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590A -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590A
KR20080017590A KR1020060078852A KR20060078852A KR20080017590A KR 20080017590 A KR20080017590 A KR 20080017590A KR 1020060078852 A KR1020060078852 A KR 1020060078852A KR 20060078852 A KR20060078852 A KR 20060078852A KR 20080017590 A KR20080017590 A KR 2008001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tification
item
classification item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253B1 (ko
Inventor
비레쉬 마카
수랴프라카쉬 쉬바프라사드 방가로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2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은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ivacy'인 경우,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컨텐츠, X-Mms-Message-Class 필드, MMSC

Description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a message of which a class is set up,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프라이버시' 항목을 설정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경우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보안'을 설정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경우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 컨텐츠 요청'을 설정한 경우,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50: 컨텐츠 제공 서버
200a: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00b: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50: 디스플레이부 260: 입력부
270: 제어부
본 발명은 메시지의 분류항목 설정방법,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 방법과 수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는 기존의 SMS(Short Message Service)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서비스로서, 무선 인터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기능 혹은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인터넷 망을 통해 이메일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진 텍스트 기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달리 동영상이나 사진, 멜로디 등과 같은 컨텐츠들을 첨부할 수 있어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무선 산업 분야에 관련된 공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국제 표준을 정하고 있다.
OMA에서 공표된 OMA-TS-MMS-ENC-V1_3 문서의 섹션 7.3.27에는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나타내는 필드인 X-Mms-Message-Class 필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서에 기재된 X-Mms-Message-Class 필드의 필드값으로는 auto, personal, advertisement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X-Mms-Message-Class 필드에 새로운 필드값으로 'privacy', 'protected', 'requsted' 등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메시지 발신측 사용자의 메시지 전송 의도를 메시지 수신측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한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가 설정된 경우, 수신한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가 담긴 메시지임을 수신측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한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otected'가 설정된 경우, 수신한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을 요하는 보안 메시지임을 수신측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한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seted'가 설정된 경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임을 수신측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이 송신방법은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및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는, '프라이버시' 항목, '보안' 항목, 또는 '컨텐츠 요청' 항목 중 어느 하나로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한다.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프라이버시'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가 설정된다.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otected'가 설정된다.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컨텐츠 요청'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ested'가 설정된다.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은 서버 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ivacy'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지 단계는, 수신한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은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otected'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을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확인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은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requested'인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임을 메시 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지 단계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M-Notification.ind 메시지이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프라이버시' 항목, '보안' 항목, 또는 '컨텐츠 요청'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프라이버시' 항목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를 설정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otected'를 설정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컨텐츠 요청'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ested'를 설정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컨텐츠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줄 것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ivacy'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otected'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메시지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로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requested'인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수신한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을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에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M-Notification.ind 메시지이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이다.
이하 설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수신 방 법이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자체 기능(카메라, 내장 사운드 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거나, 이동통신망(1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MMSC(2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메시지 포맷 변환 및 주소 포맷 변환을 수행하며,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에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MMSC(20)는 MMS 릴레이와 MMS 서버를 포함하는데, MMS 릴레이는 MMS 메시지 교환장치로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교환기능 제공, MMS 메시지 송수신 단말간의 연결설정, 자원관리, 자원해제 기능, MMS 메시지 통보 기능 등을 수행한다.
MMS 서버는 MMS 메시지의 실시간 스트리밍 기능,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 MMS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푸쉬(push) 기능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MSC(20)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privacy', 'protected', 또는 'requested'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필드값으로 설정하고,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를 SMSC(3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 형태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한다.
SMSC(30)는 MMSC(20)로부터 전송받은 통지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함으로써,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00b)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단말기(200a 또는 200b)는 무선 송수신부(210), 데이처 처리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메모리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입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40)는 플래쉬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OS(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등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 다양한 메뉴화면 등을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 및 각종 기능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들을 포함한다. 입력부(260)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와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구분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성 부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본 실시예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무선 송수신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MMSC(20)로 발신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작성된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입력부(260)는 메시지 작성 요청, 각종 선택 요청, 메시지 전송 요청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270)에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입력부(260)로부터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여 메시지 작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입력부(260)로부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시지 분류 항목은 '프라이버시', '보안', '컨텐츠 요청' 등 세 가지로 구분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입력부(260)를 통해 메시지 분류 항목으로 '프라이버시' 또는 '보안'이 선택된 후 해당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OMA-MMS 스펙 상에 규정된 M-Send.ref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해 MMSC(20)로 전송한다.
이 때, 입력부(260)를 통해 메시지 분류 항목이 '프라이버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M-Send.ref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을 'privacy'로 설정하며, 메시지 분류 항목이 '보안'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M-Send.ref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을 'protected'로 설정한다.
