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556A -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556A
KR20080017556A KR1020060078725A KR20060078725A KR20080017556A KR 20080017556 A KR20080017556 A KR 20080017556A KR 1020060078725 A KR1020060078725 A KR 1020060078725A KR 20060078725 A KR20060078725 A KR 20060078725A KR 20080017556 A KR20080017556 A KR 2008001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recovery
data
bluetooth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정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7556A/en
Publication of KR2008001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5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9Backup restor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a system crisis in a mobile device is provided to recover a system of the mobile device conveniently based on Bluetooth without needing Z-tag, Zig, and a recovery file, which are necessary for restoring the system. A user initializes a target mobile device to be recovered from a system crisis by inputting a reset key installed in the target mobile device(S502). It is checked whether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target mobile device and a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is established(S503).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transmits recovery data to the target moving picture device(S505). The target mobile device receives/stores the recovery data and performs system recovery based on the recovery data(S507). The mobile devices are a Windows-based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recovery is performed in the Windows-based mobile device based on a booting system.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How to control system recovery on mobile devices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도1은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ethod for recovering a mobile device system.

도2는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process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윈도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블록도Figure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window mobile device for explaining a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시스템 복구(System Crisis)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risis method of a mobile device.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 폰(Mobile Phone),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를 비롯하여 휴대용 게임기까지 다양 한 종류와 다양한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Various kinds of mobile devices are used. Various types and functions of mobile devices are used,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handheld game machines.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그 성능과 기능이 날로 향상,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 또한 커지고 있다. 증가되는 OS에 의해서 시스템이 이상 동작을 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치명적인 오류로 인하여 시스템 복구가 어렵게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As mobile devices increase in performance and function, the operating system (OS) installed in the device is also increasing. When an abnormal operation or a problem occurs due to an increased OS, a frequent error occurs and a problem that makes system recovery difficult due to a fatal error occurs.

이러한 시스템 이상 발생시에는 시스템 복구(System Crisis)가 필수적이다. 도1은 시스템 복구를 위한 종래 기술을 보여준다. 도1에 나타낸 모바일 디바이스는 윈도(windows) 기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시스템 복구를 위해 Z-Tag, 지그(Zig), 복구 파일(crisis file) 등이 필요하다.In the event of such a system failure, System Crisis is essential. Figure 1 shows the prior art for system recovery. The mobile device shown in FIG. 1 is a windows-based mobile device and needs a Z-tag, a zig, a crisis file, and the like for system recovery.

도1은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윈도우 기반의 모바일 디바이스(101)에 입출력 포트(102)(103)가 구비되고, 여기에 Z-태그 지그(Z-Tag Zig)(104)를 연결하여 Z-Tag로 다운로드를 수행함으로써 복구(crisis)를 진행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입출력 포트(102)(103)는 USB 포트, 직렬포트, 병렬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ethod for recovering a mobile device system, in which a window-based mobile device 101 is provided with input / output ports 102 and 103, and a Z-tag zig. By connecting the 104) and performing a download to the Z-Tag is configured to proceed with the crises (crisis). Input and output ports 102 and 103 may be provided with a USB port, a serial port, a parallel port.

도2는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윈도우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process. Referring to FIG. 2, a conventional window-based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process is described below.

