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493A -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493A
KR20080023493A KR1020060087445A KR20060087445A KR20080023493A KR 20080023493 A KR20080023493 A KR 20080023493A KR 1020060087445 A KR1020060087445 A KR 1020060087445A KR 20060087445 A KR20060087445 A KR 20060087445A KR 20080023493 A KR20080023493 A KR 20080023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hift
time
specific
specific ev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917B1 (ko
Inventor
김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9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에서 타임 시프트 수행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타임 시프트 수행시 입력전환, 채널 전환, 장면 전환 등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에 대해서 마크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검색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챕터 구분을 할 수 있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구분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시청시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An) image display device for having time shift function and method for playing of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래스 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래스 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신부 12: 튜너
14: 복조부 16: 역다중화부
20: 비디오 디코더 30: 영상 처리부
40: 디스플레이부 50: 키입력부
60: 제어부 70: 마크 삽입부
80: 저장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에서 타임 시프트 수행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에 대해 챕터(chapter)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방송화가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방송의 다채널화 및 고품질화가 가능해지고, 디지털 TV는 단순한 TV 수상기가 아닌 여러 가지 응용 제품으로 발전하였다. 그 응용제품으로는 현재 각국에서 개발중인 WEB TV나 PVR(Personel Video Recorder) 등을 들 수 있다.
PVR은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VCR과는 달리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녹화장치이다. PVR은 채널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현재 방송되는 신호를 하드디스크에 디지털로 저장하고 동시에 재생한다. 이에 따라 PVR의 중요한 기능인 타임 시프트(time shift) 기능이 가능해진다.
상기 타임 시프트 기능이란 상기 PVR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사용자가 임의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타임 시프트 모드가 개시되면 화면 하단에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가 표시되어 전체 재생 용량에 대한 현재의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 해 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 분량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을 찾아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모콘(미도시)의 REW/FF 키 등을 입력하여 특정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에 대해서 이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에서 특정 부분을 찾아가고자 할 때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리모콘(미도시)의 REW/FF 등의 키를 입력하여 검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타임 시프트 수행 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된 데이터 검색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을 하여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의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타임 시프트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해당 위치가 기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부분이 기억되도록 해당 위치에 마크를 삽입하기 위한 마크 삽입부와, 상기 마크 삽입부를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 해당 위치에 마크가 삽입된 방송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채널 전환, 입력 전환 또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서 발생 되는 장면 전환 중 어느 하나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마크 삽입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이벤트가 이루어지는 해당 위치의 타임 스탬프를 추출하여 마킹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 상태에 따라 상기 마크 삽입부를 통해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코딩 상태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트 상태로 변화하는 상태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코딩 상태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해당 영상 신호의 디코딩 중 블랙 신호가 연속적으로 100msec(6필드) 이상 발생하는 상태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더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는 썸네일을 이용하여 구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는 색상별로 구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타임 시프트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시프트 명령이 입력되는 타임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시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특정 부분에 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 되는 채널 전환 또는 입력 전환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발생 되는 장면 전환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전환 또는 입력 전환은 상기 수신 영상의 정상적인 디코딩 중 순간적인 디코딩 스탑(stop)이 발생하는 부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장면 전환은 상기 수신 영상의 정상적인 디코딩 중 블랙 신호가 100msec(6필드)이상 발생하는 부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특정 부분에 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 쉬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의 타임 스탬프를 토대로 마킹을 실시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되어 있는 프로그래스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래스 바는 썸네일을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래스 바는 색상별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이 구분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이전/다음 위치의 특정 부분으로 이동 가능한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래스 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수신부(10)와, 상기 수신부(10)를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20)와, 상기 비디오 디코더(20)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하는 영상 처리부(30)와, 상기 영상 처리부(30)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0)와,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50)와, 