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750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및 망 정보 획득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및 망 정보 획득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750A
KR20080018750A KR1020060081344A KR20060081344A KR20080018750A KR 20080018750 A KR20080018750 A KR 20080018750A KR 1020060081344 A KR1020060081344 A KR 1020060081344A KR 20060081344 A KR20060081344 A KR 20060081344A KR 20080018750 A KR20080018750 A KR 2008001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nformation
frame
cell reselectio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135B1 (ko
Inventor
정경인
장경훈
최성호
김혜정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1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핸드오프 이전 또는 셀 재선택을 위해 인접 셀의 셀 및 망 정보를 획득시, 단말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하면서도 셀 및/또는 망 정보의 획득 소요 시간을 단축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매 PHY frame 마다 N 비트의 카운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셀/망 정보가 어느 시점에 방송(broadcast)되는지 단말이 예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셀/망 정보 획득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하며, 다중 인접 셀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셀/망 정보, BCH(Broadcast Channel),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및 망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FOR CELL RE-SEL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망 정보 방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셀/망 정보 방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일 인접 셀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소비 절감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다중 인접 셀들에 대한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인접 셀들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과정시 소요 시간 단축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 구성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하는 셀 및 망 정보의 획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하나의 셀 내에서 접속 제어를 관장하는 기지국을 통해 망(Network)과 물리적 접속 후, 해당 셀과 망의 정보를 획득하여야 실질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일정 주기로 셀/망 정보를 방송(broadcast) 함으로써 물리적 접속만으로도 정보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한다)을 사용하는 제3 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UMTS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UMTS 시스템의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LTE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UMTS 시스템에서 진화한 LTE 시스템을 일예로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LTE 시스템의 셀/망 정보는 핸드오버(Handover)를 고려중인 단말 또는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을 시도하는 단말의 경우, 인접 셀들에 대한 해당 셀/망 정보를 사전에 획득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셀/망 정보 방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송 구조는 동일한 크기의, 다수 개의 물리 프레임(이하 'PHY frame'라 한다)(100)들로 구성된다. LTE 시스템의 경우, 10msec 간격으로 PHY frame(100)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다. 이때, 셀/망 정보(110)는 정보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매 PHY frame마다 전송되기 보다는 일정 간격으로 방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8개의 PHY frame(120)마다 방송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Layer 2 채널, 이하 'BCCH'라 한다)을 통해 상기 셀/망 정보를 방송하는 것을 가정으로 하여 설명한다.
단말은 임의의 시점에 인접 셀에 물리적 접속을 시도하기 때문에, 정확히 어느 시점에 BCCH 메시지가 방송되는지 추측할 수가 없다. 따라서 매 PHY frame마다 판독해서 상기 BCCH 메시지가 있는지 검출해야 한다. 자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은 매 PHY frame(100)의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 Layer 1 채널, 이하 'BCH'라 한다)의 BCCH 메시지 영역으로 추측되는 해당 영역을 읽어 들여 CRC 검사를 수행하고 해당 정보인지 확인한다. 상기 CRC가 성공적으로 검사 되었다면, 이는 BCCH 메시지가 실린 BCH로 판단하여 셀/망 정보를 디코딩한다. 반면에 CRC 검사가 실패하면, 해당 PHY frame(100)은 BCCH 메시지가 실리지 않은 BCH로 판단하고, 다음 PHY frame을 수신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CRC 검사가 성공될 때까지 매 PHY frame마다 판독 과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방식에서는 단말이 셀/망 정보 메시지의 방송 시점을 전혀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때 까지 수신 모드를 유지시켜야 한다. 이는 결국,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다중 인접 셀들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시, 소요 시간이 인접한 셀들의 수에 비례해서 커지게 됨에 따라 전력 소모는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망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핸드 오프시, 인접 셀에 대한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시, 단말이 다수의 인접 셀들의 수에 상관없이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위한 인접 셀들의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셀/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정해진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프레임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와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의 전송 시점을 확인한 후, 슬립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시점에서 웨이크 업모드로 천이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수의 셀들에 대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다수의 셀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셀 재선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정해진 크기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각 셀의 물리 프레임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확인하여 각 셀의 방송 제어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각 셀의 방송 제어 메시지 전송 시점에서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셀 재선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가변적인 크기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와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확인한 후 슬립 모드로 천이한 후, 상기 확인한 전송 시점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천이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위한 인접 셀들의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물리 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와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셀/망 정보의 포함하는 프레임의 전송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송수신부의 수신을 제어하는 프레임 카운트 해독부와, 상기 전송 시점에서 수신된 셀/망 정보를 처리하는 셀 및 정보 해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LTE 시스템을 예로 사용하지만, 셀 재선택이 적용되는 모든 이동통신 시스템에 별다른 가감 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이 핸드오프 이전 또는 셀 재선택 시에, 인접 셀들의 셀/망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획득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시한다. 셀/망 정보는 단말의 셀 재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통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N 비트의 카운트 정보를 사용한 PHY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8개의 PHY frame(230)마다 방송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Layer 2 채널, 이하 'BCCH'라 한다)을 통해 상기 셀/망 정보를 방송하는 것을 가정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10msec 간격으로 PHY frame(200)을 전송하며, 80msec 간격으로 BCCH 메시지를 통해 상기 셀/망 정보를 방송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매 PHY frame내 특정 Layer 1(L1) 채널에 3bit 크기의 PHY_frame_count값(220)을 설정하여 단말에 알려준다.
