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294A -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294A
KR20080013294A KR1020060074630A KR20060074630A KR20080013294A KR 20080013294 A KR20080013294 A KR 20080013294A KR 1020060074630 A KR1020060074630 A KR 1020060074630A KR 20060074630 A KR20060074630 A KR 20060074630A KR 20080013294 A KR20080013294 A KR 2008001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astening means
support main
top cas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원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3294A/ko
Publication of KR2008001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비 및 무게를 절감시킨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과,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탑 케이스와,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탑 케이스를 상기 서포트 메인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종이 등의 체결수단에 스크류를 삽입하여 탑 케이스와 서포트 메인을 고정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액정표시모듈, 체결수단, 종이

Description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 - I'선에 따른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Ⅱ - Ⅱ'선에 따른 본 발명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
16, 116 : 탑 케이스 14, 114 : 서포트 메인
30, 130 : 스크류 135 : 체결수단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재료비 및 무게를 절감시킨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여러 장비에서 표시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특징 및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 장치의 용도로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하면서 LCD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은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2)과, 액정패널(2)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과,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2)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14)과, 액정패널(2)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을 감싸는 탑 케이스(16)와, 탑 케이스(16)와 서포트 메인(14)을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패널(2)은 상부기판(11) 및 하부기판(13)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 부기판(11)과 하부기판(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기판(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액정패널(2)의 액정모드에 따라 하부기판(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기판(13)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화상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절환하게 된다.
상부기판(11)의 전면에는 상부 편광판(26)이 부착되고, 하부기판(13)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판(27)이 부착된다.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6), 반사시트(24) 및 광학시트들(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광판(6)은 측면에 마련된 입광부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패널(2) 쪽으로 안내한다.
반사시트(24)는 도광판(6)의 배면으로 진행하는 광을 도광판(6) 쪽으로 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방지한다.
광학시트들(4)은 도광판(6)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효율을 향상시켜 액정패널(2)에 조사한다.
서포트 메인(14)은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2)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계단형 단턱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포트 메인(14)은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2)을 수납하여 지지하게 된다.
탑 케이스(16)는 서포트 메인(14)에 수납된 액정패널(2)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을 감싸게 된다. 이를 위해, 탑 케이스(16)는 액정패널(2)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탑 케이스(16)는 스크류(30)가 체결되도록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에 대향되는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9)를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29)에는 스크류(30)가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크류(30)는 탑 케이스(16)에 형성된 돌출부(29)를 경유하여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에 체결됨으로써 탑 케이스(16)를 서포트 메인(14)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탑 케이스 및 서포트 메인에 나사산을 형성시켜 스크류로 고정시키는데, 이때 탑 케이스, 서포트 메인, 스크류의 재료는 금속으로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즉, 나사산과 스크류가 정확히 맞지 않을 경우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금속의 마찰에 의해 이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나사산의 가공 추가로 인해 재료비가 증가하고,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료비 및 무게를 절감시킨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과,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탑 케이스와,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탑 케이스를 상기 서포트 메인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은 계단형 단턱면과 측면에 홈이 형성된 서포트 메인을 마련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체결수단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홈에 상기 체결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계단형 단턱면에 액정패널을 적층하는 단계와, 탑 케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단계와, 상기 탑 케이스를 통해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탑 케이스와 상기 서포트 메인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은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2)과, 액정패널(102)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과,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102)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114)과,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체결수단(135)과, 액정패널(102)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을 감싸는 탑 케이스(116)와, 체결수단(135)에 체결되어 탑 케이스(116)를 서포트 메인(114)에 고정시키는 스크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패널(102)은 상부기판(111) 및 하부기판(113)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상부기판(111)과 하부기판(1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기판(1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액정패널(102)의 액정모드에 따라 하부기판(113)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기판(113)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화상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절환하게 된다.
상부기판(111)의 전면에는 상부 편광판(126)이 부착되고, 하부기판(113)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판(127)이 부착된다.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06), 반사시트(124) 및 광학시트들(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광판(106)은 측면에 마련된 입광부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패널(102) 쪽으로 안내한다. 이때, 도광판(106)의 배면은 입광부로부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쐐기 형태를 갖는다.
반사시트(104)는 도광판(106)의 배면으로 진행하는 광을 도광판(106) 쪽으로 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방지한다.
광학시트들(104)은 도광판(106)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효율을 향상시켜 액정패널(102)에 조사한다.
이를 위해, 광학시트들(104)은 도광판(106)으로부터의 광을 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와, 확산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광학시트들(104)은 집광시트와 액정패널(102)간의 접촉으로부터 집광시트 및/또는 액정패널(10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이 이동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먼저, 램프로부터 광이 도광판(106)에 입사되면 경사면인 배면에서 소정 경사각으로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균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광판(106)의 배면 및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시트(124)에 반사되 어 전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광판(106)을 경유한 광은 시트류(104)에 의해 전(全)영역으로 확산되어 액정패널(102)에 조사되게 된다.
액정패널(102)에 입사되는 광은 수직을 이룰 때 광효율이 커지게 된다.
서포트 메인(114)은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102)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계단형 단턱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포트 메인(114)은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2)을 수납하여 지지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124), 도광판(106) 및 광학 시트들(104)의 순서대로 수납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는 체결수단(135)이 설치되는 홈(115)이 형성된다.
탑 케이스(116)는 서포트 메인(114)에 수납된 액정패널(102)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을 감싸게 된다. 이를 위해, 탑 케이스(116)는 액정패널(102)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체결수단(135)은 도 7과 같이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 형성된 홈(115)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밴딩된 복수의 밴딩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체결수단(135)은 종이, 비닐,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종이에 비닐 또는 플라스틱을 결합한 재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135)은 양 끝단 중 어느 한 쪽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136)에 의해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 형성된 홈(115)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다른 형태의 체결수단(13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30)와 의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복수의 밴딩부(137) 중 일부분, 즉 홀수번째 밴딩부의 중심부에 형성되거나 짝수번째 밴딩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1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형태의 체결수단(13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30)와의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복수의 밴딩부(137) 각각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1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을 더 자세히 알아보면 먼저, 몰드물, 금속 등으로 제작된 서포트 메인(114)을 준비한다. 서포트 메인(114)은 계단형 단턱면 및 측면에 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홈(115)은 서포트 메인(114)의 좌측면에 4개, 그리고 우측면에 4개가 형성된다. 홈(115)은 액정표시모듈의 크기에 따라 더 많아질 수도 있고, 더 적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포트 메인(114)에 반사판(124), 도광판(106), 광학 시트들(104)로 구성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102)을 차례로 적층하여 수납한다. 서포트 메인(114)에는 계단형 단턱면이 있어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102)을 서로 다른층에 수납한다.
그리고 1mm의 두께를 가진 체결수단(135)을 지그재그 모양으로 밴딩한다. 다음으로 체결수단(135)의 한쪽 끝면에 양면테이프(136)를 부착한다. 이때, 체결수단(135)은 종이, 비닐,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종이에 비닐 또는 플라스틱을 결합한 재질이 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35)에 부착한 상기 양면테이프(136)를 서포트 메인(114)에 형성한 홈(115)의 내측면에 접착한다. 그리고,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체결수단(135)을 홈(115)에 밀어넣어 체결수단(135)의 각각의 면이 서로 겹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서포트 메인(114) 위에 탑 케이스(116)를 얹는다. 탑 케이스(116)의 측면에는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 홈(115)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있다. 탑 케이스(116)의 측면에 있는 홀로 스크류(130)를 돌리면서 넣는다. 스크류(130)는 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수단(135)에 홀을 형성하면서 삽입된다.
탑 케이스(116)에서 서포트 메인(114)의 양측에 형성된 8개의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 8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8개의 홈에 모두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가 적용되고, 모두 스크류(130)가 체결된다. 이로써 서포트 메인(114)과 탑 케이스(116)가 결합되고, 액정표시모듈이 완성된다.
상기에서 스크류(130)가 체결수단(135)에 홀을 형성하면서 삽입될 때 좀 더 쉽게 체결수단(135)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체결수단(135)의 중심 부분에 다수의 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홀을 형성은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밴딩부를 관통하여 홀을 형성하는 방법과 일부면에만 홀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존의 금속으로 형성시킨 나사산을 대신하여 종이 등의 체결수단에 스크류를 삽입하여 탑 케이스와 서포트 메인을 고정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금속으로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던 불량 및 금속마찰로 인한 이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2)

