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467A -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467A
KR20080023467A KR1020060087398A KR20060087398A KR20080023467A KR 20080023467 A KR20080023467 A KR 20080023467A KR 1020060087398 A KR1020060087398 A KR 1020060087398A KR 20060087398 A KR20060087398 A KR 20060087398A KR 20080023467 A KR20080023467 A KR 20080023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creen
application
data broadcas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607B1 (ko
Inventor
황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6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바 AWT(Abstract Window Toolki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어플레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바 AW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그랙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애플레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화면을 구성하는 제1 컴포넌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해야 할 경우에,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쳐지는 제2 컴포넌트에 대해서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만이 다시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화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자바, AWT, GUI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METHOD FOR PROCESSING THE DISPLAY OF APPL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자바 AWT 그래픽 참조 모델(Graphic Reference Model)의 화면 처리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애플리케이션 화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표시정보 저장부 202 : 컴포넌트 저장부
204 : 컴포넌트 구동엔진 206 : 화면 출력부
208 : 속성값 변경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바 AWT(Abstract Window Toolki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어플레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 시대의 데이터 전송은 제한된 문자전송에 불과했으나, 디지털 방송 시대에는 날씨, 뉴스 등의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이메일, EPG, TV 뱅킹, 전화 서비스, 인터넷 검색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TV 수상기를 통해서 제공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방송은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신규서비스들을 제공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데이터방송의 서비스 유형을 살피면, 먼저 방송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서비스인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방송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스포츠, 드라마, 게임, 광고 방송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 유형으로는 방송 프로그램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인 채널을 사용하는 서비스 인 프로그램 독립형 데이터방송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날씨, 뉴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 다른 유형으로는 상향 채널을 사용하여 교육, 쇼핑, 이메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TV 방송과 비동조성 서비스인 대화형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여기에는 교육, 쇼핑, 뱅킹, 주식, 이메일 등이 이에 해당한다.
데이터방송 표준은 유럽의 DVB-MHP(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와 미국의 ATSC-DASE(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로 양분되어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 국제적으로 통일된 데이터방송 규격은 없는 상황이다.
DVB는 1997년에 위성, 케이블, 지상파를 통해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규정한 데이터방송 및 대화형 TV를 위한 표준안을 발표하였다. 이 중 데이터 방송을 위한 표준안은 DVB-Data 이고, 대화형 TV를 위한 표준안은 DVB-I 이다.
DVB-data나 DVB-I 등은 각 시장들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DVB- MHP는 향후 이 서비스들이 방송, 통신, 컴퓨터 및 가전의 융합이 가속화되어 수평적 시장의 형성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
DVB-MHP는 사용자와 시장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TV뿐만 아니라 가정용 단말기인 STB(Set-Top Box), PC(Personal Computer), 그리고 기타 가정용 디지털 네트워크를 모두 수용하는 수신기에서 쌍방향 서비스와 인터넷 접속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의 다양한 사업들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표준 수신기와 가정용 기기를 정의하여 참조모델을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MHP는 가장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플랫폼으로서 표준을 따르는 다수 회사의 제품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특정 회사 제품에 종속당하지 않고, 시스템 확장 호환, 시스템 유지 관리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1996년 썬 마이크로시스템사(Sun Microsystems)가 소개한 자바(Java)는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되어 플랫폼(운영체계 및 하드웨어 아키텍처)과 무관한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도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자바 기반의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자바 기반의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은 자바의 AWT(Abstract Window Toolki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AWT는 자바 응용프로그램 또는 애플릿의 GUI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클래스(class)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바 AW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GUI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어플레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화면을 일부 변경하여 표시해야 할 경우에 보다 효율적으로 화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은 자바 AWT(Abstract Window Toolki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제1 컴포넌트의 속성을 변경시키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발생된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제1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치는 제2 컴포넌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제2 컴포넌트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컴포넌트의 상기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 는 영역을 상기 화면상에 다시 표시하고 상기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상기 제1 컴포넌트를 상기 화면상에 재표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HP 규격 하에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스크린은 세 개의 플레인(Plane)을 가진다.
