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451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451A
KR20080016451A KR20070075315A KR20070075315A KR20080016451A KR 20080016451 A KR20080016451 A KR 20080016451A KR 20070075315 A KR20070075315 A KR 20070075315A KR 20070075315 A KR20070075315 A KR 20070075315A KR 20080016451 A KR20080016451 A KR 2008001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area
transmission
data
relay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7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후지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단말기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릴레이국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릴레이국이 동시에 존재하여도, 단말기가 서로의 통신에 간섭을 주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은, 단말기(3a)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데이터만을 송신한다.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은,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단말기(3b)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의 송신 영역 설정 수단(1a)은, 단말기(3a, 3b),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 및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3b)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릴레이국, 단말기, 서브프레임, 기지국, 프레임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고, 단말기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기지국, 단말기,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선 링크에 의해 상위의 네트워크와 접속된 무선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무선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무선에 의한 릴레이 전송을 행하는 릴레이국을 도입한 시스템이 존재한다. 릴레이국을 도입함으로써, 통신 에리어의 확대나, 단말기의 통신 스루풋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8은, 무선 릴레이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BS(Base Station)(101), RS(Relay Station)(102), 및 MS(Mobile Station)(103)가 나타내어져 있다. BS(101), RS(102), 및 MS(103)는, 각각 무선 통신을 행한다.
RS(102)는, BS(101)로부터 보면 MS에 상당하고, MS로부터 보면 BS(101)에 상당하도록 동작한다. RS(102)는, BS(101) 또는 MS(103)가 송신한 무선 신호를 일단 수신하고, 필요한 처리를 행하여, BS(101) 또는 MS(103)에 송신한다. BS(101)와 MS(103) 사이에 RS(102)를 1대 경유하는 1단 접속이나, 2대 이상의 RS(102)를 경유하는 다단 접속이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릴레이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IEEE의 802.16(WiMAX) 등이 있다. 특히, Mobile Multihop Relay(MMR)로서 802.16j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릴레이국은, 802.16j에서 Relay Station이라고 불리고 있다.
RS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2종류의 통신 시스템이 고려된다.
도 19는, 통신 시스템의 그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BS(111), RS(112), MS(113, 114)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BS(111)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121) 및 RS(112)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122)가 나타내어져 있다.
통신 시스템 그 1에서는, RS(112)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프리앰블, 맵 정보 등)를 송신하지 않고, MS(114)에의 데이터 혹은 MS(114)로부터의 데이터만을 중계한다. 이에 의해, 전파 손실을 억제하여, 고속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RS(112)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MS(114)는, RS(112)의 존재를 인식하지 않고, 마치, BS(111)와 직접 통신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MS(114)가 BS(111)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항상 수신할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것이 전제로 된다.
도 20은, 통신 시스템의 그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BS(131), RS(132), 및 MS(133)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BS(131)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141) 및 RS(132)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142)가 나타내어져 있다.
통신 시스템 그 2에서는, MS(133)는, BS(131)가 커버하는 에리어(141)의 밖(MS(133)가, BS(131)가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에리어의 밖)에 존재한다. 이 경우, RS(132)가, RS(132)가 커버하는 에리어(142) 내에 있는 MS(133)에 대하여, BS(131)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따라서, BS(131)의 에리어(141) 밖이고, RS(132)의 에리어(142) 안에 있는 MS(133)에 있어서는, RS(132)가 BS(131)와 같이 보여서, MS(133)는, BS(131)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닿지 않는 에리어이어도, RS(132)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비특허 문헌1] IEEE Std802.16-2004
[비특허 문헌2] IEEE Std802.16e-2005
이상 설명한 2개의 통신 시스템의 RS는, 각각 서로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므로,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BS는 2개의 통신 시스템의 RS를 수용하는 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지만, 지금까지는 그러한 구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통신 시스템 그 2에서 나타낸 RS는, BS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MS에 제어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할 수 없는 시분할 다중 시스템에서는, RS가 BS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타이밍과, MS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과는 서로 다르다. 이 때, RS 관리 하의 MS는, RS의 제어 정보를 기준으로 프레임 타이밍을 검출하므로, BS의 프레임 타이밍과는 서로 다르게 된다.
또한, 통신 시스템 그 1에 나타낸 RS는, 그 자체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으므로, 이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의 프레임 타이밍은, BS 관리 하의 MS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의 프레임 타이밍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의 프레임 타이밍은 서로 다른 것으로 된다.
RS의 2개의 통신 시스템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의 경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가, RS로부터 지정된 리소스를 사용해서 수신 동작에 들어가고 있을 때에, 가까운데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가, BS로부터 동일한 리소스를 지정받아 송신 동작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의 관리 하에 있는 MS가 송신하는 신호에 간섭되어, 충분한 품질로 통신할 수 없다.
또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가 수신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가 송신을 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제어 정보는 큰 전력으로 송신되므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는 큰 간섭을 받는다.
이와 같이,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MS가 동시에 송수신 동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복수의 RS가 동시에 송수신 동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간섭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가 동시에 존재하여도, 단말기가 서로의 통신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1)에서, 단말기(3a, 3b),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 및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3b)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송신 영역 설정 수단(1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1)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1)에 따르면, 송신 영역 설정 수단(1a)이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3b)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의 관리 하에 있는 단말기(3b)의 수신 동작 중에,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의 관리 하에 있는 단말기(3a)가 송신 동작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관리 하에 있는 단말기의 수신 동작 중에,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의 관리 하에 있는 단말기가 송신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단말기가 서로의 통신에 간섭을 주는 경우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무선 통신 장치(1),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 및 단말기(3a, 3b)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은, 단말기(3a)에 데이터만을 송신하고, 예를 들면, 프리앰블이나 맵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은, 데이터를 송신함과 함께 단말기(3b)에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기(3a)는,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제어 정보를 직접 수신하지만, 데이터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기(3b)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수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1)의 송신 영역 설정 수단(1a)은, 단말기(3a, 3b), 제어 정 보 비송신 릴레이국(2a), 및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3b)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단말기(3a)는, 송신 영역 설정 수단(1a)으로부터 데이터만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을 통해서 수신하고, 제어 정보는 직접 수신한다. 이에 대하여, 단말기(3b)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기(3a)와 단말기(3b)의 프레임 타이밍은 서로 다르다.
