od/networkprotocols/l/aa071200a.htm.
인터넷 매체를 통한 전송처리는, 프로브가 UDP를 이용하여 송신되고, 전송이 UDP를 이용하여 얻어지며, 확인응답 패킷(acknowledge packet)이 UDP를 이용하는 UDP 데이터 패킷 프로토콜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또한 소스로부터 수신지로 이용가능한 그들 자신의 헤더도 가진) ODMA 패킷의 모든 컨텐츠는 부착된 ODMA 헤더와 더불어 UDP 패킷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그 후 UDP 패킷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다. UDP 패킷의 ODMA 컨텐츠는 먼저 인증 및 보안을 위해 암호화된다. 전형적으로, 암호화는 수신지로의 도중의 보안을 위해 소스국에서 착수된다. 명백하게는, UDP 이외의 다른 적당한 패킷 구조 또는 등가 기구가 개발되면, 이들은 적당한 것처럼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무선을 통한 ODMA와 인터넷을 통한 ODMA 데이터 전송 사이에는 2가지의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
무선을 통한 ODMA에서는, 어떤 특정한 스테이션의 네이버가 그들이 도달하는데 필요한 가장 낮은 전력을 갖는 것들에 의해 원리적으로 지령된다. 인터넷을 통한 ODMA에 있어서, 네이버는 글로벌 네트워크에서의 임의의 두 지역 사이의 접속에 대한 필요성을 기초로 해서 필요하게 되거나 요구되는 것이다. 이들 "ODMA 인터넷 네이버"는, (UDP 패킷에 들어간) ODMA 패킷이 인터넷을 매개로 해서 하나의 ODMA 무선 구역이나 지역으로부터 다른 구역이나 지역으로 통과하는 동안, 특정 접속을 위한 필요에 따라 특정의 시간동안 "ODMA 인터넷 프로빙"을 통해 유지될 뿐이다. 전형적으로, 이들 "주문형 네이버"는 2개의 구역 사이의 접속을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ODMA 타입 A 스테이션에 의해 요구된다. 그 후 타입 C 스테이션은 특정의 요구에 기초를 둔 프로빙을 통해 다른 타입 C 스테이션과 조화된다. 어떤 환경에서는, 타입 C 스테이션도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문형" 네이버일 수 있다.
무선은 본래부터 방송매체이고, 따라서 슬로우 프로빙이 네이버를 모으기 위해 사용될 때, 예컨대 전파(가장 낮은 경로 손실)의 점에서 가까운 네이버에 도달하기 위해 방송되는 슬로우 프로브의 전력이 채용된다. 그 후, 그래디언트가 방송매체이기도 한 패스트 프로빙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이들 네이버를 매개로 해서 전개된다. 인터넷에 접속된 ODMA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유효한 방송 메카니즘이 없고 또한 인터넷 상의 전력 채용을 위한 근거도 없기 때문에, 프로빙 네이버의 개념이 아주 다르다. 인터넷을 통한 ODMA에 대해서는, 각 스테이션은 식별된 그 "주문형 네이버"에 대해 순차적인 "ODMA 인터넷 프로브"를 처리한다. 이들 ODMA 인터넷 프로브는 본질적으로는 ODMA 프로브 정보를 포함한 UDP 패킷이다. ODMA 인터넷 프로브를 임의의 "주문형 네이버"로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은 UDP 패킷이 그 어드레스로 보내질 수 있도록 ODMA 스테이션의 인터넷 어드레스를 필요로 한다. 각 스테이션은 인증서버나 접속을 필요로 하거나 요구하고 이 정보와 함께 테이블을 유지하는 스테이션의 어느 하나로부터 이 어드레스 정보를 얻는다.
처리되는 UDP 패킷을 다른 인터넷 어드레스로 보내고(UDP 패킷은 ODMA 프로브 정보도 포함하고 있음) 이들 스테이션으로부터 응답을 거꾸로 수신함으로써, 각 스테이션은 지속적으로 그 "주문형 네이버"를 유효하게 "프로브"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스테이션은 이들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그들이 얼마나 분주한지, 그리 고 그들이 이용가능한 용량을 갖는지의 여부 등) 및 이들 스테이션과의 접속 용이성을 모은다.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또한 전송의 인터넷 부분을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ODMA 스테이션은 정기적으로(프로빙 간격으로) 처리되는 순차적인 UDP 패킷을 그 "주문형 네이버"인 인터넷 상의 다른 ODMA 스테이션으로 보낸다. 프로브는 또한 처리능력과 손실의 지시를 제공하고, 그에 의해 접속의 품질의 측정을 제공한다.
이들 UDP 프로브 패킷은 다소의 시간(예컨대 그들이 인터넷을 넘어가는 시간)만큼 지연되고, ODMA "주문형 네이버" 사이의 지연은 송신국과 그 네이버 사이의 링크 품질의 측정, 대체로 인터넷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핑(ping)" 지연 시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UDP 패킷(인터넷 프로브)을 제2 스테이션(그 "주문형 네이버" 중의 하나)으로 송신하는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의 프로브는, 송신될 때 활성화되고 제2 스테이션(타이머를 포함하고 있음)으로부터 UDP 패킷의 리턴 시에 등록(register)되는 로컬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제1 스테이션이 이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으로의 프로브의 지연을 계산하여 다시 후진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허용한다. 두 스테이션의 클럭(clock: 시계) 사이의 동시성(synchronicity)의 임의의 부족함은, 제1 스테이션이 모든 처리의 시간을 재고 제2 스테이션이 정보를 그 응답 전에 얼마나 유지해야 하는지의 항목을 제공함으로써 극복된다(반면에 UDP 패킷은 오픈되었고, 스테이션은 어떤 추가의 작용을 필요로 하는 것이 ODMA 패킷이고 프로브 응답이 UDP 패킷에 들어가 제1 스테이션으로 거꾸로 송신되는 것이 필요했 다고 등록되었다). 스테이션이 인터넷 프로브를 그들의 주문형 네이버 모두에 송신(패킷 다발에서 타이머 등을 포함하고 있는 UDP 패킷을 송신)하기 때문에, 각 스테이션은 그 각종의 "주문형 네이버"로의 유효한 비용을 (예컨대 네트워크 지연으로 환산하여) 산정할 수 있다. 이 프로빙은 무선 매체를 통해 수행되는 "슬로우 프로빙"에 가깝다. 명백하게는, 분리된 슬로우 프로브는 품질 정보를 위해 적용될 수 있고, 패스트 프로브는 이것이 적당한 경우 그래디언트 정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발신국과 다양한 ODMA "주문형 네이버(neighbors on demand)" 사이를 통과하는 프로브는 인터넷 매체(무선 매체에서의 "패스트 프로빙(fast probing)"에 가까움)에서의 적용가능한 누적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누적 비용 정보는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무선 매체에서의 무선 패스트 프로빙 메카니즘을 이용해서 개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효한 누적 비용의 그래디언트는 인터넷을 거쳐 발신 무선 ODMA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국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점에서, 인터넷 매체에는 오직 하나의 인터넷 프로브 메카니즘만이 존재하여, 무선 매체에서 슬로우 및 패스트 프로브의 양 기능을 달성한다.
