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153A - 현재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구면수차의 최적화 - Google Patents

현재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구면수차의 최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153A
KR20080021153A KR1020087002019A KR20087002019A KR20080021153A KR 20080021153 A KR20080021153 A KR 20080021153A KR 1020087002019 A KR1020087002019 A KR 1020087002019A KR 20087002019 A KR20087002019 A KR 20087002019A KR 20080021153 A KR20080021153 A KR 20080021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aberration
layer
responses
optic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원 요하네스 마리아 얀센
조르지 알로이스 레오니 레엔네그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2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11B7/1369Active plates, e.g. liquid crystal panels or electrostrictiv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5Methods for initialising servos, start-up sequ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소량씩 구면수차 보정의 초기 설정값으로부터 제거되는 구면수차 보정기구의 여러 가지 설정값에 대한 응답을 측정하고, 이들 응답을 광학매체의 여러 가지 다층에 대해 예상된 응답들과 비교하여서 기동 처리에서 초기에 최적화된다. 신호 측정 및 교정은,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려고 하기 전에 또는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동시에 판독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응답들과 다양한 층들의 이상적, 전형적 또는 예상된 곡선들을 비교하여 현재의 층의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어, 상기 원하는 층을 즉시 액세스할 수 있다.
구면수차 보정, 광학매체, 곡선, 응답.

Description

현재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구면수차의 최적화{Optimization of spherical aberration to determine current layer}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인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디스크 내의 층 정보의 인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된 광 디스크 재생장치/레코더는, 전형적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광 디스크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크가 광 디스크 재생장치/레코더에 놓이면, 광 디스크 재생장치/레코더는 먼저 디스크 종류를 결정해야 한다. HD-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등의 아주 최근의 디스크 포맷들 중 하나로 동작하는 디스크 재생장치/레코더에 있어서, 단일 또는 이중 층 정보 등의 디스크의 층정보는, DVD 디스크의 제어 데이터 구역 또는 BD의 정보구역을 판독하여서 검색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들 종류의 재생장치/레코더는, 디스크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들을 측정 및 교정하고 HF 및 워블 위상 동기루프를 초기화하여서 디스크를 인식하는 복잡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서 층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현재 기존의 BD 다층 디스크는, 2개의 기록층을 갖는다. 여기서 L1이라고 하는 기록층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층으로부터 약 75㎛의 거리를 두고 있다. 여기서 L0라고 하는 기록층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층으로부터 약 100㎛의 거리를 두고 있다. 상기 L0 및 L1 기록층 양층의 두께는 약 10㎛이다. 도 1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커버층은, 기록층 L0 또는 L1보다 훨씬 두껍다. 커버층의 두께의 변동으로, 보상을 요하는 기록층 L0,L1에 초점을 맞출 때 구면수차를 일으킨다. 보상을 하기 위한 일 방식은, 가동형 시준렌즈를 통한 변동들이 있다.
포커싱되는 현재의 층 등의 다층 디스크 내의 층정보는, 그 현재의 층에 관련된 디스크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검색될 수 있다. DVD 또는 BD일 경우에 현재의 층에 대한 상기 정보는, 헤더 또는 ADIP 어드레스(ADdresses In the Pregroove, 달리 말하면 워블링 어드레스라고 함)를 판독하여 얻어질 수 있다.
어드레스 판독은 기동 과정 후 1회 서보 내의 지체된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HF 및 워블 신호들은, 정확히 얻어질 수 있고 기준에 맞는 품질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기동은, 디스크가 재생장치/레코더에 놓여 그 디스크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일어나는 초기화 과정을 말한다. 기동에 있어서, 디스크의 종류에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는 알려지지 않는다. 특히 서로 다른 종류의 광학 매체로 동작할 수 있는 재생장치/레코더 내의 다층 디스크에 대한 기동은, 많은 미지의 요소를 나타낸다. 기동에 있어서 이들의 미지의 요소 중에서, 디스크 종류가 단일층 디스크 또는 다층 디스크인지의 여부가 있다. BD형 매체에서, 기판 두께는 신호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기록층을 여러 개 갖는 BD형 매체에 대한 기동시에, 재생장치/레코더는, 일반적으로 포커싱되고 있는 현재의 층에 따른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기구를 갖는다. 상기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기구는, 전형적으로 광학매체 내의 층들 중 어느 한쪽에 포커싱하는데 요구되는 최적값들 사이에 있는 위치로 프리셋트된다. 구면수차를 보정하는데 널리 사용된 기구는, 모 터에 장착된 시준렌즈와 액정 구면수차 보정 기구이다.
