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229A - Dr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r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229A
KR20080022229A KR1020087002779A KR20087002779A KR20080022229A KR 20080022229 A KR20080022229 A KR 20080022229A KR 1020087002779 A KR1020087002779 A KR 1020087002779A KR 20087002779 A KR20087002779 A KR 20087002779A KR 20080022229 A KR20080022229 A KR 20080022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avity
casing
airflow
slo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6684B1 (en
Inventor
폴 쎄드릭 캠벨 핵웰
프레데릭 니콜라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0515739.1A external-priority patent/GB0515739D0/en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22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10/00Combinations of water taps, soap dispensers and hand dr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provides drying apparatus (10) having a casing (12), a cavity (30) formed in the casing (12) for receiving an object, a fan (40) located in the casing (12) and capable of creating an airflow, and at least one slot-like opening (60, 62) communicating with the fan (40) and arranged in the casing (12) so as to direct an airflow transversely across the cavity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lot-like opening (60, 62) is formed between opposing walls (54a, 54b, 56a, 56b) which approach one another at an angle of between 10‹and 20‹.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wo slot-like openings (60, 62) are provided and a ducting (90)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an (40) and the slot-like openings (60, 62) has a first cross-s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fan (40) whose dimensions are similar in all directions and a slot-like cross-s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s (60, 62), the transition between the said cross-sections being gradual and smooth. ® KIPO & WIPO 2008

Description

건조 장치 {DRYING APPARATUS}Drying Unit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체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고속, 고압의 얇은 분사 기류(narrow jet)를 이용하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배타적은 아니지만, 케이싱에 있는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에어 제트가 분사되는 핸드 드라이어(hand dry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that uses a narrow jet of high speed, high pressure to dry an object comprising a part of the human body. The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not exclusively, to a hand dryer in which an air jet is injected through a slotted opening in the casing.

에어 제트를 사용하여 손을 건조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어 제트를 분사하는 핸드 드라이어는 GB 2249026A, JP 2002034835A, 및 JP 2002-306370A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시간 내에 사용자의 손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충분히 높은 힘의 균일하게 분포된 기류를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구현하지 못하였다.It is known to dry hands using air jets. Hand dryers that spray one or more air jets through slotted openings are illustrated in GB 2249026A, JP 2002034835A, and JP 2002-306370A. In practic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 uniformly distributed airflow of a force high enough to dry the user's hand efficiently in a short time. The prior art did not implement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시에 종래 기술에 비해 단시간에 물체를 건조시킬 수 있는,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에어 제트를 분사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단시간에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킬 수 있는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건조 효율이 향상된 개선된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for injecting an air jet through a slotted opening, which, in use, can dry an object in a shorter time than in the prior ar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yer which can dry a user's hand in a short time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hand dryer with improved drying efficiency over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건조 장치는, 케이싱, 물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공동,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되며 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며 기류를 상기 공동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형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형 개구부는 10°내지 20°의 각도로 서로 인접하여 대향하는 벽 사이에 형성된다.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a cavity formed in the casing to receive an object, a blower located in the casing and capable of generating airflow,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and across the cavity One or more slotted openings arranged to move, wherein the slotted openings are formed between opposing walls adjacent to each other at an angle of 10 ° to 20 °.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롯형 개구부의 벽 사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14°이다. 이 각도는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분사되는 기류의 힘이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상당히 증대되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기류가 슬롯형 개구부를 빠져나오는 동안에 더 많은 물이 물체로부터 떨어져나간다는 사실에 의해 건조기의 효율이 증대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walls of the slotted opening is substantially 14 °. This angle has been found to have the advantage that the force of the airflow injected through the slotted openings is considerably increased compared to prior art devices. This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dryer by the fact that more water is released from the object while the airflow exits the slotted openings.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건조 장치는, 케이싱, 물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공동,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되며 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며 기류를 상기 공동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2개의 대향하는 슬롯형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상기 송풍기의 근방에 모든 방향으로 치수가 유사한 제1 단면 및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 슬롯형 단면을 갖고, 상기 단면들 사이의 천이부는 완만하고 매끄럽다.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a cavity formed in the casing to receive an object, a blower located in the casing and capable of generating airflow,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across the cavity And two opposing slot-like openings arranged to move, the conduit having a first cross-section similar in dimension in all directions near the blower and a slotted cross-section near the opening, between the cross-sections. Transition is gentle and smooth.

바람직하게, 도관의 전체적인 단면적은 송풍기와 슬롯형 개구부의 바로 상류 지점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이로 인해 도관 내부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송풍기의 효율이 향상된다.Preferably, the overal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is substantially constant between the blower and the point just upstream of the slotted opening. This minimizes losses inside the conduit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bl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ha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핸드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 drye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핸드 드라이어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dryer of FIG. 1.

