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883A - 백라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883A
KR20080022883A KR1020060086672A KR20060086672A KR20080022883A KR 20080022883 A KR20080022883 A KR 20080022883A KR 1020060086672 A KR1020060086672 A KR 1020060086672A KR 20060086672 A KR20060086672 A KR 20060086672A KR 20080022883 A KR20080022883 A KR 2008002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guide plate
point light
light guide
suppor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김창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2883A/ko
Publication of KR2008002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54Light-reflecting surface, e.g. conductors, substrates, coatings, dielectr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저반사 영역의 반사율을 증가시켜 휘도를 상승시키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과, 지지 기판, 지지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점광원, 및 지지 기판의 상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반사부로서, 점광원에 상응하는 개방창이 형성되며, 반사율이 80% 이상인 반사부를 포함하고,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점광원 어셈블리와,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반사부, 도광판, 휘도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점광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점광원 어셈블리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도광판과 점광원 어셈블리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점광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도광판과 점광원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백라이트 어셈블리 120: 점광원
130: 광학 시트 140: 도광판
150: 반사 시트 200: 점광원 어셈블리
210: 지지 기판 220: 반사부
230: 접착층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 반사율이 증가된 점광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 FPD) 중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광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외부광원은 액정표시소자의 크기,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형태에 따라 LED(Light Emitted Diode)와 같은 점광원,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선광원, 면광원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외부 광원 중 점광원은 지지 기판에 복수개 배치되어, 도광판 측면에 위치하는데, 점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는 도광판의 산란 패턴에 의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측부측으로 향하게 되어 광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으로부터 액정 패널측으로 향하지 못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측부측으로 향하는 광의 손실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사율을 향상시켜 광의 휘도를 상승시키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과,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점광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반사부로서, 상기 점광원에 상응하는 개방창이 형성되며, 반사율이 80% 이상인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점광원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과,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점광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 중 상기 점광원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반사 코팅면으로서, 반사율이 80% 이상인 화이트 계열의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 코팅면을 포함하는 점광원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전체적으로 보아 광학 시트(130), 도광판(140), 반사 시트(150), 몰드 프레임(160), 바텀 샤시(170) 및 점광원(120)을 포함하는 점광원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점광원(120)은 수동 발광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미도시)의 액정 패널(미도시)에 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 기판(210)에 배치되어 바텀 샤시(170)에 수납된다.
이러한 점광원(120)으로서, 예를 들어 LED(Light Emitted Diode), 백열 전구, 백색 할로겐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색재현성이 우수하여 점광원(120)으로 널리 이용되는 LED가 예시될 수 있다.
LED는 본체(미도시) 및 본체의 상면에 실장되는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본체에 실장되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광이 발생되어, 본체의 일면을 통해 출사된다.
LED의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2개의 녹색, 청색의 광을 출사시키는 4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색광, 2개의 녹색광, 청색광이 혼합되어 백색을 나타낸다.
점광원(120)은 후술하는 도광판(1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점광원(120)은 후술하는 지지 기판(2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도광판(1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 기판(210)의 상면이란 후술하는 도광판(1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지지 기판(210)의 일면을 의미한다.
광학 시트(130)는, 측부에 점광원(120)이 배치된 도광판(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점광원(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130)는 확산 시트(diffusion sheet), 제1 프리즘 시트, 제2 프리즘 시트 등을 포함하며, 제1 프리즘 시트만으로도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2 프리즘 시트는 생략될 수 있다.
광학 시트(130) 하부에는 도광판(140)이 배치되며, 도광판(140)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점광원(120)이 배치된다.
도광판(140)은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입사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140)은 광이 효율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일정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도광판(140)의 일측면으로 입사한 광은 도광판(140)의 임계각 이내의 각도를 가지므로, 도광판(140) 내부로 입사되고, 도광판(1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입사되었을 때 광의 각도는 임계각을 벗어나게 되어, 도광판(140) 외부로 출사되지 않고, 도광판(140) 내부에 골고루 전달된다.
