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587A -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 Google Patents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587A
KR20080024587A KR1020060088864A KR20060088864A KR20080024587A KR 20080024587 A KR20080024587 A KR 20080024587A KR 1020060088864 A KR1020060088864 A KR 1020060088864A KR 20060088864 A KR20060088864 A KR 20060088864A KR 20080024587 A KR20080024587 A KR 2008002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ght
lamp
lighting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이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수 filed Critical 이기수
Priority to KR102006008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4587A/ko
Publication of KR2008002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의 매트리스의 내측의 중앙부분에는 압력을 받으면 이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면 온/오프 동작하는 압력센서와, 침대의 일측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침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임계조도 미만으로 떨어져서 어두워지면 켜지고 임계조도 이상으로 밝아지면 꺼지도록 구성된 조도센서와, 압력센서 및 조도센서와 연결되어 전등의 소등 및 점등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침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불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구성된 조명부와, 압력센서 및 조도센서와 제어부를 통해 연결되며 조명부를 켜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 시간 동안만 조명부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도록 시간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타이머로 구성되므로, 어두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자동으로 전등이 소등 및 점등되므로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침대, 매트리스, 조명, 압력센서, 조도센서

Description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THE BED EQUIPPED WITH LIGHT AND METHOD OF TURING ON AND TURNING OFF THE 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구비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구비한 침대의 조명부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구비한 침대에서 전등을 켜고 끄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트리스 20 : 상부지지판
40 : 등받이대 50 : 측면판
52 : 측면판 조명 60 : 풋보드
62 : 풋보드 조명 70 : 조명부
80 : 제어부 82 : 압력센서
84 : 조도센서 86 : 타이머
본 발명은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사용자가 침대에 올라가고 내려오는 것을 감지하여 올라가면 불리 꺼지고 내려오면 일정 시간동안 불이 켜지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생의 1/3 가량을 수면을 취한다. 그리고, 수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가구가 침대이다. 따라서, 침대는 생활 및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된 가구로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침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살게 되어 있다.
침대는 상부에 놓이는 매트리스의 종류에 따라, 스프링 침대, 라텍스 침대, 돌침대, 물침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통깔판과 갈비살깔판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한편, 침대의 곁에는 협탁이 놓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협탁의 위에 스탠드 등을 놓아 두어 사용자가 쉽게 불을 켜고 어두운 상태에서 주변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협탁과 스탠드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침대의 상부에 놓인 보드인 등받침대의 내측에 공간을 구성하고 그 내측에 조명을 넣어 사용자가 쉽게 불을 켜고 어두운 상태에서 주변을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침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또한, 협탁과 그 위에 놓인 스탠드와 마찬가지로 침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 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공개공보 10-343256호(2002. 07. 20, 이하 인용발명이라 칭함)에는 침대에 조명을 설치하고 이들 조명을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자동으로 점등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점등하고 소등시키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람의 무게를 인지하여 침대의 주변에 설치된 조명이 점등 및 소등되도록 구성한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켜지도록 구성하고 다시 사용자가 침대에 올라가면 이를 인지하여 침대의 주변에 구성된 조명을 끄도록 구성한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리스의 내측의 중앙부분에는 압력을 받으면 이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면 온/오프 동작하는 압력센서와, 침대의 일측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침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임계조도 미만으로 떨어져서 어두워지면 켜지고 임계조도 이상으로 밝아지면 꺼지도록 구성된 조도센서와, 압력센서 및 조도센서와 연결되어 전등의 소등 및 점등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침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불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구성된 조명부와, 압력센서 및 조도센서와 제어부를 통해 연결되며 조명부를 켜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 시간 동안만 조명부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도록 시간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타이머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구비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매트리스(10), 상부지지판(20), 등받이대(40), 측면판(50), 측면판 조명(52), 풋보드(60), 풋보드 조명(62)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측면판 조명(52) 및 풋보드 조명(62)을 조명부(70)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매트리스(10)는 내부에 많은 스프링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통상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으며, 라텍스 형태의 매트리스 일 수도 있으며, 매트리스에 물을 넣어 구성한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이 들어가지 않은 보료 형태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상부지지판(20)은 전술한 매트리스(10)를 지지한다. 매트리스(10)에 따라서, 상부지지판(20)을 갈비살 형태 또는 통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구비한 침대의 조명부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매트리스(10)의 내측에는 압력을 받으면 물체 가 변형되거나 거기에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압력센서(82)가 내장되어 있다. 이 압력센서(82)는 온/오프만을 감지하며, 일정 체중 이상 감지되면 동작한다. 압력센서(82)는 그 임계하중을 5Kg 내지 30Kg으로 설정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Kg으로 설정하고 매트리스(10)의 내측의 중앙 부분에 설치한다.