도 4는 도 1의 핸드 드라이어의 공기 도관 형성 부품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end of the air conduit forming part of the hand dryer of FIG.

도 5는 도 1의 핸드 드라이어의 공동의 전방 벽에 위치된 슬롯형 개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lotted opening located in the front wall of the cavity of the hand dryer of FIG. 1.

도 6은 도 1의 핸드 드라이어의 공동의 후방 벽에 위치된 슬롯형 개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slotted opening located in the rear wall of the cavity of the hand dryer of FIG. 1;

도 7은 도 1의 핸드 드라이어의 덕트 형성 부품을 장치의 다른 부품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ct forming part of the hand dryer of FIG. 1 separately from the other parts of the apparatus.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공동 입구의 평면도이다.8A is a plan view of a cavity inlet of a hand dry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8b는 도 8a의 핸드 드라이어의 공동의 후방 벽에 위치된 슬롯형 개구부의 정면도이다.FIG. 8B is a front view of the slotted opening located in the rear wall of the cavity of the hand dryer of FIG. 8A.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핸드 드라이어 형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hand dryer.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시한 핸드 드라이어(10)는, 전방 벽(14)을 갖는 외측 케이싱(12), 후방 벽(16), 상면(18), 및 측면(20, 22)을 포함한다. 후방 벽(16)은 사용 전에 핸드 드라이어(10)를 벽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후방 벽이나 케이싱(12)의 다른 곳에는 전기 연결부(미도시)가 제공된다. 도 1 및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12)의 상부 부분에는 공동(30)이 형성되어 있다. 공동(30)은 상단부가 개방되며, 그곳에서 전방 벽(14)의 상부 및 상면(18)의 전방부에 의해 한정된다. 전방 벽(14)의 상부와 상면(18)의 전방부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의 손이 공동(30)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공동 입구(32)를 형성한다. 공동(30)은 또한 측벽(20, 22)의 적절한 형상화에 의해 핸드 드라이어(10)의 측부로 개방된다.1 and 2, the illustrated hand dryer 10 includes an outer casing 12 having a front wall 14, a rear wall 16, an upper surface 18, and side surfaces 20, 22. do. The back wall 16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not shown) for securing the hand dryer 10 to the wall or other structure prior to use. Electrical connections (not shown) are provided at the rear wall or elsewhere in casing 12.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a cavity 3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2. The cavity 30 is open at its upper end, where it is defined by the upper part of the front wall 14 and the front part of the upper surface 18.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wall 14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8 forms a cavity entrance 32 wide enough to allow the user's hand to enter the cavity 30. The cavity 30 is also opened to the side of the hand dryer 10 by proper shaping of the side walls 20, 22.

공동(30)은 각각 공동(30)을 전방 및 후방에 대하여 한정하는 전방 벽(34) 및 후방 벽(36)을 갖는다. 공동(30)의 최저 단부에는 케이싱(12)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저장소(미도시)와 연통되는 드레인(38)이 위치된다. 드레인 및 저장소의 목적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avity 30 has a front wall 34 and a rear wall 36 that define the cavity 30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At the lowest end of the cavity 30 is located a drain 38 in communication with a reservoir (not shown)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2. The purpose of the drain and reservoir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는 케이싱(12) 내부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40) 또한 케이싱(12) 내부에 위치된다. 모터는 전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컨트롤러(41)에 의해 제어된다. 송풍기(40)의 입구(42)는 케이싱(12) 내에 형성된 공기 입구(44)와 연통된다. 공기 입구(44)를 송풍기 입구(42)에 연결하는 공기 통로에는, 모터 또는 송풍기(40)를 손상시킬 수 있는 임의의 부스러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46)가 위치된다. 송풍기(40)의 출구는 케이싱(12)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덕트(50, 52)와 연통된다. 전방 공기 덕트(50)는 주로 케이싱(12)의 전방 벽(14)과 공동(30)의 전방 벽(34) 사이에 위치되고, 후 방 공기 덕트(52)는 주로 케이싱(12)의 후방 벽(16)과 공동(30)의 후방 벽(36) 사이에 위치된다.As shown in FIG. 3, a motor (not shown) is located inside the casing 12, and a blower 40 driven by the motor is also located inside the casing 12. The motor is connec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1. The inlet 42 of the blower 40 is in communication with an air inlet 44 formed in the casing 12. In the air passage connecting the air inlet 44 to the blower inlet 42, a filter 46 is positioned to prevent any debris that may damage the motor or the blower 40 from entering. The outlet of the blower 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ducts 50, 52 located inside the casing 12. The front air duct 50 is mainly located between the front wall 14 of the casing 12 and the front wall 34 of the cavity 30, and the rear air duct 52 is mainly the rear wall of the casing 12. It is located between the 16 and the rear wall 36 of the cavity 30.

