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129A -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129A
KR20080013129A KR1020060074229A KR20060074229A KR20080013129A KR 20080013129 A KR20080013129 A KR 20080013129A KR 1020060074229 A KR1020060074229 A KR 1020060074229A KR 20060074229 A KR20060074229 A KR 20060074229A KR 20080013129 A KR20080013129 A KR 2008001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healthcare
information
subscribe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166B1 (ko
Inventor
남승리
Original Assignee
남승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리 filed Critical 남승리
Priority to KR102006007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1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에 유효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헬스케어 단말장치;상기 출력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중계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중계된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가입자별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분석 리포팅을 하고,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들을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상기 모니터링된 결과를 허가를 받은 의료인,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헬스케어 정보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헬스케어, U-healthcare, 응급 의료 체계, zigbee, wibro

Description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의료 체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의 적용 분야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헬스케어 단말장치 11.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
12.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 13. 헬스케어 정보 모니터링 장치
본 발명은 개인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에 유효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환경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건강 관리(healthcare) 비용이 함께 증대하고 있는 추세로 미국의 경우 GDP의 14% 정도, 국내의 경우는 GDP의 7%가 건강 관리 비용으로 지출되고 있다.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과 의료 분야가 결합된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 분야의 연구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비의 지출 증가 및 새로운 의료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응급 구조 및 처치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는 여러 응급 구조 체계가 있음에도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급속한 노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의 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간의 물리적 거리 증가, 산후조리원, 실버 타운 등의 노약자가 집중된 시설 급증, 농어촌 인구 감소로 인한 의료 공백 등에 의해 응급 상태 발생시에 이를 응급 의료 기관에 신고하거나, 직접적인 응급 처치가 신속하게 루어져야 함에도 그러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장시간에 걸쳐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인 고혈압 환자, 당뇨병 환자 등의 건강 상태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혈압이 매우 불규칙한 고혈압 환자는 혈압, 맥박 등의 상태를 적어도 하루에 몇 번씩 모니터링 되어야 하며, 모니터링 된 결과 혈압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매우 신속하게 그 증상에 알맞은 약물을 투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및 응급 조치는 당뇨병 환자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외출시에도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언제든지 사용자 신체의 맥박, 호흡수,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소형·경량화된 혈압계, 당뇨측정기 등이 현재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이용상의 불편함,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후속 처리 불편 등의 원인에 의해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담당 의사 등의 의료인이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된 데이터가 가공되어 관계 의료인 및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는 응급 의료 체계와 환자 혼자 독립된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응급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응급 의료 체계가 구현되지 않아 많은 수의 인명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에도 각 입원실에 환자를 위한 별도의 응급호출 장치 등이 있지만 환자가 응급호출 장치를 조작하기 어려운 심각한 위기에 처하거나 입원실을 벗어난 화장실 등의 장소에서 위기가 발생했을 때는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응급 의료 체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에 유효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를 모니티링한 결과를 담당 의료인 뿐만 아니라 보호 자가 열람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서는 환자 자신 또는 기기 자체가 비상 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개인의 건강 상태를 모니티링한 결과에 따른 처방 및 조치 등의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헬스케어 단말장치;상기 출력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중계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중계된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가입자별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분석 리포팅을 하고,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들을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상기 모니터링된 결과를 허가를 받은 의료인,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헬스케어 정보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헬스케어 단말장치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건강 측정 모듈들로 구성되는 헬스케어 모듈과,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환자상태 모니터링부와, 모니터링된 헬스케어 정보를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통신부와,가입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응급 상황 송신부와,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의 전송 및 응급 상태의 판단 및 구조 요청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급상황 발생시에 가입자의 지병 등의 응급조치에 필요한 정보 및 최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RFID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단말장치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맥박 검지 모듈, 체온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그 이외의 측정 모듈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의료 센서 확장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는, 수신되는 각각의 가입자들의 헬스케어 정보의 관리 및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컨트롤러와,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케어 정보 수신부와,각 가입자의 이력 및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식별정보 판단부와,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환자상태 모니터링부와,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저장부와,가입자의 상태를 프로그램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분야의 전문 의료인들의 협진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가입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전문가 분석 모듈부와,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모니터링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입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담당 의사가 가입자에게 맞는 추천운동시간,운동종류,약물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건강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관리하는 맞춤형 서비스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는, 헬스케어 단말장치로부터의 응급 구조 요 청 신호가 수신되거나 자체 판단에 의해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승인된 사람들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로 상황을 전달하거나, 119 등의 응급 구조 기관으로 구조 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헬스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해당 가입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한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가입자별로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가공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저장된 헬스케어 정보를, 담당 의사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가입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에 따른 의료 서비스의 제공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유비쿼터스 건강 관리 시스템(U-Healthcare system)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 실버타운, 일반 가정 등에서 노약자,환자, 장애인 등이 신체에 간단하게 착용 가능한 형태를 갖는 헬스케어 단말장치에 의해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서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실시간 개인 건강관리 솔루션 구축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 필수적인 RFID / Zigbee / Wibro기술을 이용하여 착용자 동의하에 인터넷이나 병원 서버로 모아진 개인 건강정보를 가족/담당 의사 등이 열람가능 하게 한다.