상기 키 입력부(50)를 통해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타임 시프트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해당 위치가 기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부분이 기억되도록 해당 위치에 마크를 삽입하기 위한 마크 삽입부(70)와, 상기 마크 삽입부(70)를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어 해당 위치에 마크가 삽입된 방송 신호 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12)와, 상기 튜너(12)를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오류를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복조부(14)와, 상기 복조부(14)통해 입력되는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기 위한 역다중화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키입력부(50)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튜너(12)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튜너(12)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고, 상기 복조부(14)는 상기 튜너(12)를 통해 선국된 방송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하여 오류를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형태로 변환하며, 상기 역다중화부(16)는 상기 복조부(14)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부(16)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은 상기 비디오 디코더(20)를 통해 디코딩되며, 상기 비디오 디코더(20)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신 호는 상기 영상처리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신호 처리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50)를 통해 타임 시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타임 시프트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수행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해당 위치가 기억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타임 시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전환, 채널 전환 또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서 발생 되는 장면 전환 등이 이루어지나 수시로 체크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20)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트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채널 전환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20)의 정상적인 디코딩 중 블랙 신호가 6필드(100msec)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장면 전환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일반적으로 야외 촬영에서 스튜디오촬영으로 또는 현시점에서 과거시점 혹은 미래시점으로의 시간 변화시에는 딥 블랙(Deep Black)을 추가하여 에피소드의 전환이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100msec(6필드)이상의 블랙레벨이 감지되는 경우는 장면 전환이 있음으로 판단하고 해당 위치가 기억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프로그램 시작과 끝 사이에 광고부분 또한 100mes(6필드) 이상 블랙 신 호가 삽입된다. 따라서 해당 위치를 기억되도록 제어하여 광고와 본 프로그램과의 구분을 확실히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면 상기 마크 삽입부(70)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이 기억되도록 해당 위치에 마크을 삽입한다. 즉, 상기 마크 삽입부(70)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타임 스탬프 정보를 토대로 스트림 마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마크 삽입부(70)를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마크가 삽입된 방송 신호가 상기 저장부(80)에 저장되도록 제어해준다.
이와 같이 저장된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를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영상 처리부(30)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프로그래스 바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그래스 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부분 별로 구분하는 방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Thumbnail)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썸네일 추 출은 상기 저장부(8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추출하여 특정 구간만큼 건너뛰면서 장면 추출을 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추출 방법은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에 삽입된 마크정보를 타임 스탬프(Time Stamp)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체에 할당하여 각 타임 스탬프(Time Stamp) 추출시 마커 비트(Market bit)가 있는 부분에서 썸네일을 추출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의 썸네일(Thumbnail)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키 입력부(50)의 챕터 스킵(+/-)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이전/다음 위치의 마크된 부분으로 즉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부분별로 구분하는 다른 방법은 색상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을 각각 다른 색상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1)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타임 시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 영상의 타임 시프트를 수행한다(S102).
그리고 상기 타임 시프트 중 채널 변경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즉,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8)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정상 적인 디코딩 중 순간적인 디코딩 정지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3), 채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현재 채널 변경이 이루어진 부분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추출한다(S104).
그리고 상기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토대로 현재 위치에 마크를 삽입하여 해당 위치를 기억한다(S105).
또한 상기 판단 결과(S103),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계속 타임 시프트를 수행한다(S106).
이어서 입력 전환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S107) 입력 전환이 이루어졌으면, 상기 단계(S104)로 진입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S107) 입력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계속 타임 시프트를 수행한다(S108).
이어서 블랙 신호가 6 필드(Field)(100msec)이상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S109) 블랙 신호가 6 필드 이상 발생하였다면 상기 단계(S104)로 진입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9) 블랙 신호가 6 필드 이상 발생하지 않았거나, 상기 단계(S105) 수행 후,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S110)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하 고, 아니면 상기 단계(S102)로 복귀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챕터 구분을 할 수 있다.
둘째,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챕터 구분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시청시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다.