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조도센서(84)는 침대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일정 조도 수준 이하로 떨어져서 어두워지면 켜지고 일정 조도 수준 이상으로 밝아지면 꺼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침대의 일측은 구성의 편이성을 위하여 압력센서와 같이 메트리스(10)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센서(82) 및 조도센서(84)와 제어부(80)를 통해 연결된 타이머(86)가 구성되어 있다. 타이머(86)는 조명부(70)를 켜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 시간 동안만 조명부(70)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도록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의 편이성을 위하여 매트리스(10)의 내측에 압력센서(82) 및 조도센서(84)와 같이 구성한다. 이때 타이머(86)는 조도센서와 달리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어부(80)는 타이머(86), 압력센서(82) 및 조도센서(84)와 연결되어 전등의 소등 및 점등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7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제어부(80)도 마찬가지로 매트리스(10)의 내측에 압력센서(82), 조도센서(84) 및 타이머(86)와 함께 구성한다.
조명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조명부(70)는 침대의 밑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매트리스(10)의 측면을 따라서 내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조명부(70)는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등을 구비한 침대에서 전등을 켜고 끄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먼저, 조명부(70), 제어부(80), 압력센서(82), 조도센서(84) 및 타이머(86)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 코드가 꽂혀져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도가 일정수준 이하인지의 여부를 조도센서(84)가 감지하여 그 결과를 판단한다(단계 302).
단계 302에서 판단한 결과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면, 조명을 켠 상태로 유지하고(단계 304). 조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면 조명을 끈 상태로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302로 리턴한다.
단계 306에서는 침대의 매트리스(10)의 내부에 구성된 압력센서(82)가 침대의 위에 사람이 올라왔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판단한다.
단계 306에서의 감지한 결과 사람이 올라온 경우면 조명부(70)에 켜져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시킨다(단계 308).
단계 306에서 감지한 결과 사람이 올라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302로 리턴한다.
단계 310에서 압력센서(82)는 침대에 올라와 있던 사람이 내려왔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310에서 판단하여 사람이 내려온 경우면 일정 시간 동안 조명부(70)의 불을 켠 상태로 유지시킨다(단계 312). 이때 일정 시간은 1시간 내지 5시간으로 설정한다.
단계 310에서 판단하여 사람이 내려오지 않은 경우면, 단계 310으로 리턴한다.
한편, 사람이 다시 올라가게 되면, 사람이 위에 있는 것으로 감지하여 조명부(70)의 전등을 켠다. 이는 단계 306 및 단계 308에서 설명된 단계와 동일한 것이며, 단계 302 및 단계 304의 전제 조건이 만족되는 상태에서의 상태이므로 단계 302로 리턴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주변의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사람이 침대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대에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사람의 무게를 감지하여 최적의 상태로 전등을 자동으로 켜고 또한 자동으로 끌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센서와 압력센서에 의해 현재의 조도를 감지하고 사람이 침대에 올라온 상태와 내려간 상태를 모두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등이 소등 및 점등되므로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10)의 내측의 중앙부분에는 압력을 받으면 이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면 온/오프 동작하는 압력센서(82)와;
    침대의 일측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침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임계조도 미만으로 떨어져서 어두워지면 켜지고 임계조도 이상으로 밝아지면 꺼지도록 구성된 조도센서(84)와;
    상기 압력센서(82) 및 상기 조도센서(84)와 연결되어 전등의 소등 및 점등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7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80)와;
    침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불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구성된 조명부(70)와;
    상기 압력센서(82) 및 상기 조도센서(84)와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연결되며 조명부(70)를 켜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 시간 동안만 조명부(70)를 소등 또는 점등시키도록 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부(80)로 제공하는 타이머(8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을 구비한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70)는 상기 매트리스(10)의 내측에 내삽하여 상기 매트리스의 각각의 측면에 구성하고, 상기 조도센서(84)는 상기 매트리스(10)의 각각의 측면 일측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을 구비한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70)는 상기 침대의 밑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을 구비한 침대.