상기 특정 Layer 1(L1) 채널은 상기 셀 및 망 정보가 매 프레임(frame)마다 전송되지 않는다면, 셀 및 망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과 별도의 채널이 될 수 있으 나, 만약 셀 및 망 정보 중에서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것이 존재한다면, 상기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셀 및 망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과 동일 채널이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셀 및 망 정보 중에서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것이 일부 존재할 수 있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2의 일 예에서는 8개의 PHY frame 마다 셀/망 정보가 반복되어 전송되므로, 상기 PHY_frame_count의 크기를 3bit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PHY_frame_count(220)의 크기는 셀/망 정보(210)의 주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한 PHY_frame_count 값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셀/망 정보 메시지가 포함된 PHY frame에서의 PHY_frame_count 값은 '0' 로 설정한다. 다음 PHY frame의 PHY_frame_count 값은 7 을 갖는다. 즉, 그 외의 PHY frame에서의 PHY_frame_count 는 상기 셀/망 정보 메시지가 포함된 PHY frame을 기준으로 1씩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단말은 임의의 어떤 시점에서 하나의 PHY frame 내 PHY_frame_count 값을 판독하여, 어느 시점에 BCCH 메시지가 방송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점에 하나의 PHY frame 내 PHY_frame_count 값을 판독한 단말은 현재 시점이 방송 제어 정보 메시지가 방송되는 시점이 아님을 확인하면 (PHY_frame_count - 1) x PHY frame 간격 동안 슬립(sleep) 모드로 전환 한 후, 상기 PHY_frame_count를 이용하여 정확한 시점에서 웨이크 업(wake-up)한다. 그 후, 웨이크 업 모드의 단말은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셀/망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의 단일 인접 셀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어떤 시점에서 인접 셀 정보 획득을 시도하려는 단말은 우선적으로 물리적 접속을 통해 하나의 PHY frame을 수신한다. 단계 310에서 단말은 수신된 PHY frame의 L1 채널 중 PHY_frame_count 를 추출하여, 그 값을 판독한다. 이때, 단계 320에서 단말은 상기 PHY_frame_count의 값이 셀/망 정보를 포함하는 L1 채널임을 나타내는 값인 '0'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320에서 상기 PHY_frame_count 값이 '0' 이면, 단계 340으로 진행하여 상기 PHY frame 내에서 셀/망 정보를 추출하여 판독하고 셀/망 정보 획득 과정을 완료한다.
반면에, 상기 PHY_frame_count 값이 '0'이 아닌 특정 m(>0) 값을 가지면, 단계 330으로 진행하여 상기 (m-1) x 'PHY frame의 간격' 만큼 슬립(sleep) 모드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서 일 예로, PHY frame의 간격은 10msec이다.
단계 350에서 정해진 슬립 모드 시간이 지났으면, 단말은 다시 웨이크 업(wake-up)하여 다시 단계 300으로 천이한다. 이때, 단계 300으로 진행하는 단말은, 상기 천이 과정에서 반드시 단계 320에서 단계 340으로 분기되어 셀/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단계 350에서 슬립 모드가 만료됨을 감지한 단말은, 이전의 단계 300에서 수신한 하나의 PHY frame에 의해 PHY_frame_count = 0인 시점 즉, 셀/망 정보가 전송되는 PHY frame의 시점을 파악하고, 웨이크 업 모드로 천이한 상 태이다. 따라서, 다시 단계 300으로 진행한 단말은 단계 320과 단계 340을 통해 셀/망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 방식을 전력 소비 절감 측면에서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이 임의의 시점(420)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PHY frame을 수신하여 셀/망 정보 획득을 시도하려고 한다고 가정한다.