제 1 단계(S201)는 복구파일(crisis file)을 구성하는 단계로서, 문제가 발생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를 위한 파일을 생성한다. 제 2 단계(S20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병렬포트에 Z-Tag 지그를 연결하는 단계로서, 시스템 복구를 위한 준비작업이다. 제 3 단계(S203)는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시켜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제 4 단계(S204)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CPU, 타이머(Timer), 입출력 포트(IO) 등의 드라이버를 초기화하는 단계이다. 제 5 단계(S205)는 시스템 복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제 6 단계(S206)는 시스템 복구를 진행할 경우 Z-Tag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Z-Tag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다음의 제 7 단계(S207)로 이행한다. 제 7 단계(S207)는 E 부트 모드(Eboot Mode)를 읽어서 인식하는 단계이고, 다음의 제 8 단계(S208)는 Eboot 모드 로딩(Eboot Mode Loading)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제 9 단계(S209)는 Eboot 모드를 수행하여 시스템 복구를 이루는 단계이다. 제 10 단계(S210)는 상기 제 5 단계(S205)에서 복구를 실행하지 않을 경우 수행되는 일반적인 포스트 과정(Post 과정)이다.The first step S201 is a step of constructing a crisis file, and generates a file for system recovery of a mobile device having a problem. The second step S202 is a step of connecting the Z-tag jig to the parallel port of the mobile device, and is a preparation for system recovery. The third step (S203) is a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obile device to be recovered. The fourth step S204 is a step of initializing a driver such as a CPU, a timer, and an input / output port IO of the mobile device. The fifth step S205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system recovery. The sixth step S206 is a step of confirming the Z-tag connection when the system recovery proceeds. If it is confirmed in this step that the Z-Tag connection is made to proceed to the next seventh step (S207). A seventh step S207 is a step of reading and recognizing an E boot mode, and the next eighth step S208 is a step of executing an Eboot mode loading. A ninth step S209 is a step of recovering a system by performing an Eboot mode. The tenth step S210 is a general post process that is performed when the recovery is not performed in the fifth step S205.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 윈도우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OS Crisis)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Z-Tag, 지그, 복구파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시스템 복구를 위한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고, 장비의 물리적, 전기적인 연결 등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 Z-tag, a jig, and a recovery file are required to execute a system recovery (OS Crisis) of a window-based mobile device. Therefore, a separate equipment for system recovery is required,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phys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quipment is accompanied.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시스템 복구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recovery of a mobile device so that system recovery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in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를 위해 필요하 였던 Z-Tag, 지그, 복구파일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시스템 복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ver the system of the mobile device to easily perform a system recovery based on Bluetooth without the need for Z-tags, jigs, recovery files, etc. that were required for the existing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To provide a control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은,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와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 기반의 확보를 확인하는 단계;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로 복구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 및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스템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ystem recovery control method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initializing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Ascert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between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and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Transmitting data for recovery from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to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Receiving and storing the transmitted data at a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and performing a system recovery based on the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윈도우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Windows Mobile Device)이며, 상기 시스템 복구는 윈도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블루투스(bluetooth)를 통신 기반으로 하여 Ebooting 시스템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is a Windows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recovery is performed based on the Eboot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in the Windows Mobile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ystem recovery control method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310)와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320)가 각각 블루투스 모듈(B/T)(311,321)을 이용해서 통신 가능한 시스템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recovery control method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310 and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320 each have a Bluetooth module (B / T) ( 311, 321) is a system that can communicate.

모바일 디바이스(310,320)는 윈도우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Windows Mobile Device)이며, 블루투스 모듈은 동글(dongle) 형태로 디바이스 외부(디바이스에 구비된 입출력 포트)에 장착되거나 디바이스 내부에 임베디드 타입(embedded type)으로 내장될 수도 있다.The mobile devices 310 and 320 are Windows-based mobile devices, and the Bluetooth module is mounted in the dongle type on the outside of the device (input / output port provided in the device) or embedded in the device as an embedded type. May be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시스템 복구 과정의 실행을 위해서 CPU 타이머, 입출력 포트 등이 초기화되고, 블루투스 모듈(311)을 이용한 통신 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블루투스 모듈의 초기화도 이루어진다.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320)는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310)와 블루투스 모듈(311,321)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며, 블루투스 통신으로 시스템 복구가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블루투스 통신으로 시스템 복구 과정의 진행이 가능한 경우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320)에서 블루투스 모듈(321)의 송신단으로 데이터(Eboot Data)를 송신하고,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블루투스 모듈(311)의 수신단으로 상기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복구 재상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Eboot)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서 시스템 복구(OS Crisis)를 수행하게 된다.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310 initializes a CPU timer, an input / output port, etc. to execute a system recovery process, and also initializes the Bluetooth module so that the mobile device 310 is in a communication state using the Bluetooth module 311.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320 communicates with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31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s 311 and 321, and confirms whether system recovery is possibl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hen the system recovery process can be perform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320 transmits data (Eboot Data) to the transmitting end of the Bluetooth module 321, and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310 of the Bluetooth module 311 Receive data from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at a receiving end. The recovery data mobile device 310 stores the received data in the memory and reads the stored data (Eboot) from the memory to perform a system recovery (OS Crisis).