인터넷 프로브는 "주문형 네이버"의 링크의 품질, 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개발하는데 이용되고, 더욱이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그래디언트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무선 매체에서의 발신국에서 시작하는 소정의 그래디언트는 다른 무선국으로 먼저 향하고, 이어 수신국에 대해 무선국에 의해 뒤따르는, ODMA 인터넷 타입 C 스테이션을 매개로 하나 이상의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으로 향한다. 이러한 그래디언트는 발신 및 수신국이 접속을 필요로 하는 한 오직 최종으로 되고, ODMA "주문형 네이버"는 그들을 통한 그래디언트가 필요로 되는 한 서로 프로빙을 유지하기만 하게 된다.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ODMA 타입 C 스테이션 사이의 인터넷을 가로질러 전송될 때, 인터넷 상의 ODMA 스테이션이 수신국에 대한 그들의 네이버를 통한 라우팅의 비용을 위한 그들 자신의 그래디언트 테이블에서 찾고, 이어 데이터 패킷(UDP 패킷 내부)이 다양한 네이버와 대기된 확인응답에 대해 어드레스를 지정한다는 점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가 변경된다. 인터넷 상의 지연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다수의 ODMA 데이터 패킷은 확인응답이 예측되기 전에 다양한 스테이션에 대해 차례로 보내질 수 있도록, 패킷은 버스트(패킷의 그룹)로, 또는 예상된 더 낮은 비용으로 다수의 잠재적인 스테이션으로 보내질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타입 A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가 경로를 따라 상호 요구된 노드에 대한 경로를 정하기 위해 패킷에 결합될 수 있다. 패킷이 시간종료 기간 후 확인되지 않으면, 패킷은 다른 잠재적 후보 네이버를 매개로 다시 보내지게 된다. 경로에 따른 각 릴레이 포인트는 에러와 주기적 용장 코드 점검을 갖는다. ODMA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의 엔드-투-엔드(end-to-end) 확인응답 및 엔드-투-엔드 시퀀싱을 위해 허용되므로, 인터넷을 매개로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초래되는 분실 또는 시퀀스 외(out-of-sequence) 패킷은 분류되어 발신 및 수신국에 의해 대조된다.
인터넷 매체의 발신 및 수신 측 상의 타입 C 스테이션 사이의 실제적인 라우팅(routing)은, 다른 말단에서 식별된 인터넷 타입 C 스테이션 네이버에 도달하기 이전에, 다중 중간 ODMA 인터넷 타입 C 스테이션 홉을 통해, 또는 이들 스테이션 사이의 무선 홉을 통해서도 지나가는 경로를 요구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만 한다. 채택된 경로는 편의적이고 유효한 접속의 품질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ODMA의 동작은 무선을 통한 ODMA와 매우 동일하고, 여기서 인터넷 경로가 어떻게 어드레스가 지정된 스테이션에서 설정되는가에 따라, 여러 홉이 단일 홉 보다는 (더 낮은 누적 비용과 함께) 더욱 효과적임과 더불어 바람직함을 증명할 수 있다(이러한 개념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제공된 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인터넷을 통해 홉이 요구되는, 하나의 타입 A ODMA 유닛으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접속의 수단은 다수의 단계를 요구하게 된다. 발신 타입 A 유닛은 원래의 메시지 데이터를 ODMA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라면, 신호가 압축되고 디지털화되어 ODMA 패킷에 위치된다. 데이터가 TCP/IP 포맷 데이터라면, 이러한 패킷은 ODMA 패킷에 들어가고 TCP/IP 헤더가 부가된다. 이어 ODMA 패킷은 다른 타입 A 스테이션을 통해 무선을 통한 ODMA를 이용해서 타입 B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ODMA 패킷은 직접 이더넷 패킷에 위치하고, ODMA 헤더가 부착되며, 이더넷 패킷이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이어 ODMA패킷은 이더넷 패킷을 취출하고 에러를 점검하며, ODMA 헤더가 제거되고, ODMA 패킷이 (ODMA 헤더가 부가되는) UDP 패킷에 위치된다. 이러한 UDP 패킷은 인터넷의 수신 측 상의 타입 C 스테이션으로 보내지고 여기서 ODMA 패킷은 UDP 패킷(ODMA 헤더가 제거되어 버림)을 취출하고 타입 B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해 이더넷 패킷 (헤더가 부가됨)으로 위치한다. ODMA 패킷은 이더넷 패킷에서 취출되고 타입 A 스테이션으로 무선을 통한 ODMA에 의해 보내지고, 여기서 데이터가 압축되고 디지털화된 음성 데이터로서 추출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거나 경우에 따라 TCP/IP로 다시 변환된다.
데이터의 무슨 형태가 내부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 없이, 다수의 홉 경로의 어떠한 ODMA 스테이션이 그에 의해 전송되는 ODMA 패킷을 인식하게 되는 것임을 인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서로의 응용 통신이 그 자신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되고, ODMA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서로 협상함으로써, "가상(virtual)" 접속로서 기능하게 된다.
타입 C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된 소정의 프로빙이 UDP를 이용해서 착수되지만, 인증 서버(Authentication Service)와 타입 C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이 UDP 또는 TCP/IP를 매개로 해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더욱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발신국으로서 데이터를 수신국(AD)으로 전송하기 원하는, 스테이션(AS)으로 라벨이 붙여진 타입 A 스테이션(무선 접속을 갖춘 이동국)을 나타낸 것이다. (명확히 할 목적으로, 타입 B 스테이션을 통한 라우팅은 설명에서 생략했다.) 예에서의 양 스테이션은 무선 ODMA 네트워크 환경에 있다. 먼저, 발신국(AS) 은, 그들 사이의 그래디언트를 생성하기 위한 시도의 무선 매체를 통해 방송하는, 패스트 프로빙 기술을 통해 수신국(AD)을 위치시키도록 시도된다. 수신국(AD)이 유효 검색 후 위치될 수 없다면(예컨대, 스테이션 등 간의 다수의 홉 또는 누적 비용이 소정의 최대값을 넘으면), 또는 그들 사이에서 무선 매체의 접속이 현재 없으면, 인터넷이나 다른 보조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유선 매체가 "홉(hops)"의 하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접속의 그 지역에서 네이버의 그 테이블을 생성함에 있어서, 스테이션(AS)은, 스테이션(CS)이 그에 대해 유용한 가장 적절한 ODMA 인터넷 중간국이고, 따라서 데이터가 전방 전송(onward transmission)을 위해 스테이션(CS)을 통해 보내진다는 것이, (이전의 특허 출원에서 개시된 표준 ODMA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되게 된다. 그러나, ODMA 인터넷 스테이션(CS)이 그 네이버 테이블의 수신국(AD)의 어느 곳과 관련된 어떠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테이션(CS)은 특정의 알려진 인터넷 어드레스를 갖는 인증 서버(AS)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액세스한다. 인증 서버는 분산시킬 수 있고 소정 기능이 (이하 개시된) 다른 스테이션으로 분배된다.
동작의 규칙적인 진행에 있어서, ODMA 네트워크 상의 모든 ODMA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에 대해 접속 및 인증 서버에 대한 다른 스테이션에 관한 어느 곳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도록 주기적으로 요구한다. 수신국(AD)으로부터 수신된 가장 최근의 인증 기록을 기초로, 인증 서버는 수신국(AD)에 대한 접속을 갖는 최상의 ODMA 인터넷 중간국을 잠재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여러 ODMA 인터넷 스테이션(CD)을 제의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특정 인터넷 어드레스와 마지막으로 알려진 그래디언트 정보)는 스테이션(CS)과(더 좋은 접속 그래디언트가 스테이션(AS)과 새로운 CS 스테이션 사이에서 가능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가 스테이션(AS)에 가까운 새로운 CS 스테이션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바람직하기는 발신국(AS)과) 통신한다. 이어 인터넷 스테이션(CS)이 인증 서버에 의해 제의된 CD 스테이션을 조사하여 최상의 그래디언트(CS로부터 AD까지)를 가짐을 결정하는 스테이션(CD)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테이션(CD)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DD로부터 AD까지의 전방 전송을 위한 최상의 기회가 스테이션(CD)에 의해 결정되고 데이터는 무선 프로토콜을 거쳐 ODMA를 이용해서 무선으로 수신국(AD)으로 경로를 정하게 된다.
명확성을 위해, 먼저 잠재적 그래디언트는 스테이션(AS)과 스테이션(CS) 사이에서 전파된다. 스테이션(CS)은 차례로 다양한 식별된 CD 인터넷 스테이션으로 그래디언트를 전파하고 그 후 다중 그래디언트가 수신국(AD)으로 전파된다. 통상의 진행에서, 여러 CS 스테이션이 인터넷 액세스의 포인트로서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먼저 "주의시킴(woken up)"이 이루어짐을 인식해야만 한다. 이러한 스테이션 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이러한 정보가 다른 CS 스테이션 또는 발신국(AS)에 의해 그들과 통신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국(AD)과 관련한 정보를 얻는다
CS 스테이션이 CD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이전에, 소정의 제한된 수의 CD 스테이션만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수신 측 상에서 "주의시킴(woken up)"이 이루어진다.