그 때문에, 단말기(3b)가 수신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단말기(3a)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던 데이터 송신 영역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있어, 신호가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송신 영역 설정 수단(1a)은,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3b)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므로, 단말기(3b)가 수신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단말기(3a)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던 데이터 송신 영역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으로부터 관리 하의 단말기(3b)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의 관리 하에 있는 단말기(3b)의 수신 동작 중에,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의 관리 하에 있는 단말기(3a)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송신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단말기(3a, 3b)가 서로 간섭을 주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2a)과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2b)의 송수신 동작도 중복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이들이 서로 간섭을 주는 경우는 없다. 또한, 간섭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스루풋이 향상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BS(11), RS(21, 22), 및 MS(31∼33)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는, BS(11)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41), RS(21)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42), 및 RS(22)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 에리어(43)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는 C는, BS(11), RS(21, 22), 및 MS(31∼33)에서 송수신되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이나 맵 정보 등의 제어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D는, BS(11), RS(21, 22), 및 MS(31∼33)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MS(31)는, BS(11)와 직접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MS(32)는, 제어 정보에 관해서는, BS(11)로부터 직접 수신하고, 데이터에 관해서는, RS(21)를 통해서 BS(11)와 송수신을 행한다. MS(33)는, BS(11)의 에리어(41) 외에 존재하고, RS(22)를 통하여, BS(11)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MS(33)는, RS(22)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BS(11)가 통신하는 프레임은, DL(Down Link) 서브프레임과 UL(Up Link) 서브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BS(11)는, RS(22)가 관리 하의 MS(33)에 제어 정보 및 데 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프레임 내에 설정하는데, DL 서브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UL 서브프레임 내에서는, MS(32)가 RS(21)에 데이터 송신하는 영역이 설정된다. 그러나, MS(33)의 수신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DL 서브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므로, MS(33)는, MS(32)가 송신하는 신호에 간섭되는 경우는 없다.
마찬가지로, BS(11)는, RS(22)의 관리 하의 MS(33)가 RS(22)에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프레임 내에 설정하는데, UL 서브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MS(32)는, MS(33)가 송신하는 신호에 간섭되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가 동시에 존재하여도, MS(31∼33)의 신호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RS(21, 22)가 동시에 송수신 동작하는 경우도 없으므로, RS(21, 22)의 신호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다음으로, 도 2의 BS(11)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BS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11)는, 리소스 매니지먼트부(50), 상위 레이어 제어부(61), 버퍼(62), DL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송신 버퍼(63), ULHARQ 수신 버퍼(64), 송신부(65), 및 수신부(66)를 갖고 있다.
리소스 매니지먼트부(50)는, 리소스 할당부(51), 재송 제어부(52), DL 서브프레임 제어부(53), UL 서브프레임 제어부(54), 프리앰블 생성부(55), 및 제어 정 보 생성부(56)를 갖고 있다.
리소스 매니지먼트부(50)의 DL 서브프레임 제어부(53)는, BS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부(53a), BS-R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b), BS-M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c), RS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부(53d), 제어 정보 송신 RS-M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e), 및 제어 정보 비송신 RS-M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f)를 갖고 있다.
리소스 매니지먼트부(50)의 UL 서브프레임 제어부(54)는, MS-B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a), MS-제어 정보 송신 R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b), MS-제어 정보 비송신 R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c), RS-B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d)를 갖고 있다.
BS(11)의 하향 방향의 송신 동작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하향 방향의 데이터는, 네트워크측으로부터 상위 레이어 제어부(61)를 통해서 수신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일단 버퍼(62)에 보존되고, 이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리소스 매니지먼트부(50)로 보내진다.
리소스 매니지먼트부(50)에서는, 리소스 할당부(51)와 DL 서브프레임 제어부(53)와 UL 서브프레임 제어부(54)에 의해, 프레임의 구성 설정, 송신 데이터의 결정을 행한다.
재송 제어부(52)는, DL/UL의 ARQ(Automatic Repeat Request)나 HARQ를 제어하고, ACK/NACK의 작성이나 재송의 지시를 행한다. DL 서브프레임 제어부(53) 및 UL 서브프레임 제어부(54) 내의 각 설정부는, 리소스 할당부(51)와 협동해서 전체 의 리소스를 각 영역에 배분한다.
DL 서브프레임 제어부(53)의 BS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부(53a)는, BS(11)로부터 관리 하의 RS(21, 22), MS(31∼33)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영역이란, 프레임의 송신 개시 시각, 프레임의 선두 시각으로부터의 오프셋, 송신 기간을 나타낸다. 즉, 각 설정부는, 프레임 구성을 상기한 영역에 의해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BS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부(53a)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8의 Frame의 선두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도 8의 기간 D1이 대응함)을 설정하고 있다.
BS-R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b)는, BS(11)로부터 관리 하의 RS(21, 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BS-M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c)는, BS(11)로부터 관리 하의 MS(3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RS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부(53d)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RS(22) 관리 하의 MS(33)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 정보 송신 RS-M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e)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RS(22)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 정보 비송신 RS-MS 하향 송신 영역 설정부(53f)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로부터 RS(21) 관리 하의 MS(3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UL 서브프레임 제어부(54)의 MS-B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a)는, BS(11) 관리 하의 MS(31)로부터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MS-제어 정보 송신 R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b)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MS-제어 정보 비송신 R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c)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 관리 하의 MS(32)로부터 RS(2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RS-BS 상향 송신 영역 설정부(54d)는, BS(11) 관리 하의 RS(21, 22)로부터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DL 서브프레임 제어부(53) 및 UL 서브프레임 제어부(54)에서 결정한 프레임 구성은, 제어 정보 생성부(56)에 의해 제어 정보로서 모여지고, 송신부(65)로부터 BS 제어 정보 송신 영역(예를 들면, 도 8의 기간 D1이 대응함)에서 송신된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1, 22), MS(31∼33)는,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된 영역에서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제어 정보에는, 프리앰블 생성부(55)에서 생성된, 프레임 타이밍을 알리기 위한 프리앰블도 포함된다.