종래 방식(430)의 경우 단말은 상기 420시점부터 시작해서, 셀/망 정보가 있는 PHY frame을 수신할 때까지 웨이크 업 모드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수신 전력을 소비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440)의 경우 단말은, 420시점 이후, PHY_frame_count 값이 5인 PHY frame을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PHY frame의 PHY_frame_count 값이 5임을 확인하고, 즉, 수신한 PHY frame에 셀/망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440과 같이 '(5-1) x 정해진 PHY_frame의 간격'동안 슬립 모드로 천이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 단말은 (5-1)x10msec = 40msec동안 슬립 모드로 동작한 후, 즉, 상기 PHY_frame_count 값이 5인 PHY frame을 수신한 후, 40msec가 지난 후인, PHY_frame_count 값이 0인 PHY frame에서 웨이브 업(wake-up)하여 셀/망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450과 같이 40msec 동안의 전력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단말의 다중 인접 셀들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단말은 셀/망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다중 인접 셀들에 대해 방송 제어 메시지 리스트(이하 'BCCH_list'라 한다)를 초기화시킨다. 단계 510에서 BCCH_list에 있는 셀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단계 520에서 해당 셀에서 하나의 PHY frame을 수신하여 해당 셀의 셀/망 정보 메시지 방송 시각을 BCCH_list에 등록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은 PHY_frame_count를 포함하는 PHY frame을 수신함에 따라 정확한 셀/망 정보 메시지의 방송 시점을 파악하게 된다.
단계 530에서 BCCH_list에 있는 모든 셀들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 후, 모두 완료 되었다면 단계 550을 분기되어 BCCH_list에 등록된 셀당 셀/망 정보 메시지 방송 타이밍을 순차적으로 정렬해서 그 순서에 맞게 셀 별로 셀/망 정보를 획득하고 과정을 완료한다.
반면에, 단계 530에서 BCCH_list에 있는 모든 셀들에 대한 등록이 완성되지 않았다면 단계 540으로 분기되어 BCCH_list에서 셀/망 정보 방송 시간이 임박한 셀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540에서 임박한 셀이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560으로 진행하여 해당 셀로 물리적 접속을 시도하여 셀/망 정보를 획득한 후 BCCH_list에서 제거하고 단계 520을 천이한다.
반면에, 단계 540에서 임박한 셀이 없다고 판단되면 바로 단계 520으로 천이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인접 셀들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과정시 소요 시간 단축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cell 1(600)과 cell 2(610)는 PHY frame 전송 시점이 동기를 유지하는 시스템이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시스템도 있다. 본 발명은 두 가지 경우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단말이 임의의 시점(620)에 cell 1(600)의 셀/망 정보 획득을 시도하고 있다.
종래 방식(640)의 경우 단말은 620시점부터 cell 1 의 셀/망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cell 1에 물리적 접속을 유지시켜야 한다. 그 이후에야 비로서 cell 2 의 셀/망 정보 획득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cell 2의 셀/망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cell 2에 물리적 접속을 유지시켜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650)의 경우엔, 단말은 cell 1에서 하나의 PHY frame 수신 만으로도 cell 1의 셀/망 정보가 언제 방송될 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보를 BCCH_list에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바로 cell 2 의 셀/망 정보 획득을 시도한다. 마찬가지로 cell 2 의 하나의 PHY frame 수신을 통해 cell 2 의 셀/망 정보가 언제 방송될 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보를 BCCH_list에 등록하게 된다.
이렇게 작성된 BCCH_list에 의해 cell당 정확한 셀/망 정보 획득 시기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식에 비해 셀/망 정보 획득 소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수신부(711)는 E-NB(E-UTRAN Node B)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 및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송수신부(711)는 임의의 PHY frame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PHY frame을 통해 PHY_frame_count를 수신 받으면, 이를 PHY_frame_count 해독부(721)로 전달한다.
