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177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177A
KR20080016177A KR20060077942A KR20060077942A KR20080016177A KR 20080016177 A KR20080016177 A KR 20080016177A KR 20060077942 A KR20060077942 A KR 20060077942A KR 20060077942 A KR20060077942 A KR 20060077942A KR 20080016177 A KR20080016177 A KR 2008001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ake
quiz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7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7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6177A/en
Publication of KR2008001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177A/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 wake-up call servi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are provided to deliver wake-up call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ntil a user's confirmation exists, thereby realizing a more active wake-up call function.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it is decided whether wake-up call setup time comes(S200-S208). If so, random wake-up call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at wake-up call setup time intervals through the terminal(S210). If a user's confirmation exists from the terminal, the transmission of the wake-up call information is interrupted(S212,S214). The wake-up call information set through the terminal is managed through an intelligent network.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Wake-up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ake-up servi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흐름도,2 is a morning cal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rning call service pro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흐름도.3 is a morning cal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rning call service pro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MS(Mobile Station)100: MS (Mobile Station)

200 : 이동통신망2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2/1∼202/n, 204/1∼204/n :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202/1 to 202 / n, 204/1 to 204 / n: 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206/1∼206/n : BSC(Base Station Controller)206/1 to 206 / n: BSC (Base Station Controller)

208 : MSC(Mobile Switching Center)208: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10 : SCP(Service Control Point)210: SCP (Service Control Poin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모닝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과 가입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ve)을 통해 보다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모닝콜 기능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rning call service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rning call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itable for implementing a more direct and active morning call funct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ubscribe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통신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보급률이 급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rapidly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has been increas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one of the necessities of modern man.

이에 따라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PCS, 셀룰러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상대방과의 정보전달 수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Accordingly, most people ha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CS, cellular phones, and PDAs. 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used as various communication means as well as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with specific counterparts.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 중에는, 일정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기상시간을 인지시키는 모닝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인 모닝콜 기능은, 매일 알람 음을 울리게 하거나 정해진 기간, 예컨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알람 음을 울리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명종과 같은 단순한 알람 음에 국한되지 않고 벨, 멜로디, 진동 등의 모드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wake-up call function that generates an alarm at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gnizes the wake-up time to the user. A typical wake-up function means to sound an alarm every day or to sound an alarm for a set period of time, such as Monday to Frida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set a mode such as a bell, melody, vibration, etc. without being limited to a simple alarm sound such as an alarm clock, thereby providing a better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user.

그런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기능은, 일반 자명종과 마찬가지로 기계 자체적으로 알람 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모닝콜 기능을 해제해 버리게 되면 그 기능이 더 이상 작동 하지 않게 된다.However, the wake-up function of such a mobile terminal, like the alarm clock itself, generates an alarm sound and notifies the user. Therefor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terminal or releases the wake-up function, the function no longer works. Will not.

한편, SS7(Signaling System 7)은 80년대 음성 망에서 특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지능망 프로토콜의 일 형태로서, 음성통신의 호출정보와 데이터 통신의 접속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1차적인 기능은 신속한 호 설정과 원격 데이터베이스 참조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잭션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통화설정, 요금청구, 통화 라우팅을 지원하기 위해 OOB(Out-of Band) 시그널링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전화망인 PSTN과의 정보교환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패킷데이터통신망(PDSN)과 PSTN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SS7 (Signaling System 7) is a form of intelligent network protocol designed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in the voice network in the 80's, a protoco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all inform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ccess information of voice communication. Its primary function is to provide transactional capabilities to perform fast call setup and remote database reference operations. It also features out-of-band signaling (OOB) to support call setup, billing, and call routing. It performs a function of bridging between the packet data communication network (PDSN) and the PSTN by performing an information exchange function.