그리고 환자가 응급 상황 시에는 자동알람 기능/응급버튼 작동 등에 의한 SOS시그널 및 경보음으로 환자를 위급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병원 내에 입원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헬스케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각 환자에게서 획득한 맥박/체온 등의 헬스케어 정보를 Zigbee 통신을 기반으로 모아 중앙 집중 관리를 할 수 있고, 이렇게 모아 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입원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이 홈네트워킹 솔루션과 결합되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온도/습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환자 및 노약자 등의서비스 가입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변화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고, 측정된 헬스케어 정보의 외부 전송 및 응급 구조 신호 발생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단말장치(10)와, 상기 헬스케어 단말장치(10)의 통신 모 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중계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11)와,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11)를 통하여 중계된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각 환자별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분석 리포팅을 하고,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들을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12)와,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12)에 의해 모니터링된 결과를 허가를 받은 의료인,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헬스케어 정보 모니터링 장치(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12)의 헬스케어 정보 분석 리포팅에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구조가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설정된 의료인 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응급구조 요청신호 발생을 포함한다.
그리고 헬스케어 단말장치(10)는 다음과 같은 Zigbee, Wibro 통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 방식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Zigbee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802.15.4 표준 가운데 하나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m ∼ 1㎞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로, 저전력, 저가격에 제품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는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휴대폰과 무선랜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며, 퍼스널컴퓨터, 노트북컴퓨터, PDA, 차량용 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이동하는 자동차 안이나 지하철에서도 휴대폰처럼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헬스케어 단말장치(10)는 도 2에서와 같이,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에 부착하기 용이한 형태를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팔목 등에 부착하기 용이한 팔찌, 손목 시계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헬스케어 단말장치(10)는 건강 측정 모듈(Healthcare module)들에 의해 감지된 헬스케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이외에,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건강 측정 모듈, 응급상황 발생시(단말장치의 파손, 배터리 소진)에 환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RFID 모듈,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환자 상태 모니터, 환자 또는 옆의 보호자에 의해 외부로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내기 위한 비상 호출 버튼, 서비스 가입자가 응급 상태인 경우 단말 장치 자체에서 응급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상시 발신 부저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헬스케어 단말장치(10)의 건강 측정 모듈은 맥박 검지 모듈, 체온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그 이외에 내장 또는 소형화가 어려운 혈압 측정 모듈, 혈당 측정 모듈 등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헬스케어 단말장치(10)는 의료 센서 확장 슬롯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단말장치(10)는 도 2에서의 형태뿐만 아니라, 팔찌 형태의 Wibro 단말기와 결합된 형태, 팔찌 형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여러 통신 기기에 본 발명의 건강 측정 모듈 등이 결합 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단말장치(10)에서 건강 측정 모듈의 하나인 맥박 검지 모듈은 심장 박동시의 전위차를 이용하는 ECG(Electrocardiogram) 기술 또는 압력 센서 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는데, 이와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의료 체계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의료 체계 구성도이다.