도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일반적인 디바이스로서 PDA, PMP, 모바일 폰 등이며, 여기서는 복구 대상(Target System)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표현한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320) 또한 일반적인 디바이스로서 PDA, PMP, 모바일 폰 등이며, 여기서는 복구 데이터(Crisis Data)를 보내주는 시스템을 표현한다. 블루투스 모듈(311,321)은 알려진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다.In FIG. 3, the mobile device 310 is a PDA, a PMP, a mobile phone, or the like as a general device, and represents a mobile device that is a target system. Other mobile devices 320 are also common devices, such as PDAs, PMPs, mobile phones, etc., which represent a system for sending recovery data. Bluetooth modules 311 and 321 are known as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윈도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4에서는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310)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복구를 지원할 모바일 디바이스(320)의 내부 구성도 이와 같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window mobile device for explaining a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310 to be recovered, 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320 to support recovery is the same.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블루투스 모듈(311)을 구비하며, 디바이스 제어를 담당하는 CPU(312),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Memory)(313), 시간 정보의 획득을 위한 타이머(Timer)(314), 사용자의 디바이스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Key)(315), CPU(312)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Driver)(316), 그리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포트(I/O)(317)를 포함하고 있다. 도4에서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그 종류와 수행 가능한 기능 등에 따라 이외에도 오디오/비디오 코덱(A/V CODEC)을 포함하거나, 멀티미디어 재생모듈을 포함하거나, 오디오 출력장치나 비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거나,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통신모듈)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는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나 그 기능에 따르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 구성의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The mobile device 31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311 and includes a CPU 312 that is in charge of device control, a memory 313 for storing data, and a timer 314 for obtaining time information. , A key input unit (315) for inputting a device operation command of a user, a driver (316) for controlling driving of an input / output interf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312, and an input / output port for data communication ( I / O) 317.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mobile device 310 may include an audio / video codec,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an audio output device or a video output device, depending on the type and the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Or a protocol stack (communication module) for voice and / or data communication. Since this is based on the type or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a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 ar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나타낸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System recovery of the mobile device shown in FIG. 4 is performed as follows.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하드웨어적으로 키 입력부(315)의 특정 키를 맵핑(mapping)하여 복구 모드로 진입한다. 복구 모드로 진입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10)는 블루투스 모듈(311)을 동작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여기서는 CPU(312), 메모리(313), 타이머(314), 입출력 포트(317)를 초기 화한다. 그리고 블루투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Super-IO 초기화를 수행한다.The mobile device 310 to be restored enters a recovery mode by mapping a specific key of the key input unit 315 in hardware. Upon entering the recovery mode, the mobile device 310 performs a minimum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operating the Bluetooth module 311. Here, the CPU 312, the memory 313, the timer 314, and the input / output port 317 are operated. Initialize. And Super-IO initialization is performed to use Bluetooth.