스테이션(CS)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UDP 패킷에 의해 인터넷을 거쳐 반송된 ODMA 패킷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이는 모두 수신국(AD) 쪽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접속 정보는 AS가 원래의 데이터를 보낼 때 선택된다는 무선 발신국(AS)과 인터넷 스테이션(CS) 사이의 접속을 위한 최상의 그래디언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어 수신국(AD)이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보내는 시점에서 유용한 최상의 CD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발신국(AS)으로 되돌리는 최상의 라우팅을 수립하기 위해 (인터넷 어드레스와 발신국에 의해 제공됨에 따른 발신국으로 되돌리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접속 정보에 따라) 프로브에 대해 최상의 알려진 CS 조건의 스테이션(CD)을 알림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다. 즉, 수신국(AD)으로부터 발신국(AS)으로 보내진 데이터는, 응답 시에 발신국(AS)에 대해 유용할 뿐만 아니라 원래의 데이터 메시지가 AS로부터 보내질 때 최상의 접속 정보가 제공되고 - 그리고 양 측에 보내지는 데이터가 더 이상 없을 때까지 프로세스가 AS와 AD 간에서 반복되는, 최상 의 CD 조건의 항목을 포함하게 된다. 이어 타입 C 인터넷 스테이션은 프로빙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거나 비활동의 소정 주기 후 또는 계속에 대한 지시가 없으면 단순히 정지시키게 된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프로세스의 더욱 복잡한 버전을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 발신국(AS)은 인터넷 스테이션(CS1과 CS2)으로 패킷의 2그룹(a,b)으로 편의적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를 수행하기 이전에, 스테이션(AS)은 인터넷 스테이션(CS1 -3)이 인터넷 매체로 무선을 통해 최상의 유용한 그래디언트를 갖는다는 것을 식별한다. 이어, 2개의 인터넷 스테이션(CS1과 CS2)이 수신국(AD)의 가장 늦게 알려진 어느 곳에 관한 정보를 위해 인증 서버(AS)를 독립적으로 액세스한다. 본 예에 있어서, 인증 서버는 CS1과 CS2에 대해 동일한 CD 스테이션을 제안할 수 있고, 또는 이는 그들 중 하나, 즉 CS2에 응답하기 이전에 AD로부터 더욱 새로운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측 상에서 조사하도록 다른 스테이션 제안을 보낸다. 여하튼 CS2는 제안된 CD 스테이션에 대해 유용한 그래디언트를 조사하고, 그 후 CD3를 통해 (b) 데이터 패킷의 경로를 정하게 된다. 이어 도시된 바와 같이, (b) 패킷은 AD와 AND2의 무선 네이버이었고 수립된 중간국(AND1)으로 ODMA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고, 편의적으로 (b) 데이터 패킷이 분리되어 수신(그리고, 인증 서버에 의해 제안된 소정의 다른 CD 스테이션)에 대해 2개의 서브그룹 (b1) 및 (b2)로 경로가 정 해진다.
한편, 데이터 패킷의 (a) 그룹화는 각각 CS1 내지 CD12 및 CD2(그리고, 인증 서버에 의해 제안된 소정의 다른 CD 스테이션)에 의한 프로빙 후에 편의적으로 분리되고 2개의 서브그룹의 패킷 (a1) 및 (a2)로 전송된다. 이어 이들 패킷의 서브그룹은 표준 ODMA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편의적 경로에 의해 AD로 보내진다.
AD가 인터넷 스테이션(CS1 -3) 상에서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AS에 대한 응답에 있어서 AS와 함께 최상의 잠재적 접속을 결정하기 위해 이들 스테이션을 조사하도록 그에 대해 현재 유용한 최상의 CD 인터넷 스테이션을 요구한다. 발신 및 수신국 각각은 서로의 가장 늦은 어느 곳의 정보를 가짐에 따라, 인증 서버가 AS와 AD 간의 연속되는 통신에서 전혀 요구되거나 포함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된다.
물론, 인터넷의 다른 측 상의 타입 C 스테이션은 원했던 타입 A 스테이션이 위치될 수 없는 메시지를 되돌리는 경우, 인증 서버는 조사에 대한 제안을 위해 다시 액세스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AD)은 인터넷 매체를 통해 응답하도록 맡겨질 방법이 없고 모든 유용한 매체를 통해 더 낮은 누적 비용과 홉 카운트를 갖는 다른 그래디언트가 AD와 AS 간에서 유용한가의 여부를 수립하도록 무선 매체에서 패스트 프로브를 생성함이 인지되어야 한다. ODMA 환경의 평가는 서로에 대해 가능하게 주위를 이동하는 스테이션 사이의 최상의 가능한 접속을 수립하도록 프로빙을 통해 연속적으로 역전된 진행(ongoing) 프로세스이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상기한 예에 따르는 스테이션(AD)으로부터의 응답을 나타낸다. 수신 측 인터넷 스테이션(CD)에 의한 프로빙 후, AD로부터 AS까지의 잠재적 전송을 위한 최상의 그래디언트를 제공하는 CD2 내지 CS1를 통해 라우팅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데이터 패킷 (c)가 AD로부터 CD2로 전송되는 동안, AD는 현재의 인터넷 스테이션(CD4)이 인터넷 매체에 대해 더욱 효율적인 경로를 제공하여, 데이터 패킷 (d)의 서브그룹이 이 스테이션을 통해 라우트된다는 것을 편의적으로 수립한다. 소스 측 CS 스테이션을 프로빙함에 따라, 인터넷 스테이션(CD4)은 또한 AD에 의해 그에 대해 원래 제안된 조건을 수립하고, 스테이션(CS1)은 아직 최상의 대안이다. 그러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문제에 직면하여 접속이 종료되거나 더욱 편의적 경로이고 경로가 인식되어 - 몇몇 정보(d2)가 CS3을 통해 대신 경로가 정해진다. 이어 패킷의 다양한 서브그룹은 CS 스테이션과 최초 발신국(AS) 사이의 ODMA 무선 라우팅 후 AS에서 재조립된다. 이는 다시 패킷이 시퀀스 외로 되고 시퀀싱의 엔드-투-엔드 흐름을 위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소스로부터 수신지로 데이터를 재구축하기 위해 분실 패킷의 재주문 및 재조립하는 것을 증명한다.
한편, CD2와 CS1 사이의 링크는 몇몇 이유로 중단되고, (c) 패킷이 전송되는 동안, CS1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패킷이 전방으로 보내지지 않는 스테이션을 알리는 CD2로 메시지가 되돌아 가서(또는 존속(time-to-live) 기간이 초과된 후), (c2) 패킷은 CS4로 중간 인터넷 스테이션(C( int ) - CD2의 알려진 네이버)을 매개로 전송된다. 이어 메시지는 차례로 AS로 무선 매체를 통해 보내진다. AD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테이션(AS)은 (스테이션(CS1 -4)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그 최상의 인터넷 스테이션 접속 정보를 갱신한다.
도 7은 인터넷 매체가 그 자신의 자체적으로 멀티-홉 ODMA 기회임을 증명하기 위해 상기한 예의 더욱 진전된 버전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는, 명확화를 목적으로 (c) 패킷의 라우팅만을 나타낸다. (쉐도우 포맷으로 나타낸) 이전과 같이, 패킷은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C2에 대한 라우팅이 설명된 바와 같이 직접적일 필요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c2) 패킷이 CD2로 되돌아감에 따라, CS1 스테이션으로 원래부터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모든 타입 C 스테이션이 그에 대해 최상의 접속을 갖춘 그 네이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함을 관찰한다. 이들 네이버는 타입 A 스테이션 사이의 고려된 접속에 관하여 식별된 "주문형 네이버"는 아니다. 타입 C 스테이션은 진행되는 배경 과제로서의 "잘 접속된(well connected)" 네이버를 위해 증명한다. 네이버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잘 접속된"의 여부의 수립은, 타입 C 스테이션 또는 인터넷 그 자체에 대한 접속의 품질과 같은, 기준의 적절한 세트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타입 C 스테이션에 의해 유지된다. 양호한 접속을 갖는 스테이션은, 그들이 그들 주위로 그래디언트를 방출하고 인증 서버에 대해 그들 자신을 인증하게 됨에 따라, 사실을 효과적으로 광고한다. 또한 스테이션은 그들이 휴지(idle)이면 용량을 증명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양호한 접속을 갖고 이러한 정보를 유지하거나 잘 접속된 스테이션의 인접을 형성하도록 다른 타입 C 스테이션에 대한 역할을 연기하는 네이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예에서 CD2와 같은) 타입 C 스테이션이 축소된 접속을 갖는다는 것을 실현할 때 양호한 접속에 따라 다른 스테이션에 대해 누진적으로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인증 서버가 헬퍼(helper)로서 기능할 수 있는 양호한 접속에 따라 스테이션에 대해 매치됨을 요청한다. 이들 헬퍼는 분투하는 스테이션에 대한 유용한 다수의 네이버가 제한됨에 따라 과부하로 되지는 않게 된다. 잘 접속된 중간국은 버퍼 또는 어떻게 다른 스테이션이 도울 수 있는지에 관해 인증 서버로부터 정보를 라우팅 또는 수집함에 따라 도울 수 있게 된다.