또한, 입력부(260)를 통해 메시지 분류 항목이 '컨텐츠 요청'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자동으 로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한 상태에서, 입력부(260)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컨텐츠 제공 서버(50)와의 접속을 종료한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60)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M-Send.ref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해 MMSC(30)로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M-Send.ref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을 'requested'로 설정한다.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무선 송수신부(210)는 MMSC(20)로부터 SMSC(30)를 경유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어부(270)에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의 필드값을 확인한다.
필드값 확인결과, 필드값이 'privacy'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여 '이 메시지는 개인적인 메시지입니다.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필드값이 'protec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 부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필드값이 'reques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여 도착한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입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3은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도시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 A는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 B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 작성 화면(310) 내에서 메시지를 작성한다.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화면(310) 하단의 메뉴(320)를 선택하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포함된 팝업창(330)이 디스플레이된다.
팝업창(330)에서,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3번 '메시지 분류 항목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로서, 1번 프라이버시, 2번 보안, 3번 요청 메뉴 항목이 포함된 메시지 분류 항목 설정창(35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위 세 가지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할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1번 '프라이버시' 메뉴는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 B가 수신한 메시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혼자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다.
2번 '보안' 메뉴는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인 B 이외에 다른 누군가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다.
3번 '요청' 메뉴는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 B가 컨텐츠 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른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다.
도 4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프라이버시' 항목을 설정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경우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260)를 통해 '프라이버시' 메뉴가 선택되면(S410),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제어부(270)는 실제 멀티디미어 메시지의 데이터 부분인 메시지 바디와, 헤더 필드로 구성되는 M-Send.req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이 때, 제어부(270)는 M.Send.req 메시지의 헤더 필드 중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를 설정한다(S420).
이와 같이,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가 설정된 M-Send.req 메시지는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해 MMSC(20)로 전송된다(S430).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M-Send.req 메시지를 수신한 MMSC(2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로 M-Send.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M- Send.res 메시지를 전송하고(S440), SMS를 이용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이 때, MMSC(20)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를 설정한다.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하여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X-Mms-Message-Class' 필드의 필드값으로 'privacy'가 설정된 경우(S460), 제어부(270)는 '이 메시지는 개인적인 메시지입니다.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한다(S470).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팝업창을 확인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담긴 메시지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 B는 자신이 혼자 있을 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보안'을 선택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경우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보안'을 선택하면(S510),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제어부(270)는 X-Mms-Message-Class 필드의 필드값으로 'protected'가 설정된 M-Send.req 메시지를 생성한다(S520). 생성된 M-Send.req 메시지는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해 MMSC(20)로 전송된다(S530).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M-Send.req 메시지를 수신한 MMSC(2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로 M-Send.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M-Send.res 메시지를 전송하고(S540), SMS를 이용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를 전송한다(S550). 이 때, MMSC(20)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otected'를 설정한다.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하여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X-Mms-Message-Class' 필드의 필드값으로 'protected' 항목이 설정된 경우(S560),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570).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창에 정확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게 되면, MMSC(2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가져와서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한다. 이 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가져오는 과정은 데이터 접속을 요청하는 WSP/HTTP GET.req 메시지를 MMSC(20)로 전송한 후, MMSC(20)로부터 M-retrieve.conf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보안' 항목을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는 패스워드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야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패스워드를 정확히 알고 있는 진정한 사용자인 B 이외에 다른 누군가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하여 필드값이 'protec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패스워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을 요청하여 MMSC(20)로부터 M-retrieve.conf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retrieve.conf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하여 필드값이 'protec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패스워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MMSC(20)는 M-retrieve.conf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을 'protected'로 설정한다.
도 6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요청'을 설정한 경우, 메시지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작성된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컨텐츠 요청' 항목을 설정한 후(S610), 이동통신망(10)을 통해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하여(S620), 메시지에 첨부할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다(S630). 이 때, '컨텐츠 요청' 항목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된다.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서버(5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중에서 전송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5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MMSC(20)로 전송한다(S640).
이와 동시에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는 컨텐츠 제공 서버(50)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작성된 메시지를 M-Send.req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ested'를 설정하여 M-Send.req 메시지를 생성한다(S650). 제어부(270)는 M-Send.req 메시지를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MMSC(20)로 전송한다(S660).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M-Send.req 메시지를 수신한 MMSC(2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로 M-Send.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M-Send.res 메시지를 전송하고(S670), SMS를 이용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를 전송한다(S680).
이 때, MMSC(20)는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ested'를 설정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한다.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한다. 필드값이 'requs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690), '도착한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입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S695).
