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263A -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263A
KR20080021263A KR1020060084375A KR20060084375A KR20080021263A KR 20080021263 A KR20080021263 A KR 20080021263A KR 1020060084375 A KR1020060084375 A KR 1020060084375A KR 20060084375 A KR20060084375 A KR 20060084375A KR 20080021263 A KR20080021263 A KR 2008002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file
image forming
print
fla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1263A/en
Publication of KR2008002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2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8Register arrangements
    • G06F9/30101Special purpose reg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An image forming device changing a printing direction by each printing file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hange the printing direction of each printing file by outputting a document according to the printing direc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flag value, which determines the printing direction, and changing the flag value whenever the printing file is output. An interface part(130) receives a printing request of a file from at least one networked terminal(200), and a printing direction register(111) stores a direction flag value for printing a document. A controller(110) outputs the received file according to the prin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stored in the printing direction register and changes the flag value of the printing direction register. The controller outputs the document in a normal direction when the flag value is zero, outputs the document in an inverse direction when the flag value is one, and changes the flag value from zero to one, or from one to zero after one file is printed. An operation panel(160) activates or inactivates an alternative outputting function.

Description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바꾸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파일 별 화상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n image for each print f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출력한 인쇄물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inted matter outputt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프린터 110 : 제어부100: printer 110: control unit

120 : 화상 형성부 130 : 인터페이스부120: image forming unit 130: interface unit

140 : 메모리부 150 : 디스플레이부140: memory unit 150: display unit

160 : 조작 패널부 200 : 호스트 PC160: operation panel 200: host PC

본 발명은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바꾸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printing direction for each print fi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무자동화 기기의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 잡았다. 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 facsimile machine, or a copy machine is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prin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has become an essential component of an office automation machine.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인쇄 용지를 픽업(pick-up)하여 화상 형성 영역에 공급하고, 화상 형성 영역에 도달한 인쇄 용지 상에 상형성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후, 데이터가 기록된 인쇄 용지를 배출 경로를 통하여 출력물 적재부로 배출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한다.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s print data from the outsi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icks up the printing paper and supplies it to the image forming area, records the data using the image forming body on the printing paper reaching the image forming area, and then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discharging the recorded print paper to the output stacking portion through the discharge path.

최근에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파일을 인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출력물이 인쇄 후 동일한 스태커(Stacker)에 적체되어 있는 경우, 1, 2, 3, ... , N번째 파일의 출력물이 모두 같은 곳에 쌓여있게 되며 이 경우 각각의 파일을 분류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인쇄물에 파일명이나 기타 연속 번호가 있는 경우에도 계속되는 연속 페이지를 보면서 각각의 파일들의 경계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Recently, 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s been used to be shared by a plurality of users by connecting to a network, which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in order to increase its efficiency.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files are printed and the outpu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re accumulated in the same stacker after printing, the outputs of the 1st, 2nd, 3rd, ..., Nth files are all stacked in the same place. It is difficult to classify each file. Even if the printout has a file name or other serial number, looking at successive pages makes it difficult to find the boundaries of each fi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 방향을 결정하는 플래그 값에 따라 결정되는 인쇄 방향에 따라 문서를 출력하고, 상기 플래그 값을 파일 출력시마다 변경함으로써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바꾸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by outputting a docu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ting direc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ag value for determining the printing direction, by changing the flag value for each file output by print fi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printing dire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파일의 인쇄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문서를 인쇄하기 위한 방향 플래그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인쇄 방향 레지스터, 및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에 상응하는 인쇄 방향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파일을 출력하고,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플래그 값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print request of a file from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a print direction register for storing a direction flag value for printing a document, and a print direction register.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file received to the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 prin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alue, and for changing a flag value of the printing direction register.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플래그 값이 0인 경우 순방향 출력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역방향 출력을 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파일을 출력한 후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값을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controls forward output when the flag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is 0 and reverse output when the flag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is 1.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from 0 to 1 or from 1 to 0 after outputting one file.

더불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교차 출력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조작 패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panel unit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cross output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는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파일의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방향을 결정하는 플래그 값을 체크하여 수신된 파일의 인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에 따라 파일을 인쇄하는 단계, 및 화상 형성 장치는 그 다음 수신될 파일의 인쇄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상기 플래그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an imag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s a print request of a file from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hecks a flag value for determining a printing direction to determine a printing direction of the received file. Determining, printing a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n changing the flag value to change the printing direction of the file to be recei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바꾸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anging a printing direction for each print fi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0)는 제어부(110), 화상 형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100)는 호스트 PC(200) 등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 프린터(100)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inter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n image forming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memory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inter 100 is connected to the host PC 200 or the like.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inter 100 will be described.

