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094A -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094A
KR20080016094A KR20060077716A KR20060077716A KR20080016094A KR 20080016094 A KR20080016094 A KR 20080016094A KR 20060077716 A KR20060077716 A KR 20060077716A KR 20060077716 A KR20060077716 A KR 20060077716A KR 20080016094 A KR20080016094 A KR 2008001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measurement
mobile communication
congestion
communication termi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536B1 (ko
Inventor
박주열
김정철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5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53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동측정 컨텐츠를 구비하며, 단말 플랫폼상의 대기 모드에서 유동측정 컨텐츠를 실행하여 기 저장중인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수신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 판별하고, 양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관련 단말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유동인구 혼잡도를 이루는 지역 설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설정된 유동측정 지역과 대응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며, 단말정보를 취합하여 분석한 유동측정 지역의 혼잡도를 토대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동측정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기지국을 특정하는 PN 오프셋을 이용하여 소정의 유동측정 지역을 설정하고, 상기 PN 오프셋, 즉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송수신하는 단말 에이전트를 통해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특정지역 내의 혼잡도를 측정하여 그곳의 혼잡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유동인구 측정, 위치기반 이동통신 단말

Description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ONFUSION OF SPECIFIC REGION, AND MOBILE TERMINAL APPLIED TO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 200 : 유동측정 지역
300 : 기지국 400 : 이동통신망
500 : 유동측정 서버 600 : 웹 서버
700 : 인터넷 800 : 단말기
본 발명은 특정지역에서의 유동인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기지국을 특정하는 PN 오프셋을 이용하여 소정의 유동측정 지역을 설정하고, 상기 PN 오프셋, 즉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송수신하는 단말 에이전트를 통해 유 동측정 지역에 대한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할 때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추적 시스템 또는 셀 기반의 기지국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이 있으며, 최근에 들어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위치기반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대방 위치파악 서비스, 교통 안내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위치기반 이동통신 기술이 접목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이를 소지하는 서비스 가입자들의 특정지역 유동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특정지역에서의 혼잡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동인구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상권을 분석한다든지, 소정의 목적지에 대한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가 위치기반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여야 하는바, 전체 가입자의 30% 이내의 GPS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은 유동인구 파악을 위한 시료샘플 수집에 부족한 점이 많다. 또한, 셀 기반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파악하는 방식은 특정 셀 지역, 즉 유동측정 지역으로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이 진입 또는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실시간 및 자동으로 파악하여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를 구현하기에는 현재 이동통신망 구조상 관련 호처리 구현이 매우 어려워진다. 아울러, 유동인구 파악을 위한 별도의 안테나 및 부가장치를 설비하는 것은 원가상승 유발 및 도심권에 설치하는 데에도 효율적이지 못함에 따라, 실제로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술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소규모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정보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조사원을 투입하여 수작업으로 유동인구를 조사하는 실정이며, 이도 다수 통행자가 통행을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조사가 불가능하며, 유동인구 정보중 연령 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조사원이 통행자의 외관만을 파악하여 연령을 추측하므로 정확한 연령정보를 수집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셀 기반의 기지국 정보를 활용하여 유동측정 지역을 설정하고, 유동측정 지역 내의 기지국이 생성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토대로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단말 에이전트인 유동측정 컨텐츠를 이용하여 유동측정 지역을 위치이동 경계로 이동통신 단말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파악함에 따라, 유동측정 지역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은,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동측정 컨텐츠를 구비하며, 단말 플랫폼상의 대기 모드에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실행하여 기 저장중인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수신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 판별하고, 양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관련 단말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상기 유동인구 혼잡도를 이루는 지역 설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설정된 유동측정 지역과 대응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정보를 취합하여 분석한 상기 지역의 혼잡도를 토대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동측정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인터넷 통합 플랫폼상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실시간 자동 실행하며, 소정 셀 구역에 대한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유동지역 측정 명령과 함께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근 셀 구역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단말의 유동측정 지역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유동측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은, (가)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를 관장하는 유동측정 서버를 통해 셀 기반 소정의 지역을 유동측정 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나) 상기 유동측정 서버가 유동측정 컨텐츠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유동측정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유동측정 명령에 포함된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셀 기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대기모드 상태에서 실시간 기동하는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통해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마)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양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단말 전화번호 및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바) 상기 유동측정 서버는 상기 단말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혼잡도, 혼잡 시간대, 요일별 혼잡도, 유동인구 이동성향을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서비스 요청한 가입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별된 이동통신 단말로 소정의 홍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단말 플랫폼상의 대기모드를이용하여 유동측정 지역(200) 내의 혼잡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 내의 유동인구를 예측하여 일반 상권분석 및 관심지역의 혼잡도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특정지역인 유동측정 지역(200)의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을 위치 이동하는 유동인구 중의 일원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100),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유동인구 현황 등을 파악하여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동측정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은 인터넷(700)상의 웹 서버(500)로 구현되거나, 이동통신망(400)에서 구현되는 유동측정 서버(500)와 웹 연결되어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에 가입하고, 상기 혼잡도를 이루는 소정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유동인구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서비스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800)로 포함한다. 