일반적인 지능망에서 사용하는 No.7 프로토콜이 음성통신 호출에 대한 메타정보를 관리하는 것에 비해 SS7은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 모두의 메타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다르며, 이에 따라 SS7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의 통합 환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능망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통화 라우팅, 지역번호 이식성, 선불/후불 전화카드 등의 응용프로그램과 IP 전화에 있어서 SS7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SS7 manages meta information of both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whereas No.7 protocol used in general intelligent network manages meta information of voice communication call. It is possible to develop various intelligent network systems based on the integrated environment of communication. In particular, SS7 is very important in applications such as call routing, area code portability, prepaid and postpaid calling cards, and IP phones.

현재 음성통신망의 신호방식은 SS7로 통합 운영되고 있으며, VoIP, UMS, 지능망에 필수연동 신호방식으로 채택되고 있다. SS7은 고속 패킷 스위칭과, SSP(Service Switching Point)를 사용한 대역외 신호처리, STP(Signal Transfer Point), SCP(Service Control Point) 등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At present, voice communication network is SS7 integrated operation and is adopted as essential interworking signaling method for VoIP, UMS, intelligent network. SS7 features high-speed packet switching, out-of-band signal processing using SSP (Service Switching Point), STP (Signal Transfer Point), and SCP (Service Control Point).

이때, SCP는 지능망 서비스의 로직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어기로서,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모든 과정을 제어한다. 이러한 SCP는 SS7 기반과 IP 기반 지능망 표준 프로토콜(INAP, WIN, CAMEL)을 이용하여 타 망 자원들과도 연동된다.At this time, SCP is a service controller that manages the logic and data of the intelligent network service, and controls all processes of the intelligent network service. This SCP also interoperates with other network resources using SS7-based and IP-based intelligent network standard protocols (INAP, WIN, CAMEL).

서비스 제어기인 SCP에서 SCP#1은 지역할인 서비스 제어기이다. 지역할인 서비스라 함은, 특정 지역에서의 통화료를 할인해 주는 서비스를 말하며, SCP#1은 지역할인 서비스를 위해 클라이언트의 발신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MSC)으로부터 획득한다.In SCP, the service controller, SCP # 1 is the regional discount service controller. Regional discount service is a service that discounts the call charge in a specific area, and SCP # 1 obtains the client's origin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for the regional discount service.

본 출원인은, 이러한 이동통신망,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능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모닝콜 기능에 비하여 보다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는데 착안하였다.Applicant, if you can send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uc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re specifically, an intelligent network,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direct and active service than the morning call function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 thought about i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상황을 감안하고 그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사용자 확인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보다 능동적인 모닝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technical limitations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state of the ar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active wake-up function by continuously send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til the user confi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ke-up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모닝콜 정보 송출 시에 미리 설정된 퀴즈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시하고 가입자로부터의 퀴즈 응답에 따른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망과 가입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퀴즈 진행에 따른 흥미를 유발시켜 보다 능동적인 모닝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quiz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ubscriber to present the preset quiz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at the time of send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ag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iz response from the subscriber It is to provide a wake-up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induce interest to implement a more active wake-up call fun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이 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 섹터 단위로 할당된 임의 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전송 시스템과, 상기 기지국 전송 시스템을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 전송 시스템으로부터의 위치등록정보를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 제어부로부터의 위치등록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및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모닝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닝콜 설정 시간을 파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하는 이동통신 교환국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모닝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수되는 퀴즈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관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system for serving the wake-up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interfac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ed in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area allocated by sector unit wireless communication A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providing a service, a base sta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anag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location-based ser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control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determining a wake-up call setting time based on the wake-up call information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tation. To terminal Managing gongdoel Wake-up information, and provides a morning call service system manages the quiz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by categor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system controller for provi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활성화되면 모닝콜 설정 시간이 도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닝콜 설정 시간이 도래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설정된 모닝콜 설정 시간 간격으로 임의의 모닝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상기 모닝콜 정보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rv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ake-up call setup time has arriv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and If the wake-up call setup time arrives, transmitting arbitrary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wake-up call setup time interval s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pping transmission of the wake-up call information when the user confirm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provides a morning call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변형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퀴즈 형태의 모닝콜 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으로 서, 설정된 시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면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퀴즈 정보를 제공하여 퀴즈 진행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퀴즈 진행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퀴즈 진행 결과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의 접수를 집계하고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되는 마일리지에 따라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되는 급수에 따라 퀴즈 난이도를 차등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ervice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in the form of quiz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end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et tim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user confi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re is a user confi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quiz category exists; and if the preset quiz category exists, providing a quiz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quiz progress mode; and when the quiz progress mode is completed, the quiz proceeds. Count the receipt of mobile clients according to the result And a step of granting mileage, and resetting a series of mobile clients according to the mileage granted and differentially applying a quiz difficulty according to the reset seri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MS(Mobile Station)(100), 이동통신망(200), 기지국 전송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 이하 BTS라 약칭함)(202/1∼202/n, 204/1∼204/n),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 이하 BSC라 약칭함)(206/1∼206/n), 이동통신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MSC라 약칭함)(208), 시스템 제어기(System Control Point : 이하 SCP라 약칭함)(210)를 포함 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implementing a wake-up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tation (MS)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TS) Abbreviated) (202/1 to 202 / n, 204/1 to 204 / n), base station controller (abbreviated as BSC) (206/1 to 206 / n), mobile switching station (Mobile Switching) Center: abbreviated as MSC) 208, and System Controller Point (hereinafter abbreviated as SCP) 210.