메모리부(140)는 프린팅하기 위한 문서 또는 텍스트 데이터와 프린터(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문서를 인쇄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도 1은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가 제어부(110)에 포함되어 있는 프린터를 도시한 것이다.The memory unit 140 is a component in which documents or text data for printing and basic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printer 100 are stored. The memory unit 140 may include a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that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a document is printed. However,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and FIG. 1 illustrates a printer in which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is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인터페이스부(130)는 호스트 PC(200) 등의 네트워크 단말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인쇄 명령 및 인쇄를 하기 위한 문서 등을 입력받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30)로 ECP 또는 USB 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물론, 이는 대표적인 인터페이스부(130)의 종류를 의미하며, 기타 인터페이스를 채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The interface unit 130 is connected to a network terminal such as the host PC 200 and the like, and corresponds to an apparatus for receiving a print command and a document for printing from a user. As the interface unit 130, an ECP or a USB is generally used. Of course, this means a type of the representative interface unit 130, even if other interfaces are employ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상 형성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송된 문서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를 인쇄 용지에 프린팅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The image forming unit 120 is a component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document data into a bitmap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printing the printed document data on a printing sheet.

또한, 조작 패널부(160)는 프린터(100)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키 버튼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이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부(160)를 이용하여 용지 크기, 인쇄 매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패널부(160) 중 교차 출력 기능 버튼을 선택 또는 비선택함으로써, 교차 출력 기능을 지원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anel 160 is a component including a key button and the like for the user to manually control the printer 100. The user can set the paper size, the number of prints, etc. using the operation panel 16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support the cross output function by selecting or not selecting the cross output function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unit 160.

디스플레이부(150)는 프린터(100)의 현재 상태(Status) 등을 출력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교차 출력 기능의 활성화 여부가 소정의 아이콘 등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150 corresponds to a component that outputs a current status of the printer 100, and the like. Preferably,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whether or not the cross output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a predetermined icon.

제어부(110)는 본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능인 교차 출력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그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ontroller 110 corresponds to a component in charge of the overall control of the printer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cross output function, which is a cor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control method is as follows.

먼저, 제어부(110)는 조작 패널부(160)의 교차 출력 기능 버튼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교차 출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인쇄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의 값을 0으로 초기화시킨다. 그 후 프린터(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여러 개의 파일을 수신할 것이다. 제어부(110)는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의 값을 체크하고, 화상 형성부(120)로 하여금 상기 레지스터(111)의 값에 따른 출력 방향으로 첫 번째 인쇄 파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화상 형성부(120)는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의 값이 0인 경우 순방향 출력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첫 번째 인쇄 파일의 화상 형성이 완료된 후, 제어부(110)는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의 값을 1로 변환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whether the cross output function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unit 160 is on or off. When the cross output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110 initializes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that determines the print output direction to zero. Thereafter, the printer 100 may receive several files to be prin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controller 110 checks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and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120 to print the first print file in the output direction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register 111. The image forming unit 120 is set to perform forward output when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is zero. In this way, after image formation of the first print fil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converts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to one.

프린터(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호스트 PC(200)로부터 두 번째 인쇄 파일을 수신하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10)는 상기 레지스터의 값인 1을 감지하고, 화상 형성부(120)에 두 번째 파일을 인쇄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이 경우, 화상 형성부(120)는 인쇄 방향 레지스터(111)의 값이 1인 경우 역방향 인쇄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번째 파일의 역방향 인쇄가 종료된 후, 제어부(110)는 다시 레지스터(111)의 값을 0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쇄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도 1의 프린터(100)는 파일 별로 인쇄 방향을 다르게 출력하는 교차 출력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 printer 100 may receive a second print file from the host PC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Similarly, the controller 110 senses 1, the value of the register, and instructs the image forming unit 120 to print a second file. In this case, the image forming unit 120 is set to perform reverse printing when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111 is one.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reverse printing of the second fil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converts the value of the register 111 to 0 again. By repeating such a printing method, the printer 100 of FIG. 1 performs a cross-output function of outputting a printing direction differently for each file.