리소스 할당부(51)로부터 송신이 지시된 DL 데이터는, 버퍼(62)로부터 추출되고, 송신부(65)로부터 송신된다. 재송 제어부(52)로부터 송신이 지시된 BS(11)의 DLHARQ 재송 데이터는, DLHARQ 송신 버퍼(63)로부터 추출되고, 송신부(65)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RS(21, 22)로 보내지는 데이터는, BS-RS 하향 송신 영역에서 송신되 고, MS(31)로 보내지는 데이터는, BS-MS 하향 송신 영역에서 송신된다(각 송신 영역은, 예를 들면, 도 8의 기간 D3, 기간 D2가 대응함).
BS(11)의 상향 방향의 수신 동작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수신부(66)는, MS(31)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MS-BS 상향 송신 영역에서 수신하고, RS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RS-BS 상향 송신 영역에서 수신한다(각 송신 영역은, 예를 들면, 도 8의 기간 U1, 기간 U4가 대응함).
수신된 신호 중, 상향 유저 데이터는, 상위 레이어 제어부(61)로 보내지고, 네트워크측에 송신된다. 상향 제어 정보는, 리소스 할당부(51)로 보내진다. 상향 제어 정보에는, 상향, 하향의 전파로의 품질이나, 대역 요구 등이 포함되고, 리소스 할당부(5l) 및 DL/UL 서브프레임 제어부(53, 54)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송신 영역을 결정한다. 또한, DLHARQ 데이터에 대한 ACK/NACK는, 재송 제어부(52)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BS(1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어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BS(11)로부터 RS(21, 22) 및 MS(31, 32)에 송신되는 제어 정보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방향과 서브채널 방향으로, 프리앰블의 정보와 맵 정보가 할당된다. 각 맵 내에는, 송수신 시각, 송수신 기간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1, 22) 및 MS(31, 32)는, 수신한 제어 정보의 맵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송수신 영역을 인식하고, 그 영역 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RS(22)으로부터 MS(33)에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RS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RS(22)로부터 MS(33)에 송신되는 제어 정보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방향과 서브채널 방향으로, 프리앰블 정보와 맵 정보가 할당된다. 각 맵 내에는, 송수신 시각, 송수신 기간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어 정보를 수신한 MS(33)는, 수신한 제어 정보의 맵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송수신 영역을 인식하고, 그 영역 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도 5의 제어 정보는, RS(22)가 BS(11)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생성한다.
다음으로, DL 서브프레임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D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6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1] BS(11)는, BS(11)로부터 RS(21, 22) 및 MS(31, 32)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도면 중 BC; BroadCast)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RS(21, 22) 및 MS(31, 32)는, 네트워크에 엔트리하기 위해 BS(1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따라서, 이 제어 정보는, 프레임의 선두에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스텝 S2] BS(11)는, BS(11)로부터 RS(21, 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3] BS(11)는, BS(11)로부터 관리 하의 MS(3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4]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3)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2) 및 MS(33)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시각을 프레임의 선두라고 인식하여,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다.
[스텝 S5]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관리 하의 MS(33)는, BS(11)가 송신하는 프레임 타이밍과는 서로 다른 프레임 타이밍에서 동작하고 있다. BS(11)의 UL 서브프레임의 기간에서는, BS(11)의 관리 하의 MS(31, 32)는 데이터 송신을 하는데, 이 때 RS(22)의 관리 하의 MS(33)가 DL 서브프레임의 수신 동작을 하고 있으면, MS(31, 32)가 송신하는 신호가 MS(33)에 대하여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BS(11)는, 프레임 타이밍이 서로 다른 MS(31, 32)와 MS(33) 사이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서, RS(22)의 관리 하의 MS(33)가 행하는 수신 동작의 기간을, BS(11)의 DL 서브프레임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MS(33)에의 데이터 송신은, 제어 정보 송신의 직후로 한다. MS(33) 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가 아니면 프레임 타이밍을 알 수 없고, 또한, 수신 동작을 연속해서 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텝 S6]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이상의 스텝에서 설정되는 영역에 대해서, 스텝 S1에서 설정되는 영역 이외에는, DL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순서를 묻지 않는다.
다음으로, UL 서브프레임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U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4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11] BS(11)는, BS(11) 관리 하의 MS(31)가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12]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가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의 프레임 타이밍은, BS(11)의 프레임 타이밍과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이, BS(11)의 DL 서브프레임 기간에 중복되게 되면, RS(22) 관리 하의 MS(33)가 송신하는 신호가, 수신 동작을 행하고 있는 BS(11) 관리 하의 MS(31) 또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의 관리 하의 MS(32)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BS(11)는, 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RS(22)의 관리 하의 MS(33)가 행하는 송신 동작을, BS(11)의 UL 서브프레임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스텝 S13]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 관리 하의 MS(32)가 RS(2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14] BS(11)는, RS(21, 22)가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이상으로 설정되는 영역은, UL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순서를 묻지 않는다. 단,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의 순서는 반드시 DL이 앞으로 되도록 한다. 이는, DL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정보에 프레임 전체 구성이 실려 있고, RS(21, 22), MS(31, 32)는 그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송수신 동작을 행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영역 설정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0(프레임의 선두)에서, 제어 정보가 BS(1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어, RS(21, 22), MS(31, 32)에서 수신된다.
IEEE802.16e에서는, 제어 정보로서 프리앰블과 맵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서 정의한 송신 영역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맵 정보로서 송신된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1, 22), MS(31, 32)는, 맵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관계되는 송수신 영역을 사용한다.