예를 들면, 다층 BD광학매체 타입에는, 현재의 2개의 층이 있다. 사용되는 구면수차 보정 기구의 일 형태는, 시준렌즈와 연관된 광학계를 이동하여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모터 위에 장착된 시준렌즈이다. 전형적으로 기동시에, 시준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이중층 디스크의 2개의 층의 최적값에 대한 중간의 위치에 프리셋트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의 위치는, 공장에서 프리셋트되거나 정상 사용중 학습되거나 이 양쪽의 조합으로 된 양쪽 층에 대한 상기 저장된 최적의 위치로부터 계산된다. 기록층들 중 임의의 층에 대한 최적값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기구의 결과로서, 결과적인 포커스 및 트랙킹용 서보신호들의 품질은 최적이 아니다. 최적값간의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는 이론적 설명은, 포커스 및 트랙킹용 서보 제어신호들이 BD 이중층 디스크의 층들 양쪽에 가까울 것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시준렌즈일 경우에, 상기 위치는 2개의 층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 설정된다. 액정 디바이스는 광학매체에 포커싱되는 파면을 조정하는데 사용된 구면수차 보정 기구로서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유사한 이론적 설명이 널리 사용된다, 즉 어느 한쪽의 층에 대한 최적값이 기동시에 초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층정보가 일단 공지되면, 구면수차 보정 기구인 시준렌즈는, 그 층의 최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액정 구면수차 보정 기구일 경우에, 바이어스 전압은,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광학특징을 수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 후, 설정값 및 파라미터는, 변경되고 특히 특정층의 최적 성능에 대해 설정된다. 전형적 으로, 이들 교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신호품질을 결정할 것이다. 구면수차 보정 기구가 시준렌즈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시준렌즈는 특정 층에 대해 최적화되지 않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구면수차 보정 기구가 액정기반 디바이스일 경우, 액정 디바이스는, 특정 층에 대해 최적화되지 않은 소정의 설정값으로 설정된다. 광학헤드는, 일반적으로 포커스 오차신호를 사용하여 일 층을 검색하고, 드라이브는 그 층으로부터 공장에서 기록된 최적의 구면수차 보정기구 설정값을 판독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기동처리 훨씬 이전에 층 정보를 제공하고 그 층 고유의 파라미터가 실행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은, 시준기와 액정 구면수차 보정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여기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의해 해결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된 실시예들은, 기동처리에 있어서 훨씬 이전에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전이나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푸시풀 또는 dpd 변조를 사용하여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최적화할 수 있다. 그후, 신호 측정 및 교정은,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하려고 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그 실시예들은, 구면수차 보정기구로부터의 초기의 응답과 전형적, 이상적 또는 예상된 응답 곡선과 비교하여 상기 특징들을 제공하여서, 포커싱되어 있는 상기 층에 관해 매우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 현재의 층이 공지되어 있다면, 원하는 층은 즉시 액세스될 수 있다.