물론, 상기 단말기(800)를 통해 실행하는 서비스 관련 설정은 유동측정 서버(500)에 왑 접속하는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100)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유동측정 지역(200)으로 설정된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동측정 컨텐츠를 구비하며, 단말 플랫폼상의 대기모드에서 실행되는 유동측정 컨텐츠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아 설치하고, 유동측정 서버(500)로부터 소정의 유동측정 지역(200)에 대한 유동측정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유동측정 명령과 함께 전송되는 유동측정 지역(200)의 기지국(300)에 대한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기동하는 유동측정 컨텐츠를 활용하여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기 저장중인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 판별하고, 양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관련된 단말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유동측정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는 특정번호 또는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관련 URL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URL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와 접속하여 안내 메뉴에 따라 유동측정 컨텐츠를 다운 로드하여 저장 및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100) 은 초기 단말 시스템 설정시에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기 설정하여 구비하여 출시된 단말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원 온 상태에서 자동 실행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인근 기지국과 관련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실시간 기동함에 따라, 단말기(800)에서의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과 같이 부팅 후 항상 기동하여 실시간 바이러스 감시하는 것처럼 해당 셀 구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유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에이전트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유동측정 컨텐츠는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100)이 소정의 지역에서 위치 이동하면서 단말 유동측정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기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동측정 아이콘을 대기모드 상태의 단말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의 기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것이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에서 자동 실행된 상태에서 관련 컨텐츠 프로그램을 오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에 포함된다.
또한,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을 이루는 경계지점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여 잦은 핸드오프를 발생하는 경우, 이때마다 이동통신 단말(100)의 유동측정 지역(200) 진입 또는 이탈에 대한 단말정보를 생성하여 유동측정 서버(500)로 전송하는 것은 비효율적인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유동측정 지역(200)을 진입하거나 이탈하여 상기 단말정보를 생성하였을 때에는 일정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이동으로 인하여 갱신된 단말정보를 상기 유 동측정 서버(500)로 전송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에 구비되는 단말 플랫폼은 무선 인터넷 통합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Interoperability)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는 셀 구역을 형성하는 각 기지국마다 소정의 시간을 기준으로 코드 생성시점을 달리하여 생성하는 PN(Pseudo Noise) 오프셋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는 유동인구 혼잡도를 서비스 요청자가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유동측정 지역(200)을 설정하여 대응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제공받은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근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분별하여 생성한 단말정보를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제공받아 취합하며, 취합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형성된 유동인구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정보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화번호 및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포함함에 따라, 각 기지국 셀 반경을 토대로 하여 각 지역의 행정구역을 텍스트 정보 또는 지도 이미지로 구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단말정보를 통해 해당 가입자의 연령, 성별 및 거주지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유동측정 서버(500)가 상기 전화번호를 통해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여 가입자의 연령, 성별, 거주지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한 지역을 파악 할 수 있다.
아울러, 유동측정 서버(500)는 수신된 단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유동측정 지역(200)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의 혼잡도를 카운트 업 하고, 이동통신 단말(100)이 유동측정 지역(200)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의 혼잡도를 카운트 다운하는 과정을 거쳐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에 대한 혼잡도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단말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에서의 혼잡도, 혼잡 시간대, 요일별 혼잡도 및 유동인구 이동성향을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별된 서비스 가입자들의 이동통신 단말(100)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더 나아가, 유동측정 서버(500)는 소정의 셀 구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100)들에 대한 사전 동의를 통해 구비된 유동측정 컨텐츠를 업 로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유동측정 서버(500)에 접속하여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이 선행 된다(S100). 이후로, 상기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100)들이 유동측정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유동측정 컨텐츠를 제공받아 설치하는 과정이 실행된다(S102). 또한, 소정의 서비스 가입자가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에 서비스 실행을 위한 접속을 시도하고(S104), 유동측정 서버(5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텍스트 지도정보 또는 지도 이미지 등을 통해 소정의 지역을 유동측정 지역(200)으로 설정한다(S106). 이에 따라, 유동측정 서버(500)는 상기 S106 단계에서 설정된 유동측정 지역(200)과 대응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포함하는 유동측정 명령을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관련 이동통신 단말(100)들로 전송한다(S108).