  4. 전등을 구비한 침대에서의 전등 점등 방법에 있어서,
    조도가 일정수준 이하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침대의 일측에 구성된 조도센서(84)가 감지하여 그 결과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와;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이면, 조명을 켜는 점등단계와;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10)의 내부에 구성된 압력센서(82)가 침대의 위에 사람이 올라왔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와;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사람이 올라온 경우이면 조명부(70)에 켜져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시키는 소등단계와;
    상기 압력센서(82)는 침대에 올라와 있던 사람이 내려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와;
    상기 제3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사람이 내려온 경우이면 일정 시간 동안 조명부(70)의 불을 켠 상태로 유지시키는 유지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을 구비한 침대에서의 전등 점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사람이 다시 올라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판단단계로 리턴하여 주변의 조도가 낮은 상태이고 사람이 올라간 경우에는 조명을 끄며, 조도가 높은 상태인 경우에도 조명이 꺼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을 구비한 침대에서의 전등 점등 방법.
KR1020060088864A 2006-09-14 2006-09-14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KR20080024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64A KR20080024587A (ko) 2006-09-14 2006-09-14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64A KR20080024587A (ko) 2006-09-14 2006-09-14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587A true KR20080024587A (ko) 2008-03-19

Family

ID=3941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64A KR20080024587A (ko) 2006-09-14 2006-09-14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45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98U (ko) * 2016-01-20 2017-07-28 나현주 매트리스 커버
CN109618475A (zh) * 2018-12-07 2019-04-12 广东工业大学 一种灯光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44432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수면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98U (ko) * 2016-01-20 2017-07-28 나현주 매트리스 커버
KR20200044432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수면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618475A (zh) * 2018-12-07 2019-04-12 广东工业大学 一种灯光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699B2 (en) Low power toilet light illuminator and night light with photosensor activation
US20090058193A1 (en) Wall switch for lighting load management system for lighting systems having multiple power circuits
US20160356086A1 (en) Electronic component for a step ladder
JP3885328B2 (ja) 照明装置
TW201324497A (zh) 顯示裝置及其亮度調節方法
KR101970673B1 (ko)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조명제어방법
KR20080024587A (ko) 전등을 구비한 침대 및 전등 점등 방법
US200801916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illumination electrical switching
US8567993B2 (en) Emergency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emergency illumination device
US6203164B1 (en) Nighttime toilet seat position indicator
KR101757284B1 (ko) 문고리 거치형 조명 장치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US9832834B1 (en) Toilet seat lighting apparatus
KR100819058B1 (ko) 취침등이 구비된 에너지절약형 침대
JP6114982B2 (ja) 照明制御スイッチ
KR102455106B1 (ko) 가정용 조명 제어 시스템
KR100778931B1 (ko) 유아, 장애인용 자동조명스위치
TW201340077A (zh) 顯示裝置
US11118772B2 (en) Toilet lamp with proximity sensing and flexible attachment
KR200450116Y1 (ko) 센서등
JP6820684B2 (ja) 時刻報知装置
JP5057576B2 (ja) 照明装置
JP2006107223A (ja) 防犯装置
KR200388950Y1 (ko) 자동점등 조명램프를 구비한 침대
KR0173748B1 (ko) 지능형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