이어서, 블루투스 모듈의 송신단(Tx), 수신단(Rx)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하고 데이터 오류가 없는지 확인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으로 시스템 복구가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블루투스 통신으로 시스템 복구가 가능한 준비가 완료되면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320)에서 블루투스 모듈(321)의 송신단(Tx)을 통해서 데이터(Eboot)를 송신하고,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310)에서는 블루투스 모듈(311)의 수신단(Rx)으로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메모리(313)에 저장한다.Subsequently, it is checked whether system recovery is possible by Bluetooth communic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transmission terminal (Tx) and the reception terminal (Rx) of the Bluetooth module are normal and whether there is no data error. When the system recovery is complet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320 transmits the data Eboot through the transmitting terminal Tx of the Bluetooth module 321, and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310 transmits the Bluetooth module ( The data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end Rx of 311 and stored in the memory 313.

복구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였으면 CPU(312)는 메모리(313)로부터 데이터(Eboot)를 읽어와서 그 데이터(Eboot)에 근거하여 시스템 복구(crisis)를 실행한다.Upon receiving all of the recovery data, the CPU 312 reads data Eboot from the memory 313 and executes system recovery based on the data Eboot.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 과정을 살펴보자.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1 단계(S501)는 복구모드 진입단계이다. 복구모드의 진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 입력부의 특정 키 맵핑으로 이루어진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특정 키(또는 특정 키의 조합)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복구모드 진입 명령으로 인식함으로써 가능하다.The first step S501 is a recovery mode entry step. Entering the recovery mode is made of a specific key mapping of the key input unit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If there is a specific key (or combination of specific key) input on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is as a recovery mode entry command.

제 2 단계(S502)는 초기화 단계이다. 이는 윈도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루투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CPU, 타이머, 메모리, 입출력 포트 등을 초기화시킨다.The second step S502 is an initialization step. This is to perform a minimum initialization operation to activate Bluetooth of Windows Mobile device. For example, it initializes CPU, timer, memory, input / output ports, etc.

제 3 단계(S503)는 블루투스 초기화 단계이다. 블루투스 초기화는 블루투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Super-IO의 초기화를 실행하는 것이다. 즉, BTUART를 사용하기 위해서 직렬 드라이버 초기화를 수행하고, 블루투스 모듈의 전원을 인에이블(Enable) 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입출력 포트)의 경우는 USB, 직렬 인터페이스, SDIO 등과 같이 디바이스에 맞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입출력 포트의 초기화는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근거하여 실행하면 된다.The third step S503 is a Bluetooth initialization step. Bluetooth initialization is to perform initialization of Super-IO to use Bluetooth. That is, to use BTUART, serial driver initialization is performed, and the power of the Bluetooth module is enabled. In this case, since the interface (input / output port) can be used for a device such as USB, serial interface, SDIO, etc., the initialization of the corresponding input / output por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interface used.

제 4 단계(S504)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복구(crisis)가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블루투스 모듈의 송신단(Tx), 수신단(Rx)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하고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블루투스 통신으로 복구가 가능한 경우에는 제 5 단계(S505)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8 단계(S508)로 이행하여 일반적인 포스트(POST)를 수행한다.The fourth step (S504) is a step of checking whether crisis is possibl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That is, it is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transmitting terminal Tx and the receiving terminal Rx of the Bluetooth module are normal and whether there is no error in the data. In this step, if recovery is possible by Bluetooth communic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ifth step S505.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eighth step S508 to perform a normal POST.

제 5 단계(S505)는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로 데이터(Eboot)를 받는 단계이다. 즉,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320)에서 부트로더(Bootloader) 영역의 데이터를 읽어서 블루투스 모듈(321)의 송신단(Tx)을 통해 전송하고,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310)에서 블루투스 모듈(311)의 수신단(Rx)을 통해서 상기 전송된 데이트를 받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받은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한다.A fifth step S505 is a step of receiving data (Eboot) from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to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That is,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320 reads data of the bootloader area and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transmitting terminal Tx of the Bluetooth module 321, and receives the Bluetooth module 311 from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310. Receive the transmitted data through (Rx). The data receiv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memory.

