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191A -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 Google Patents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191A
KR20080017191A KR1020060079029A KR20060079029A KR20080017191A KR 20080017191 A KR20080017191 A KR 20080017191A KR 1020060079029 A KR1020060079029 A KR 1020060079029A KR 20060079029 A KR20060079029 A KR 20060079029A KR 20080017191 A KR20080017191 A KR 2008001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ight emitting
current
resist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7191A/ko
Publication of KR2008001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부로 흐르는 전류 크기를 제어 신호에 따라 가변시켜 주는 전류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부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광부로 흐르는 전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발광부에 적은 전류가 흐르게 하여 백 라이트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백 라이트, PWM, 듀티비

Description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 Circuit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back light }
도 1a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c는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스위치의 온/오프를 통한 백 라이트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b는 PWM 신호의 듀티비의 변경을 통한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DC 입력 전원 110, 210: DC/DC 컨버터
120, 220 : 발광부 130, 230 : 전류 조절부
140, 240 : PWM 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평판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각광 받고 있는 것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FED(Field Emission Display),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이 중,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개의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에서 각 픽셀(pixel)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의 배열을 변경시킴으로써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소자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높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 때문에 휴대 전화, 노트북 PC, 데스크탑 모니터 및 액정 TV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자연광을 광원으로 이용하는 반사형(Reflective Type) 액정 표시 장치와, 백 라이트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투과형(Transmissive Type) 액정 표시 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a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외부광이 액정층(10) 후방에 위치하는 반사 플레이트(20)에 입사되면, 상기 입사된 광을 반사 플레이트(20)에서 반사되어 액정층(10) 의 광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Back Light)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전력은 감소하지만, 외부 자연광이 어두울 때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도 1b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라이트(30)에서 발생된 광을 액정층(10)의 광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30)를 광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어두운 외부 환경에서도 밝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지만, 전력소모가 높으며, 주변이 백 라이트에서 발생되는 빛보다 밝은 경우에는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반사 플레이트와 백 라이트를 함께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반사형 및 투과형의 양용이 가능한 반 투과형(Transflective Type) 액정 표시 장치가 있는데, 도 1c에서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30)를 사용하지 않고도 표시기능이 가능할 만큼 외부 자연광이 밝을 때에는 입사하는 외부광을 반사 플레이트(20)에 의해 반사하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로서 동작하고, 외부 광이 밝지 않을 때에는 반사 플레이트(20)의 개방부를 통해 백 라이트(30)의 빛이 액정층(10)으로 입사하여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로서 동작한다.
기존의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에서는 주로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였는데, 최근 가격이나 품질면에서 장점을 가지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하게 되었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에서 발생되는 광만을 광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백 라이트의 밝기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보다 많은 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를 사용한다.
따라서, 기존의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하는 백 라이트 제어 회로(Back Light Control Circuit)를 사용하면, 최저 밝기일 때도 상당량의 빛이 백 라이트에서 나오게 되어 이에 따른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그렇다고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자 백 라이트의 전원을 끄게 되면 화면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PDA 기기를 다루는데 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백 라이트의 전원을 끄지 않으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백 라이트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낮추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입력되는 DC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켜 주는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가 출력하는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흐르는 전류 크기를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발광부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조절부는, 상기 발광부와 직렬로 연결된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들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각기 접속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백 라이트 밝기 조절회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입력 전원(100)과, 상기 DC 입력 전원(100)의 전압을 DC 입력 전원(100)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DC/DC 컨버터(110)와, 상기 DC/DC 컨버터(110)가 출력하는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발광부(120)와, 상기 발광부(120)에 흐르는 전류 크기를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130)와,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전압을 검출하여 얻어진 피드백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밝기 조절 신호로 듀티비(Duty Ratio)가 가변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DC/DC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PWM 신호 발생부(140)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의 경우, DC 입력 전원(100)은 보통 3.7V ~ 5V의 전압을 가지는데, 발광부(120)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압은 약 18V ~ 27V가 된다.
따라서, DC 입력 전원(100)을 상기 발광부(120)의 발광 다이오드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시켜 주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이 상기 DC/DC 컨버터(110)이다.
