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023A - 급성 폐 손상 치료제 - Google Patents

급성 폐 손상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023A
KR20080020023A KR1020060082745A KR20060082745A KR20080020023A KR 20080020023 A KR20080020023 A KR 20080020023A KR 1020060082745 A KR1020060082745 A KR 1020060082745A KR 20060082745 A KR20060082745 A KR 20060082745A KR 20080020023 A KR20080020023 A KR 2008002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te lung
lung injury
lipoic acid
vegf
vascular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0023A/ko
Publication of KR2008002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or more sulfur atoms in the same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α-리포산(lipoic acid)을 기도 염증 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 (VEGF)의 억제를 통한 급성 폐 손상 치료제로서 사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α-리포산은 증가된 VEGF 및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증가된 염증 반응과 유도된 기도 과민 반응을 억제시키는 치료 효과를 갖는다.
α-리포산,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 급성 폐 손상, 혈관 투과성

Description

급성 폐 손상 치료제{The therapeutic effects in acute lung injury}
도 1은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 손상에서 증가된 VEGF 농도가 α-리포산에 의해 감소되는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는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 손상에서 α-리포산에 의한 폐 조직의 변화 소견을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해 관찰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급성 폐 손상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α-리포산의 급성 폐 손상에서 VEGF 억제를 통한 급성 폐 손상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급성 폐 손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 가능한 병리 상태이며, 이러한 급성 폐 손상은 혈관 투과성의 증가와 혈장 삼출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태 생리에 있어 혈관 투과성 및 혈장 삼출의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다.
VEGF는 내피 세포에 특이적인 펩타이드로서 신생 혈관 생성(angiogenssis and vasculogenesis) 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또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장 삼출을 유발하여 조직의 부종 및 세포외 기질의 변화를 조장시키는 역할도 갖는 것이 알려져있다.
한편, α-리포산은 화학명 1,2-디치올레인-3-펜타노익산으로 치옥탁틱산(thiotatic acid)로도 알려져있다. 상기 α-리포산은 자연 발생적 항산화제로서 허헐-재관류 손상, 당뇨병성 신경병증 및 관상 동맥 허혈병증 등의 임상 질환에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치료 효과를 위한 사용 용량은 1일 200-1800mg의 경구 투여로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α-리포산의 VEGF 억제 및 혈관 투과성 조절을 통한 급성 폐 손상 치료제로서의 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착안하여 α-리포산이 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된 VEGF 및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켰고, 이를 통해 증가된 기도 염증 반응과 유도된 기도 과민성을 뛰어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급성 폐 손상에서 증가된 VEGF 농도를 억제함으로써 증가된 혈관 투과성과 동반된 염증 반응 및 기도 과민성을 억제시키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α-리포산을 신규 급성 폐 손상의 치료제로서의 용도로 제 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를 H₂O₂로 유도하여 급성 폐 손상 모델을 만든 후 α-리포산 처리 후 VEGF 농도와 혈관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였고, 급성 폐 손상의 전형적인 병태 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VEGF 농도와 혈장 삼출이 α-리포산의 경구 투여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α-리포산의 경구 투여는 기관지 폐포 세척액 및 폐 조직내의 VEGF 농도와 혈장 삼출을 의미있게 감소시키고, 급성 폐 손상의 조직 소견을 호전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급성 폐 손상에서 폐 조직내의 VEGF를 억제하는 방법, 급성 폐 손상에서 폐 조직내의 혈장 삼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또는 급성 폐 손상에서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 각각은 α-리포산을 경구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폐 조직내에서 증가된 VEGF와 혈장 삼출, 및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증가된 혈관 투과성과 염증 반응, 및 기도 과민성을 억제시키는 치료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α-리포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급성 폐 손상 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α-리포산은 투여하는 어떠한 적합한 수단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α-리포산을 개구로 섭취 혹은 α-리포산을 개구에 국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개구로의 투여가 수행된다.
상기 적용은 50-100mg/kg씩 투여되면 충분하며, 특히 24시간 간격으로 3-5회 정도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약 100mg/kg씩 24시간 간격으로 4회 정도 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적당한 용량의 결정은 본 기술분야의 일반적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특정한 인자들이 투여되는 용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어떠한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담체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담체는, 부분적으로는, 투여될 특정 사이트와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주사에 적합한 제형은 항-산화체, 완충제, 정균제, 및 의도된 수혜자의 피와 등장의 제형이 되게 하는 용질을 포함할 수 있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 용액, 등장의 멸균 주사용액 및 현탁제, 가용화제, 농후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 멸균 현탁액을 포함한다.
상기 제형은 앰플과 바이알과 같이 일회-용량 혹은 다회-용량의 밀봉된 포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멸균 액상 담체를, 예를 들어 물을 단지 첨가하는 것이 요구되는 동결-건조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시의 주사 용액과 현탁액은 상기에 기술된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완충된 염(saline) 용액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한 BALB/c 마우스는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Chemistry Technology (대전, 한국)으로부터 구입하였고, α-리포산은 시그마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 실험 단계에서 α-리포산은 마우스 1kg당 100mg을 H₂O₂를 이용한 급성 폐 손상 유도 1시간 전부터 1일 한차례씩 총4회 경구 투여하였다.