가정은 발신 및 수신 타입 C 스테이션 각각이 양호한 접속을 갖는 그들 자신 측 상의 다른 중간국에 대해 양호한 접속을 갖는다는 것으로, 발신과 수신국 사이에서는 양호한 접속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 패킷 라우팅이 직접 향하는 2개의 중간국이 되게 된다(즉, 3개의 홉).
도 7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c2) 패킷은 (c2.a) 및 (c2.b) 그룹으로서 수신 및 전송되는 바로 그 때에 분리된다. CD2 및 CDS4 각각은 유용한 다수의 잘 접속된 중간 네이버 스테이션을 갖는다(이들은 세계의 어느 곳에서도 가능하고 - 테스트는 접속의 품질과 용량이고, 스테이션의 물리적 위치가 아니다). 4개의 홉을 통한 라우팅이 설명된다. (c2.b) 그룹은 먼저 CD2 중간 네이버(CD2 ( int )) 중 하나로 향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점에서, CS4 또는 그 네이버의 어느 것에 대한 접속은 전방 라우팅이 야기되는 것에 관한 것일 때에는 덜 바람직하다. 라우팅은 첫번째 CD2 중간국(CD2( int ))에 대해 알려진 C 스테이션에 대해 더 낮은 비용 함수에 따라 홉을 통해 대신 향하게 되고, 이어 CS4의 잘 접속된 네이버, 즉 CS4 ( int )를 매개로 CS4로 나아간다. 어떠한 라우팅의 시점에서 유용한 기회의 선택은 일반적 ODMA 방법을 따라 일어난다.
도 7은 2개의 타입 B 스테이션(동일한 이더넷 네트워크의 부분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을 통해, 또는 다른 타입 B 스테이션에 대해 유선을 통해 타입 A 스테이션에 대한 타입 B 스테이션 사이에서, 인접하는 C 스테이션에 대한 다른 라우팅의 다른 예를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이들 경로는 타입 C 스테이션 사이에서 직접 접속 보다는 더 낮은 누적 비용을 갖는 것으로 증명되거나 또는 몇몇 부하가 더 높은 용량에 따라 유닛에 대해 흘리거나 분배시키면 따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예는 인터넷이 유용한 매체를 가로질러 그 자체에서의 기회로서 ODMA 정황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설명하는데 기여한다. 트래픽 부하와 접속의 강도와 같은 팩터에 따라, 인터넷을 가로질러 수신지까지 가장 효율적인 경로와, 요 구에 따라 쉐딩(shedding) 및 스프레딩(spreading) 패킷 및, 소정의 인터넷 스테이션이 양 측 상에서 인터넷 접속을 갖는 필요성을 일깨움을 찾기 위해, 라우팅이 발신 또는 소스국(AS) 및 수신국(AD) 사이에서 채택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부하는 필요성 및 유용한 대안적 조건이 항상 재평가될 때 연속적으로 스프레드된다. 더욱이, 인터넷을 통한 라우팅은 어느 특정 접속에서 선택된 네이버가 편의적으로 잘 네이버로서 존재하지만, 인터넷 접속을 통한 ODMA에 대한 요구를 하는 한은 존재하는 것을 요구한다
이는, 이동가능한 유닛이 인터넷과 같은 넓은 지역의 적용범위와 다중 노드를 갖지만 네트워크에 과부하를 걸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의 충분한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술혁신이다. 이것은 일정한 기초로 유용한 최상의 접속을 갱신하고, 요구된 접속만을 위해 이들 갱신을 제한하며, 이어 접속에 대한 필요성이 종료될 때 갱신을 정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ODMA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소정의 불필요한 인터넷 활동 및 잠재적 혼잡을 최소화한다.
무선 접속을 갖는 스테이션에 대한 인터넷 접속을 갖는 스테이션의 비율이 제공되면, 비교적 안정성을 기초로 유지되고(C 스테이션에 대한 A 및 B 스테이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무선 및 인터넷 스테이션 손실 적용범위, 데이터 흐름속도 변동 등), 네트워크의 "클라우드(cloud)"가 소정의 주어진 시간에서 통신 모바일 스테이션에 따라 드래그(drag)된다. 무선 및 인터넷 스테이션 양쪽은 필요에 따라 활성 및 비활성으로 될 수 있고, 모바일 스테이션의 접속을 최적화하도록 유용한 리소스의 적응형 풀(adaptive pool)을 구성한다. 네트워크 상의 타입 B 및 C 스테이션에 대한 타입 A 스테이션의 비는 타입 A 스테이션의 용량과 활성 요구에 따름을 인지하게 된다.
한정된 미리 정해진 수의 인터넷 스테이션만이 인터넷 매체를 통한 전송을 허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들 스테이션은 빨리 병목(bottleneck)으로 될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 프로세스를 통한 ODMA 내에서, 인터넷 스테이션은 깨어 있고, 요구되는 활용가능한 다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처분된다. 활용가능한 각 개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접속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션은 (아마 낮은 전력 공급을 갖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지리적 위치를 갖는) 이동국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품질 수준을 다르게 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은 완전히 의존적인 다른 네트워크 내의 전형적 베이스 스테이션과 같지는 않다. 상기 ODMA 네트워크는, 전체 광역(글로벌) 네트워크의 고정 네트워크 부분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의 많은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탄력적(resilient)이다.
상기 글로벌 ODMA 네트워크가 그와 같이 인터넷의 이용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님 또한 인식해야 한다. 상기 제기된 문제는, 서로에 대해 주위를 이동하는 잠재적으로 제한되지 않은 수의 타입 A 스테이션에도 불구하고, 이들 스테이션의 일부는 그들 간의 어떠한 접속도 갖지 않는(또는 낮은 접속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글로벌 ODMA 네트워크 개념은 네트워크의 무선 부분 사이의 안정적이고, 패킷 절환된 보조 네트워크를 염두에 둔 것이다.
상기 인터넷은 (다양한 다른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IP 프로토콜을 운영하는) 패킷 절환 네트워크의 오직 하나의 예이다. 인터넷이 가장 유용한 활용가능한 옵션을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은 상기 매체의 이용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가 전송을 위해 더 작은 패킷으로 나뉘고, 보조 네트워크로서 수신지로(알려진 수신지 주소를 갖는 "노드"로) 전환되는 모든 안정적인 패킷 절환("비접속(connectionless)") 네트워크의 이용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패킷은 동일한 경로 또는 심지어 알려진 경로를 따를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동적으로 라우팅되며, 이후 수신지에서 순서대로 재결합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절환된 보조 네트워크 매체는 위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를 이용할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발신국 측 상에 이용된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은 인터넷 접속을 갖지 않으나, 위성의 "신호송신가능범위(footprint)" 내에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조 네트워크는 위성을 통해 이용가능한 가상의 "유선" 접속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실제의 유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채택된 상기 경로는, 각 스테이션에서 개발된 그래디언트 정보에 따라 라우팅 포인트에서 활용가능한 기회에 의존적으로 인터넷 스테이션 및 위성 모두를 통해 홉(ho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네트워크, X.25 및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는 패킷 절환 네트워크의 다른 예이다.