공기 덕트(50, 52)는, 송풍기(40)로부터 공동(30)의 전방 벽(34) 및 후방 벽(36)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슬롯형 개구부(60, 62)로 공기를 유도하도록 배치된다. 슬롯형 개구부(60, 62)는 공동 입구(32) 근처에서 공동(3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슬롯형 개구부(60, 62)는 각각, 기류가 공동(30)의 양쪽 벽을 향해 공동 입구(32)를 대략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슬롯형 개구부(60, 62)는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되며 공동(30)의 최저 단부 쪽으로 경사를 이룬다.The air ducts 50, 52 direct air from the blower 40 to a pair of opposing slotted openings 60, 62 located in the front wall 34 and the back wall 36 of the cavity 30, respectively. It is arranged to induce. Slotted openings 60, 62 are disposed at the top of the cavity 30 near the cavity inlet 32. The slotted openings 60, 62 are each configured such that airflow moves approximately across the cavity inlet 32 toward both walls of the cavity 30. Slotted openings 60, 62 are vertically offset and sloped toward the lowest end of cavity 30.

도 4는 공기 덕트(50, 52)의 상단부 및 슬롯형 개구부(60, 62)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덕트(50)의 벽(54a, 54b)은 슬롯형 개구부(60)를 형성하도록 수렴되어 있으며, 공기 덕트(52)의 벽(56a, 56b)도 슬롯형 개구부(62)를 형성하도록 수렴되어 있다. 도 5 및 6에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는 슬롯형 개구부(60)가 W1의 폭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고, 도 6은 슬롯형 개구부(62)가 W2의 폭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슬롯형 개구부(60)의 폭 W1은 슬롯형 개구부(62)의 폭 W2보다 작다. 폭 W1은 0.3㎜이고 폭 W2는 0.4㎜이다.4 shows the upper end of the air ducts 50, 52 and the slotted openings 60, 62 in more detail. As shown, the walls 54a and 54b of the air duct 50 converge to form a slotted opening 60, and the walls 56a and 56b of the air duct 52 are also slotted openings 62. Converge to form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S. 5 and 6, FIG. 5 shows that the slotted opening 60 has a width of W1, and FIG. 6 shows that the slotted opening 62 has a width of W2. The width W1 of the slotted opening 60 is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slotted opening 62. The width W1 is 0.3 mm and the width W2 is 0.4 mm.

각각의 쌍의 벽(54a, 54b, 56a, 56b)은, 각각의 벽이 슬롯형 개구부(60, 62)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 접근되도록 배치된다.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쌍의 벽 사이에 가상의 축(70)이 놓이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벽(54a, 54b, 56a, 56b)은 각각의 축(7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7°의 각도로 놓인다. 따라서 각각의 쌍의 벽(54a, 54b, 56a, 56b)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실질적으로 14° 이다. 이 각도는, 다양한 각도로 변경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0°내지 20°의 각도가 이용될 수 있다.Each pair of walls 54a, 54b, 56a, 56b is arranged such that each wall approaches each other as it approaches the slotted openings 60, 62. As shown in FIGS. 5 and 6, assuming that an imaginary axis 70 lies between each pair of walls, each wall 54a, 54b, 56a, 56b for each axis 70. It is placed at an angle of substantially 7 °. Thus, the angle formed between each pair of walls 54a, 54b, 56a, 56b is substantially 14 °. This angle can be varied to various angles, but has been found to be preferred. An angle of 10 ° to 20 ° can be used.