한편, VEGF의 억제제인 SU5614는 각각 마우스 1kg당 2.5mg과 9mg을 α-리포산과 같은 방식으로 1일 한번씩 3차례 복강내 주입하였다.
<실시예 1- 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α-리포산의 VEGF 농도에 대한 효과>
본 실시예는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기관지 폐 포 세척액 및 폐 조직내의 VEGF 농도에 대한 α-리포산의 효과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마우스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분리는 마우스 기도에 관을 삽입하고 0.9% NaCl 용액을 주입하였다가 주사기로 흡입하여 이루어졌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VEGF의 농도는 효소 면역 분석 방법(R&D사, 미국)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한편, 폐 조직에서의 VEGF 농도의 정량은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정리하였다. 참고로, 식염수를 흡입시킨 후 식염수를 처리한 군을 (SAL+SAL)로, 3% H₂O₂를 흡입한 후 식염수를 처리한 군을 (3% H₂O₂+SAL)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drug vehicle (PBS) 처리한 군을 (3% H₂O₂+VEH)로, 3% H₂O₂를 흡입한 후 항산화제 α-리포산으로 처리한 군을 (3% H₂O₂+α-lipoic acid)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항산화제 α-리포산으로 처리한 군을 (3% H₂O₂+α-lipoic acid)로, 3% H₂O₂ 을 흡입한 후 SU 5614로 처리한 군을 (3% H₂O₂ + SU 5614)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CBO-P11로 처리한 군을 (3% H₂O₂ + CBO-P11)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0.05% DMSO로 처리한 군을 (3% H₂O₂+DMSO)로 구분하여 3% H₂O₂ 유도 12시간후 기관지 폐포 세척액과 폐조직을 얻어 VEGF 농도를 정량하고 EBD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1(a)는 폐조직내의 VEGF 에 대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를, 도 1(b)는 폐조직내의 VEGF에 대한 Densitometry 분석 결과를, 그리고 도 1(c)는 기관지 폐포 세척액 효소 면역 분석 결과를 각각 도시하였다. 데이터는 각 군당 8마리 마우스로부터 평균과 표준 오차로 표시하였다. #, p<0.05, versus SAL+SAL; *, p<0.05 versus OVA+SAL.
도 1(a)-(c)에서 보듯이, 급성 폐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에서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 및 폐 조직내의 VEGF 농도는 식염수만으로 유도된 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이는 α-리포산의 경구 투여에 의해 의미있게 환원되었다.
<실시예 2-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α-리포산의 혈관 투과성에 대한 효과>
본 실시예는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된 혈관 투과성에 대한 α-리포산의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혈관 투과성 정도는 Evans blue dye(EBD)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d)에 정리하였다. 데이터는 각 군당 8마리 마우스로부터 평균과 표준 오차로 표시하였다. #, p<0.05, versus SAL+SAL; *, p<0.05 versus OVA+SAL.
참고로, EBD는 0.9% NaCl로 5mg/ml로 희석하여 20mg/kg 용량을 정맥내 주입한 후 30분후에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d)에서 보듯이, 급성 폐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에서의 혈관 투과성이 식염수만으로 유도된 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이는 α-리포산의 경구 투여에 의해 의미있게 환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α-리포산에 의한 조직 소견의 변화>
본 실시예는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α-리포산이 H₂O₂에 의해 발생한 폐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폐 조직 검사를 위해서 얻어진 폐 조직은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파라핀 처리를 하고 4μm 두께의 박편으로 만들어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해 조직을 관찰하였다.
α-리포산의 급성 폐 손상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급성 폐 손상을 유발시킨 마우스에 α-리포산을 경구 투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정리하였다.
도 2에서, 식염수를 흡입시킨 후 식염수를 처리한 군을 (SAL+SAL, A)로, 3% H₂O₂를 흡입한 후 식염수를 처리한 군을 (3% H₂O₂ + SAL, B)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식염수를 처리한 군을 (3% H₂O₂+SAL, B)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항산화제 α-리포산을 처리한 군을 (3% H₂O₂+α-lipoic acid, C)로, 3% H₂O₂을 흡입한 후 항산화제 α-리포산으로 처리한 군을 (3% H₂O₂+α-lipoic acid, D)로 구분하여 폐 조직을 얻었다. Bar는 50μm 를 표시한다.
도 2에서 보듯이, 급성 폐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의 폐 조직에서 다양한 염증 세포들의 침윤과 점액 분비의 증가와 함께 조직 파편들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α-리포산을 주입한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호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급성 폐 손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VEGF와 혈관 투과성의 증가 및 혈장 삼출은 α-리포산에 의해 의미있게 억제되어 급성 폐 손상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α-리포산은 급성 폐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된 VEGF 및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된 기도 염증 반응 및 유도된 기도 과민 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α-리포산(lipoic acid)을 경구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급성 폐 손상에서 폐 조직내의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VEGF)를 억제하는 방법.
  2. α-리포산을 경구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급성 폐 손상에서 폐 조직내의 혈장 삼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3. α-리포산을 경구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급성 폐 손상에서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각각은 50-100mg/kg 씩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은 약 24시간 간격으로 3-5회 정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α-리포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급성 폐 손상 치료제.
KR1020060082745A 2006-08-30 2006-08-30 급성 폐 손상 치료제 KR20080020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745A KR20080020023A (ko) 2006-08-30 2006-08-30 급성 폐 손상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745A KR20080020023A (ko) 2006-08-30 2006-08-30 급성 폐 손상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023A true KR20080020023A (ko) 2008-03-05