제어 정보의 송신 후에, 시각 D1로부터 기간 D2의 영역에서는, BS(11)로부터 MS(31)에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시각 D1+D2로부터 기간 D3의 영역에서는, BS(11)로부터 RS(21, 22)에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에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RS(21, 22)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D1+D2+D3으로부터 기간 D4의 영역에서는, RS(21)로부터 MS(32)에의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RS(21)는, 제어 정보를 보내지 않으므로, RS(21)로부터 송신하는 영역의 정보는, 미리 BS(1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의해 RS(21)와 MS(32)에 통지해 둔다.
시각 D1+D2+D3+D4로부터 기간 D5의 영역에서는, RS(22)로부터 제어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된다. IEEE802.16e을 기초로 한 시스템(예를 들면, IEEE802.16j)에서는, 상기 설명에서 정의한 MS(33)의 송수신 영역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맴핑 정보로서 송신된다. MS(33)는, RS(22)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RS(22)의 프레임 타이밍을 파악한다. 또한, MS(33)가 RS(22)에 접속한 후에는, RS(22)로부터의 제어 정보로부터 MS(33)에 대한 송수신 타이밍, 기간을 통지받는다.
시각 D1+D2+D3+D4+D5로부터 기간 D6의 영역에서는, RS(22)로부터 MS(33)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송신이 종료하면, BS(11)의 프레임 타이밍의 DL 서브프레임 영역이 종료하고, UL 서브프레임 영역이 개시된다.
UL 서브프레임 영역의 개시는,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RS(21, 22), MS(31, 32)에 미리 통지되고 있고, RS(21, 22), MS(31, 32)는, 그 개시 타이밍과,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지정된 타이밍 및 기간에 기초하여, BS(11) 또는 RS(21, 22)에의 데이터 송신을 행한다. BS(11)의 DL 서브프레임의 기간을 TDLsubframe이라고 하면, 시각 TDLsubframe으로부터 기간 U1의 영역에서, MS(31)로부터 BS(1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시각 TDLsubframe+U1로부터 기간 U2의 영역에서는, MS(32)로부터 RS(2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시각 TDLsubframe+U1+U2로부터 기간 U3의 영역에서는,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의 송신 영역은, RS(22)로부터 송신된 제어 정보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시각 TDLsubframe+U1+U2+U3으로부터 기간 U4의 영역에서는, RS(21, 22)로부터 BS(1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으로부터 BS(11)에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BS(11)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 1프레임분의 송수신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DL 서브프레임 내에, RS(22)로부터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UL 서브프레임 내에, RS(22) 관리 하의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가 동시에 존재하여도, MS(31∼33)의 신호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RS(21, 22)가 동시에 송수신 동작하는 경우도 없으므로, RS(21, 22)의 신호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신호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BS(11)가,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DL 서브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설정을, 제어 정보를 송 신하는 RS(22)에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RS(22)는, 자체적으로 MS(33)에 송신하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의 영역이, BS(11)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RS(22)는, 도 8에서 기간 D5, D6이 BS(11)의 DL 서브프레임의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또한, BS(11)가,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UL 서브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설정을,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에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RS(22)는, 자체적으로 MS(33)가 RS(22)에 데이터 송신하는 영역을, BS(11)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RS(22)는, 도 8에서 기간 U3이 BS(11)의 UL 서브프레임의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RS의 송수신 동작의 절환은 지연이 수반하고, 그 동안은 송수신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RS의 송수신 동작의 절환 횟수를 저감하도록 한다. 또한, 임의의 RS가 송수신 절환을 행할 때, 다른 RS에 송수신 동작을 행하게 하고, RS의 송수신 동작의 절환에 간격을 비워, 송수신 동작이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D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6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21] BS(11)는, RS(21, 22), MS(31, 32)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도면 중 BC)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RS(21, 22), MS(31, 32)는, 네트워크에 엔트 리하기 위해 BS(1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따라서, 이 제어 정보는, 프레임의 선두에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스텝 S22] BS(11)는, RS(21, 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23] BS(11)는, 관리 하의 MS(3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24]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3)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2) 및 MS(33)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시각을 프레임의 선두라고 인식하여,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다.
[스텝 S25]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관리 하의 MS(33)는, BS(11)가 송신하는 프레임 타이밍과는 서로 다른 프레임 타이밍에서 동작하고 있다. BS(11)의 UL 서브프레임 기간에서는, BS(11)의 관리 하의 MS(31, 32)는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 때 RS(22) 관리 하의 MS(33)가 DL 서브프레임의 수신 동작을 하고 있으면, MS(31, 32)가 송신하는 신호가 MS(33)에 대하여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BS(11)는, 프레임 타이밍이 서로 다른 MS(31, 32)와 MS(33) 사이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서, RS(22)의 관리 하의 MS(33)가 행하는 수신 동작의 기간을, BS(11)의 DL 서브프레임 기간 내에 들어가게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MS(33)에의 데이터 송신은, 제어 정보 송신의 직후로 한다. MS(33) 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가 아니면 프레임 타이밍을 알 수 없고, 또한, 수신 동작을 연속해서 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텝 S26]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이상으로 설정되는 영역은, 상기 스텝의 순번으로 배열하도록 설정한다.
도 10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U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4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31] BS(11)는, RS(21, 22)가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32] BS(11)는, 관리 하의 MS(31)가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33]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가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의 프레임 타이밍은, BS(11)의 프레임 타이밍과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이, BS(11)의 DL 서브프레임 기간과 중복되게 되면, RS(22) 관리 하의 MS(33)가 송신하는 신호가, 수신 동작을 행하고 있는 BS(11) 관리 하의 MS(31) 또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의 관리 하의 MS(32)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BS(11)는, 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RS(22)의 관리 하의 MS(33)가 행하는 송신 동작을, BS(11)의 UL 서브프레임 기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스텝 S34]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 관리 하의 MS(32)가 RS(2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스텝에서 설정되는 영역은, UL 서브프레임의 개시 시각으로부터이 순서로 배열하도록 설정한다. 단, 스텝 S33, S34는, 순서가 바뀌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영역 설정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0(프레임의 선두)에서, 제어 정보가 BS(1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어, RS(21, 22), MS(31, 32)에서 수신된다.