MS(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셀룰러폰, PCS폰, DMB폰 등의(또는 소지하는) 이동 클라이언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BTS(202/1∼202/n, 204/1, 204/n)와 IS-2000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도면에는 하나의 MS(100)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동통신망(200)에 접속되는 MS는 다수 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S 100 refers to a mobile client such as (or possess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 DMB phone, and the like. The BTSs 202/1 to 202 / n, 204/1, 204 / n) and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subscribers by interfacing with wireless connection according to IS-2000 standard. At this time, only one MS 100 is shown in the drawing,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a plurality of MS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be configured.

BTS(202/1∼202/n, 204/1, 204/n)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것으로, 섹터 단위로 할당된 통신 영역을 각각 관장하고,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MS(100)와 IS-2000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호 처리, 핸드오프 및 위치등록과 같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BTSs 202/1 to 202 / n, 204/1, and 204 / n represent base stations, which respectively manage communication areas allocated in sector units, and enter the MS 100 and IS- which enter the communication area. It provide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call processing, handoff and location registration to subscribers by interfacing with wireless connection according to 2000 standard.

BSC(206/1∼206/n)는 MSC(208)와 BTS(202/1∼202/n, 204/1, 204/n)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PSTN(도시 생략됨)을 통해 인터넷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Vo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BSC(206/1∼206/n)는 복수 개의 BTS(202/1∼202/n, 204/1, 204/n)를 제어하고 MSC(208)와의 통신을 위해 호 처리, 핸드오프를 수행하며,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등록정보를 MSC(208)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SCs 206/1 to 206 / n are located between the MSC 208 and the BTSs 202/1 to 202 / n, 204/1 and 204 / n, respectively, and have an Internet matching function through a PSTN (not shown). Performs a vocoding function for the voice. The BSCs 206/1 to 206 / n control the plurality of BTSs 202/1 to 202 / n, 204/1, and 204 / n, and perform call processing and handoff for communication with the MSC 208. It performs the role of delive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each base station to the MSC (208).