더 나아가, 상기 유동측정 명령을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100)들은 유동측정 지역(200)을 나타내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저장하고(S110), 대기모드 상태일 때에 구비된 유동측정 컨텐츠가 기동한다(S112, S114). 또한, 상기 S112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유동측정 컨텐츠가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음성통화 등의 실행모드 상태에서도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가 기동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100)은 소정의 지역에 설비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수신하면(S116), 기 저장중인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비교 판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고(S118), 양 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S120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이전에 유동측정 지역(200)으로부터 핸 드오프하여 다른 지역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의 기지국(300)이 아닌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제공받은 것인지, 아니면 애초에 유동측정 지역(200)에 위치하지 않아 다른 기지국의 고유동기 코드를 수신한 경우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2). 이에 따라, 처음부터 유동측정 지역(200) 근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114 단계로 피드백하여 인근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고(S124),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유동측정 지역(200)에 위치하였다가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을 이탈한 경우로 확인되면(S126),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화번호 및 수신된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가 포함된 단말정보를 생성하여 유동측정 서버(500)로 송출한다(S128). 이후로,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는 유동측정 지역(200)에 위치했던 이동통신 단말(100)이 벗어남에 따라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과 관련된 혼잡도를 카운트 다운한다(S130).
더 나아가, 상기 S120 단계에서 확인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유동측정 지역(200)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고(S132), 이에 대한 단말정보를 생성하여 유동측정 서버(500)로 전송한다(S134). 이후로, 상기 유동측정 서버(500)는 해당 유동측정 지역(200)의 유동인구 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과 관련된 혼잡도를 카운트 업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136). 상기 S130 단계 및 상기 S136 단계를 통해 실시간 업그레이드되는 유동측정 지역(200) 혼잡도에 대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유동측정 지역(200)에 대한 혼잡도, 혼잡 시간대, 요일별 혼잡도, 유동인구 이동성향을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S138),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서비스 요청한 가입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별된 이동통신 단말(100)로 소정의 홍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기지국을 특정하는 PN 오프셋을 이용하여 소정의 유동측정 지역을 설정하고, 상기 PN 오프셋, 즉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송수신하는 단말 에이전트를 통해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특정지역 내의 혼잡도를 측정하여 그곳의 혼잡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상권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거나, 기타 대중 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6)

  1.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동측정 컨텐츠를 구비하여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상기 유동인구 혼잡도를 이루는 유동측정 지역과 대응하는 측정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유동측정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실행하여 기 저장중인 측정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수신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 판별하고, 양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생성된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유동측정 서버는 상기 단말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서의 혼잡도를 측정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동측정 서버와 연결되어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에 가입하고, 상기 혼잡도를 이루는 소정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유동인구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유동측정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특정번호 또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관련 URL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URL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동측정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다운 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초기 단말 시스템 설정시에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기 설정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전원 온 상태에서 자동 실행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인접 기지국들과 관련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 플랫폼상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실시간 기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유동 여부를 실시간 확인하기 위한 단말 에이전트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무선 인터넷 통합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Interoperabili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의 기동 여부를 단말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유동측 정 아이콘을 대기모드 상태의 단말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동 실행된 상태에서 단말 사용자의 설정으로 컨텐츠 프로그램 오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유동측정 지역을 이루는 경계지점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여 상기 확인결과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한 경우, 예정된 시간 동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유동지역 진입 또는 이탈로 생성된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서버는
    상기 단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유동측정 지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의 혼잡도를 카운트 업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유동측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의 혼잡도를 카운트 다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는
    셀 구역을 형성하는 각 기지국마다 소정의 시간을 기준으로 코드 생성시점을 달리하여 생성하는 PN(Pseudo Noise)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유동측정 지역과 대응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서버는
    각 기지국 셀 반경을 토대로 하여 각 지역의 행정구역을 텍스트 정보 또는 지도 이미지로 구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단말정보를 통해 해당 가입자의 연령, 성별 및 거주지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서의 혼잡도, 혼잡 시간대, 요일별 혼잡도 및 유동인구 이동성향을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별된 서비스 가입자들의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 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서버는