도 1은 광학매체 내의 다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레코더와의 광학적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디스크 내의 다층에 대한 서로 다른 구면수차 보정 설정값에 대한 푸시풀 진폭의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면수차 보정기구가 현재 포커싱되어 있는 그 층에 대해 특정된 최적값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포커스 및 반경방향 루프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그리고, 많은 신호 최적화 과정으로, 어드레스 판독을 허용하는 hf 및 워블 품질이 적당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서, 구면수차는, 상기 현재의 층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포커스가 (예를 들면, 최적의 푸시풀 또는 dpd 진폭을 향하여) 캡쳐되자마자 구면수차 보정기를 최적화함으로써, 모든 신호 측정 및 교정은, 정확한 구면수차 설정값으로 빨리 행해질 수 있다. 시간을 절약하게 되어 디스크 인식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구면수차 보정기의 최적화의 결과로서 층정보 검출을 이용한다. 기동처리에서 층정보가 보다 일찍 공지될수록, 보다 일찍 많은 결정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랙들은, 평행 트랙 경로(PTP) 또는 대향 트랙 경로(OTP)라고 하는 2가지 서로 다른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서 기록된다. PTP 모드에서는, 디스크의 정보영역의 내측 직경으로부터 층 0과 층 1의 외측 직경으로 트랙들을 판독한다. OTP는, 디스크의 내측에서 시작하는 나선형 트랙으로 기록되는 것으로서 층 L0을 정의하고, 디스크의 외측에서 시작하는 나선형 트랙으로 기록되는 것으로 층 L1을 정의하는 이중층 BD 및 DVD 타입 매체에서 이용될 수 있는 표준이다. OTP를 사용하여, 트랙들은, 상기 재생장치/레코더가 각 층을 액세스하기 위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기록된다. OTP에 의해, 상기 재생장치/레코더는 일층에서 타층 으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다. (OPT 또는 PTP 등의) 트랙 방향과 아울러, 기동처리에서의 초기의 층정보 지식으로, 그 층들에 대한 층 특정 콘텐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교정 및 설정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는, 다층을 갖는 광학매체를 구비한 다수의 형태의 광학매체를 판독할 수 있고, 상기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는,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갖는다. 층정보는, 포커싱되어 있는 층에 대한 최대의 푸시풀 변조로 향하는 구면수차의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기동처리 내의 보다 이전의 단계에서 얻어진다. 구면수차 보정의 목표 위치는, 커버층 두께 때문에 일어나는 구면수차로 인해 아주 특정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광학특성이 설정된 광학매체와 현재의 층에 초기에 포커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포커스와 상기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기구는 제 1 방향으로 조정되고, 그 조정에 대한 응답을 측정한다. 포커스와 상기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기구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조정되고, 그 조정에 대한 응답을 측정한다. 이들 측정으로부터, 응답 곡선은, 기록층마다 확립되고 예상 응답 곡선과 비교된다. 그 비교 결과 가장 가까운 응답 곡선과 일치하는 층을 결정하고, 상기 재생장치/레코더는 이 층에 구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설정값 및 파라미터를 충족시킨다. 현재의 층이 공지되어 있으면, 상기 시스템은, 그 층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최적화된 설정값 및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광학매체의 여러 층 상에서 작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최적의 구면수차 보정이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종래의 방법보다 기동 처리에서 훨씬 이전에 일어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준렌즈 위치는, 구면수차를 정정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된다. 상기 시준렌즈의 위치 결정은, 커버층 두께의 결과로 일어나는 구면수차로 인해 매우 특정적일 필요가 있다. 도 2는 이동 시준렌즈(시준기)를 이용하는 BD-드라이브 내에 사용된 광학계(1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블루레이 디스크(12)를 판독 및 기록하는데 사용된 드라이브 내에서 이용된 광학계(10)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블루레이 시스템에서, 450nm광은, 시준렌즈(14)를 통해 빔 스플리터(26)로부터 반사된 실질 부분을 갖는 블루레이 레이저(16)로부터 방사된다. 시준렌즈(14)는, 빔 스플리터(26)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받아 미러(24)에 입사되는 다소 평행한 광을 형성한다. 미러(24)는, '평행'광을 대물렌즈(18)를 향해 반사하고, 그 광 빔은 디스크(12)에 포커싱된다. 디스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18)에 의해 평행 광으로 형성된다. 대물렌즈(18)의 초점위치는, 포커스 오프셋 서보(19)에 의해 제어된다.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은, 대물렌즈(18)를 통과하여 미러(24)에서 반사되어 시준렌즈(14)를 통과한다. 시준렌즈(14)를 통과한 상기 반사된 광빔은, 실질 부분이 서보렌즈(22)와 검출기(22)로 지나가는 빔 스플리터(26)를 향해 수속된다.