슬롯형 개구부(60, 62) 바로 아래에서 공동(30)의 전방 벽(34) 및 후방 벽(36)에는 센서(64)가 위치된다. 이들 센서(64)는 사용자의 손이 공동 입구(32)를 통해 공동(30)으로 삽입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손이 공동(30)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모터에 신호를 보내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덕트(50, 52)의 벽(54a, 54b, 56a, 56b)은 공동(30)의 전방 벽(34) 및 후방 벽(36)의 표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어 있다. 덕트(50, 52)의 벽(54a, 54b, 56a, 56b)이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공동의 어느 한쪽 벽(34, 36)으로 빨려 치우치는 경향이 감소되며, 이로 인해 핸드 드라이어(10)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센서(64)를 덕트(50, 52)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벽(54a, 54b, 56a, 56b) 바로 아래에 위치시킴으로써, 센서(64)가 오염되고 작동성이 떨어지는 위험성도 감소된다.A sensor 64 is located in the front wall 34 and the rear wall 36 of the cavity 30 just below the slotted openings 60, 62. These sensors 64 are arranged to detect whether the user's hand is inserted into the cavity 30 through the cavity inlet 32 and to signal the motor when the user's hand is inserted into the cavity 30. .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3, the walls 54a, 54b, 56a, 56b of the ducts 50, 52 are slightly more than the surfaces of the front wall 34 and the rear wall 36 of the cavity 30. It protrudes. The walls 54a, 54b, 56a, 56b of the ducts 50, 52 protrude inwards, thereby reducing the tendency of the user's hand to be sucked into either wall 34, 36 of the cavity, thereby reducing the hand dryer 10 ) Can be used more easily. By placing the sensor 64 directly below the walls 54a, 54b, 56a, 56b protruding into the ducts 50, 52, the risk of contaminating the sensor 64 and degrading its operability is also reduc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 입구(32)의 형상은, 전방 에지(32a)가 대략 일직선이며 핸드 드라이어(10)의 폭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후방 에지(32b)는, 사용자가 한 쌍의 손을 공동 입구(32)를 통해 공동(30)을 향해 아래쪽으로 삽입함에 따라 한 쌍의 손등의 형상을 대략 따르는 2개의 굴곡부(33)로 이루어진 형상을 갖는다. 공동 입구(32)의 후방 에지(32b)는 핸드 드라이어(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공동 입구(32)의 전방 에지(32a) 및 후방 에지(32b)의 형상 및 치수를 이렇게 하는 것은, 사용자의 손이 공동 입구(32)를 통 해 공동(30)에 삽입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슬롯형 개구부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균일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cavity inlet 32 is substantially straight with the front edge 32a and extends transversely across the width of the hand dryer 10. However, the rear edge 32b consists of two bends 33 approximately following the shape of the pair of hands as the user inserts the pair of hands downwardly through the cavity inlet 32 toward the cavity 30. It has a shape. The rear edge 32b of the cavity inlet 32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hand dryer 10. This shape and dimension of the front edge 32a and the rear edge 32b of the cavity inlet 32 is such that the user's hand is inserted into the cavity 30 through the cavity inlet 32. This is to make the distance from the point closest to the slot-like opening substantially uniform.

공기 덕트(50, 52)는 송풍기(40)와 슬롯형 개구부(60, 62) 사이에 놓이는 도관(9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 7은 도관(90)의 사시도이다.The air ducts 50, 52 form part of the conduit 90 that lies between the blower 40 and the slotted openings 60, 62. 7 is a perspective view of conduit 90.

도관(90)은 송풍기(40)에 인접하여 놓이며 송풍기(40)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를 수용하는 스크롤(scroll)(92)을 포함한다. 스크롤(92)은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인 제1 챔버(94)와 연통되는데, 이 단면은 대략 원형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챔버(94)의 단면은 양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게 된다. 챔버(94)의 바로 하류에는 Y자형 분기부(Y-junction)(96)가 위치되며, Y자형 분기부의 하류에는 공기 덕트(50, 52)가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덕트(50, 52)는 케이싱(12)의 상단부 쪽으로 연장되며, 전방 공기 덕트(50)는 케이싱(12)의 전방 벽(14)과 공동(30)의 전방 벽(34) 사이에 위치되고, 후방 덕트(52)는 케이싱(12)의 후방 벽(16)과 공동(30)의 후방 벽(36) 사이에 위치된다. 공기 덕트(50, 52)는 공동(30)의 상단부에서 슬롯형 개구부(60, 62)와 연통된다.The conduit 90 lies adjacent to the blower 40 and includes a scroll 92 for receiving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40. The scroll 9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94 having a substantially square cross section, which may be approximately circular. This allows the cross section of the chamber 94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mensions in both directions.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chamber 94 is a Y-junction 96, and downstream of the Y-shaped branch are air ducts 50, 52. As described above, the air ducts 50, 52 exten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casing 12, and the front air duct 50 is the front wall 14 of the casing 12 and the front wall 34 of the cavity 30. ), And the rear duct 52 is located between the rear wall 16 of the casing 12 and the rear wall 36 of the cavity 30. The air ducts 50, 52 communicate with the slotted openings 60, 62 at the upper end of the cavity 30.

도관(90)은, 그 단면적이 챔버(94)의 대략 정사각형(또는 원형)으로부터 개구부의 슬롯 형상으로 매끄럽고 완만하게 변화된다. 챔버(94)의 바로 하류에서, 도관은 공기 덕트(50, 52)로 분할되며, 그 상류 단부에서의 단면적은 여전히 대략 정사각형, 즉 단면의 폭 및 깊이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단면은 챔버(9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완만하게 변화되어, 각각의 덕트(50, 52)의 폭은 그 깊이가 감소됨에 따라 증가된다. 모든 변화는 마찰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매끄럽고 완만하 다.The conduit 90 smoothly and gently changes its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approximately square (or circular) of the chamber 94 to the slot shape of the opening.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chamber 94, the conduit is divided into air ducts 50, 52, the cross-sectional area at its upstream end being still substantially square, ie substantially similar in width and depth of cross section. However, the cross section changes gently as it moves away from the chamber 94, so that the width of each duct 50, 52 increases as its depth decreases. All changes are smooth and gentle to minimize frictional losses.