이 경우 호스트 PC(200)는 프린터(100)의 조작 패널부(160)의 설정과 독립적으로 교차 출력 기능의 지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인쇄하고 싶을 경우가 있을 것이다. 만일, 프린터(100)의 교차 출력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한 명의 사용자가 출력한 파일들이 교차 출력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호스트 PC(200)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교차 출력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호스트 PC(200)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교차 출력 지원, 교차 출력 지원 안함, 프린터의 설정에 따름과 같은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프린터(100)로 인쇄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host PC 200 may select whether to support the cross output function independently of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panel unit 160 of the printer 100. For example, you may want to print several files at the same time. If the cross-printing function of the printer 100 is activated, a side effect of cross-printing of files output by one user may occur. In this case, the host PC 200 may receive a cross output from the user using a printer driver. The printer driver in the host PC 200 may display a menu such as cross output support, cross output not supported, or printer setting, and perform a print request to the printer 100 according to a method selected by the user. .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파일 별 화상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 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method for each print f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인쇄를 하고자하는 인쇄 파일 및 프린터를 선택하여 인쇄 명령을 내리게 된다(S201). 이 경우, 사용자는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바꾸는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프린터 드라이버 상에서 선택하게 된다. 프린터가 네트워크 프린터인 경우, 상기 프린터를 이용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은 각각의 PC 등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인쇄 명령을 내리게 된다.First, the user selects a print file and a printer to print and issues a print command (S201). In this case, the user selects on the printer driver whether or not to activate a function for changing the print direction for each print file. When the printer is a network printer, users who are authorized to use the printer issue a print comman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ir respective PCs.

프린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쇄 명령을 수신하고, 인쇄 방향 자동 변환 기능인 교차 출력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을 하게 된다(S202). 만일 S202 단계에서 교차 출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린터는 일반적인 인쇄 기법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을 수행한다(S207).The printer receives the print command input from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ross output function, which is an automatic printing direction conversion function, is set (S202). If the cross output function is not activated in step S202, the printer performs image formation using a general printing technique (S207).

또한, 프린터는 사용자로부터 인쇄 명령을 수신한 파일의 개수를 체크하여, 2개 이상인지 판단을 하게 된다(S203). 수신한 파일의 개수가 2 이상인 경우, 프린터는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다르게 하여 출력을 진행하게 된다. 이하,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rinter checks the number of files that have received a print command from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two or more (S203). If the number of received files is 2 or more, the printer proceeds with printing in a different print direction for each print file. Hereinafter, the specific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프린터는 인쇄 방향을 결정하는 플래그를 저장하는 인쇄 방향 레지스터를 구비하게 된다. 프린터가 교차 출력 기능을 최초 구동되는 경우,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는 0으로 초기화되어 있을 것이다. 프린터는 상기 레지스터의 값을 체크하여 수신된 파일의 인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에 따라 파일을 인쇄하게 된다(S204). 예를 들어, 레지스터의 값이 0인 경우 프린터는 정방향으로 인쇄를 수행하고, 레지스터의 값이 1인 경우 프린터는 180도 회전시킨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printer is provided with a print direction register which stores a flag for determining the print direction. When the printer first runs the cross output function,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will be initialized to zero. The printer checks the value of the register to determine the print direction of the received file, and prints the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rection (S204). 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register is 0, the printer prints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value of the register is 1, the printer can output an image rotated 180 degrees.

S204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개의 파일을 인쇄한 경우, 프린터는 다음 파일의 인쇄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하게 된다(S205). 예를 들어, 레지스터의 값이 0인 경우, 한 개의 문서 출력 후 레지스터의 값은 1로 변경되는 것이다. 두 번째 문서가 출력된 이후 레지스터의 값은 다시 1에서 0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레지스터는 하나의 비트이면 구현이 가능하다. When one file is printed as described in step S204, the printer changes the value of the register to change the printing direction of the next file (S205). For example, if the value of a register is 0, after one document output, the value of the register is changed to 1. After the second document is printed, the value of the register changes from 1 to 0 again. Such a register can be implemented with one bit.

이제 프린터는 출력할 파일이 남아있는지 체크하게 된다(S206). 만일 출력할 파일이 남아있게 되는 경우, 프린터는 S204 및 S205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The printer now checks whether a file to be output remains (S206). If the file to be output remains, the printer repeats the processes of S204 and S205.

이와 같은 인쇄 동작에 따라 홀수 번째 출력 요청된 파일들은 정방향의 방향으로 인쇄가 되며, 짝수 번째 출력 요청된 파일들은 역방향 인쇄가 될 것이다. 이 와 같이 인쇄된 용지들은 하나의 스태커에 적체될 것이다. 사용자는 인쇄된 방향을 참고하여 여러 개의 파일들이 인쇄된 출력물 중 자신이 요청한 문서만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inting operation, odd-numbered output files are prin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even-numbered files requested to be output will be reverse printed. Papers printed in this way will be stacked on one stacker.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only the document requested by the user from the printed output of several files by referring to the printed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출력한 인쇄물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inted matter output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린터는 제1 파일인 File1.doc를 출력하는 경우, 순방향으로 출력하게 된다. 제1 파일이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라도 프린터는 제1 파일에 속한 페이지는 모두 순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printer outputs File1.doc, which is the first file, the printer outputs in the forward direction. Even if the first fi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ges, the printer can be seen that all pages belonging to the first file are output in the forward direction.