이 세 개의 플레인(Plane)을 뒤에서부터 앞으로 살펴보면 백그라운드 플레인(Background Plane), 비디오 플레인(Video Plane) 및 그래픽 플레인(Graphic Plane)이다.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그래픽 플레인의 직사각형 영역이 제공된다. 그래서 그래픽 플레인 상의 직사각형 내부에 비디오, 인터페이스 요소 및 그래픽 컴포넌트(Component)들을 배치할 수 있다.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비디오 플레인 상의 AWT(Abstract Windowing Toolkit) 계층 외부의 비디오를 제어하고, 백그라운드 플레인에서 정지영상이나 솔리드 컬러(Solid Color)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바 AWT 그래픽 참조 모델(Graphic Reference Model)의 화면 처리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바 AWT는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플레인을 생성하는 HScene 함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자바 기반의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은 자바 AWT의 HScene 함수를 통해 그래픽 플레인(HScene)을 생성하다. 그리고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은 자바 AWT이 제공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버튼, 텍스트 박스, 선택 박스 등)(Component 0,..Component N-1, Component N)을 그래픽 플레인 상에 구비해 놓음으로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형성하게 된다.
컨테이너(Container)는 컴포넌트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객체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컨테이너들을 통해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컨테이너 및 컴포넌트를 가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경우, 우선 그래픽 플레인을 표시한다. 그리고 그래팩 플레인상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순으로, 즉 도면상에 화살표의 번호 순으로 컨테이너 내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을 각 컴포넌트들의 속성값 및 좌표값에 따라 표시하도록 처리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컴포넌트들이 화면상에 표시될 시에 서로 화면 표시 영역이 겹쳐짐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화면 표시 영역이 겹쳐지는 컴포넌트들 간에는 어느 한 컴 포넌트의 속성(예로, 색깔, 표시문구 등)이 변경될 경우, 그 변경된 속성에 맞추어 컴포넌트가 표시되기 위해서 속성이 변경된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모든 컨테이너 내부의 컴포넌트들이 다시 표시되도록 처리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일 예로, 도면상에 컴포넌트 0(Component 0)의 표시 색깔을 변경하는 사용자의 이벤트(Event)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에 컴포넌트 0의 표시 색깔 변경에 대한 이벤트는 컴포넌트 0를 포함하고 있는 최하위 컨테이너(Root Container)부터 컴포넌트 0를 포함한, 컴포넌트 0와 겹쳐지는 모든 컨테이너 내부의 컴포넌트들을 겹쳐지는 순, 즉 화살표의 번호 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처리될 것이다.
결국, 자바 AWT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그 화면상에 구성된 컴포넌트들의 속성을 미세하게 변경하여 화면을 표시해야 할 경우에도 기타 다른 컨테이너 내부의 모든 컴포넌트들이 다시 표시되도록 처리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시스템 자원을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시간을 길게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애플리케이션 화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정보 저장부(200)와, 컴포넌트 저장부(202)와, 컴포넌트 구동엔진(204)과, 화면 출력부(206)와, 속성값 변경부(2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은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컴포넌트를 구비한다. 각 컴포넌트는 화면에 표시될 속성값(색깔, 표시될 문구 등)과 화면상에서의 좌표값을 가지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각 컴포넌트의 속성값 및 좌표값을 표시정보라 한다.