MSC(208)는 예를 들면, CDMA 2000망에서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를 이동통신망 내의 각종부가장비, 예컨대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 LBS) 서버, 부가서비스 서버와 연결시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타 망, 예를 들 면 PSTN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MSC(208)는 후술하는 SCP(210)와 연계하여 MS(100)로부터 모닝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모닝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닝콜 설정 시간을 파악하여 MS(100)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MSC(208)은 상기 모닝콜 정보 송출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퀴즈 진행 모드를 수행하여 MS(100)로 퀴즈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MS(100)로부터 퀴즈 정보에 대한 답변이 접수되면 MS(100)의 점수를 집계하고 마일리지를 부여한다. 집계된 점수는 MS(100)의 퀴즈 진행 급수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급수에 따라 퀴즈 난이도를 차등 적용하게 된다.The MSC 208 performs an exchange function in, for example, a CDMA 2000 network, and provides an additional service by connecting a subscriber to various additional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server and an additional service server. Or, it connects with other network, for example, PSTN, to provide services. The MSC 20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morning call information from the MS 100 in association with SCP 210 to be described later, grasps the morning call setting time based on the input morning call information, and wakes up the call information to the MS 100. It plays a role of sending out. In addition, the MSC 208 provides the quiz information to the MS 100 by performing the quiz progress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t this time, when an answer to the quiz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S 100, the score of the MS 100 is counted and mileage is given. The aggregated score is used to set the quiz progress series of the MS 100, and apply the quiz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eries.

SCP(210)는 지능망을 위한 시스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No.7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수행 교환기(SSP)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검사, 경로지정정보 번역 등의 서비스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SCP(210)는 가입자 DB를 활용하여 선불이동전화 서비스, 상한 요금제 서비스, 지역할인 및 번호변환 서비스 등을 지원한다.SCP 210 performs a system control function for an intelligent network, and is a system of No. 7 signal network that is in charge of service control, and performs service control such as qualified inspection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erformance switch (SSP) and translation of routing information. Perform For example, SCP 210 uses a subscriber DB to support prepaid mobile phone service, capping service, regional discount and number conversion service.

본 실시예에서의 SCP(210)는, 상기 MSC(208)와 연계하여 MS(100)로 제공될 모닝콜 정보를 관리하며, MS(100)로부터 접수된 퀴즈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SCP(210)에서 관리되는 모닝콜 정보 및 퀴즈 정보는 MSC(208)에 의해 MS(100)로 송출될 수 있다.The SCP 210 in this embodiment manages morning cal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MS 100 in association with the MSC 208 and manages quiz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S 100 by category. . As such,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and the quiz information managed by the SCP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MS 100 by the MSC 208.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과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의 모닝콜 정보 및 퀴즈 정 보 송출 과정은 MS(100), MSC(208), SCP(210)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바, 발명의 핵심을 부각시키고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BTS, BSC 등의 기능 및 상세한 신호 전송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ures 2 and 3 attached to the morning call service pro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and quiz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is mainly dealt with by the MS 100, MSC 208, and SCP 210, highlighting the core of the invention and overlapping the description. In order to avoid this,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of BTS and BSC and detail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es will be omitted.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과정의 흐름도이다.First, FIG. 2 is a flowchart of a morning call service pro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200)에서 MS(100)가 활성화되면, MSC(208)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SCP(210) 내에 모닝콜 정보, 즉 이동 클라이언트에 의해 기 설정된 모닝콜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MS 100 is activated in step S200,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202 to wake up call information in the SCP 210, that is, wake up call information preset by the mobile client. Determine if is present.

단계(S202)의 판단 결과, SCP(210) 내에 모닝콜 정보가 존재하면 MSC(208)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MS(100)에게 모닝콜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것인지를 문의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2, if the wake-up call information exists in the SCP 210,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204 and inquires the MS 100 whether to input the wake-up call information.

단계(S204)의 판단 결과, MS(100)로부터 모닝콜 정보 입력 모드가 요청되면, MSC(208)는 단계(S206)로 진행하여 모닝콜 정보 입력 및 수정 모드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모닝콜 정보 입력 및 수정 모드에서는 MS(100) 측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닝콜 정보, 예를 들면 원하는 모닝콜 시작 시간, 모닝콜 주기 등을 입력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04, if the wake-up call information input mode is requested from the MS 100,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206 and proceeds to the wake-up call information input and modification mode. In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input and modification mode, the MS 100 may input the desired wake-up call information, for example, a desired wake-up call start time and a wake-up call period.