상술한 예들은 또한, 어떤 주어진 스테이션에 의해 행해진 누적 비용 평가도 따르게 될 라우팅을 단지 암시하는 것이나,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 수행된 라우팅을 지시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실제로 따르는 경로는, 상기 그래디언트를 따라 하향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 내의 어떤 지점에서든 전송되는 특정 패킷에 직면하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한다. 미리 정해진 경로에 대한 준수가 부족함은, 상기 패킷의 데이터가 막히지 않으나 대신 요구되는 더 나은 기회를 나타내는 다른 더 적절한 대체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 기회를 판단하는 단 하나의 기준은, 상기 그래디언트가 항상 개선된다는 것이며, 바꾸어 말하면 경로는 항상 더 낮고 더 낮은 비용 포인트로 항상 "내리막길(down hill)"을 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정은 하나의 패킷에 대해 패킷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및 편의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적 특징은, 각 홉에서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수많은 잠재적 노드가 저비용으로 활용가능하기만 하다면, 이들 중 일부가 비교적 나쁜 선택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네트워크는 안정적이고 적절하게 효율적일 것이다.
인증 서버의 추가적 역할
분산 및 통신 계층
본 명세서는 상기 인증 서버의 역할을 참고하였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그들의 정보를 공유할 일부 수단을 갖는 몇몇 인증 서버가 있을 수 있다. 진정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peer to peer network) 상에서, 상기 스테이션(타입 C 스테이션)은 부하를 줄이고 상기 인증 서버의 역할을 분산시키기 위해 라우팅, 프로세싱 및 고용량 작업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 서버는, 타입 C 스테이션이 초과 용량 및 그러한 스테이션 내에 스태쉬(stash)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거나, 헬퍼(helper) 스테이션으로서 이들 스테이션에 특정 기능을 할당하는 때를 인지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기능을 위해 상기 인증 서버에 액세스하는 다른 스테이션은 상기 헬퍼 스테이션으로 불릴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상기 헬퍼 스테이션은 상기 서버로부터 무언가를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곧장 보고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로 다시 보고하기 전에 상기 인증 서버를 위해 수행할 일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인증 서버는 네트워크의 통신 계층을 유지하나,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의 리소스에 영향을 주거나(leverage) 이용함에 의해 자신이 수행하여야만 하는 일을 감소시킨다. 이들 여분의 리소스는, 상기 네트워크 자체가 성장함에 따라 명백히 성장할 것이기 때문에, 솔루션은 항상 측정가능하며, 집중화된 인프라구조와 연관된 높은 비용 및 리소스가 회피된다. 이는 또한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지역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로부터 더 큰 또는 더 작은 정도로 격리되어 있는 상황뿐만 아니라 별특징없이(uncharacteristically) 접속에 대한 높은 요구가 있는 상황을 다룰 수 있도록 한다.
접속에 대한 잠재적 장벽
상기 ODMA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유닛에 대해 고정된 고유의 ODMA 주소를 할당한다(이들은 128비트 주소이어서, 잠재적 유닛의 숫자는 실질적으로 무한하다). 그러나, 인터넷 주소는 단지 32비트 주소이어서(주소 할당이 적절하게 수행된다면 단지 40억 개를 약간 넘도록 이용가능한 주소의 숫자를 제한하나 그러한 경우는 아님), 매우 많은 스테이션이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이라고 불리는 프로세스를 통해 하나의 공적(public) 주소를 이용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NAT는 네트워크 주소 및 IP 프로토콜 헤더 내의 포트 숫자를 동적으로 재작성하여, 패킷은 실제 스테이션 대신에 상기 NAT의 공적 IP 주소로부터 나오고 상기 공적 IP 주소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이, NAT가 다시 작성할 수 없는, 데이터 패킷 내에 숨겨진 포트 숫자 또는 IP 어드레스를 보낸다는 점에서, 스테이션에 의해 이용된 일부 프로토콜이 "친(親)NAT적(NAT friendly)"이지 않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들 어플리케이션은 NAT 후방의 어떤 스테이션에서든 이용되는 경우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ODMA 패킷이 (수신지에 의해 인식되어질 고유의 ODMA 주소를 나타내는 ODMA 헤더와 함께) UDP 패킷 내에 위치함에 따라, ODMA 통신은 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안전상의 이유로, 일부 NAT는, 외부로 나가는(outgoing) 패킷이 이미 보내진 경우의 해당 외부 주소로부터의 내부로 들어오는(incoming) 트래픽을 단지 허용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3개의 C 스테이션이 NAT 후방에 있는 경우, 서로에 대해 통신을 개방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UDP 패킷 내의 하나의 UDP 포트가 특정 ODMA 접속 데이터를 위해 활용되는 경우, 상기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증 서버는 공적 주소를 가져야만 한다(즉, NAT 후방이 아님). 사용자는 상기 인증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서버가 ODMA 주소에 매치한, 의도된 수신지의 동적 주소를 보낸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는 이용된 UDP 포트 내에 위치한 ODMA 정보를 구비한 다른 ODMA 유닛의 주소를 갖는 UDP 패킷을 양 스테이션으로 보낸다. 그러면, 양 스테이션은 서로에게 패킷을 보내고, 양방향 홀이 NAT에 의해 개방될 것이다.
상기 인증 서버가 다양한 타입 C 스테이션에 관한, 상기 스테이션이 NAT 후방에 있는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 인증 서버가 항상 NAT를 완료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앞서 논의된) "잘 접속된(well connected)" 타입 C 스테이션을 매개로 한 네이버 스테이션은 NAT 후방에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잘 접속된 네이버의 이러한 그룹화가 식별됨에 따라, 데이터가 NAT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보가 다른 잘 접속된 스테이션으로 미리 통과될 수 있다(그리고, 상기 정보는 아마 상기 스테이션 중의 하나에 유지되며, 데이터가 보내질 때마다 상기 인증 서버의 개입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것에 액세스 가능하다).
보안(security)
보안 특성 및 방화벽의 결과에 따라, 스테이션 사이의 접속을 잠재적으로 방지하는 다른 지역이 발생한다. 제3자가 상기 ODMA 스테이션을 잘못 사용하는 것(예를 들어, 불필요한 탐지를 야기하거나, 가입자 관리 및 빌링을 조작하거나, 데이터 또는 스테이션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에 액세스하는 등에 의해 네트워크에 대한 유해한 오버로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모든 ODMA 유닛은 고유한 ODMA 주소와 연관된 스마트카드를 필요로 할 것이다. 어떤 중계국도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액세스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필요하며, 모든 데이터 발신자는 해당 데이터가 중계국에 의해 액세스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인증 서버는 소스국 및 수신국의 인증을 통해 중계국에게 재보장(reassurance)을 제공할 것이며, 암호화 기술을 통해 최종 사용자(end-user)에게 재보장을 제공할 것이다. 이들 이슈 모두는 스테이션에서 요구되는 스마트카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게이트웨이
상기 "유선" 인터넷 매체는 또한 타입 E 스테이션을 통한 전화 네트워크(PSTN 어댑터로의 인터넷) 및 타입 D 스테이션을 통한 실제 인터넷 액세스(TCP/IP 어댑터로의 인터넷)와 같은 다른 서비스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통상의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예를 들어, 랩탑, PDA 또는 인터넷 가능한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브라우즈하는 타입 A 이동국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은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을 인터넷으로의 적절한 게이트웨이에 매치시키는 인증 서버를 통해 동작해야만 한다.
"실제의" 인터넷 액세스
인터넷을 브라우즈하기 위해, 상기 인증 서버는, 종래의 TCP/IP(또는 다른 유사한 프로토콜) 및 상기 ODMA 프로토콜이 번역/변환되는 경우,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을 적절한 타입 D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에 매칭시킬 것이다. 다른 스테이션이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션은 영구적 또는 일시적 인터넷 주소를 갖는 식별자를 필요로 한다.