슬롯형 개구부(60, 62) 각각의 바로 상류 지점(98)에서, 공기 덕트(50, 52) 각각의 단면적은, 슬롯형 개구부(60, 62) 쪽으로 이동하는 기류의 속도가 상당히 증가되도록,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챔버(94)와 각각의 공기 덕트(50, 52)에서의 지점(98) 사이에서, 도관의 전체 단면적(즉, 공기 덕트(50, 52)의 전체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At the point immediately upstream 98 of each of the slotted openings 60, 62,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air ducts 50, 52 is reduced such that the speed of airflow moving towards the slotted openings 60, 62 is significantly increased. To start. However, between the chamber 94 and the point 98 in each air duct 50, 52, the overal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ie, the overal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air ducts 50, 52) remains substantially constant.

전술한 핸드 드라이어(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의 손이 먼저 공동 입구(32)를 통해 공동(30)으로 들어가고, 센서(64)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모터에 송풍기(64)를 구동시키도록 신호를 보낸다. 송풍기(40)가 작동되어 공기가 공기 입구(44)를 통해, 초당 약 20 내지 40리터, 바람직하게는 초당 적어도 25 내지 27리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초당 31 내지 35리터의 비율로, 핸드 드라이어(10)로 유입된다. 공기는 필터(46)를 통과하고 송풍기 입구(42)를 따라 송풍기(40)로 간다. 송풍기(40)를 떠난 기류는 2개의 별도 기류로 분할되며, 하나의 기류는 전방 공기 덕트(50)를 따라 슬롯형 개구부(60)로 가고, 다른 하나의 기류는 후방 공기 덕트(52)를 따라 슬롯형 개구부(62)로 간다.The above-described hand dryer 10 is operated as follows. The user's hand first enters the cavity 30 through the cavity inlet 32, and the sensor 64 senses the user's hand and signals the motor to drive the blower 64. Blower 40 is actuated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air inlet 44 at a rate of about 20 to 40 liters per second, preferably at least 25 to 27 liters per second, more preferably 31 to 35 liters per second. 10) flows into. Air passes through filter 46 and goes to blower 40 along blower inlet 42. The airflow leaving the blower 40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airflows, one of which goes to the slotted opening 60 along the front air duct 50 and the other of the airflow along the rear air duct 52. Go to the slotted opening 62.

기류는 슬롯형 개구부(60, 62)로부터 매우 얇은, 고속, 고압의 공기층 형태로 분사된다. 기류가 슬롯형 개구부(60, 62)를 떠날 때, 공기의 압력은 15kPa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3kPa이다. 또한, 슬롯형 개구부(60, 62)를 떠나는 기류의 속도는 8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또는 15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0㎧이다. 후방 덕트(52)의 단부에 위치되는 슬롯형 개구부(62)의 크기가 전방 덕트(50)의 단부에 위치되는 슬롯형 개구부(60)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덕트(52)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양이 덕트(5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등 건조에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제공되어 바람직하다.Airflow is injected from the slotted openings 60, 62 in the form of a very thin, high speed, high pressure air layer. When the air flow leaves the slotted openings 60 and 62, the pressure of air is 15 kPa, preferably about 20 to 23 kPa. Further, the speed of the air flow leaving the slot-shaped openings 60 and 62 is 80 kPa, preferably 100 or 150 kPa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bout 180 kPa. Since the size of the slotted opening 62 located at the end of the rear duct 52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lotted opening 60 located at the end of the front duct 50, the air injected from the duct 52 The amount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injected from the duct 50. For this reason, a larger amount of air is provided for drying the back of a user's hand, which is preferable.

사용 중에, 2개의 얇은, 고속, 고압의 공기층은, 공동 입구(32)를 통해 완전히 공동(30)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공동(32)으로부터 회수되는 사용자의 손의 표면에 분사된다. 사용자의 손이 공동(30)에 대하여 입출됨에 따라, 얇은 공기층은 사용자의 손에 존재하는 물을 불어낸다. 이것은 슬롯형 개구부(60, 62)를 떠나는 공기의 힘이 세고, 기류가 슬롯형 개구부(60, 62) 각각의 길이를 따라 분산되기 때문에, 신뢰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된다.During use, two thin, high velocity, high pressure air layers are injected into the cavity 30 completely through the cavity inlet 32 and then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user's hand, which is withdrawn from the cavity 32. As the user's hand enters and exits with respect to the cavity 30, the thin air layer blows out the water present in the user's hand. This is realized reliably and efficiently because the force of air leaving the slotted openings 60, 62 is high and the airflow is distributed along the length of each of the slotted openings 60, 62.