한편, 단계(S204)의 판단 결과, 모닝콜 정보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MSC(208)는 단계(S208)로 진행하여 MS(100)를 통해 입력된 모닝콜 설정 시간이 도래되었는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04 that the MSC 208 is not in the wake-up call information input mode,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208 to determine whether a wake-up call setup time input through the MS 100 has arrived.

단계(S208)의 판단 결과, 모닝콜 설정 시간이 도래되었으면, MSC(208)는 단 계(S210)로 진행하여 MS(100)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MS(100)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함에 있어 MS(10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MS(100) 측의 이동 클라이언트가 응답하지 않더라도 음성 사서함에 강제 접속되지 않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8, when the wake-up call setting time arrives,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210 to send the wake-up call information to the MS 100.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is sent to the MS 100, the MS 100 is not turned off or the mobile client of the MS 100 does not respond. d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닝콜 정보를 송출함에 있어 보다 능동적인 사용자 응답을 유도하기 위해 단계(S212)에서와 같이 퀴즈 진행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퀴즈 진행 모드에 대해서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induce a more active user response in transmitt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he quiz progress mode is performed as in step S212. Such a quiz progress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of FIG. 3.

다른 한편, MSC(208)는 단계(S214)에서와 같이, MS(100)로부터의 사용자 응답이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사용자 응답이 발생하면 본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의 사용자 응답이라 함은, 모닝콜 정보(또는 퀴즈 정보) 송출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확인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SC 208 determines whether a user response from the MS 100 occurs as in step S214, and terminates this process if a user response occurs. The user response herein refers to user confirmation of sending morning call information (or quiz information),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ly sending morning call information until there is user confirmation.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사용자 확인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알람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ntends to implement a more active and active alarm service by continuously sending alarm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til there is a user confi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퀴즈 진행 방식으로 모닝콜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implementing a wake-up service in a quiz progress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300)에서 MSC(208)는, MS(100)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통신망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도시 생략됨)에 접속하 는지를 판단하고, MS(100)가 무선 통신망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면 MSC(208)는 단계(S302)로 진행하여 SCP(210) 내에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MS(100) 측에서 퀴즈 정보를 입력하거나 퀴즈를 진행함에 있어 무선 통신망을 통할 수도 있고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통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in step S300, the MSC 208 determines whether the MS 100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short message service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When the MS 100 acces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short message service server,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302 to determine whether a preset quiz category exists in the SCP 21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quiz information may be input or the quiz may be performed by the MS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server.

단계(S302)의 판단 결과, SCP(210) 내에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MSC(208)는 단계(S304)로 진행하여 퀴즈 정보 입력 모드를 수행한다. 퀴즈 정보 입력 모드에서는 이동 클라이언트가 희망하는 퀴즈 정보, 예컨대 상식, 계산, 어학 등과 같은 문제 종류 및 문제 개수를 무선 통신망 또는 단문 메시지 서버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2, if there is no preset quiz category in the SCP 210,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304 to perform the quiz information input mode. In the quiz information input mode, the mobile client may input quiz information desired by the mobile client, for example, a problem type and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common sense, calculation, and languag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short message server.

단계(S302)의 판단 결과, SCO(210) 내에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면, MSC(208)는 단계(S306)로 진행하여 MS(100)에게 퀴즈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에서 상식 문제를 발췌하여 MS(100)에게 제공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2, if a preset quiz category exists in the SCO 210,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306 to present a quiz to the MS 100. For example, the common sense problem is extracted from the quiz category set by the mobile client and provided to the MS 100.

이러한 퀴즈 제시에 의한 무선 통신망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통한 이동 클라이언트의 퀴즈 진행이 완료되면(S308), MSC(208)는 단계(S310)로 진행하여 해당 이동 클라이언트의 점수를 집계하고 마일리지를 부여하도록 한다. 즉, 퀴즈 진행 결과에 따른 점수와 마일리지를 SCP(210)에서 관리하도록 한다.When the quiz progress of the mobile clien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short message service server by the presentation of the quiz is completed (S308),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310 to aggregate the score of the mobile client and grant mileage do. In other words, the score and mileage according to the quiz progress is to be managed by SCP (210).