한편, 도광판(140)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예를 들어 하면에는 가이드 된 광이 상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산란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도광판(140) 내부에서 전달된 광이 상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도광판(140)의 일면에 예를 들어 잉크로 산란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산란 패턴은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광판(140)에 미세한 홈이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산란 패턴에 부딪혀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액정 패널 측으로 전달되지만, 일부는 바텀 샤시(170)의 측부로 향하며, 이를 재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후술하는 점광원 어셈블리(200)에 반사부(220)를 형성시킨다.
반사 시트(150)는 도광판(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광판(140)의 하부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가진다.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140)의 일측부로 입사된 후, 산란 패턴에 의해 일부 광이 산란되어 점광원(120)이 배치되지 않은 도광판(140)의 타측부로 향하는 경우, 이를 재반사시키기 위해 반사면은 양측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경사면은 점광원(120)이 배치되지 않은 도광판(140)의 양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 시트(15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그 한쪽 표면은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확산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티타늄 디옥사이드가 건조되어 정착될 때, 티타늄 디옥사이드는 성에 모양의 백색 표면을 형성하여 광을 보다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반사 효과를 제공한다.
몰드 프레임(160)은 광학 시트(130), 도광판(140), 반사 시트(150), 및 점광원 어셈블리(200)를 수납하고, 바텀 샤시(170)에 안착 고정된다.
몰드 프레임(160)은 직사각형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들로 구성되어, 광학 시트(130) 및 도광판(14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에 개방창이 형성되어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시인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텀 샤시(17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들이 형성되어 이러한 측벽들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 상술한 광학 시트(130), 도광판(140), 반사 시트(150), 및 점광원 어셈블리(200) 등을 수납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점광원 어셈블리(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점광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점광원 어셈블리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도광판과 점광원 어셈블리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점광원 어셈블리(200)는 지지 기판(210), 지지 기판(210)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전술한 점광원(120) 및 지지 기판(210)의 상면에 접착층(230)을 매개로 부착되는 반사부(220)를 포함하며, 도광판(1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판(21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긴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도광판(140)의 일측면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기판(210)은 그 상면에 점광원(120)을 고정하여 도광판(140)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점광원(120)을 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 기판(210)은 점광원(120)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강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그 재료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기판(210)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술한 복수의 점광원(120)이 배치된다.
지지 기판(210)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과 연결되어 액정 패널(미도시)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FPC(Flexible Prined Circuit)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점광원(120)은 FPC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판(210)의 상면에는 반사율이 우수한 반사부(220)가 부착되는데, 본 실시예의 반사부(220)의 반사율은 입사광에 대하여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220)에는 상술한 점광원(120)이 노출되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점광원(120)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방창(2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반사부(220)는 시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즉, 반사율 80%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 형상의 반사부(220)를 지지 기판(210)의 일면 상에 부착하여 점광원 어셈블리(200)를 형성한다.
반사부(220)는 바텀 샤시(170)의 측면으로 손실되는 광을 재반사 하도록 상술한 반사 시트(15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반사부(22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그 한쪽 표면은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확산층으로 코팅되어, 반사 효과를 낼 수 있다.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가 도광판(140)의 산란 패턴에 의해 바텀 샤시(170)의 측부로 향하더라도, 반사성을 가지는 반사부(220)에 의해 재반사되어 다시 도광판(140)측으로 향하게 되며, 결국 소망하는 방향인 액정 패널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의 손실을 줄여 광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사부(220)는 접착층(230)을 매개로 지지 기판(210)에 부착된다.
접착층(230)은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230)이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 점광원(120)이 외부로 노출되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반사부(220)와 동일하게 양면 테이프에도 개방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230)이 접착제로 이루어진 경우, 접착제는 점광원(120)에 스며들어 점광원(120)에 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점광원(120)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되며, 이 경우 점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점광원(120)측으로 접착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상면에 반사부(220)를 구비하는 점광원 어셈블리를 포함함으로써,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140)의 산란 패턴에 의해 바텀 샤시(170)의 측부측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막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점광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도광판과 점광원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전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전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사 코팅면(221)이 지지 기판 상에 직접 도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보아 광학 시트(미도시), 도광판(140), 반사 시트(미도시), 몰드 프레임(미도시), 바텀 샤시(미도시) 및 점광원(120)을 포함하는 점광원 어셈블리(201)를 포함한다.