제어 정보의 송신 후에, 시각 D1로부터 기간 D2의 영역에서는, BS(11)로부터 RS(21, 22)에 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진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에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RS(21, 22)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D1+D2로부터 기간 D3의 영역에서는, BS(11)로부터 MS(31)에 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진다.
시각 D1+D2+D3으로부터 기간 D4의 영역에서는, RS(21)로부터 MS(32)에의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RS(21)는, 제어 정보를 보내지 않으므로, RS(21)로부터 송신하는 영역의 정보는, 미리 BS(1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의해 RS(21)와 MS(32)에 통지해 둔다.
시각 D1+D2+D3+D4로부터 기간 D5의 영역에서는, RS(22)로부터 제어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된다. MS(33)는, RS(22)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RS(22)의 프레임 타이밍을 파악한다. 또한, MS(33)가 RS(22)에 접속한 후에는, RS(22)로부터의 제어 정보로부터 MS(33)에 대한 송수신 타이밍, 기간을 통지받는다.
시각 D1+D2+D3+D4+D5로부터 기간 D6의 영역에서는, RS(22)로부터 MS(33)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송신이 종료하면, BS(11)의 프레임 타이밍의 DL 서브프레임 영역이 종료하고, UL 서브프레임 영역이 개시된다.
UL 서브프레임 영역의 개시는,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RS(21, 22), MS(31, 32)에 미리 통지되고 있고, RS(21, 22), MS(31, 32)는, 그 개시 타이밍과,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지정된 타이밍 및 기간에 기초하여, BS(11) 또는 RS(21, 22)에의 데이터 송신을 행한다. BS(11)의 DL 서브프레임의 기간을 TDLsubframe으로 하면, 시각 TDLsubframe으로부터 기간 U1의 영역에서, RS(21, 22)로부터 BS(1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BS(11)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TDLsubframe+U1로부터 기간 U2의 영역에서는, MS(31)로부터 BS(1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시각 TDLsubframe+U1+U2로부터 기간 U3의 영역에서는, MS(32)로부터 RS(2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의 송신 영역은, RS(22)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시각 TDLsubframe+U1+U2+U3으로부터 기간 U4의 영역에서는,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상으로 1프레임분의 송수신이 완료된다.
송신 동작과 수신 동작의 절환에는 지연이 수반하므로, 그 동안은 송수신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상과 같이 송신 영역을 설정하면, RS(21, 22)에서의 1프레임 중의 송수신 동작의 절환 횟수를 가장 적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RS(21)는, 다음의 프레임의 선두까지의 사이에 수신, 수신, 송신, 수신, 송신, 수신으로, 송수신을 4회 절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에서는, RS(21)는, 수신, 수신, 송신, 송신, 수신, 수신으로, 송수신을 2회 절환하고 있다. 즉, BS(11)의 UL 서브프레임에서의 RS(21, 22)의 최초의 영역을, BS에 데이터 송신하는 영역으로 함으로써, 절환 횟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RS(21, 22)의 DL 서브프레임의 최후의 영역은, 데이터 송신의 영역으로 끝난다. RS(21, 22)는, BS(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MS(32, 33)에 송신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11의 D4, D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으로 끝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환에서는, 송신으로부터 수신 또는 수신으로부터 송신으로 절환될 때에, 다른 RS의 송신을 대기하는 구간이 반드시 들어가므로, 그 동안에 송수신 동작 절환을 행함으로써, 송수신 동작 절환의 지연에 의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이 멈추어지는 기간을 제로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MS에는,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BS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 중 어느 하나만의 제어 정보만 보이는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2의 MS(33)는, RS(22)의 제어 정보는 보이고, BS(11)의 제어 정보는 보이지 않는다. MS(31)는, BS(11)의 제어 정보는 보이고, RS(22)의 제어 정보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MS에의 데이터 송신의 영역을 중복하여 설정하고, 동일한 리소스를 할당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리소스의 유효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D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7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41] BS(11)는, RS(21, 22), MS(31, 32)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도면 중 BC)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RS(21, 22), MS(31, 32)는, 네트워크에 엔트리하기 위해 BS(1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따라서, 제어 정보는, 프레임의 선두에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스텝 S42] BS(11)는, RS(21, 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43]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3)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이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2) 또는 MS(33)는, 이 제어 정보를 수신한 시각을 프레임의 선두라고 인식하여,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다.
[스텝 S44] BS(11)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중, BS(11)의 관리 하에 있는 MS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45] BS(11)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중,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46] BS(11)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중 어느 하나만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31, 33)에, BS(11) 또는 RS(22)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이 때, BS(11)와 RS(22)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도 된다.
[스텝 S47]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도면의 틀(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에서는, BS(11)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BS(11)는, 스텝 S44, S46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틀(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보이는 에리어에 존재하는 MS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영역으로 되도록 한다. 즉, 스텝 S44, S45의 MS에는,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영역으로 되도록 영역을 설정한다. 동일한 영역으로 하면 간섭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틀(7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46의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 는 RS(22) 중 어느 하나만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31, 33)에 대해서는, 동일한 영역을 설정한다.
이상으로 설정되는 영역은, 스텝 S41을 선두로 하고, 스텝 S43 후에 스텝 S44∼S46이 계속되도록 하는 것 이 외에는, DL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순서는 묻지 않는다. 단,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환 횟수를 최소로 하는 경우에는, DL 서브프레임 내에서 이 순번으로 배열하도록 설정한다. 이 때, 스텝 S43∼S45의 순서는 묻지 않는다.