상기 DC/DC 컨버터(110)는 인덕터(L1), 정류용 다이오드(D1), 커패시터(C2)로 이루어지며, 상기 PWM 신호 발생부(140)의 LX단자에서 출력되는 PWM 신호에 따라 인덕터(L1)에서 유도 전압이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전압이 정류용 다이오드(D1), 커패시터(C2)로 출력되어 정류되고 평활된다.
즉, PWM 신호 발생부(140)의 LX단자에서 로우(Low)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는 DC 입력 전원(100)에서 공급되는 DC 전압이 인덕터(L1)에서 축적되고, PWM 신호 발생부(140)의 LX단자에서 하이(High)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는 상기 인덕터(L1)에 축적된 전압에 의한 역기전력이 정류용 다이오드(D1)에서 정류되고, 커패시터(C2)에 서 평활되어 승압된 DC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DC/DC 컨버터(110)를 통해 승압된 전압이 상기 발광부(120)에 인가되어 상기 발광부(120)가 구동하게 되는데, 상기 발광부(120)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120)에는 저항(Ra)과, 상기 저항(Ra)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b)과, 상기 저항(Ra)와 저항(Rb)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어신호(Control Signal)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S1)로 이루어지는 전류 조절부(130)가 연결된다.
상기 전류 조절부(130)는 상기 발광부(120)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발광부(120)에 흐르는 전류의 한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저항값을 가변시켜 상기 발광부(12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발광부(1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저항값을 크게 하면 상기 발광부(120)에는 적은 전류가 흘러 상기 발광부(120)의 최대 밝기 및 최소 밝기는 낮아지고,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저항값을 작게 하면 상기 발광부(120)에는 많은 전류가 흘러 상기 발광부(120)의 최대 밝기 및 최소 밝기는 높아진다.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저항값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S1)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1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스위치(S1)를 온(On)시켜 상기 전류 조절부(130)가 저항(Ra)의 저항값만 가지도록 함으로써, 발광부(120)에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광부(120)의 밝기를 충분히 밝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스위치(S1)를 오프(Off)시켜 상기 전류 조절부(130)가 저항(Ra)과 저항(Rb)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발광부(120)에 적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광부(120)의 밝기를 줄일 수 있다.
다시말하면,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50% 이상으로 하여 충분히 밝은 밝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류 조절부(230)의 스위치(S1)를 온(On)시켜 두고,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0 ~ 30%로 하여 낮은 밝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류 조절부(230)의 스위치(S1)를 오프(Off)시켜 둔다.
상기 PWM 신호 발생부(140)는 상기 전류 조절부(130)의 전압을 검출하여 얻어진 피드백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밝기 조절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120)의 밝기를 조절하는 PWM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상기 발광부(120)의 밝기 조절은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가 100%인 경우, 상기 발광부(120)의 밝기는 최대로 되고,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가 0%인 경우, 상기 발광부(120)의 밝기는 최소로 된다.
그런데,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보다 많은 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를 사용하기 때문에, PWM 신호의 듀티비가 0%인 경우에도 상당량의 빛이 발광부(120)에서 나오게 되어 이에 따른 전력 소모가 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WM 신호의 듀티비가 0 ~ 30%로 낮은 경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S1)를 오프(Off)시켜 전류 조절부(130)가 저항(Ra) 및 저항(Rb)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낮출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S1)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발광부(1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충분한 밝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S1)를 온시켜 둔 상태로 사용을 하고, 그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S1)를 오프시켜 둔 상태로 사용을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120)의 밝기를 이중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먼저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S1)를 온 또는 오프시켜 전류 조절부(130)의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바꿀수 있고, 다음으로 PWM 신호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 내에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전류 조절부(130)의 스위치(S1)를 온(On)시켜 상기 전류 조절부(130)가 저항(Ra)의 저항값만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는 80 cd이고, 최대 밝기는 300 cd를 나타내는데, 상기 스위치(S1)를 오프(Off)시켜 상기 전류 조절부(130)가 저항(Ra)과 저항(Rb)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는 1cd로, 최대 밝기는 150cd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조절부(130)의 스위치(S1)의 온/오프를 통해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부(2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변경시킬수 있으며, 특히 스위치(S1)를 오프(Off)시키는 경우,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낮출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미 설정된 발광부(1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 내에서 PWM 신호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부(2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전류 조절부(130)의 스위치(S1)의 온/오프를 통해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1cd에서 300cd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서 발광부(1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입력 전원(200)과, 상기 DC 입력 전원(200)의 전압을 DC 입력 전원(200)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DC/DC 컨버터(210)와, 상기 DC/DC 컨버터(210)가 출력하는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발광부(220)와, 상기 발광부(220)에 흐르는 전류 크기를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발광부(220)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230)와, 상기 전류 조절부(230)의 전압을 검출하여 얻어진 피드백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밝기 조절 신호로 듀티비(Duty Ratio)가 가변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DC/DC 컨버터(21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PWM 신호 발생부(2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류 조절부(230)는 저항(Ra)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Rb)...