각각의 얇은 공기층은, 각각의 얇은 공기층이 통과하는 슬롯형 개구부(60, 62)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동(30)의 벽 쪽으로 향한다. 슬롯형 개구부(60, 62) 또한 공동(30)의 최저 단부 쪽으로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분사되는 기류는 공동(30) 쪽으로 향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케이싱의 외측, 즉 사용자의 안면에 난기류의 이동을 느낄 위험이 감소된다.Each thin air layer is directed towards the wall of the cavity 30 away from the slotted openings 60, 62 through which the thin air layer passes. Because the slotted openings 60, 62 also slope toward the lowest end of the cavity 30, the jetted airflow is directed toward the cavity 30. This reduces the risk of the user feeling turbulent movement outside of the casing, ie on the face of the user.

사용자의 손을 만족스러운 정도로 건조시키기 위해 전술한 핸드 드라이어의 "통과(pass)" 수를 작게 하는 것만이 고려될 수 있다.(여기서 "통과"는 평균적인 사용자가 감당할 수 있는 속도로 공동에 손을 한번 삽입한 후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번의 통과는 3초 이내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것으로 고려한다.) 기류에 의해 얻어진 힘은 한번의 통과 시에 세수를 한 사용자의 손 표면에 있는 대부분의 물을 제거하기에 충분하다.Only a small number of "passes" of the hand dryers described above can be considered to dry the user's hands satisfactorily (where "passes" are hand-held to the cavity at a rate that the average user can afford). A single pass is considered to have a duration of less than 3 seconds.) The force obtained by the airflow is most of the surface of the user's hand that has been washed in one pass. It is enough to remove the water.

기류에 의해 제거된 물은 공동(30) 내측에 회수된다. 각각의 기류는 사용자의 손을 통과하면 급격하게 힘을 잃으며 물방울은 중력에 의해 공동(30)의 하단부로 낙하하고 공기는 공동 입구(32) 또는 공동(30)의 개방된 측부를 통해 공동(30)을 빠져나간다. 그러나 물은 드레인(38)에 의해 회수되며 저장소(미도시)로 가서 폐기된다. 저장소는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비워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핸드 드라이어(10)는, 예를 들어 회수된 물을 대기로 증발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일부 형태의 물 분산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회수된 물을 분산시키는 수단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Water removed by the air stream is recovered inside the cavity 30. Each air flow loses power rapidly when passing through the user's hand, and water drops fall to the lower end of the cavity 30 by gravity and air flows through the cavity inlet 32 or the open side of the cavity 30. Exit 30). However, water is recovered by the drain 38 and goes to a reservoir (not shown) for disposal. The reservoir can be emptied manually as needed. Alternatively, the hand dryer 10 may be provided with some form of water dispersion system, including, for example, a heater that evaporates the recovered water into the atmosphere. Means for dispersing the recovered water are no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롯형 개구부(60, 62)는, 분사되는 얇은 공기층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조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에 공동(30) 내부에 존재하는 난기류의 양이 최소화된다.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slotted openings 60, 62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prayed thin air layers move along planes that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is minimizes the amount of turbulence present inside the cavity 30 while the drying device is in use.

도 8a 및 8b에 도시한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롯형 개구부는 핸드 드라이어의 공동의 길이(L)를 가로지르는 폭이 일정하지 않다. 도 8a는 길이가 L인 공동 입구의 평면도이다. 일점쇄선은 사용자의 손이 전방 에지(32a)와 후방 에지(32b) 사이에서 공동(30)에 삽입됨에 따른 사용자 손의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낸 화살표(80)는 공동 입구(32)의 에지(32a, 32b)에 위치되는 슬롯형 개구부(60, 62)로부터 분사되는 기류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 에지(32b)의 굴곡부(33)는 공동 입구(32)의 중심선 A-A에 대하여 대칭이며, 후방 에지(32b)의 중앙부는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보다 중심선에서 전방 에지(32a)에 보다 가깝다. 전방 에지(32a)와 후방 에지(32b) 사이의 최소 거리(d)는 중심선에서 발생한다. 전방 에지(32a)와 후방 에지(32b) 사이의 최대 거리(D)는 각각의 굴곡부의 중간점에서 발생한다. 도 8b는 공동의 후방 벽에 위치되는 슬롯형 개구부의 형상을 나타낸다.In other alternative embodiment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slotted openings are not constant in width across the length L of the cavity of the hand dryer. 8A is a plan view of a cavity inlet of length L. FIG. The dashed line represents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user's hand as the user's hand is inserted into the cavity 30 between the front edge 32a and the rear edge 32b. The arrow 80 shown in FIG. 8A indicates the direction of airflow ejected from the slotted openings 60, 62 located at the edges 32a, 32b of the cavity inlet 32. In this embodiment, the bend 33 of the rear edge 32b is symmetrical about the centerline AA of the cavity inlet 32,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rear edge 32b is at the front edge 32a at the centerline than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centerline. Is closer to). The minimum distance d between the front edge 32a and the rear edge 32b occurs at the center line. The maximum distance D between the front edge 32a and the rear edge 32b occurs at the midpoint of each bend. 8B shows the shape of a slotted opening located in the rear wall of the cavity.