스텝 S44, S45에서는, BS(11)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간섭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텝 S46에서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가 송신하는 영역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리소스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BS(11) 관리 하의 MS(3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의 신호가 닿지 않으므로, 간섭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는, BS(11)로부터의 신호가 닿지 않으므로,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3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U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5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61] BS(11)는, RS(21, 22)가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62] BS(11)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 중, BS(11) 관리 하의 MS로부터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63] BS(11)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 중,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로부터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64] BS(11)는,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중 어느 하나만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31, 33)로부터, BS(11) 또는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이 때,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MS(31)와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MS(33)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도 된다.
[스텝 S65]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 관리 하의 MS(32)가 RS(2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도면의 틀(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11)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보이는 에리어에 존재하는 MS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영역으로 되도록 한다. 즉, 스텝 S62, S63의 MS에는,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영역으로 되도록 영역을 설정한다. 동일한 영역으로 하면 간섭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설정되는 영역은, UL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순서는 묻지 않는다.
단,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환 횟수를 최소로 하는 경우에는, 이 순서로 배열하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영역 설정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 다.
도 14는,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0(프레임의 선두)에서, 제어 정보가 BS(1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어, RS(21, 22), MS(31, 32)에서 수신된다.
제어 정보의 송신 후에, 시각 D1로부터 기간 D2의 영역에서는, BS(11)로부터 RS(21, 22)에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에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RS(21, 22)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D1+D2로부터 기간 D3의 영역에서는, RS(22)로부터 제어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되어, MS(33)에서 수신된다.
시각 D1+D2+D3으로부터 기간 D4의 영역에서는, BS(11)와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 중, BS(11) 관리 하의 MS에, BS(11)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도면의 BS→MSTx에 대응하는 BS→MSRx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MS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각 D1+D2+D3+D4로부터 기간 D5의 영역에서는, BS(11)와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 중, RS(22) 관리 하의 MS에, RS(22)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한다.
시각 D1+D2+D3+D4+D5로부터 기간 D6의 영역에서는, BS(11)의 제어 정보만이 닿는 MS(31)와, RS(22)의 제어 정보만이 닿는 MS(33)에, BS(11)와 RS(22)로부터 각각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BS(11)와 RS(22)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도 된다.
DL 서브프레임의 최후의 시각 D1+D2+D3+D4+D5+D6으로부터 기간 D7의 영역에서는, RS(21)로부터 MS(32)에의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RS(21)는, 제어 정보를 보내지 않으므로, RS(21)로부터 송신하는 영역의 정보는, 미리 BS(1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서 RS(21)와 MS(32)에 통지해 둔다. 이 송신이 종료하면, BS(11)의 프레임 타이밍의 DL 서브프레임 영역이 종료하고, UL 서브프레임 영역이 개시된다.
UL 서브프레임 영역의 개시는,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RS(21, 22), MS(31, 32)에 미리 통지되고 있고, RS(21, 22), MS(31, 32)는, 그 개시 타이밍과,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지정된 타이밍 및 기간에 기초하여, BS(11) 또는 RS(21, 22)에의 데이터 송신을 행한다. BS(11)의 DL 서브프레임의 기간을 TDLsubframe으로 하면, 시각 TDLsubframe으로부터 기간 U1의 영역에서는, RS(21, 22)로부터 BS(1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BS(11)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TDLsubframe+U1로부터 기간 U2의 영역에서는, BS(11)와 RS(22)의 양방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 중, BS(11) 관리 하의 MS로부터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도면의 MS→BSRx에 대응하는 MS→BSTx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MS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각 TDLsubframe+U1+U2로부터 기간 U3의 영역에서는, BS(11)와 RS(22)의 양방 의 제어 정보가 닿는 에리어에 있는 MS 중, RS(22) 관리 하의 MS로부터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시각 TDLsubframe+U1+U2+U3으로부터 기간 U4의 영역에서는, BS(11)의 제어 정보만이 닿는 MS(31)와, RS(22)의 제어 정보만이 닿는 MS(33)로부터, BS(11)와 RS(22)의 각각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MS(31)와 MS(33)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도 된다.
시각 TDLsubframe+U1+U2+U3+U4로부터 기간 U5의 영역에서, MS(32)로부터 RS(2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상으로 1프레임분의 송수신이 완료된다.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해서 송신을 행하고 있는 영역(도면의 D6, U4)에서는, MS(31, 33)는, 서로의 제어 정보가 보이지 않는 부분에 있으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소스의 유효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MS의 SINR 등에 의해 신호의 간섭을 측정한다. 그리고, 간섭에 따라서, BS(11) 관리 하의 MS(31)에 데이터 송신하는 영역, RS(21) 관리 하의 MS(32)에 데이터 송신하는 영역, 및 RS(22)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 송신하는 영역을 동일한 영역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D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4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71] BS(11)는, RS(21, 22), MS(31, 32)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도면 중 BC)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RS(21, 22), MS(31, 32)는, 네트워크에 엔트리하기 위해 BS(11)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따라서, 제어 정보는, 프레임의 선두에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스텝 S72] BS(11)는, BS(11)로부터 RS(21, 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73] BS(11)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3)에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RS(22) 또는 MS(33)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시각을 프레임의 선두라고 인식하여, 프레임의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다.
[스텝 S74] BS(11)는, BS(11) 관리 하의 MS(3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로부터 그 관리 하의 MS(3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이 때,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로부터 관리 하의 MS(3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은, 틀(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73에서 설정되는 영역보다 후로 되도록 한다.
또한, 틀(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MS에서의 간섭이 임계치 이하로 되는 경우, BS(11), RS(21, 22)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고, 간섭이 임계치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한다.
이상으로 설정되는 영역에서, 스텝 S73의 영역은, 스텝 S74의 영역의 일부로 되어도 된다. 또한, 스텝 S71을 선두로 하면, 스텝 S72와 스텝 S73, S74의 DL 서브프레임 내의 순서는 묻지 않는다. 단,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환 횟수를 최소로 하는 경우에는, DL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의 순번으로 배열하도록 설정한다.