(Rx))과, 상기 저항들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각기 접속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스위치((S1)(S2)...(SN))로 이루어진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S1)(S2)...(SN))을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전류 조절부(230)의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부(2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발광부에 적은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발광부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낮출수 있어 백 라이트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평소에는 스위치를 온시켜 둔 상태로 사용을 하여 충분한 밝기를 내도록 하고, 그이외의 경우에는 스위치를 오프시켜 둔 상태로 사용을 하여 발광부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낮추어줌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입력되는 DC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시켜 주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가 출력하는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발광부의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백 라이트 밝기 조절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밝기 조절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제1저항;
    상기 제1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저항; 및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들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각기 접속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밝기 조절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부의 전압을 검출하여 얻어진 피드백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밝기 조절 신호로 듀티비가 가변되는 PWM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PWM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밝기 조절 회로.
KR1020060079029A 2006-08-21 2006-08-21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KR20080017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029A KR20080017191A (ko) 2006-08-21 2006-08-21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029A KR20080017191A (ko) 2006-08-21 2006-08-21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91A true KR20080017191A (ko) 2008-02-26

Family

ID=3938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029A KR20080017191A (ko) 2006-08-21 2006-08-21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719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57A (ko) * 2009-04-24 2010-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033972B1 (ko) * 2009-11-09 2011-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129993B1 (ko) * 2010-05-28 2012-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의 전류 제어 장치
US8970575B2 (en) 2010-01-18 2015-03-03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source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80090364A (ko) * 2015-12-09 2018-08-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회로, 전자 장치, 및 백라이트 조절 방법
CN116168654A (zh) * 2023-04-14 2023-05-26 杭州凡诺电子有限公司 显示屏背光源控制电路、显示屏及电子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57A (ko) * 2009-04-24 2010-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033972B1 (ko) * 2009-11-09 2011-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US8970575B2 (en) 2010-01-18 2015-03-03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source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129993B1 (ko) * 2010-05-28 2012-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의 전류 제어 장치
KR20180090364A (ko) * 2015-12-09 2018-08-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회로, 전자 장치, 및 백라이트 조절 방법
US10499472B2 (en) 2015-12-09 2019-1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Backlight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backlight adjustment method
CN116168654A (zh) * 2023-04-14 2023-05-26 杭州凡诺电子有限公司 显示屏背光源控制电路、显示屏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138B1 (ko)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22311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brightness with ambient light correction
JP4781987B2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US7317403B2 (en) LED light source for backlighting with integrated electronics
JP3755770B2 (ja) 負荷駆動装置及び携帯機器
JP2000163016A (ja) 自己発光素子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229822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60108933A1 (en) Light emitted diode driving apparatus
US20110012521A1 (en) Backlight Unit With Controlled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304597A1 (en) Low power backlight for display
GB2437111A (en) Driving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groups of light emitting diodes
US10178732B2 (en) Backlight unit,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942087B2 (ja) Led駆動制御装置
KR20080079046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8077862A (ja) 調光回路
WO2013012688A1 (en) Enhanced resolution of luminance levels in a backlight unit of a display device
CN211237683U (zh) 背光调节电路及显示装置
KR20080017191A (ko) 백 라이트의 밝기 조절 회로
JP2010011608A (ja) 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US8106879B2 (en) Backlight control circuit
KR101202036B1 (ko)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장치
US20080128594A1 (en) Backlight module with controlled output light intensity and driving method for same
TW53512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20848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방법과 이를가지는 이동 단말기
EP2611265A2 (en) Driv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