바람직하게, 후방 벽의 슬롯형 개구부의 폭은 완만하게 변화되며, 공동 입구(32)의 중심선(A-A)에서 개구부의 중간점 쪽으로 증대된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slotted opening of the rear wall changes gently and extends toward the midpoint of the opening at the centerline A-A of the cavity inlet 32.

이러한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개구부의 폭의 변화가, 슬롯형 개구부의 하부 벽으로부터 상부 벽의 거리가 곡선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매끄럽게 굴곡진 형상으로 변화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굴곡은 공동 입구(32)의 중심선(A-A)에 대하여 대칭이다. 바람직하게, 개구부의 최대 폭(R)은 중심선(A-A)에서 발생하며 0.7㎜이다.In this alternative embodiment,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opening is achieved by changing the distance of the upper wall from the lower wall of the slotted opening to a curved shape, preferably to a smoothly curved shape. More preferably, the curvature is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line A-A of the cavity inlet 32. Preferably, the maximum width R of the opening occurs at center line A-A and is 0.7 mm.

바람직하게, 폭(r)은 F 및 G 영역에서 일정하며, 폭 변화 영역(도 8a 및 8b의 영역 E)은 공동 입구의 전체 길이(L)의 적어도 절반을 포함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앙 절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r은 0.4㎜이다.Preferably, the width r is constant in the F and G regions, and the width change region (region E in FIGS. 8A and 8B) comprises at least half of the total length L of the cavity inlet, most preferably in the middle half. It includes. Preferably r is 0.4 mm.

핸드 드라이어의 영역 E에서, 슬롯형 개구부(62)의 폭은 영역 F 및 G의 슬롯형 개구부(62)의 폭보다 크다. 슬롯형 개구부(62)의 크기가 증대되면, 사용자의 손등을 건조시키도록 후방 덕트(52)로부터 분사되는 공기(80)의 양이 더욱 많아져서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 영역이 바람직하게 건조된다. 영역 E의 증대된 공기의 양 및 기류에 의해 얻어지는 힘은 단일 통과에서 세수 후 사용자의 손등에 존재하는 물의 대부분을 제거하기에 충분하다.In the region E of the hand dryer, the width of the slotted openings 62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lotted openings 62 in the regions F and G. As the size of the slotted openings 62 is increased, the amount of air 80 injected from the rear duct 52 increases to dry the back of the user's hand so that the thumb and forefinger areas are preferably dried. The force gained by the increased amount of air and airflow in zone E is sufficient to remove most of the water present on the back of the user's hand after washing in a single pass.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으로 한정되도록 의도하지 않았다. 당업자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공동(30) 및 그 입구(32)의 형상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avity 30 and its inlet 32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케이싱, 물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공동,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되며 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며 기류를 상기 공동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형 개구부를 포함하고,A casing, a cavity formed in the casing to receive an object, a blower located within the casing and capable of generating airflow, and one or more slotted opening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and arranged to move the airflow across the cavity and, 상기 슬롯형 개구부는 10°내지 20°의 각도로 서로 인접하여 대향하는 벽 사이에 형성된,The slotted openings are formed between opposing walls adjacent to each other at an angle of 10 ° to 20 °, 건조 장치.Dry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향하는 벽은 실질적으로 14°의 각도로 서로 인접하는, 건조 장치.And the opposing wal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an angle of substantially 14 °. 케이싱, 물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공동,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되며 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송풍기, 및 도관을 통해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며 기류를 상기 공동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2개의 대향하는 슬롯형 개구부를 포함하고,A casing, a cavity formed in the casing to receive an object, a blower located within the casing and capable of generating airflow, and two opposing, communicating with the blower through conduits and arranged to move the airflow across the cavity Including a slotted opening, 상기 도관은, 상기 송풍기의 근방에 모든 방향으로 치수가 유사한 제1 단면 및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 슬롯형 단면을 갖고, 상기 단면들 사이의 천이부는 완만하고 매끄러운,The conduit has a first cross section similar in dimension to all directions in the vicinity of the blower and a slotted cross s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wherein the transition between the cross sections is smooth and smooth, 건조 장치.Dry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도관의 전체적인 단면적은 송풍기와 슬롯형 개구부의 바로 상류 지점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건조 장치.Wherein the overal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is substantially constant between the blower and the point immediately upstream of the slotted opening.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도관은 상기 송풍기의 하류 지점에서 2개의 분리된 기류 경로로 분기되는, 건조 장치.And the conduit branches into two separate air flow paths downstream of the blow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슬롯형 개구부의 폭은 0.5㎜ 이하인, 건조 장치.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slot type opening is a drying apparatus of 0.5 mm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송풍기는 상기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80㎧ 이상의 속도로 기류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인, 건조 장치.And the blower is capable of injecting airflow at a speed of 80 kPa or more through the slotted opening.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송풍기는 상기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100㎧ 이상의 속도로 기류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인, 건조 장치.And the blower is capable of injecting airflow at a speed of 100 kPa or more through the slotted opening.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송풍기는 상기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8kPa 이상의 압력으로 기류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인, 건조 장치.And the blower is capable of injecting airflow at a pressure of 8 kPa or more through the slotted opening.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송풍기는 상기 슬롯형 개구부를 통해 12kPa 이상의 압력으로 기류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인, 건조 장치.And the blower is capable of injecting airflow at a pressure of 12 kPa or more through the slotted opening.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건조 장치는 핸드 드라이어(hand dryer)인, 건조 장치.The drying apparatus is a hand dryer.
KR1020087002779A 2005-07-30 2006-06-12 Drying apparatus KR1010166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5739.1 2005-07-30
GBGB0515739.1A GB0515739D0 (en) 2005-07-30 2005-07-30 Drying apparatus
GB0600880.9 2006-01-17
GB0600880A GB2428572B (en) 2005-07-30 2006-01-17 Dr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229A true KR20080022229A (en) 2008-03-10
KR101016684B1 KR101016684B1 (en) 2011-02-25