디스크의 스폿은, 대물렌즈(18)를 화살표 19로 나타낸 방향으로 디스크에 대해 이동하는 포커스 오프셋 서보(19)를 작동시킴으로써 디포커싱될 수 있다. 시준기 서보(15)에 의해 시준렌즈(14)의 위치를 변경하면, 광빔을 원하는 대로 발산 또는 수속할 수 있어, 적어도 일부가 비평행 빔을 생성한다. 이러한 비평행 빔은, 대물렌즈의 구면수차를 추가로 발생한다. 이러한 구면수차는, 대물렌즈(18)와 디스크 의 커버층 두께간의 불일치에 의해 생성된 구면수차에 추가한다.
BD 표준은, BD 디스크(12)의 각 층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층 L0(100㎛) 및 층 L1(75㎛)에 대한 공칭값에서 5㎛ 벗어나는 것을 허용한다. 비록 8㎛ 구면수차 보상 서보 또는 SA-서보 오차까지 판독 가능할지라도, 이러한 큰 마진은, 실제로 드라이브 내 또는 디스크 상의 다른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 마진이 없게 된다.
BD 드라이브의 설계를 경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4-세그먼트 광 다이오드 검출기 소자는, 포커스 오차 및 반경방향 오차신호 발생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보다 복잡한 광 다이오드 검출기 소자를 사용하여 구면수차를 측정하면 그 시스템에 대한 비용 증가가 허용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시스템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추가의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4-세그먼트 검출기 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현재 유용한 BD 드라이브 구조는, (구면수차 보상 서보나 SA 서보라고도 하는) 커버층 두께 보상 서보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오차신호를 직접 제공할 수 없다.
ROM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광 디스크 시스템에서, 포커스 오프셋 및 SA 서보는, 상기 판독된 HF 신호의 지터를 사용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그러나, BD-R, 재기록 가능형 BD-RE 또는 DVD+R과 같은 빈 기록 가능형 디스크에서는, HF 신호를 발생하는 곳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빈 기록 가능형 및 재기록 가능형 광 디스크 내에서 기동하는 동안에 포커스 오프셋 및 SA-서보를 최적화할 때 문제가 존재한다.
종래의 블루레이 디스크 기록 시스템은, HF 신호의 존재를 보증하지 않는다. 이들의 현재 사용 가능한 블루레이 기록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SA 서보 최적화의 푸시풀 방법론을 이용한다. 일반적인 실행은, 푸시풀 진폭 또는 푸시풀 전력을 측정하여서 기동시에 SA 서보를 최적화하는데 있다. 푸시풀 최적화에 의해, 추가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충분히 정확한 설정이 된다.
도 3은 커버층의 결과로 일어나는 구면수차를 보정하도록 위치 결정되는 시준렌즈를 사용하는 BD 시스템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L0 및 L1 기록층에 포커싱할 때 이들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시준기 서보(15)에 의해 시준렌즈(14)의 대표적인 위치 결정을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하듯이, L0층에 사용된 시준기 위치와 L1층에 사용된 시준기 위치간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되는 시준렌즈(14)를 사용하는 BD 드라이브에서, 시준렌즈(14)의 이동은, 3800㎛을 넘는 거리를 커버할 수 있고, L1 기록층의 최적 위치는 2175㎛에 있고 L0 기록층에 대한 최적 위치는 1175㎛에 있다. 이러한 시준기 위치의 1000㎛ 차이는, L0기록층과 L1 기록층 사이에 있는 상기 커버층의 표면으로부터의 25㎛ 거리차를 내는 구면수차의 변화를 보상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25㎛ 차이는, L0 기록층의 커버층의 추가의 25㎛ 두께 때문에 상기 25㎛차이가 보일 수 있다.