도 16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UL 서브프레임은, 이하의 스텝에 기초하여, 2개의 영역이 설정된다.
[스텝 S81] BS(11)는, RS(21, 22)가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스텝 S82] BS(11)는, BS(11) 관리 하의 MS(31)로부터 BS(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RS(22) 관리 하의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과,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RS(21) 관리 하의 MS(32)로부터 RS(2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이 때, 데이터를 수신하는 BS(11), RS(21, 22)에서의 간섭이 임계치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틀(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MS(31∼33) 사이에서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고, 간섭이 임계치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한다.
이상으로 설정되는 영역은, UL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순서를 묻지 않는다. 단,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환 횟수를 최소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순서로 배열하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영역 설정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0(프레임의 선두)에서, 제어 정보가 BS(1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어, RS(21, 22), MS(31, 32)에서 수신된다.
제어 정보의 송신 후에, 시각 D1로부터 기간 D2의 영역에서는, BS(11)로부터 RS(21, 22)에 데이터 송신이 행해진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에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RS(21, 22)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D1+D2로부터 기간 D3의 영역에서는, RS(22)로부터 제어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되어, MS(33)에서 수신된다.
또한, 시각 D1+D2로부터 기간 D4의 영역에서는, BS(11), RS(21, 22)가 관리 하의 MS(31∼33)에 데이터 송신한다. 이 때, RS(22)의 송신 영역만은, 시각 D1+D2+D3으로부터로 된다. 또한, 각 MS(31∼33)에서 예상되는 간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BS(11)와 RS(21, 22)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고, 간섭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서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한다. 이 데이터 송신이 종료하면, BS(11)의 프레임 타이밍에서의 DL 서브프레임 영역이 종료하고, UL 서브프레임 영역이 개시된다.
UL 서브프레임 영역의 개시는,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RS(21, 22), MS(31, 32)에 미리 통지되고 있고, RS(21, 22), MS(31, 32)는, 그 개시 타이밍과, BS(11)의 제어 정보에 의해 지정된 타이밍 및 기간에 기초하여, BS(11) 또는 RS(21, 22)에의 송신을 행한다. BS(11)의 DL 서브프레임 기간을 TDLsubframe으로 하면, 시각 TDLsubframe으로부터 기간 U1의 영역에서는, RS(21, 22)로부터 BS(11)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때, RS(21, 22)의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은, 시분할 다중, 서브채널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공간 분할 다중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BS(11)에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시각 TDLsubframe+U1로부터 기간 U2의 영역에서는, MS(31)로부터 BS(11)에, MS(32)로부터 RS(21)에, MS(33)로부터 RS(22)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각 BS(11), RS(21, 22)에서 예상되는 간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각 MS(31∼33)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고, 간섭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서로 다른 리소스를 사용한다. 이상으로 1프레임분의 송수신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간섭이 적은 경우에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리소스의 유효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부기 1)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부기 2)
상기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업링크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3)
상기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선두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과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릴레이국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4)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과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영역을 간격이 비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정하는 릴레이국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5)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한쪽의 상기 제어 정보만 인식할 수 있는 에리어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기에의, 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1 중복 영역 설정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한쪽의 상기 제어 정보만 인식할 수 있는 에리어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기의, 그 무선 통신 장치에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2 중복 영역 설정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6)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무선 통신의 간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1 임계치 중복 영역 설정 수단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에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무선 통신의 간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2 임계치 중복 영역 설정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7)
상기 프레임은,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8)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기,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 송신하는 영역을 상기 프레임의 선두에 설정하는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9)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단말기,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상기 프레임 내에 설정되는 데이터 송수신의 영역의 정보와, 상기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이 설정한 영역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이 송신하는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이 설정한 영역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10)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고, 상기 단말기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제어 정보와 상기 데이터와의 영역이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송신 영역 설정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부기 11)
상기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로부터 그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업링크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12)
기지국, 단말기, 데이터만 송신하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3)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도 1은 무선 통신 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BS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제어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RS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D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UL 서브프레임의 설정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무선 릴레이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통신 시스템의 그 1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통신 시스템의 그 2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통신 장치
1a : 송신 영역 설정 수단
2a :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2b :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
3a, 3b : 단말기

Claims (10)

  1.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송신 영역 설정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업링크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선두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과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릴레이국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과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영역을 간격이 비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정하는 릴레이국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한쪽의 상기 제어 정보만 인식할 수 있는 에리어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기에의, 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1 중복 영역 설정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의 한쪽의 상기 제어 정보만 인식할 수 있는 에리어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기의, 그 무선 통신 장치에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2 중복 영역 설정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무선 통신의 간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1 임계치 중복 영역 설정 수단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의 데이터 송신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에의 데이터 송신과의 영역을, 무선 통신의 간섭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중복하여 설정하는 제2 임계치 중복 영역 설정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기, 상기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에 송신하는 영역을 상기 프레임의 선두에 설정하는 제어 정보 송신 영역 설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고, 상기 단말기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 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제어 정보와 상기 데이터의 영역이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송신 영역 설정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기지국, 단말기, 데이터만 송신하는 제어 정보 비송신 릴레이국, 및 상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정보 송신 릴레이국으로부터 관리 하의 상기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20070075315A 2006-08-18 2007-07-26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80016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23520 2006-08-18