이처럼 표시정보는 특정 컴포넌트가 화면상에서 어떻게 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정보 저장부(200)는 데이터 방송신호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중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의 표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표시정보 저장부(200)는 각 컴포넌트의 ID(IDentifier)에 매핑시켜 컴포넌트의 표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컴포넌트 저장부(202)는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중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객체(Object)들을 각 컴포넌트의 ID에 매핑시켜 저장하고 있다.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은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상에 표시할 컴포넌트들을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
여기서, 메인화면은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틀이 되는 화면으로 컴포넌트가 배열되는 바탕(Background) 화면을 의미한다.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은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컴포넌트 저장부(202)로부터 로드하고, 로드한 각 컴포넌트들의 ID를 이용하여 표시정보 저장부(200)에서 각 컴포넌트들의 표시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독출한 표시정보 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할 컴포넌트들의 속성값 및 좌표값을 지정하고 상기 속성값 및 좌표값을 지정받은 컴포넌트들이 화면 출력부(206)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컴포넌트들을 그 겹쳐지는 순에 따라 맨 아래 표시되는 컴포넌트부터 순차적으로 컴포넌트 저장부(202)에서 로드하여 상기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
화면 출력부(206)는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틀이 되는 메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화면 출력부(206)는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으로부터 메인 화면상에 표시할 컴포넌트들을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표시할 컴포넌트들을 모두 제공받았을 때에 그 제공받은 순에 따라 각 컴포넌트들을 그 지정된 속성값 및 좌표값에 맞추어 메인 화면상 표시한다.
만일, 화면 출력부(206)가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으로부터 메인 화면상에 표시할 컴포넌트를 제공받는 대로 바로 메인 화면에 표시할 경우, 전체 컴포넌트들이 동시에 표시되지 않고 각 컴포넌트들의 처리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각 컴포넌트들의 처리 시간이 비록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각 컴포넌트들이 따로따로 애플리케이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 인식되므로, 사용자는 마치 처리속도가 떨어지는 것과 같이 느껴지게 될 것이다.
결국,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질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화면 출력부(206)가 메인 화면상에 표시할 전체 컴포넌트를 동시에 표시할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 간의 이동을 부드럽게 해 주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속성값 변경부(208)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표시된 제1 컴포넌트의 미세한 속성을 변경시키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그 발생된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표시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된 제1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변경한다.
속성값 변경부(208)는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한 제1 컴포넌트를 컴포넌트 ID를 통해 구별하고 표시정보 저장부(200)에서 제1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변경한다.
그리고 속성값 변경부(208)는 표시정보 저장부(200)에서 상기 제1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변경한 후, 상기 제1 컴포넌트의 컴포넌트 ID를 컨포넌트 구동엔진(204)에 알린다.
컨포넌트 구동엔진(204)은 속성값 변경부(208)가 알린 상기 제1 컴포넌트 ID를 이용하여 표시정보 저장부(200)에서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쳐지는 제2 컴포넌트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각 제2 컴포넌트들의 표시 영역 중에서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을 판단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은 화면 출력부(206)로 상기 제2 컴포넌트들에 대해서 상기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만을 화면상에 다시 표시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컴포넌트 구동엔진(204)은 제1 컴포넌트의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제1 컴포넌트에 속성을 지정하여 화면 출력부(206)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메인 화면상에 다시 제1 컴포넌트가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도 3은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1 컴포넌트, 제2 컴포넌트, 그리고 제3 컴포넌트가 존재하고 각 컴포넌트의 표시 영역이 겹쳐져 있는 경우를 살펴본다.
기존에는 제1 컴포넌트의 표시 색깔을 변경하여 화면상에 재표시해야 할 경우 우선, 맨 아래에 겹쳐져 있는 제1 컴포넌트를 색깔을 변경하여 재표시한 이후에, 제2 컴포넌트 및 제3 컴포넌트 또한 전체가 다시 표시되도록 처리하였다.
하지만, 제1 컴포넌트의 표시되는 색깔 변경이 제2 컴포넌트 및 제3 컴포넌트에 반영되는 영역은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에만 국한되므로, 제2 컴포넌트 및 제3 컴포넌트 전체를 다시 표시해 주는 동작은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및 화면 처리 동작의 지연을 유발시킬 뿐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1 컴포넌트의 표시 색깔을 변경하여 화면상에 표시해야 할 경우 맨 아래에 겹쳐져 있는 제1 컴포넌트를 우선 색깔을 변경하여 재표시한 이후에,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제2 컴포넌트 및 제3 컴포넌트의 영역만이 다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자바 AW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어플레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며(S400), 화면에 표시된 제1 컴포넌트의 미세한 속성, 예로 색깔, 표시된 문구 등을 변경시키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발생된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제1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변경시킨다(S402,S404).