도 3에서는 U 병원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것으로 서비스 가입자 즉 입원 환자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자동 건강 검진 모듈 즉, 헬스케어 단말장치에 의한 헬스케어 정보가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를 통하여 헬스케어 정보 관리 서버로 집중되어 관리되고 이를 병원 내부의 담당 의사 또는 각 환자의 보호자가 외부에서 모니터링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헬스케어 단말장치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단말장치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건강 측정 모듈들로 구성되는 헬스케어 모듈(43)과, 응급상황 발생시(단말장치의 파손, 배터리 소진)에 환자 정보 즉, 환자의 지병 등 응급조치에 필요한 정보 및 최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RFID 확장부(42)와,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외부로 표시하거나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를 통하여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환자상태 모니터링부(44)와, 환자상태 모니터링부(44) 에서의 모니터링된 헬스케어정보를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를 통하여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통신부(45)와, 환자 자신 또는 옆의 보호자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거나, 서비스 가입자가 응급 상태인 경우 단말 장치 자체 판단에 의한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응급 상황 송신부(41)와, 환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의 전송 및 응급 상태의 판단 및 구조 요청 신호의 출력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제어부(40)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헬스케어 단말장치(10)의 헬스케어 모듈은 맥박 검지 모듈, 체온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그 이외에 내장 또는 소형화가 어려운 혈압 측정 모듈, 혈당 측정 모듈 등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헬스케어 단말장치(10)는 의료 센서 확장 슬롯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헬스케어 단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 SOS 송신 기능을 갖는 것으로, 환자 자신이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되어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게 되면, 헬스케어 단말장치의 비상시 발신 부저에서 SOS beep음을 출력하여 옆 사람의 구조를 요청한다.
이 경우에 응급 구조 요청 신호는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승인된 사람들(담당의사,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로 상황을 전달하거나, 119 등의 응급 구조 기관으로 구조 요청을 자동으로 하게 된다.
다른 하나는 헬스케어 단말장치에서 체온 및 맥박이 설정된값을 넘어 위험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발신 부저에서 SOS beep음을 출력하여 옆 사람의 구조를 요청한다.
이 경우에도 응급 구조 요청 신호는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승인된 사람들(담당의사,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로 상황을 전달하거나, 119 등의 응급 구조 기관으로 구조 요청을 자동으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수신되는 각각의 가입자들의 헬스케어 정보를 관리하고 각 가입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모니터링 결과의 관리 등을 제어하는 서버 컨트롤러(50)와,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11)를 통하여 전송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케어 정보 수신부(54)와, 각 가입자의 이력 및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식별정보 판단부(55)와,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각 환자별 상태를 파악하는 환자상태 모니터링부(56)와,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저장부(51)와, 환자 및 노약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담당 의사가 환자에게 맞는 추천운동시간,운동종류,약물 복용 시간 등의 스케줄을 설정하는 등의 건강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관리하는 맞춤형 서비스정보 관리부(52)와, 가입자의 상태를 프로그램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분야의 전문 의료인 들의 협진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가입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전문가 분석 모듈부(57)와, 헬스케어 정보를 기초한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에 의사 또는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모니터링 결과 출력부(53)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은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는 헬스케어 정보의 관리 및 모니터링 제어 뿐만 아니라, 응급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승인된 사람들(담당의사,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로 상황을 전달하거나, 119 등의 응급 구조 기관으로 구조 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조 요청은 헬스케어 단말장치에서 응급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 자체에서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의 모니터링 결과 응급 상황으로의 진입이 예측되거나, 응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구조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의 적용 분야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헬스케어 단말장치(10)에 의해 헬스케어 정보를 수집한다.(S601)
물론, 이와 같은 헬스케어 정보의 초기 수집 단계에서도 환자가 응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헬스케어 단말장치(10) 자체에서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집된 헬스케어 정보는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11)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12)로 전송된다.(S602)
전송되어 각 서비스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S603), 응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한다.(S604)
응급상황 발생 판단 단계에서 해당 가입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한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상황 발생 사실을 승인된 사람들(담당의사,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로 통보하거나, 119 등의 응급 구조 기관으로 구조 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S605)
그리고 이와 같은 가입자별 헬스케어 정보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 판단, 통보를 진행한 이후에 가입자별로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가공 및 저장한다.(S606)
그리고 이와 같이 저장된 가입자별 헬스케어 정보는 담당 의사 등으로 구축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가입자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인 관찰 및 지능화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S607)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적용 대상 및 운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독거 노인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노인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아니면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되고, 이를 승인된 가족이나 주치의가 확인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건강 관리 및 응급 상황 발생시의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천식 등의 지병이 있는 어린이에게 적용한 경우에는 특수학교 및 유치원과의 시스템 연동으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응급 상황에서는 RFID 확장부에 의해 아이의 응급 조치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농촌 주민들의 경우에는 개인의 건강 상태 및 지병 정보를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담당 의사가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주치의 개념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응급 상황에서는 주변의 도움 및 인근 병원에 구조 요청을 신속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건강 관리 시스템은 주기적인 건강 체크 및 응급 상황을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일반인에게도 