상기 재생장치/레코더에 의해 지원된 매 각 디스크 종류의 층마다 최적의 시준기 위치는, 제조시에 디폴트 값으로 프리셋트되어 있다. 그 디폴트 값은, 기동시에 감시되어 평균화된다. 시준렌즈가 광학매체로 또 광학매체로부터 멀리 매우 조금 증가하며 이동되도록 시준기(15)를 조정하고, 각 위치에 대해 검출된 응답 값들을 측정하고, 그 응답값들을 양쪽 층에 대해 저장된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층의 신뢰 가능한 가정을 할 수 있고, 그 층에 대해 특정된 정보는 그 층 자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상기 재생장치/레코더 내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측정 파라미터에 맞춘 2차 곡선이, 도 3의 곡선이 수신되고 있는 응답과 포커싱되고 있는 현재의 층과 일치하는지를 최적으로 결정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커버층 두께에 대해 일반적인 응답 위치들을 비교하여서, 특정 층들에 대해, 현재의 층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액정 기반 디바이스를 구면수차 보정기구로서 이용한다. 구면수차 보정기구인 액정 기반 디바이스를 갖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시준렌즈(14)를 액정 디바이스(미도시됨)로 바꾸고 전체 시준기 서보(15)를 그 액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각각의 전자장치로 바꿈으로써, 그 상황 및 장치는 도 2 및 도 3과 관련지어 상술한 것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일련의 곡선은, 도 3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층/레코더 내에 저장될 것이다. 기동에 있어서, 액정 디바이스는, 특정 층에 대해 최적화되지 않은 소정의 설정값으로 설정된다. 액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전자장치는, 액정 디바이스가 포커스에 대해 소량 보다 가깝고 소량 보다 멀게 하는 설정값을 교대로 변경한다. 상기 일련의 곡선들에 대해 측정 및 비교된 상기 조정에 의한 응답은, 시준기(15)에 대해 상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층/레코더에 내에 저장될 것이다. 그래서, 이 재생장치/레코더는, 상기 내부적으로 저장된 곡선들에 대해 상기 측정된 응답을 일치시켜 그 층이 현재 포커싱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미지의 층에 포커싱함으로써 현재의 층을 결정하여 이 루어지고, 푸시풀법 또는 차분위상 검출법(Differential Phase Detection; dpd)을 사용하여 현재의 구면수차 보정 기구 포커스를 보다 가깝고 먼 거리로 변경하고, 응답 진폭은, 양쪽의 보다 가까운 포커스 거리와 보다 먼 초점 거리에 대해 측정된다. 곡선 맞춤은, 디스크에 포함된 층들에 대한 예상 응답과 실제의 응답을 일치시켜서 행한다. 상기 층들 각각에 대해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보다 가깝고 보다 먼 거리에 포커싱하기 위한 변경에 대해 상기 수신된 응답들간의 2차 곡선 맞춤으로, 구면수차 보정기구의 설정을 위한 최적값이 생기게 된다.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2층의 BD 매체에서는, 상기 보다 가깝고 보다 먼 거리에서의 구면수차 보정기구 포커싱에 대한 상기 측정된 응답들로부터 생성된 곡선은, 도 3에 도시된 2개의 곡선 중 하나처럼 보일 것이다. 이러한 곡선은,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용 시준렌즈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시준기 위치 주위나 액정 디바이스를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로서 사용하는 실시예들에서의 액정 디바이스용 세팅 및 바이어스 주위에 위치된다. 그래서, 이 곡선은, 상기 층들 중 하나의 층에 대해 특정적이다. 상기 최적의 위치와 상기 특정 층들의 커버층 두께에 대해 일반적인 위치들과 비교하여서, 현재의 층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디스크 내의 다층에 대한 서로 다른 시준기 위치의 푸시풀 진폭에 대한 곡선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BD형 광학매체 내에 L1층에 대한 푸시풀 진폭을 나타내는 L1 곡선(32)의 측정값들을 도시한 것이다. L1 곡선(32)의 진폭은, L1 곡선(32) 최적화 푸시풀 진폭인 시준기 위치(33)에서 최대이다. L0 곡선(34)은, BD형 광학매체 내의 L0층의 푸시풀 진폭을 나타내는 L0 곡선(34)에 대한 측정값들을 도시한 것이다. L0 곡선(32)의 진폭은, L0 곡선(34) 최적화 푸시풀 진폭인 시준기 위치(37)에서 최대이다. L1 곡선(32) 및 L0 곡선(34)은, 시준기 위치(35)에서 교차한다.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도 3에 도시된 X축을 따라 시준기 위치 좌우 이동과 이들 이동에 대한 응답을 측정하는 것은, 실제 응답과 상기 L1 곡선(32) 또는 L0 곡선(34)간의 곡선 일치를 고려한다. 일단 그 곡선 일치가 이루어지면, 포커싱되어 있는 현재의 층은 공지되고, 그 층에 특정된 파라미터들 및 설정값들을 만들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이 BD형 매체에 시준기 위치 결정에 관련되었지만, 이들 상기 개념들이 DVD형 매체 및 새로운 고밀도형 DVD 매체 등의 다른 형태의 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쉽사리 명백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에게 쉽사리 명백한 것은, 액정 기구가 구면수차 보정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고, 시준기 위치가 그 액정 기구의 세팅으로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공장 프리셋 또는 이전의 성공적인 디스크 인식에 의해서만 뿐만 아니라 저장된, 학습된 및 최적의 위치로도 상기 비교를 할 수 있다. 이들 과정은, 커버층 두께 변동 및 다층 디스크에 의해 일어난 구면수차 보정을 필요로 하는 모든 종류의 광 스토리지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0)