도광판(140)은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가이드하며, 예를 들어 하면에 산란 패턴(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산란 패턴은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액정 패널(미도시)측으로 향하게 하지만, 일부 광은 산란 패턴에 의해 바텀 샤시의 측부 즉, 점광원 어셈블리(201)측으로 향하게 되어 광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광판(140) 하부에는 반사성 재질로 이루어진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 시트가 위치한다.
점광원 어셈블리(201)는 지지 기판(210), 지지 기판(210)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점광원(120) 및 지지 기판(210)의 상면 중 점광원(12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직접 도포되는 반사율이 80% 이상인 화이트 계열의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 코팅면(221)을 포함하며, 도광판(1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판(210)의 형상 및 기능 등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지지 기판(210)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술한 복수의 점광원(120)이 배 치되는 점도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복수의 점광원(120)은 예를 들어 복수의 LED일 수 있는 점도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지지 기판(210)의 상면에는 반사 코팅면(2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반사 코팅면(221)은 상술한 점광원(120)이 노출되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점광원(12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만 직접 도포된다.
본 실시예의 반사 코팅면(221)은 반사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인 반사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반사성 재질은 예를 들어 반사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인 화이트 계열의 잉크일 수 있다.
반사 코팅면(221)을 화이트 계열의 잉크로 형성함으로써, 지지 기판 상에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반사 코팅면(221)에 이용되는 반사성 잉크는 점광원(120)에 스며들어 점광원(120)에 불량이 일어나지 않고, 광이 유효하게 출사될 수 있도록 점광원(120)이 배치되지 않은 곳에만 도포한다.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가 도광판(140)의 산란 패턴에 의해 점광원 어셈블리(201)의 상면측으로 향하더라도, 반사성을 가지는 반사 코팅면(221)에 의해 재반사되어 다시 도광판(140)측으로 향하게 되며, 결국 소망하는 방향인 액정 패널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의 손실을 줄여 광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상면에 반사 코팅면(221)이 직접 도포된 점광원 어셈블리를 포함함으로써, 점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140)의 산란 패턴에 의해 바텀 샤시(170)의 측부측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막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부 또는 반사 코팅면을 구비하는 점광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도광판의 산란 패턴에 의해 바텀 샤시측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율이 80% 이상인 반사부 또는 반사 코팅면에 의해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점광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반사부로서, 상기 점광원에 상응하는 개방창이 형성되며, 반사율이 80% 이상인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점광원 어셈블리; 및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 시트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LED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6.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점광원, 및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 중 상기 점광원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반사 코팅면으로서, 반사율이 80% 이상인 화이트 계열의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 코팅면을 포함하는 점광원 어셈블리; 및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LED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060086672A 2006-09-08 2006-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22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72A KR20080022883A (ko) 2006-09-08 2006-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72A KR20080022883A (ko) 2006-09-08 2006-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596U Division KR200446857Y1 (ko) 2009-09-03 2009-09-03 백라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883A true KR20080022883A (ko) 2008-03-12

Family

ID=3939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72A KR20080022883A (ko) 2006-09-08 2006-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288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4922A (ja) * 1999-06-30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導光板及び表示装置
KR20030058106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20040071751A (ko) * 2001-12-25 2004-08-1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390856Y1 (ko) * 2005-04-22 2005-07-27 김후남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4922A (ja) * 1999-06-30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導光板及び表示装置
KR20040071751A (ko) * 2001-12-25 2004-08-1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58106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200390856Y1 (ko) * 2005-04-22 2005-07-27 김후남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5837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085864B2 (ja)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及びそれを採用した液晶表示装置
KR100574366B1 (ko) 액정표시모듈
US8636401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4790651B2 (ja) 面光源装置およびその面光源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8226792A (ja) 面光源装置
CN111465895A (zh) 发光机构及背光模块
US20070025098A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8400581B2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201651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423248B1 (ko) 광원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8197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반사판 제조방법
TWI343489B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200446857Y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10046581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JPH11306831A (ja) 面状光源ユニット
KR100664373B1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채택한 백라이트 패널
KR100445670B1 (ko) 듀얼 백 라이트 장치
KR2008002288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H1164645A (ja) 平面発光体
KR2006013124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30063300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H11224521A (ja) 面光源装置
KR2006009477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3386A (ko) 점광원용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