    상기 유동측정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지역정보를 텍스트 방식 또는 지도 이미지 방식으로 구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16. 소정 셀 구역에 대한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유동지역 측정 명령과 함께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접 셀 구역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단말의 유동측정 지역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유동측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 통합 플랫폼상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실기간 자동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망 또는 웹상에 구비된 관련 서버에 대한 URL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왑 또는 웹 접 속하여 다운 로드하거나, 상기 관련 서버가 소정의 셀 구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들에 대해 업 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는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접 셀 구역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생성되는 단말정보를 상기 관련 서버로 전달한 이후로 예정된 시간 동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유동지역 진입 또는 이탈로 생성된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유동측정 지역과 대응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21. 소정 지역에서의 유동인구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 유동인구 혼잡도 측정 서비스를 관장하는 유동측정 서버를 통해 셀 기반 소정의 지역을 유동측정 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나) 상기 유동측정 서버가 유동측정 컨텐츠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유동측정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유동측정 명령에 포함된 상기 유동측정 지 역에 대한 셀 기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대기모드 상태에서 실시간 기동하는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를 통해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양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단말 전화번호 및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바) 상기 유동측정 서버가 상기 단말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대한 혼잡도, 혼잡 시간대, 요일별 혼잡도, 유동인구 이동성향을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서비스 요청한 가입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별된 이동통신 단말로 소정의 홍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바) 단계는
    상기 단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유동측정 지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의 혼잡도를 카운트 업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유동측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의 혼잡도 를 카운트 다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의 실행환경을 변경하여, 상기 유동측정 컨텐츠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대기모드 및 실행모드에서 기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양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하여 상기 단말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유동측정 지역에 진입한 이후의 양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가 불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유동측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하는 상기 단말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와 인접 셀 구역의 기지국 고유동기 코드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생성되는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한 이후로 예정된 시간 동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유동지역 진입 또는 이탈로 생성된 단말정보를 상기 유동측정 서버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방법.
KR1020060077716A 2006-08-17 2006-08-17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KR10083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716A KR100837536B1 (ko) 2006-08-17 2006-08-17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716A KR100837536B1 (ko) 2006-08-17 2006-08-17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094A true KR20080016094A (ko) 2008-02-21
KR100837536B1 KR100837536B1 (ko) 2008-06-12

Family

ID=3938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716A KR100837536B1 (ko) 2006-08-17 2006-08-17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5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20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에서 전철 혼잡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324507B1 (ko) * 2013-03-15 2013-11-01 (주)지란지교소프트 차량 탑승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200023042A (ko) 2018-08-24 2020-03-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시태그를 이용한 혼잡도 측정 방법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65B1 (ko) * 2013-04-1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1541179B1 (ko) * 2014-03-07 2015-08-0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목표지 설정을 통한, 단말기 상호간의 지역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637784B1 (ko) 2022-11-21 2024-02-16 김재한 Gps 좌표를 이용한 인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안전 정보 알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581A (ja) * 2001-02-27 2002-09-13 Nec Custommax Ltd 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342557A (ja) 2001-05-14 2002-1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端末の位置情報に基づく人口分布統計処理システム
KR20040065057A (ko) * 2003-01-14 2004-07-21 주식회사 타스테크 이동통신을 이용한 소규모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정보또는 단말기 사용자의 통행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18534B1 (ko) * 2003-09-16 2012-03-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기반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0579996B1 (ko) * 2004-09-02 2006-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관광지별 혼잡도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20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에서 전철 혼잡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324507B1 (ko) * 2013-03-15 2013-11-01 (주)지란지교소프트 차량 탑승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200023042A (ko) 2018-08-24 2020-03-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시태그를 이용한 혼잡도 측정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536B1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2952C (zh) 移动通信终端和无线通信系统
CN101461187B (zh) 热点位置数据库系统,在该系统中使用的移动终端以及用于创建、维护和更新该系统的方法
US828526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 limitation control
US20070243869A1 (en) Method of Providing Alarm Service Upon Movement Out of Safety Zone
EP1515512A2 (en) Location based information delivery
KR100837536B1 (ko) 특정지역 혼잡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이동통신 단말
US2007015540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US20100112989A1 (en) Automatic detection of personal networks
US200701949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travel alerts to mobile devices
CN101141760A (zh) 使用位置检测系统来检查服务区域的无线通信终端和方法
KR20120064276A (ko) 이동통신 단말의 경로 관리장치, 경로 결정장치, 경로 검증장치,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경로 관리방법
JP6740731B2 (ja) 通信装置、データ収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安否確認システム
KR102284297B1 (ko) 의사 기지국 포지셔닝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8725177B2 (en) Activating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EP1494498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EP3467547A1 (en) Service provision device,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040009512A (ko)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84447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47221B1 (ko)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3073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코드를 이용한 위치등록방법 및 장치
CN104080041A (zh) 一种检测区域拥挤程度的方法及定位服务器
KR102347617B1 (ko)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335012B1 (ko) 위치등록 관리 서버,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역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antos et al. Context classifier for position-based user association control in vehicular hotspots
KR101130438B1 (ko) 근거리 무선랜 접속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