제 6 단계(S506)는 받은 데이터를 메모리로 읽어들이는 단계이다. 즉, E부트 모드 로딩(Eboot Mode Loading)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로딩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음의 제 7 단계(S507)에서 E부트 모드(Eboot Mode)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복구(OS crisis)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sixth step S506 is a step of reading the received data into the memory. That is, Eboot mode loading is executed. By performing the E-boot mode in the next seventh step S507 based on the loaded data, an OS crisis is achiev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복구를 지원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로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데이터(Eboot 데이터)를 전송하고,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스템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윈도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Eboot data) using Bluetooth from the mobile device to support system recovery using the Bluetooth, and performs system recovery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from the mobile device to be recovered. One way to do this is to recover the Windows Mobile device.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에 따르면, 복구(crisis)를 하기 위한 Z-Tag, 지그(Zig), 복구 파일(Crisis file)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은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복구 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복구를 위한 데이터(Eboot)를 전송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시스템 복구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기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간편하게 시스템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Z-Tag, a Zig, and a Crisis file are not required to perform a crisis. In the mobile device system recove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recovery process can be executed simply by transmitting data (Eboot) for recovery from a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to a mobile device to be restored using Bluetooth. Therefore, system recovery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Windows-based mobile device.

Claims (4)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Initializing a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와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 기반의 확보를 확인하는 단계;Ascert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between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and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로 복구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data for recovery from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to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 및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스템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Receiving and storing the transmitted data at a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and performing a system recovery based on the dat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System recovery control method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윈도우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Windows Mobile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device is a Windows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복구는 윈도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Ebooting 시스템에 근거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ystem recovery is performed based on the Ebooting system in the Windows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지원 모바일 디바이스와 복구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복구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between the recovery support mobile device and the recovery target mobile device is based on Bluetooth.
KR1020060078725A 2006-08-21 2006-08-21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KR200800175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725A KR20080017556A (en) 2006-08-21 2006-08-21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725A KR20080017556A (en) 2006-08-21 2006-08-21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56A true KR20080017556A (en) 2008-02-27

Family

ID=3938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725A KR20080017556A (en) 2006-08-21 2006-08-21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755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1500B (en) * 2008-05-19 2012-02-08 德信无线通讯科技(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user call processing
EP2608595A1 (en) * 2010-08-19 2013-06-26 Huawei Device Co., Ltd. Mobile terminal and failure recovery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1500B (en) * 2008-05-19 2012-02-08 德信无线通讯科技(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user call processing
EP2608595A1 (en) * 2010-08-19 2013-06-26 Huawei Device Co., Ltd. Mobile terminal and failure recovery method thereof
EP2608595A4 (en) * 2010-08-19 2013-08-21 Huawei Device Co Ltd Mobile terminal and failure recovery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6932B2 (en) Device-dependent selection between modes for asymmetric serial protocols
US8332840B2 (en) Method of computer based data card software downloading and updating
RU2729596C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additional functions and methods of their implementation
CN105094903A (en) Method and device for upgrading firmware
EP2821882B1 (en) Computer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working mode of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of the computer device
CN104350808A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pair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movement
JP2006065857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cibly downloading program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285210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recovering operating system 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4572564A (en) Method for realizing communication of Android mobile equipment and USB OTG (On-The-Go) host computer
KR20200140555A (en) Electronic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a dual standby mode and a single standby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00049877A1 (en) Peripheral equipment operating method, peripheral equipment and host
KR20080017556A (en) System crisis of mobile device
US7996697B2 (en) Matching system of electronic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and matching method thereof
US8775126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lack box function
CN105791514B (en) Application starting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WO2013004175A1 (en) Software upgr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WO2016145902A1 (en) Sim car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653412A (en) Fingerprint device compatibility detection method and terminal
KR2021003730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et of control integrated circuit
WO2008054134A1 (en) Terminal having boot lazy loading function for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812504B2 (en) Thin client terminal system
JP2004029885A (en) Connecting device
JP560413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system
CN202748775U (en) Computer system with external BIOS booting effect, bridging device and integrated chip set
KR20060065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peripheral device of mobile multi terminal using us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