그 후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제2 파일인 File2.doc는 역방향으로 인쇄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물론, 제2 파일도 제1 파일과 마찬가지로, 제2 파일에 속한 페이지는 모두 역방향으로 출력된다.After that, the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look at the second file File2.doc prin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course, the second file is the same as the first file, and all pages belonging to the second file are output in the reverse direction.

마지막으로 제3 파일의 인쇄 방향은 다시 제2 파일과 반대인 정방향으로 출력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printing direction of the third file is again output in the for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file.

제2 파일을 출력한 사용자는 역방향으로 인쇄된 출력물만을 획득함으로써, 쉽게 자신이 출력한 문서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 user who outputs the second file can easily obtain the document printed by himself / herself by obtaining only the output prin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 파일 별 인쇄 방향을 바꾸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개인용 프린터 및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PC로부터 인쇄 명령을 받으면 프린터 드라이버에 설정된 상태에 의거하여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및 기타 설정을 적용하여 1개의 파일 또는 연속적인 파일 인쇄 명령에 의하여 프린터 버퍼에 데이터를 보낸 후 차례대로 인쇄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쇄물의 경계를 찾기가 쉬워져 파일간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인쇄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printing direction for each print fi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hen receiving a print command from a personal computer and a network printer from a PC, the portrait, landscape and other directions By applying the settings, the data is sent to the printer buffer by a single file or a continuous file print command, and then printed sequential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boundaries of the prints, which makes it easier to separate files. Printouts can be separated.

Claims (5)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파일의 인쇄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print request of a file from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문서를 인쇄하기 위한 방향 플래그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인쇄 방향 레지스터; 및A print direction register for storing a direction flag value for printing a document; And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에 상응하는 인쇄 방향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파일을 출력하고,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플래그 값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file received to the interface unit in accordance with a prin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value stored in the printing direction register, and for changing a flag value of the printing direction regis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플래그 값이 0인 경우 순방향 출력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역방향 출력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And control to perform forward output when the flag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is 0, and to perform reverse output when the flag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is 1.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하나의 파일을 출력한 후 상기 인쇄 방향 레지스터의 값을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And changing the value of the print direction register from 0 to 1 or from 1 to 0 after outputting one fi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교차 출력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조작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And an operation panel portion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cross output function.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In the image forming method, 화상 형성 장치는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파일의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receiving a print request of a file from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방향을 결정하는 플래그 값을 체크하여 수신된 파일의 인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에 따라 파일을 인쇄하는 단계;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es the printing direction of the received file by checking a flag value that determines the printing direction, and printing the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rection; 화상 형성 장치는 그 다음 수신될 파일의 인쇄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상기 플래그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changing the flag value to change a printing direction of a file to be received next.
KR1020060084375A 2006-09-01 2006-09-01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KR200800212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75A KR20080021263A (en) 2006-09-01 2006-09-01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75A KR20080021263A (en) 2006-09-01 2006-09-01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63A true KR20080021263A (en) 2008-03-07

Family

ID=3939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375A KR20080021263A (en) 2006-09-01 2006-09-01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126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6452B2 (en) 2018-06-04 2022-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enable to change output direction of printed pape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6452B2 (en) 2018-06-04 2022-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enable to change output direction of printed pape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547B2 (en) Printing using a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US10546219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system
CN101370070B (en)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US89855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plural discharge trays to stack copies with notification function
EP16798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nting progress status
JP4635907B2 (en) Printing device
US9102173B2 (en) Prin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7002489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012182A (en) Printing system, sheet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US20080259395A1 (en) Print Control Device, Prin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233591A (en) Printer driver and its test printing method and printer
US106568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JP61497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609245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7241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4415961B2 (en) Removable media device and data control program
KR20080021263A (en) Image forming system changing printing direction every printing file and method thereof
US9030702B2 (en) Client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display method for converting printing formats, generating preview images, and displaying preview images
JP2008134770A (en)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WO20221187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 setting application
KR102628688B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2010003490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0500594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3261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5104511B2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print job generating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