접수 집계가 끝나면, MSC(208)는 단계(S312)로 진행하여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를 재설정한다. 즉, 상술한 퀴즈 제시 과정(S306)에서는 퀴즈 진행 결과가 상 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해당 이동 클라이언트가 정답을 많이 맞힌 경우에는 누적 마일리지가 늘어나게 되고, 이러한 마일리지에 따라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이동 클라이언트의 초기 급수는, 예를 들어 18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퀴즈 진행 결과에 따라 18등급에서 17등급 또는 16등급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reception count is finished, the MSC 208 proceeds to step S312 to reset the series of mobile clients.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quiz presentation process (S306), the quiz progress result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lient has a lot of correct answers, the accumulated mileage increases, and according to the mileage, the number of mobile clients is increased. Step up. The initial number of mobile clients, for example, may be set to 18 grades, and may be changed from 18 grades to 17 grades or 16 grad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iz.

이후, 단계(S314)에서 MSC(208)는 최종 설정된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에 따라 퀴즈 난이도를 차등 적용하도록 한다.Thereafter, in step S314, the MSC 208 differentially applies the quiz difficulty according to the finally set number of mobile cli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송출하되, 알람 정보를 퀴즈 형태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문제를 직접 풀도록 유도하여 가입자와 사업자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도록 구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larm information is presented in a quiz form to induce the user to solve the problem directly to maximi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scriber and the operator. It is an implement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사용자 확인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송출하여 보다 능동적인 모닝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모닝콜 정보 송출 시에 미리 설정된 퀴즈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시하고 가입자가 문제를 풀 수 있게 하여 이동통신망과 가입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퀴즈 진행에 따른 흥미를 유발시켜 보다 능동적인 모닝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ntil the user confirms to implement a more active morning call function, and when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preset quiz information is presented to the subscriber. By enabling subscribers to solve problem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interact with subscribers to induce interest along the quiz process, thereby enabling a more active wake-up call funct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laims (13)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serving morning call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활성화되면 모닝콜 설정 시간이 도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wake-up call setup time has arriv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상기 모닝콜 설정 시간이 도래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설정된 모닝콜 설정 시간 간격으로 임의의 모닝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와,If the wake-up call setup time arrives, transmitting arbitrary wake-up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wake-up call setup time interval s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상기 모닝콜 정보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Stopping transmission of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when there is user confi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Wake-up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법은,The metho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모닝콜 정보 추가 입력이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측에서 원하는 모닝콜 시작 시간 및 모닝콜 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모닝콜 정보 입력 및 수정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wake-up call information input and modification mode for inputting the desired wake-up call start time and wake-up call perio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quested to add the wake-up call information. Wake-up service method u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닝콜 정보 송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측의 이동 클라이언트가 응답하지 않더라도 음성 사서함에 강제 접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The morning cal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s the morning call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wered off or the mobile cli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forced to connect to the voice mailbox even if the mobile client does not respo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설정되는 모닝콜 정보는, 지능망을 통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The morning call information s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aged by an intelligent network.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퀴즈 형태의 모닝콜 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for serving a quiz-shaped morning call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설정된 시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user confi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ending morning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et tim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user confi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면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preset quiz category exist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퀴즈 정보를 제공하여 퀴즈 진행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Performing a quiz progress mode by providing quiz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preset quiz category exists; 상기 퀴즈 진행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퀴즈 진행 결과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 트의 접수를 집계하고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와,When the quiz progress mode is completed, counting the reception of the moving client according to the quiz progress result and granting mileage; 상기 부여되는 마일리지에 따라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되는 급수에 따라 퀴즈 난이도를 차등 적용하는 단계Resetting a series of mobile clients according to the granted mileage and differentially applying a quiz difficulty according to the reset series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Wake-up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방법은,The method, 상기 기 설정된 퀴즈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가 희망하는 퀴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퀴즈 정보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And performing a quiz information input mode for allowing the mobile client to input desired quiz information if the preset quiz category does not exis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 재설정은,Resetting the water supply of the mobile client,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가 퀴즈 정답을 많이 맞힌 경우에 늘어나는 누적 마일리지에 따라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급수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If the mobile client has a lot of correct quiz answer, wake up call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mobile clients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accumulated mileag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및 퀴즈 정보 입력 모드 수행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The user identification and quiz information input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및 퀴즈 정보 입력 모드 수행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방법.The user confirmation and the quiz information input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erformed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섹터 단위로 할당된 임의 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전송 시스템과,A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ed in an arbitrary communication area allocated on a sector bas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상기 기지국 전송 시스템을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 전송 시스템으로부터의 위치등록정보를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부와,A base st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anag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상기 기지국 제어부로부터의 위치등록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및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모닝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닝콜 설정 시간을 파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닝콜 정보를 송출하는 이동통신 교환국과,According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control unit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the wake-up call setting time based on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ake-up cal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tele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that sends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모닝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수되는 퀴즈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관리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기The system controller manages morning cal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tation, and manages quiz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ch category to provide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tation.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Wake-up servi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퀴즈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모닝콜 정보 송출시에 퀴즈 진행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provides a quiz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ystem controll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quiz progress mode when transmitting the morning call informa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퀴즈 정보에 대한 답변이 접수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점수를 집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when a response to the quiz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ake-up call servic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poi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ive the mile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집계되는 점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퀴즈 진행 급수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되는 퀴즈 진행 급수에 따라 퀴즈 난이도를 차등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sets a quiz progress seri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unted scores, and applies a quiz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the set quiz progress series.
KR20060077942A 2006-08-18 2006-08-1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800161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942A KR20080016177A (en) 2006-08-18 2006-08-1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942A KR20080016177A (en) 2006-08-18 2006-08-1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177A true KR20080016177A (en) 2008-02-21