JP2006223520A JP4805751B2 (ja) 2006-08-18 2006-08-18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369A Division KR20100032873A (ko) 2006-08-18 2010-02-25 단말기, 기지국, 릴레이국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451A true KR20080016451A (ko) 2008-02-21

Family

ID=38669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5315A KR20080016451A (ko) 2006-08-18 2007-07-26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00017369A KR20100032873A (ko) 2006-08-18 2010-02-25 단말기, 기지국, 릴레이국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369A KR20100032873A (ko) 2006-08-18 2010-02-25 단말기, 기지국, 릴레이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1776B2 (ko)
EP (1) EP1890440A2 (ko)
JP (1) JP4805751B2 (ko)
KR (2) KR20080016451A (ko)
CN (1) CN1011276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883A2 (ko) * 2009-02-19 201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단말에 대한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4318A1 (fr) 2006-10-13 2008-04-17 Fujitsu Limited Station de base radio, station relais et procédé de commande de communication
WO2008044317A1 (en) * 2006-10-13 2008-04-17 Fujitsu Limited Wireless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frequency band allocation method
US8149726B2 (en) * 2007-01-04 2012-04-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219203A1 (en) * 2007-03-09 2008-09-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c process and flexible connection in wireless multi-hop relaying network
US20080247354A1 (en) * 2007-04-03 2008-10-09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ackets based on a multi-hop relay standard
CN101483511B (zh) * 2008-01-09 2013-09-18 三星电子株式会社 适用于多tdd系统共存的方法
CN101588289A (zh) * 2008-05-20 2009-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中继通信系统的数据传输方法
US8964653B2 (en) 2008-07-11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device identification and cognitive communication
US8848580B2 (en) * 2008-08-01 2014-09-30 Lg Electronics Inc.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backhaul link and access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KR101527978B1 (ko) *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649293B2 (en) * 2008-08-28 2014-02-11 Zte Corporation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ntrol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US7760702B2 (en) * 2008-08-29 2010-07-20 Motorola, Inc.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protocol for a multihop cooperative relay communication network
KR101502561B1 (ko) * 2008-09-12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JP4980321B2 (ja) * 2008-09-16 2012-07-1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KR101556794B1 (ko) * 2008-09-29 2015-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릴레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971241B2 (en) * 2008-09-30 2015-03-03 Qualcol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730115B (zh) * 2008-10-24 2013-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传输的方法及设备
KR101487562B1 (ko) 2008-11-11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US8594008B2 (en) * 2008-11-18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Relay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JP2012514911A (ja) * 2009-01-06 2012-06-28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中継を実施する基地局、中継局、移動端末およびその対応する方法
US8879469B2 (en) 2009-02-17 2014-1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between a relay and a base station
EP2222011A3 (en) 2009-02-19 2014-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4924A (ko) * 2009-02-19 201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 동작 방법
KR101532223B1 (ko) * 2009-02-20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0121539A1 (zh) * 2009-04-24 2010-10-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tdd系统回程链路通信方法、设备和系统
GB2469689A (en) 2009-04-24 2010-10-27 Nec Corp Relay communications system
US8289895B2 (en) 2009-04-24 2012-10-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lay link HARQ operation
US9094993B2 (en) 2009-04-27 2015-07-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CN101908954B (zh) * 2009-06-0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中继节点上行传输冲突的方法及装置
KR101622227B1 (ko) 2009-07-26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위한 제어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2036399B (zh) * 2009-09-29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回程链路发送上行控制信息的方法
KR101729783B1 (ko) * 2009-12-18 201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통해 단말 및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228700A1 (en) * 2010-03-16 2011-09-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frame Allocation for In-Band Relay Nodes
CN102237990A (zh) * 2010-04-30 2011-11-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确定中继链路harq时序关系的方法
CN102448073B (zh) * 2010-09-30 2016-03-3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混合型中继节点、基站以及混合型中继方法
CN102904695B (zh) * 2011-07-28 2016-03-30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射频链路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US9049668B2 (en) 2012-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2D relays as an underlay in LTE uplink
US9072000B2 (en) 2012-10-19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relay discovery protocol
US9900931B2 (en) 2013-05-02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relay selection
US10044450B2 (en) 2013-05-08 2018-08-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7151849A1 (en) 2016-03-02 2017-09-08 Kyocera Corporation Control signaling for the relay scenarios
CN110392430B (zh) * 2018-04-18 2022-06-1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n接口资源分配方法
CN112751593B (zh) * 2019-10-29 2022-08-0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装置、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0695B2 (ja) * 2000-11-30 2003-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中継装置
JP2005026816A (ja) * 2003-06-30 2005-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システム
JP4494134B2 (ja) 2004-09-01 2010-06-30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1199383B1 (ko) * 2006-03-02 2012-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통한 레인징 수행 방법 및 그 지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883A2 (ko) * 2009-02-19 201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단말에 대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0095883A3 (ko) * 2009-02-19 201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단말에 대한 통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873A (ko) 2010-03-26
CN101127665A (zh) 2008-02-20
JP2008048286A (ja) 2008-02-28
JP4805751B2 (ja) 2011-11-02
EP1890440A2 (en) 2008-02-20
US20080045144A1 (en) 2008-02-21
US7751776B2 (en)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751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2217352B (zh) 在通信系统中进行中继
CN101505188B (zh) 无线电中继站和无线电终端
KR100911293B1 (ko) 중계국, 무선 기지국 및 통신 방법
KR101465151B1 (ko)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188706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8242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전송을 릴레이 노드로 제어하는 방법
US8265044B2 (en) Method, system and base station using frame configuration which supports relay for wireless transmission
JP5393875B2 (ja) Tddシステムバックホールリンク通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101239073B1 (ko) 동기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에 기초하여 무선 중계 네트워크에서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54422A (ko) 무선 릴레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1038783A1 (en) A method and apparatus
CN101925118B (zh) 一种避免接口传输冲突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393905A (zh) 在无线通信系统中优先化中继节点的操作的方法和其装置
EP20589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K channel transmission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CN101438535A (zh) 多跳中继宽带无线接入通信系统中支持中继服务的设备和方法
US20230108413A1 (en) Operation method of du of parent node communicating with mt of iab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KR100993417B1 (ko) 중첩코딩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전송이 가능한 릴레이네트워크 및 엔티티
KR20140060213A (ko) 이동체에서의 릴레이 시스템
KR101633516B1 (ko) 자원 분할에 기반한 릴레이 시스템
CN102158323A (zh) 中继发送回程信号的方法
CN102036383A (zh) 下行数据发送方法及系统
KR20090070737A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1670742B1 (ko)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CN101888701A (zh) 一种避免上行链路干扰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