그와 같은 ODMA 식별 주소는 인터넷에 의해 인지되지 않고, 이로써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각 ODMA 유닛에 상기 타입 D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에 저장된 인터넷 주소가 할당된다. 인터넷에 관한 한,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타입 A 이동국은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에 위치하며, 고정 주소를 갖는 고정 스테이션으로 보인다. ODMA 가능 스테이션의 영구적 인터넷 주소는 디렉터리 테이블(맵) 내의 해당 ODMA 주소와 함께 저장된다. ODMA 스테이션이 영구적 IP 주소를 가지면, 상기 디렉터리 맵 정보는 정보가 필요한 네트워크 상의 어떤 ODMA 스테이션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ODMA 스테이션이 일시적 주소를 갖는 경우, 오직 타입 D 스테이션만이 상기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은 상기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ODMA 사용자에게 상기 일시적 주소를 할당하고 매핑할 것이다. 인터넷으로,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은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의 영구 주소에서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에 직접적으로 간단히 접속되는 것으로 보이며, 고정 유닛으로 보인다. 명확하게는, 편의적으로 상기 타입 D 게이트웨이와 상기 무선(모바일) 타입 A 유닛 사이에 어떠한 데이터의 전송이 있는 경우, 상기 타입 A 및 타입 D 스테이션 사이에서 실제로 벌어지는 어떤 ODMA 라우팅도 표준 ODMA 프로토콜에 따라서, 확립된 그래디언트에 의해 기회를 잡기 좋은 방식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타입 A 스테이션이 "실제의" 인터넷으로 접속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TCP/IP 패킷은 상기 ODMA 패킷 내에 배치될 것이며, 앞에서와 같이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으로 보내질 것이다.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은 타입 D 스테이션이 이용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확립될 것이며, UDP 패킷 내의 상기 ODMA 패킷을 상기 D 스테이션 으로 보낼 것이다.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은 상기 UDP 메시지 내의 상기 ODMA 패킷을 개방하며, 상기 TCP/IP 데이터를 제거하여, 통상의 인터넷 라우팅에 의해 바람직한 인터넷 주소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된 TCP/IP 데이터가 ODMA 패킷 내에 배치되며, (상기 타입 C 스테이션 네이버를 탐지한 후) UDP를 이용하여 관련 타입 A 스테이션으로 가장 바람직한 그래디언트를 갖는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는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에서의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의 영구 주소로 향하게 된다.
(ODMA 가능 스테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자 스테이션이 영구 IP 주소를 통해 상기 ODMA 네트워크 상의 수신지와 통신하고 수신지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싶어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는 ODMA 및 IP 주소가 함께 매치될 타입 D 스테이션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이후의 통신은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할 것이다.
사적 ODMA 네트워크 액세스
인터넷은 공적 주소와 사적 주소를 이용한다. 상세하게 알아볼 필요도 없이(정보는 인터넷 상에서 쉽게 입수할 수 있음),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모든 스테이션은 고유의 주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종, 예를 들어, 조직내에서 (그와 같은 직접적 인터넷 액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네트워크 또는 인트라넷의 일부인) 많은 사용자가 프록시 서버와 같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액세스를 얻는다. 상기 인터넷 주소 시스템은 결과적으로 오직 사적 주소 이용만을 위해 남겨둔 공간 을 갖는다. 상기 사적 공간 내의 주소는 인터넷 상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이나, 공적 주소를 갖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는, 사적 주소는 인터넷으로 보내지기 전에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에 의해 유효한 공적 주소로 변환된다. 상기 배경은 사적 ODMA 네트워크 그룹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특정 ODMA 사용자는, ODMA 글로벌 네트워크 액세스를 갖고 있다면, (상기 사용자 자신이 이 세상의 어디에서든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경우) 사적 ODMA 그룹 또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룹의 각 구성원은 ODMA 주소를 상기 그룹의 표준 인터넷 사적 주소와 매핑하는 정보를 유지할 것이다. 그룹의 한 구성원이 해당 그룹 내의 다른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는 상기 ODMA 주소에 매핑될 것이고, TCP/IP 패킷은 ODMA 패킷으로 캡슐화될 것이며,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내의 하나의 ODMA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ODMA 스테이션으로 직접 보내질 것이다. 이는 상기 타입 A 스테이션 사용자 근처의 최상의 타입 C스테이션을 통해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으로 라우팅될 수도 있다. 상기 ODMA 패킷이 상기 UDP 메시지로부터 취해질 때,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은, 상기 그룹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구성된 구성원 사이를 상기 데이터가 통과하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이후, 상기 ODMA 데이터는 UDP 패킷 내에 배치될 것이며, (필요하다면,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위해 상기 인증 서버에 액세스하는) 상기 최상의 타입 C 수신국으로 직접 보내질 것이다.
상기 기능이 할당된 스테이션에 의한, 또는 인증 서버에 의한, IP의 ODMA 주 소로의 매핑의 관리는 중요하며, 이제까지의 적당한 맵은 모든 그룹 사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이론적으로, 다른 그룹의 인증 서버는 그룹에 참가하기 위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나, 이것이 통상적이지는 않다.
전화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s)
상기의 실제의 인터넷 액세스와 관련되어 기술된 것과 유사한 프로세스가 타입 E 스테이션을 통해 이루어진 전화 접속의 관점에서 수행된다. 상기 인증 서버는 어떤 주어진 타입 A 스테이션에도 관계되어 이용되어야 하는 최상의 타입 E 게이트웨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상기 인증 서버는 ODMA 가능 장비의 디렉토리(맵)(예를 들어, "실제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ODMA 주소)로의 액세스를 유지하고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전화 접속 내에서, 상기 선택된 타입 E 스테이션은, 수신국의 지역과 같은, 호(call)에 관한 부가적 조건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는, ODMA적 사고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접속은 (상기 호를 국부적 호로 만들기 위해) 상기 호에 대한 더 낮은 경제적 비용을 제공하는 타입 E 스테이션에 대해 우호적으로 절충될 수 있다. 실제로, 타입 D 및 타입 E 스테이션 모두와 함께, 어떤 주어진 순간에서도, 그들을 통해 동작하는 많은 수의 ODMA 접속이 존재할 수 있다. 로드가 지속적으로 감시되고, 잠재적으로 최상의 ODMA 그래디언트가 이용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고 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로드가 다른 스테이션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결과적으로 중요하다.
타입 A 스테이션 및 "실제의" 전화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접속이 필요한 경 우,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은 수신지에서 요구되는 주소(전화번호)를 인지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음성 또는 (영상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전화 신호는 디지털화 및 압축되며, 이들 데이터 패킷은 상기 주소 정보와 함께 ODMA 패킷 내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H.323과 같은 표준은 패킷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IP 전화 상에서, 이들 신호는 통상적으로 암호화되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 및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내에 배치된 후에, UDP를 통해 인터넷으로 전송된다. 수신지가 IP 전화인 경우, H.323 표준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RTP 패킷은 ODMA 패킷 내에 캡슐화될 수 있으며,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이 상기 패킷이 IP 전화기로 보내질 것이라는 것을 인지한다면, 상기 ODMA 패킷은 인증 서버에 의해 제시된 적절한 타입 D 스테이션으로 UDP에 의해 보내질 수 있으며, 상기 RTP 및 RTCP 패킷이 ODMA 패킷으로부터 제거되고, UDP 패킷 내에 배치된 후, 그 인터넷 주소의 상기 IP 전화기로 보내질 수 있다.
상기 타입 A 스테이션으로 상기 IP 전화기로부터 되돌려 보내진 어떠한 응답도 상기 타입 D 스테이션에 의해 인지된 인터넷 주소를 가질 것이며, 상기 RTP 패킷은 상기 UDP 패킷으로부터 추출되고, ODMA 패킷 내에 배치되며, UDP로 배치될 것이다. 이후, 상기 UDP 패킷은 원래 타입 A 스테이션과 접속을 갖는 최상의 타입 C 스테이션으로 보내지고, 상기 ODMA 데이터는 상기 UDP 패킷으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RTP 패킷이 제거된 상기 타입 A스테이션으로 줄곧 보내진다. 상기 H.323이 취해지며, 소리, 화상 또는 다른 데이터 신호가 생성된다. H.323 기능이 전송 제어, 시그널링 및 다른 요구되는 전화 기능을 포함하는 전화 프로세스를 다루는 것이 함축적이다.