Family

ID=3674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779A KR101016684B1 (en) 2005-07-30 2006-06-12 Dr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12550A1 (en)
KR (1) KR101016684B1 (en)
AU (1) AU2006274713B2 (en)
CA (1) CA2617083A1 (en)
WO (1) WO200701504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5749D0 (en) * 2005-07-30 2005-09-07 Dyson Technology Ltd Drying apparatus
GB0515750D0 (en) 2005-07-30 2005-09-07 Dyson Technology Ltd Drying apparatus
GB0515754D0 (en) 2005-07-30 2005-09-07 Dyson Technology Ltd Drying apparatus
GB2428569B (en) 2005-07-30 2009-04-29 Dyson Technology Ltd Dryer
GB2434094A (en) 2006-01-12 2007-07-18 Dyson Technology Ltd Drying apparatus with sound-absorbing material
GB2505863B (en) * 2012-07-06 2019-02-13 Peter Fraenkel Ltd Hand dr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5389B2 (en) * 1992-08-25 199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Hand drying equipment
CA2104514C (en) * 1992-08-25 1998-08-25 Toshio Tatsutani Hand dryer
JP3148435B2 (en) * 1993-01-20 2001-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Hand drying equipment
JP3125539B2 (en) * 1993-10-28 2001-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Hand drying equipment
JP2001346715A (en) 2000-06-12 2001-12-18 Matsushita Seiko Co Ltd Hand dryer
JP3909525B2 (en) 2003-03-04 2007-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Hand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5044A1 (en) 2007-02-08
AU2006274713B2 (en) 2010-07-22
KR101016684B1 (en) 2011-02-25
AU2006274713A1 (en) 2007-02-08
CA2617083A1 (en) 2007-02-08
EP1912550A1 (en)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402B1 (en) Drying apparatus
KR100984712B1 (en) Dryer
KR20080026641A (en) Drying apparatus
JP4184421B2 (en) Hand dryer
JP5330827B2 (en) Drying equipment
JP2009502390A (en) Drying equipment
KR100981403B1 (en) Hand dryer
JP2009502391A (en) Drying equipment
KR101016684B1 (en) Drying apparatus
JP2009502387A (en) Drying equipment
JP4837452B2 (en) Hand dryer
TWI415589B (en) Hand dryer
TWI457103B (en) Hand dryer
JP3909525B2 (en) Hand dryer
KR200454204Y1 (en) Drying apparatus
JP6270985B2 (en) Drying equipment
JPH08215274A (en) Je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