Family

ID=3938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7942A KR20080016177A (en) 2006-08-18 2006-08-1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617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863B1 (en) 2019-06-24 2020-10-29 최은호 Wake up alarm system and wake up alarm method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863B1 (en) 2019-06-24 2020-10-29 최은호 Wake up alarm system and wake up alarm method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272B1 (en) Reducing calling costs for wireless phones using multiple mobile identification numbers
CN101467464A (en) Voiding calls to signal supplementary services
KR100270216B1 (en) How to Implement Wireless Virtual Private Networking in CDMA Systems
CN101365173B (en) Current using number notifying method, system and number notifying server
KR2008001617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rning call service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7286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ber&#39;s Emotion Based Ring-Back-Tone Setting Service
CN100355247C (en) Interrupt indication method of package area intelligent service
CN102137377A (en) Method for reminding by real-time voice according to monetary, an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al-time voice according to monetary
WO2006069524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wireless intelligent public telephone on cdma network
CN102143465A (en) Methods,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ECT (Explicit Call Transfer) service
KR20040039659A (en) A system informing the waiting ticket of a bank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KR101056206B1 (en) Mobile homepage downloading method and system when calling and receiving
KR100378966B1 (en) Method for connecting a group of mobile telephones using position-based and apparatus therefor
KR10057979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Message Arrival Alar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507828B1 (en) Group reporting service apparatus using short message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for storing the same method
KR20040092261A (en) Advertisement ring-back-tone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27857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short message from origination point
KR2008001219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ller&#39;s or a receiver&#39;s phone with a supplementary service while trying to connect a call
KR100923690B1 (en) Method for providing a ring back tone service
KR20050039213A (en) Method for proffering status notice service of mobile user by using network
KR1007544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llect Call Service Based On Parental Agreement
KR100650199B1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Mail Service in wireless network system
CN101547419B (en) Method for realizing intelligent user as guide number of flexible ringing service
KR1004261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alkie-talkie service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028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paid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