적용될 수 있고, 응급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 및 초시 설비비용을 줄이기 위한 소규모 병원, 산모와 영아의 건강을 체크하기 위한 산후조리원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에 유효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담당 의사 등의 의료인이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된 데이터가 가공되어 관계 의료인 및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의료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셋째, 환자 혼자 독립된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응급 상황시에 환자 자신 또는 단말 장치의 자체 판단, 관리 서버의 판단에 의해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하여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넷째, 독거 노인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노인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아니면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되고, 이를 승인된 가족이나 주치의가 확인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천식 등의 지병이 있는 어린이에게 적용한 경우에는 특수학교 및 유치원과의 시스템 연동으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응급 상황에서는 RFID 확장부에 의해 아이의 응급 조치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농촌 주민들의 경우에는 개인의 건강 상태 및 지병 정보를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담당 의사가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주치의 개념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Claims (12)

  1.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헬스케어 단말장치;
    상기 출력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중계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중계장치;
    중계된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가입자별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분석 리포팅을 하고,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들을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를 허가를 받은 의료인,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헬스케어 정보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헬스케어 단말장치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건강 측정 모듈들로 구성되는 헬스케어 모듈과,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환자상태 모니터링부와,
    모니터링된 헬스케어 정보를 전송하는 헬스케어 정보 통신부와,
    가입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응급 상황 송신부와,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의 전송 및 응급 상태의 판단 및 구조 요청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응급상황 발생시에 가입자의 지병 등의 응급조치에 필요한 정보 및 최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RFID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응급 구조 요청 신호 출력은,
    환자 자신 또는 옆의 보호자가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거나, 서비스 가입자가 응급 상태인 경우 단말 장치 자체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헬스케어 정보 통신부는,
    Zigbee, Wibro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헬스케어 단말장치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맥박 검지 모듈, 체온 감지 모 듈을 포함하고, 그 이외의 측정 모듈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의료 센서 확장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는,
    수신되는 각각의 가입자들의 헬스케어 정보의 관리 및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컨트롤러와,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케어 정보 수신부와,
    각 가입자의 이력 및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식별정보 판단부와,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환자상태 모니터링부와,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케어 정보 저장부와,
    가입자의 상태를 프로그램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분야의 전문 의료인들의 협진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가입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전문가 분석 모듈부와,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모니터링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는,
    가입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담당 의사가 가입자에게 맞는 추천운동시간,운동종류,약물 복용 시간을 초함하는 건강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관리하는 맞춤형 서비스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헬스케어 정보 관리서버는,
    헬스케어 단말장치로부터의 응급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되거나 자체 판단에 의해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승인된 사람들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로 상황을 전달하거나, 119 등의 응급 구조 기관으로 구조 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10. 가입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헬스케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헬스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가입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한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가입자별로 수신된 헬스케어 정보를 가공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응급 구조 요청 신호는,
    승인된 사람들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또는 미리 설정된 알림 장치, 응급 구조 기관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저장된 헬스케어 정보를,
    담당 의사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가입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에 따른 의료 서비스의 제공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074229A 2006-08-07 2006-08-07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13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29A KR100813166B1 (ko) 2006-08-07 2006-08-07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29A KR100813166B1 (ko) 2006-08-07 2006-08-07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129A true KR20080013129A (ko) 2008-02-13
KR100813166B1 KR100813166B1 (ko) 2008-03-17

Family

ID=3934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229A KR100813166B1 (ko) 2006-08-07 2006-08-07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166B1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604A2 (ko) * 2008-08-29 2010-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5033A2 (ko) * 2009-01-23 2010-07-29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7562A1 (ko) * 2009-01-28 2010-08-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운영 방법
KR100990311B1 (ko) * 2008-07-21 2010-10-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캠코더 OSGi/UPnP 기반 AV 네트워크 및지그비 무선센서 네트워크 연동을 통한 상황인지 헬스케어시스템 개발
KR101177662B1 (ko) * 2011-11-18 2012-08-27 오동식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52984B1 (ko) * 2009-12-04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l7 cda 표준 기반의 개인건강기기 측정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437186B1 (ko) * 2009-01-28 2014-09-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기반으로 감지한 사용자 감정 상태에 대한 응답 방법.