상기 수신지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유닛임을 상기 타입 C 스테이션이 인지한 경우, 패킷은 UDP 패킷 내에 배치되고, (수신지와의 가장 싼 "실제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위치한)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제시된 타입 E 스테이션으로 보내질 것이다. 상기 타입 E 스테이션은 ODMA 패킷을 제거하고,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취해내며, 상기 PSTN과 통신한다. 상기 PSTN은 상기 ODMA 유닛에서 상기 전화기 스테이션 및 실제 전화기 사이의 가상 접속을 제공하는 ODMA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신호가 기인한 것을 인지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타입 E 스테이션에 간접적으로 접속된 전화기에게는,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PSTN 상의 단순히 다른 전화 어플리케이션으로 보여질 것이다. 명백히 상기 타입 E 스테이션은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ODMA 패킷으로 변환할 것이고, 상기 타입 A 스테이션과 접속을 갖는 상기 최상의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이들을 다시 보낼 것이다.
영구적 PSTN 전화 번호가 할당된 ODMA 유닛을 호출하기 위해, 상기 호는 특정의 타입 E 스테이션으로 라우팅될 것이며, 상기 번호를 상기 ODMA 주소로 매핑하면서 처리될 것이다. ODMA 스테이션이 일정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다른 ODMA 스테이션에 접촉할 때, 상기 타입 E 스테이션은 아마 상기 접속을 지능적으로 상기 ODMA 네트워크로 다시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게이트웨이 및 인증 서버
게이트웨이는 앞서 식별된 형태의 서비스에 대해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며, 많은 스테이션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한 부하를 모니터하며, 필요하다면 사용자 로드가 낮거나 높은 용량을 갖는 다른 게이트웨이로 무선 스테이션을 돌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의 오직 타입 C 스테이션이 ODMA 패킷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칙적인 UDP 전송을 인지한다. D 및 타입 E 스테이션은 TCP/IP 및 PSTN 표준화 프로토콜만을 각각 이용하여(명백히 상기 타입 D 및 E 스테이션은 ODMA를 UDP 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 및 타입 C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때에도) 실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한다. 이러한 전송이 타입 A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TCP/IP 및 PSTN 전송은 ODMA로 변환되어야 하며, D 및 타입 E 스테이션에서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타입 D 및 E 스테이션에게 이하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인증을 제공하면서, 모든 필요한 인증뿐만 아니라, 인터넷 브라우징 및 전화와 같은 서비스로의 접속과 관련된 빌링을 상기 인증 서버가 추적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타입 D 및 E 스테이션은 또한 레코드를 저장하거나 종합 정보를 모으는데 이용될 수 있고, 이를 상기 인증 서버 또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다시 보낼 수 있다. 상기 추적 및 인증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국제특허출원 WO 98/35474(명칭: 보안 패킷 무선 네트워크(Secure Packet Radio Network))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의 일단 또는 양단 모두를 추적하거나, 중간의 타입 D 또는 E 스테이션을 추적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Claims (39)

  1.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되, 이들 네트워크가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방법으로,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의 각각에서,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 양쪽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 및 메인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인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다른 메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스테이션이 중간국으로서 그들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기 위해 접속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3.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되, 이들 네트워크가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방법으로,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 및 브리지 스테이션의 각각에서,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는 단계와,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인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가진 메인 네트워크의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편의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국이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브리지 스테이션에서, 메인 스테이션 및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수신국 또는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접속 데이터의 항목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보조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보조 스테이션에서, 보조 스테이션 및 브리지 스테이션의 수신국 또는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접속 데이터의 항목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초의 프로브 신호는,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스테이션에 대해 양호한 접속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네이버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다른 스테이션 또는 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에 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있어서 식별된 보조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은, 중간국으로서의 잠재적인 미래의 사용을 위해 그러한 프로빙 스테이션에 대해 양호한 접속을 갖는 인접하는 스테이션의 그룹을 유지하기 위해, 이따금씩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메인 스테이션이 무선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발신국이 무선 스테이션이고, 수신국이 보조 스테이션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브리지 스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발신국 및 수신국의 양쪽이 무선 스테이션이고,
    상기 방법이,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무선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분의 브리지 스테이션으로부터 무선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편의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발신국 및 수신국이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피어투피어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4.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브 신호가 네이버 수 집 프로브 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네이버 수집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이 중간국으로서 그들의 이용가능성을 지시하기 위해 접속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프로브 신호가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이 스테이션간의 누적 통신비용을 나타내는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메인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전송 매체를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인지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인지에 의존해서 접속 데이터 및/또는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의 특성이 메인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비용 그래디언트 데이터가, 시간 지연, 데이터 레이트 및 다른 스테이션 사이의 메시지 전송에서 경험된 패킷 손실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비용 함수 및/또는 각 스테이션에서 이용가능한 상대 부하 및 리소스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비용 함수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8.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인증 스테이션으로 인증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증 스테이션이 이따금씩 통신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인증하여 그것들 자신 사이의 스테이션의 접속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며,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중간국을 갖춤으로써 다른 스테이션 또는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된 접속 데이터에 따라 프로브 신호가 각 스테이션과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 사이에서 편의적으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들이 이따금식 각 스테이션에 대해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브리지 스테이션의 인증 스테이션에서 기록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인증 스테이션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기록 유지보수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배된 인증 스테이 션을 효과적으로 정의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을 통해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1.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들이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상기 인증 스테이션 및/또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무선 스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2.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들이 상기 인증 스테이션 및/또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으로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때 브리지 스테이션의 상기 무선 스테이션에 대해 중간국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접속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스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3.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송신되는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과 접속을 가짐에 따라 인증 스테이션 및/또는 분배된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식 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4.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송신되는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과 접속을 가짐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스테이션에 의해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은, 중간국으로서 즉시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잠재적인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상기 미리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을 유지하기 위해,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과 접속을 가짐에 따라 다른 스테이션에 의해 미리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를 보내는 것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접속이 발신국과 수신국 사이에서 더 이상 필요치 않을 때까지 상기 미리 식별된 브리지 스테이션으로 미리 정해진 프로빙 구간에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7.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프로브 신호 특성을 정의하는 ODMA 데이터 패킷으로 이루어진 표준 패킷 포맷으로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ODMA 데이터 패킷으로 이루어진 UDP 데이터그램 패킷으로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29. 청구항 27 또는 청구항 28에 있어서, 그래디언트 수집 프로브 신호는, 메인 스테이션과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양쪽에 대해 직접 또는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서로 접속을 갖는 스테이션간의 메시지 전송의 누적비용에 관한 비용함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가 다른 전송 매체를 사용하고, 비용함수 정보가 메인 및 보조 매체에서 결정된 비용의 적당한 가중치에 의해 계산됨으로써, 최적 메시지 전송 경로가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에 관계없이 따르는 것을 보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3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그것들을 외부 네트워크의 어드레스와 매핑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동작방법.