그리고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치는 제2 컴포넌트를 검색하여(S406), 상기 검색된 제2 컴포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제2 컴포넌트의 표시 영역을 확인한다(S408,S410).
상기 확인된 제2 컴포넌트의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을 다시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처리하고(S412), 또한 상기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제1 컴포넌트를 화면상에 재표시하여 제1 컴포넌트의 표시 변경에 따른 전체 화면 변경이 수행되도록 한다(S414).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를 종료하기 전까지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이벤트에 따른 화면 변경을 수행한다(S416).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방송용 어플레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화면을 일부 변경하여 표시해야 할 경우에 보다 효율적으로 화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해 준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자바 AW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그랙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애플레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화면을 구성하는 제1 컴포넌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해야 할 경우에,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쳐지는 제2 컴포넌트에 대해서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만을 다시 표시하도록 처리하여 화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쳐지는 제2 컴포넌트 전체를 다시 표시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시스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데이터 방송 브라우징(Browsing) 시 대기시간을 최소화시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Claims (2)

  1. 자바 AWT(Abstract Window Toolkit)의 컴포넌트들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구축된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제1 컴포넌트의 속성을 변경시키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발생된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제1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치는 제2 컴포넌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제2 컴포넌트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컴포넌트의 상기 제1 컴포넌트와 겹쳐지는 영역을 상기 화면상에 다시 표시하고 상기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상기 제1 컴포넌트를 상기 화면상에 재표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컴포넌트를 검색한 이후에,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제1 컴포넌트와 표시 영역이 겹치는 제2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상기 제1 컴포넌트만을 상기 화면상에 재표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060087398A 2006-09-11 2006-09-11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KR10118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98A KR101181607B1 (ko) 2006-09-11 2006-09-11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98A KR101181607B1 (ko) 2006-09-11 2006-09-11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67A true KR20080023467A (ko) 2008-03-14
KR101181607B1 KR101181607B1 (ko) 2012-09-10

Family

ID=3939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398A KR101181607B1 (ko) 2006-09-11 2006-09-11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2318A (zh) * 2019-12-17 2020-05-1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中贡献分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3014A (ja) * 1998-01-20 1999-07-30 Hitachi Ltd マルチウインドウシステムでのヘルプ表示方式
WO2001004868A1 (en) * 1999-07-13 2001-01-18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video window with parameters defining position and scaling factor
GB9917328D0 (en) * 1999-07-24 1999-09-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indow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2297120A (ja) * 2001-03-29 2002-10-11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操作パネルウインドウ表示方法
KR100609667B1 (ko) * 2004-02-23 2006-08-08 (주)위트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갱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2318A (zh) * 2019-12-17 2020-05-1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中贡献分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82318B (zh) * 2019-12-17 2022-05-0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中贡献分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607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779B2 (en) Self-contained mini-appl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US72132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remote application over a network
US80656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tical path navigation
AU781596B2 (en) Data entry in a GUI
US2014020163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user interfaces and display information on remote client devices
US676279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control for television applications
EP30408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resource display method
US20030004638A1 (en) Navigation
CN111741367B (zh) 视频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36357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hared home screen
WO200100486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video window with parameters defining position and scaling factor
KR101181607B1 (ko) 데이터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EP2605512B1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EP14910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s on an auxiliary display device using low level graphics drivers
US20040139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US20110047515A1 (en) Three-dimensional navigation system for contents guide and method thereof
KR20050043315A (ko)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CN103870109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20040066614A (ko)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10444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1141870A2 (en) Purchase manager
EP2001230A1 (en) Method for processing plurality of sets of content items in television receiver and system for processing plurality of sets of content items in television receiver
KR20100081190A (ko)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