PHY_frame_count 해독부(721)는 상기 수신된 PHY_frame_count를 통해 몇 프레임 후에 셀 및 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송수신부(711)의 수신을 제어한다. 즉, PHY_frame_count 해독부(721)는 획득한 PHY_frame_count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부(711)를 슬립 모드 또는 웨이크 업 모드로 제어한다. 이는 곧 PHY_frame_count 해독부(721)가 상기 슬립 모드 또는 웨이크 업 모드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711)으로 인가되는 전력 소모를 제어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획득된 PHY_frame_count을 통해 6 프레임 후에 셀 및 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확인하면. 송수신부(711)는 셀 및 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프레임 이전까지 상기 송수신부(711)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PHY_frame_count 해독부(721)에서 획득한 프레임 정보에 따라, 정해진 프레임 전송 시점에서 송수신부(711)는 셀 및 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셀 및 망 정보 해독부(731)로 전달한다. 셀 및 망 정보 해독부(731)는 수신된 셀 및 망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 및 망 정보가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것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때에는 상기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셀 및 망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과, 같은 채널로 PHY_frame_count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PHY_frame_count 해독부(721)과 셀 및 망 정보 해독부(731)는 동일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 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말이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PHY frame를 수신하여 어느 시점에 셀/망 정보가 방송(broadcast)되는지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함은 물론, 다중 인접 셀에 대한 셀/망 정보 획득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9)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위한 인접 셀들의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셀/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정해진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프레임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와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의 전송 시점을 확인한 후, 슬립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시점에서 웨이크 업모드로 천이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재선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는,
    상기 셀/망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에서 특정 값('0')을 가지며, 상기 특정 값을 가지는 물리 프레임 이후의 매 물리 프레임에서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는,
    상기 셀 재선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물리 프레임 내의 방송 채널에 포함되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물리 프레임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에서 1을 감산한 후, 상기 감산한 값과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의 곱만큼 슬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점은,
    상기 셀/망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채널이 특정 값('0')인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수의 셀들에 대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다수의 셀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셀 재선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정해진 크기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각 셀의 물리 프레임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확인하여 각 셀의 방송 제어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각 셀의 방송 제어 메시지 전송 시점에서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재선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셀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셀의 방송 제어 메시지의 전송 시점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천이한 후,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셀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재선택 정보 획득 방법.
  8.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셀 재선택 정보의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가변적인 크기의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와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확인한 후 슬립 모드로 천이한 후, 상기 확인한 전송 시점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천이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재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통신시스템.
  9.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위한 인접 셀들의 셀/망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물리 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 카운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프레임 카운트 정보와 상기 물리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위한 셀/망 정보의 포함하는 프레임의 전송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송수신부의 수신을 제어하는 프레임 카운트 해독부와,
    상기 전송 시점에서 수신된 셀/망 정보를 처리하는 셀 및 정보 해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재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장치.
KR1020060081344A 2006-08-25 2006-08-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KR10121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44A KR101217135B1 (ko) 2006-08-25 2006-08-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44A KR101217135B1 (ko) 2006-08-25 2006-08-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750A true KR20080018750A (ko) 2008-02-28
KR101217135B1 KR101217135B1 (ko) 2012-12-31

Family

ID=3938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344A KR101217135B1 (ko) 2006-08-25 2006-08-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1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135B1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588B1 (ko) 셀 재선택을 완료하기 전에 제 2 기지국에 대한 페이징채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셀 재선택 동안에 손실된페이지들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와 미디어저장 명령들
US8311030B2 (en) Enhanced cell scanning
KR101060536B1 (ko) 압축 모드에서 송신 갭 동안의 효율적인 셀 측정
EP2341735B1 (e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US899601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user equipment to a femtocell
CN101473676B (zh) 用于无线接入网中的切换的方法和装置
US20110269460A1 (en)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Identification for Active Mode Mobility
EP3512248A1 (en) Tune-away protocols for wireless systems
EP2144464A2 (en) Method for handoff during connected mode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in a mixed deployment
EP1025740B1 (en) Method for searching cel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PI0708436A2 (pt) utilização eficiente de intervalos de transmissão para medições de células
CN105684527B (zh) 用于在蜂窝网络中实现更长寻呼周期的移动台、核心网络节点、基站子系统及方法
US85269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s to reconfigure a radio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140988A1 (en) Re-activation of a base station in standby mode
JP2004504783A (ja) 非同期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アイドルモードの再捕捉およびハンドオフ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US9179499B1 (en) Network selection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based on two or more radio access technologies
JP2009088980A (ja) ユーザ装置及びページングチャネル受信方法
US6973310B2 (en) Fast reacquisition after long sleep
KR10140084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이종 시스템으로의 전환을위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1615856A (zh) 用于执行多rat网络中的通信的系统和方法
KR10121713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KR100282962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설정방법
WO2004045236A1 (en) Fast reacquisition after long sleep in slotted mode operation
EP1986460A1 (en) System for speeding up synchronization in a call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