  32.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고서,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메인 네트워크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 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다른 메인 스테이션 또는 브리지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각 메인 스테이션이,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메인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상기 메인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편의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각 브리지 스테이션이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4.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를 갖추고서, 발신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의적으로 선택된 중간국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의 양쪽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메인 네트워크 또는 보조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브리지 스테이션과,
    상기 보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의 다른 보조 스테이션 또는 브리지 스테이션의 이용가능성을 수립하기 위해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의 활동범위를 감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다수의 보조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발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각 보조 스테이션이,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보조 네트워크를 매개로 해서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보조 네트워크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송신해야 할 메시지 데이터를 가진 상기 보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해서 수신국으로 편의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메인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각 브리지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프로브 신호를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수신국으로의 메시지 데이터의 전방 전송을 위한 중간국으로서 이용가능한 메인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6. 청구항 33 또는 청구항 35에 있어서, 이따금씩 통신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인증하고, 그것들 자신 사이의 스테이션의 접속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브리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중간국을 갖춤으로써 다른 스테이션 또는 인증 스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 된 접속 데이터에 따라 프로브 신호가 각 스테이션과 선택된 브리지 스테이션 사이에서 편의적으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7. 청구항 32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갖는 보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이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그것들을 외부 네트워크의 어드레스와 매핑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은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가 인터넷 어드레스와 매핑되어 있는 디렉토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39.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전화망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스테이션은 메인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가 전화망의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있는 디렉토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KR1020077029345A 2005-05-16 2006-05-16 다중매체 광역 통신 네트워크 KR20080026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192705P 2005-05-16 2005-05-16
US60/681,927 2005-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541A true KR20080026541A (ko) 2008-03-25

Family

ID=3710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345A KR20080026541A (ko) 2005-05-16 2006-05-16 다중매체 광역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133105A1 (ko)
EP (1) EP1897291A2 (ko)
JP (1) JP2008541641A (ko)
KR (1) KR20080026541A (ko)
CN (1) CN101223742B (ko)
AU (1) AU2006248697A1 (ko)
TW (1) TW200704031A (ko)
WO (1) WO2006123218A2 (ko)
ZA (1) ZA2007105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90B1 (ko) * 2011-08-02 2015-03-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계층화된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한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6677B2 (en) * 2000-12-20 2012-09-11 Intellisync Corporation UDP communication with a programmer interface over wireless networks
US8825356B2 (en) 2003-05-09 2014-09-02 Dimitri Vorona System for transmitting, processing, receiving, and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US7440842B1 (en) * 2003-05-09 2008-10-21 Dimitri Vorona System for transmitting, processing, receiving, and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AR055163A1 (es) * 2005-09-13 2007-08-08 Iwics Inc Determinacion de la posicion de estaciones moviles en una red inalambrica
WO2007060536A2 (en) * 2005-11-28 2007-05-31 Iwics Inc Intelligent video, data streaming and access to distributed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US7920826B2 (en) * 2006-11-10 2011-04-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forming frame in multi-hop relay system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EP2103053B1 (en) * 2006-12-08 2010-08-25 Iwics Inc. Enhanced data transport protocol for a multi-station network
ES2380987T3 (es) 2006-12-14 2012-05-2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istema de antena adaptable para diversidad y prevención de interferencias en una red de estaciones múltiples
US8347361B2 (en) 2006-12-14 2013-01-01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hierarchy in a multi-st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7715386B2 (en) 2007-03-15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network traffic to teredo server
US7764691B2 (en) 2007-03-15 2010-07-27 Microsoft Corporation Allowing IPv4 clients to communicate using teredo addresses when both clients are behind a NAT
US8194683B2 (en) 2007-03-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Teredo connectivity between clients behind symmetric NATs
KR101362060B1 (ko) * 2007-09-20 2014-02-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인지 무선 단말 장치 및 인지 무선 통신 방법
EP2227057B1 (en) * 2009-03-04 2012-12-26 Fujitsu Limited Improvements to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TWI491300B (zh) * 2009-06-10 2015-07-01 皇家飛利浦電子股份有限公司 無線網路系統、使用於一無線網路系統中之加入器件、用於委任一無線網路系統之方法及電腦程式產品
KR101385784B1 (ko) * 2011-11-30 2014-04-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장치 및 그 방법과 전송률 결정 방법
JP5853140B2 (ja) * 2012-09-07 2016-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101249414B1 (ko) 2012-11-20 2013-04-03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마을경보 방송방법 및 마을경보 방송시스템
US9667595B2 (en) * 2013-07-24 2017-05-30 Cisco Technology, Inc. Selectively using network address translated mapped addresses based on their prior network reachability
US9456037B2 (en) 2013-09-30 2016-09-27 Sonos, Inc. Identifying a useful wired connection
CN104270473B (zh) * 2014-10-28 2017-06-16 武汉大学 一种基于云服务器的大规模移动通信网络的构建方法
US10193795B2 (en) * 2016-12-21 2019-01-29 Sony Corporation Robust data routing in wireless networks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s
US10097306B1 (en) * 2017-11-02 2018-10-09 Ciena Corporation Path computation systems and methods in control plane based networks for photonic layer topologi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8175T2 (de) * 1996-08-27 2008-01-3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Verbindungsübertragungsnetzwerk
US5995608A (en) * 1997-03-28 1999-11-30 Confertech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n-demand teleconferencing
US6502140B1 (en) * 1999-01-29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ast support for small groups
EP1032164A1 (en) * 1999-02-26 2000-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self-learning for the switching nodes of a data transmission network
US6950441B1 (en) * 1999-03-30 2005-09-27 Sonus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to inter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protocols
US20010033554A1 (en) * 2000-02-18 2001-10-25 Arun Ayyagari Proxy-bridge connecting remote users to a limited connectivity network
JP3559508B2 (ja) * 2000-08-16 2004-09-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経路検索方法及び無線ノードのゲートウェイノードとの通信可能性調査方法
EP1391100A4 (en) * 2001-05-02 2009-03-11 Strix Systems Inc DISCOVERING NEIGHBORS OF A WIRELESS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LOW-RANGE FREQUENCY HOPPING PLAN
JP2004104322A (ja) * 2002-09-06 2004-04-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の接続方法及び接続装置、接続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U2002358579A1 (en) * 2002-12-02 2004-06-23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Europe Gmbh Method and apparatus to integrate routing between administrator operated networks and self-organizing networks
US20040151193A1 (en) * 2002-12-23 2004-08-05 Johan Rune Bridging between a Bluetooth scatternet and an Ethernet LAN
CN1172489C (zh) * 2003-01-28 2004-10-20 北京朗通环球科技有限公司 基于网络之间的数据通信系统及方法
CN100396035C (zh) * 2003-01-28 2008-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字传送网上不同的数据帧接入和传送的系统和方法
US20050135286A1 (en) * 2003-12-23 2005-06-23 Nurminen Jukka K. Wireless extended proximity networks: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US7743094B2 (en) * 2006-03-07 2010-06-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irection of domain name service (DNS) pack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90B1 (ko) * 2011-08-02 2015-03-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계층화된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한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3742A (zh) 2008-07-16
US20090133105A1 (en) 2009-05-21
ZA200710584B (en) 2009-07-29
AU2006248697A1 (en) 2006-11-23
TW200704031A (en) 2007-01-16
EP1897291A2 (en) 2008-03-12
WO2006123218A2 (en) 2006-11-23
CN101223742B (zh) 2012-11-28
JP2008541641A (ja) 2008-11-20
WO2006123218A3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6541A (ko) 다중매체 광역 통신 네트워크
Dunkels et al. Connecting wireless sensornets with TCP/IP networks
JP4571666B2 (ja) 無線マルチホップ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ドレス解決マッピングのための方法、通信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101410819B (zh) 用于任意数据流的可靠高吞吐量高性能的传输和路由机制
US8982708B1 (en) Priority aware dynamic routing protocol for ad-hoc networks
US201000859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Wired and Wireless Universal Access Networks
EP14955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hoc networked sensors and protocols
TW201014396A (en) Network utilities in wireless mesh communications networks
US9119226B2 (en) Architecture for content and host-centric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delay-tolerant MANETs
Gopinath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cache-and-forward network architecture in multi-hop wireless scenarios
Chuah et al. Enhanced disruption and fault tolerant network architecture for bundle delivery (EDIFY)
Zhang et al. Delay/disruption tolerant mobile ad hoc networks: latest developments
Bae et al. Unicast performance analysis of the ODMRP in a mobile ad hoc network testbed
Wang et al. A-DSR: A DSR-based anycast protocol for IPv6 flow in mobile ad hoc networks
Khan et al. Gradient cost establishment (grace) for an energy-aware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Harras et al. ParaNets: A parallel network architecture for challenged networks
Braun et al. Multihop wireless networks
Shah et al. Adaptive anycast: A new anycast protoco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delay tolerant networks
Wei et al. SRPA: SDN-based rout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EP1832047B1 (en) Name service in a multihop wireless ad hoc network
US20090271523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Using One Computer Network to Bypass a Portion of Another Computer Network
Mawad et al. HIDTN: hybrid DTN and infrastructure networks for reliable and efficient data dissemination
Hadi et al. Effect of group size on anycasting with receiver base forwarding in delay tolerant networks
Raveneau et al. Experiments and results on DTN for IOT III Urbanet collaboration
KR100943638B1 (ko)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리액티브 라우팅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