Family

ID=3939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745A KR20080020023A (ko) 2006-08-30 2006-08-30 급성 폐 손상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00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Nanoceria restrains PM2. 5-induced metabolic disorder and hypothalamus inflammation by inhibition of astrocytes activation related NF-κB pathway in Nrf2 deficient mice
Ali et al. Experimental gentamicin nephrotoxicity and agents that modify it: a mini‐review of recent research
AU2010286054B2 (en) Desferrioxamine-metal complexes for the treatment of immune-related disorders
Powers et al. Redox control of proteolysis during inactivity-induced skeletal muscle atrophy
RU2011139643A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неалкогольного стеатогепатита повышенными дозами урсодезоксихолевой кислоты
WO2011097148A3 (en) Use of oral heparin preparations to treat urinary tract diseases and conditions
US10945986B2 (en) Treatment for ischemic stroke
Lu et al. H2S inhibits angiotensin II-induced atrial Kv1. 5 upregulation by attenuating Nox4-mediated ROS generation during atrial fibrillation
Liang et al. Cyclo-(Phe-Tyr) reduces cerebral ischemia/reperfusion-induced blood–brain barrier dysfunction through regulation of autophagy
Zhou et al. Magnesium isoglycyrrhizinate amelior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liver injury by upregulating autophagy and inhibiting inflammation via IL-22 expression
Sun et al. Advanced b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ulfur mustard poisoning
KR20080020023A (ko) 급성 폐 손상 치료제
US8927601B2 (en) Uses of N-butylidenephthalide in treating a liver injury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US20040132666A1 (en) Administration of free radical scavengers to prevent or treat ischemia-reperfusion injuries
JPH04275231A (ja) 事故結果として多外傷を有する危険な患者に於て、臓器拒絶の予防及び(又は)処置に、スーパーオキシドジスムターゼを使用する方法
TW201002368A (en) Unit dose formulations of ketorolac for intranasal administration
KR20080020013A (ko) 급성 폐 손상 치료제
KR101086040B1 (ko) 간섬유화 및 간경화 치료 효과를 갖는 아시아트산 유도체
KR20080020025A (ko) 급성 폐 손상 치료제
KR20080020029A (ko) 알레르기성 기도 질환 및 기도 개형 치료제
Cataldi et al. Hepatotoxicity after intravenous amiodarone
KR20080020039A (ko) 알레르기성 기도 질환 및 기도 개형 치료제
KR20080020033A (ko) 기관지 천식 치료제
Ye et al. Salvianolic acid A attenuates Angiotensin II-induced cardiac fibrosis through regulating the Txnip signaling pathway
US20220192999A1 (en) Use of gold nanoclusters in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or hypercholesterolemia-associated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