이에 의해, 사용자는 도착한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 서버(50)로부터 제공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50)에서 제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른 일반 메시지들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가져오는 과정은 데이터 접속을 요청하는 WSP/HTTP GET.req 메시지를 MMSC(20)로 전송한 후, MMSC(20)로부터 M-retrieve.conf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컨텐츠 요청'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컨텐츠 요청' 설정 이후에 사용자가 별도로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를 입력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50)에 접속을 요청한 경우에 컨텐츠 제공 서버(5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b)는 통지 메시지인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하여 필드값이 'reques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착한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입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록 구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을 요청하여 MMSC(20)로부터 M-retrieve.conf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retrieve.conf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를 확인하여 필드값이 'request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MMSC(20)는 M-retrieve.conf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을 'requsted'로 설정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에 OMA-MMS 스펙 상에 규정되었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 'protected', 'requested ' 등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메시지 작성자의 메시지 전송의도를 메시지 수신측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시지 작성자가 메시지 분류항목으로 '프라이버시'를 설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상기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담긴 메시지라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메시지 작성자의 의도대로 자신이 혼자 있을 때 메시지를 개인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시지 작성자가 메시지 분류항목으로 '보안'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고,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만이 해당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작성자의 의도대로 메시지의 보안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및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는,
    '프라이버시' 항목, '보안' 항목, 또는 '컨텐츠 요청' 항목 중 어느 하나로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의 분류 항목 설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프라이버시'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가 설정되고,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otected'가 설정되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컨텐츠 요청'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ested'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의 분류 항목 설정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의 분류 항목 설정방법.
  5.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ivacy'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6.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otected'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7.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한 결과,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requested'인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단계는,
    수신한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을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단계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12.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M-Notification.ind 메시지이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수신방법.
  13.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분류 항목이 설정된 메시지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프라이버시' 항목, '보안' 항목, 또는 '컨텐츠 요청'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으로 '프라이버시' 항목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ivacy'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protected'를 설정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컨텐츠 요청'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M-Send.req 메시지의 X-Mms-Message-Class 필드에 필드값으로 'requested'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6.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보안'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 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가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정 컨텐츠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줄 것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7.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ivacy'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8.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protected'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메시지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로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9.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특정 필드 내에 설정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을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메시지의 분류 항목이 'requested'인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임을 메시지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수신한 메시지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을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에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3.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M-Notification.ind 메시지이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M-Notification.ind 메시지의 헤더 필드 내의 X-Mms-Message-Class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60078852A 2006-08-21 2006-08-21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2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52A KR100829253B1 (ko) 2006-08-21 2006-08-21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52A KR100829253B1 (ko) 2006-08-21 2006-08-21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90A true KR20080017590A (ko) 2008-02-27
KR100829253B1 KR100829253B1 (ko) 2008-05-14

Family

ID=3938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52A KR100829253B1 (ko) 2006-08-21 2006-08-21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2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94A (ko) * 2001-07-14 2003-01-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KR100795234B1 (ko) * 2001-09-25 2008-01-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040081643A (ko) * 2003-03-14 200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및 수신 관리방법
KR100580670B1 (ko) * 2004-06-15 2006-05-16 권남열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253B1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49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messages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EP1769646A2 (en) Always-on mobile instant messaging of a messaging centric wireless device
CN101796802A (zh) 用于移动设备的定位机制
US20090248820A1 (en) Interactive unified access and control of mobile devices
KR20110132392A (ko) 지오그래피에 의거한 정보 또는 유저 아이덴티티를 이용한 유저 챌린지
JP2013511898A (ja) 通信管理機能
CN109040981B (zh) 消息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140149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stant message
KR20040063436A (ko) 제스처를 하는 아바타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829253B1 (ko)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0448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JP533986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ログイン管理装置、ログイン管理方法及びログイン管理プログラム
KR101037071B1 (ko)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단말기
KR101477728B1 (ko)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12230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 메시지 작성방법, 응답 메시지확인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0364B1 (ko) 송신 데이터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송신용 무선통신단말기와 원격 제어에 따른 수신 데이터 처리 기능을가지는 수신용 무선통신 단말기
KR20070021487A (ko) 가상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746823B1 (ko) 메신저 서비스 실행시 전송한 대화문구를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강제로 확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단말기
KR1009957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98558B1 (ko) 능동적 수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9951B1 (ko) 이동 단말의 이메일 세팅 정보 수신 방법
KR100811520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선별적 컨텐츠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406511B1 (ko) 채팅창에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이동 단말
KR20050072720A (ko) 통신단말기간의 통신데이터의 생성, 관리와 이의 능동적수신에 관한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