Claims (18)

  1. 사용자의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타임 쉬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타임 시프트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해당 위치가 기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부분이 기억되도록 해당 위치에 마크를 삽입하기 위한 마크 삽입부; 그리고,
    상기 마크 삽입부를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어 해당 위치에 마크가 삽입된 방송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채널 전환, 입력 전환 또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서 발생되는 장면 전환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삽입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이벤트가 이루어지는 해당 위치의 타임 스탬프를 추출하여 마킹(marking)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 상태에 따라 상기 마크 삽입부를 통해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상태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정지 상태에서 스타트 상태로 변화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상태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해당 영상 신호의 디코딩 중 블랙 신호가 연속적으로 100msec(6필드) 이상 발생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는 썸네일을 이용하여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는 색상별로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10. 타임 시프트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임 시프트 명령이 입력되면 타임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타임 시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특정 부분에 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 되는 채널 전환 또는 입력 전환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발생 되는 장면 전환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환 또는 입력 전환은 상기 수신 영상의 정상적인 디코딩 중 순간적인 디코딩 스탑(stop)이 발생하는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전환은 상기 수신 영상의 정상적인 디코딩 중 블랙 신호가 100msec(6필드)이상 발생하는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 되는 특정 부분에 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쉬프트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의 타임 스탬프를 토대로 마킹을 실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15.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임 시프트 된 데이터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되어 있는 프로그래스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스 바는 썸네일을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스 바는 색상별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이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특정 부분별로 구분된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이전/다음 위치의 특정 부분으로 이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060087445A 2006-09-11 2006-09-11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1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445A KR100816917B1 (ko) 2006-09-11 2006-09-11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445A KR100816917B1 (ko) 2006-09-11 2006-09-11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93A true KR20080023493A (ko) 2008-03-14
KR100816917B1 KR100816917B1 (ko) 2008-03-25

Family

ID=3939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445A KR100816917B1 (ko) 2006-09-11 2006-09-11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05B1 (ko) * 2011-08-08 2013-09-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색상 테이블의 터치 패턴 입력을 이용한 조명 구동 시퀀스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그리고 조명 구동 시스템
KR101442355B1 (ko) * 2012-12-31 2014-09-19 한국과학기술원 미디어 요약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1276B1 (ko) 2015-09-30 2016-11-04 (주) 하나텍시스템 교차로 영상기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919B1 (ko) * 2003-11-25 2010-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지연 없는 타임 시프트 재생을 위한 디지털 방송녹화 재생 장치
KR20050075583A (ko) * 2004-01-16 2005-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물의 편집 방법
KR100615242B1 (ko) * 2004-04-20 2006-08-25 주식회사 휴맥스 타임 쉬프트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 및 동작 방법
KR20060025386A (ko) * 2004-09-16 2006-03-21 한국디엠비 (주) 타임쉬프트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dmb 단말기 및 이동 dmb 단말기의 타임쉬프트 기능 구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05B1 (ko) * 2011-08-08 2013-09-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색상 테이블의 터치 패턴 입력을 이용한 조명 구동 시퀀스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그리고 조명 구동 시스템
KR101442355B1 (ko) * 2012-12-31 2014-09-19 한국과학기술원 미디어 요약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1276B1 (ko) 2015-09-30 2016-11-04 (주) 하나텍시스템 교차로 영상기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917B1 (ko) 200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1195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television on-screen guide
CN1984291B (zh) 执行时移功能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视接收机
US20070179786A1 (en) Av content processing device, av content processing method, av content processing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used in av content processing device
KR20080102759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45907A (ja) 放送記録再生装置
KR100816917B1 (ko)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EP2846546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7657156B2 (en)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9438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북마크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85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저장 영상 제어장치 및 방법
US8195028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document recorded by a display, selection of key images and an associated receptor
KR101525484B1 (ko) 방송 수신기와 방송 프로그램 예약 시청 방법
KR100752877B1 (ko) 영상 표시 기기에서 녹화 목록 출력 방법
KR100715218B1 (ko) 방송 수신 녹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탐색 방법
KR20060046332A (ko)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645463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記録装置
KR100782196B1 (ko)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71584A (ja)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JP543425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35878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녹화된 스트림의 자동탐색방법
KR100788518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예약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153839A (ja) 放送受像機、及び、放送受像方法
KR100816922B1 (ko) 저장매체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녹화물 표시 장치 및방법
KR10082071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편집 방법
JP2003209792A (ja) テレビ放送録画再生装置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