  1.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는 서포트 메인과;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탑 케이스와;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탑 케이스를 상기 서포트 메인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메인은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서포트 메인의 홈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밴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 중 일부분의 밴딩부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종이, 비닐 및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을 상기 서포트 메인의 홈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8. 계단형 단턱면과 측면에 홈이 형성된 서포트 메인을 마련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를 가지는 체결수단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홈에 상기 체결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계단형 단턱면에 액정패널을 적층하는 단계와;
    탑 케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측면을 감싸는 단계와;
    상기 탑 케이스를 통해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탑 케이스와 상기 서포트 메인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서포트 메인의 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 각각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딩부 중 일부의 밴딩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종이, 비닐 및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
KR1020060074630A 2006-08-08 2006-08-08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80013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630A KR20080013294A (ko) 2006-08-08 2006-08-08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630A KR20080013294A (ko) 2006-08-08 2006-08-08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294A true KR20080013294A (ko) 2008-02-13

Family

ID=3934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630A KR20080013294A (ko) 2006-08-08 2006-08-08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32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389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8432525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8790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minimizing inferiority by externa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2015108806A (ja) 表示装置用下部シャーシ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0999011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81746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50831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6253141A (ja) 光効率が優れてい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1372017B1 (ko) 액정표시모듈
US20170184913A1 (en) Display device
KR1009397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13294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50070197A (ko) 액정표시모듈
JP4029954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04928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52273B1 (ko)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KR20110056015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80049441A (ko) 액정 표시 모듈
US10754087B2 (en) Guide panel,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0062286A (ko) 프리즘시트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70015727A (ko) 표시장치
KR20100062589A (ko) 액정표시모듈
JP5806908B2 (ja) 画像表示装置
JP4619872B2 (ja) 液晶表示装置のモジュール
KR20120052688A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