  1. 다층을 갖는 광학매체를 구비한 다수의 형태의 광학매체를 판독할 수 있고,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갖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에 포커싱하는 방법으로서,
    광학매체 내의 미지의 층에 방사빔을 포커싱하는 단계와,
    상기 미지의 층으로부터 먼 제 1 방향으로 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조정한 후 제 1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조정한 후 제 2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으로부터 기지의 층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면수차 기구를 각각의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조정하면서 제 1 및 제 2 세트의 응답을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가동형 세트의 광학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세트의 광학계는, 시준렌즈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을 상기 광학매체의 층들 주위에 포커싱하는 것으로부터 예상된 응답을 나타낸 일련의 곡선들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지의 층에 따라 최적화된 푸시풀 변조를 위해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데이터를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하기 전에 광학매체의 층마다 최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액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에 의해 결정된 응답 곡선을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에 대한 일련의 예상 곡선들에 일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시키는 것은,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에 의해 결정된 응답 곡선의,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에 대한 일련의 예상 곡선들에의 2차 곡선 맞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11. 다층을 갖는 광학매체를 구비한 다수의 형태의 광학매체를 판독할 수 있고,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갖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으로서,
    광학매체 내의 미지의 층에 방사빔을 포커싱하는 광학계와,
    상기 미지의 층으로부터 먼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조정하는 조정장치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포커싱한 후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조정한 후 제 2 응답을 측정하는 검출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으로부터 기지의 층을 결정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내의 결정 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의 검출기는, 상기 구면수차 기구를 각각의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조정하면서 제 1 및 제 2 세트의 응답을 더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가동형 세트의 광학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세트의 광학계는, 시준렌즈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시스템은,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을, 상기 광학매체의 층들 주위에 포커싱하는 것으로부터 예상된 응답을 나타낸 일련의 곡선들과 비교하는 비교기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시스템은, 상기 기지의 층에 따라 최적화된 푸시풀 변조를 위해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기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데이터를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하기 전에 광학매체의 층마다 최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는, 액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시스템은,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에 의해 결정된 곡선들을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에 대한 일련의 예상 곡선들에 일치시키는 응답 곡선 일치 기구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곡선 일치 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응답에 의해 결정된 응답 곡선의, 상기 구면수차 보정기구에 대한 일련의 예상 곡선들에의 2차 곡선 맞춤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매체 재생장치/레코더 시스템.
KR1020087002019A 2005-06-29 2006-06-27 현재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구면수차의 최적화 KR20080021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508605P 2005-06-29 2005-06-29
US60/695,086 2005-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153A true KR20080021153A (ko) 2008-03-06

Family

ID=3710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019A KR20080021153A (ko) 2005-06-29 2006-06-27 현재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구면수차의 최적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05248A1 (ko)
EP (1) EP1905027A1 (ko)
JP (1) JP2008545216A (ko)
KR (1) KR20080021153A (ko)
CN (1) CN101213602A (ko)
TW (1) TW200715278A (ko)
WO (1) WO2007000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2780B2 (ja) * 2007-01-29 2011-08-17 パルステック工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にて使用されるフォーカス引き込み方法
JP2009116992A (ja) * 2007-11-08 2009-05-28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及び球面収差補正方法
US20090168616A1 (en) * 2007-12-26 2009-07-02 Yi-Jen Chung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method of optical storage device
TWI349934B (en) 2008-01-15 2011-10-0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value of optical storage medium
TWI440019B (zh) 2008-03-20 2014-06-01 Sunplus Technology Co Ltd 一種補償光碟機像散差的方法與裝置
JP5433441B2 (ja) * 2010-01-28 2014-03-05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光ピックアップ
KR20140106052A (ko) * 2013-02-25 2014-09-03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에 집속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광 픽업 장치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4404B (en) * 2000-09-06 2003-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k unit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2004039125A (ja) * 2002-07-04 2004-02-05 Sony Corp 光記録再生装置、焦点制御方法
JP2004152426A (ja) * 2002-10-31 2004-05-27 Pioneer Electronic Corp 収差補正装置、光ピックアップ及び収差補正方法
JP3835402B2 (ja) * 2002-11-19 2006-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光ディスク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4171378B2 (ja) * 2003-09-04 200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用光ディスクの球面収差補正方法,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WO2005034100A2 (en) * 2003-10-01 2005-04-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determining setting of spherical aberration corr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5278A (en) 2007-04-16
JP2008545216A (ja) 2008-12-11
EP1905027A1 (en) 2008-04-02
CN101213602A (zh) 2008-07-02
WO2007000728A1 (en) 2007-01-04
US20080205248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7841B2 (ja) フォーカス検出手段またはトラッキング検出手段の調整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US7522485B2 (en) Method for adjusting focus or tracking detection unit, and optical disc device
KR20030084756A (ko) 광디스크 장치, 빔 스폿의 이동 방법 및 광디스크 장치에있어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US7663985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device
US20070097809A1 (en) Method of adjusting spherical aberration and focus offset in optical disk apparatus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ing the same
US7782722B2 (en) Method of adjusting spherical aberration and focus offset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1521246A1 (en)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focal point control method
KR20080021153A (ko) 현재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구면수차의 최적화
KR20030005218A (ko) 피드포워드 전력 제어를 사용한 다층 기록매체에의 기록
US8054732B2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optical pickup including a liquid crystal correcting element
US7936646B2 (en)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adjustment
US20110205877A1 (e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for reading data from optical disc
US7570548B2 (en) Optical pickup utilizing nonvolatile memory and adjustment method
JP5463118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241100A (ja) 光ディスク装置、ビームスポットの移動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において実行可能な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540479A (ja) 記録装置及び方法
JP5421776B2 (ja) 光ディスクシステムにおけるやや最適なジャンプによる改善されたフォーカス最適化ルーチンに関する方法、光ディスク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な媒体
JP4164533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9295238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ヘッド調整方法
JP2003091838A (ja) 光ヘッド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6351063A (ja) タンジェンシャルチルト検出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80239911A1 (en) Parameter Variation Before Closing Radial Control Loop
KR20050016276A (ko) 광 기록 재생 장치 및 초점 제어 방법
JP2005166088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