WO2014159284A1 (en) * 2013-03-13 2014-10-02 Carefusion 303, Inc. Healthcare validation system
WO2015084743A1 (en) * 2013-12-03 2015-06-11 Shetty Devi Prasa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atient-care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9307907B2 (en) 2004-08-25 2016-04-12 CareFusion 303,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600633B2 (en) 2000-05-18 2017-03-21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KR200483102Y1 (ko) 2017-02-10 2017-04-06 유정시스템(주)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029047B2 (en) 2013-03-13 2018-07-24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KR102171742B1 (ko) * 2020-01-10 2020-10-29 최혜린 노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8076B1 (ko) * 2020-10-23 2020-12-07 최혜린 노년층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IoT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867265B2 (en) 2013-03-13 2020-12-15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KR20210043364A (ko) * 2019-10-11 2021-04-21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령인구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10071793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과학기술원 다단계 적시 중재 시스템을 통한 원격 헬스케어 사용자의 운동 처방 준수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KR102369503B1 (ko) * 2020-11-20 2022-03-04 (주) 경성테크놀러지 스마트 헬스 케어 기술을 기반 복지시설 차량 운행 보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65844A (ko) * 2021-11-04 2023-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장애인 당사자-보호자-보건 전문가의 요구도 기반 3자간 건강 정보 공유 플랫폼 및 모바일 앱/웹 시스템
US11823791B2 (en) 2000-05-18 2023-11-21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CN117153316A (zh) * 2023-09-05 2023-12-01 中普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户的医疗信息采集终端的管理系统
US12001981B2 (en) 2020-11-24 2024-06-04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20B1 (ko) * 2008-03-27 2010-1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패치형 심전도측정장치, 통신장치
KR100989694B1 (ko) * 2008-06-25 2010-10-2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101210277B1 (ko) 2008-12-23 2012-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행위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 전송 방법
KR20170036923A (ko)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실버세대를 위한 건강 클러스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364432B1 (ko) 2016-07-15 2022-02-18 전대연 휴양지내에서 건강 적신호신고 및 입장신고 앱 시스템
KR20230134455A (ko) 2023-09-04 2023-09-21 전대연 신속한 인명구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14A (ko) * 2000-08-12 2002-02-20 김영복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감시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운영방법
KR20030043178A (ko) * 2001-11-27 2003-06-02 바이오인포메틱스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이용한 실버타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5846A (ko) * 2002-09-11 2002-10-07 이지민 무선이동통신과 맥박감시장치를 이용한 돌연사경보 및건강정보제공 방법
KR20040087870A (ko) * 2003-04-09 2004-10-15 (주)에이치쓰리시스템 가정용 의료기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6967A (ko) * 2004-12-14 2006-06-19 조승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275571B2 (en) 2000-05-18 2019-04-30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9600633B2 (en) 2000-05-18 2017-03-21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1823791B2 (en) 2000-05-18 2023-11-21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10064579B2 (en) 2004-08-25 2018-09-04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9307907B2 (en) 2004-08-25 2016-04-12 CareFusion 303,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10668211B2 (en) 2005-02-11 2020-06-02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11590281B2 (en) 2005-02-11 2023-02-28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981085B2 (en) 2005-02-11 2018-05-29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KR100990311B1 (ko) * 2008-07-21 2010-10-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캠코더 OSGi/UPnP 기반 AV 네트워크 및지그비 무선센서 네트워크 연동을 통한 상황인지 헬스케어시스템 개발
KR101016605B1 (ko) * 2008-08-29 2011-02-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0024604A3 (ko) * 2008-08-29 2010-06-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0024604A2 (ko) * 2008-08-29 2010-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5033A3 (ko) * 2009-01-23 2010-09-16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5033A2 (ko) * 2009-01-23 2010-07-29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186B1 (ko) * 2009-01-28 2014-09-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기반으로 감지한 사용자 감정 상태에 대한 응답 방법.
WO2010087562A1 (ko) * 2009-01-28 2010-08-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운영 방법
KR101352984B1 (ko) * 2009-12-04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l7 cda 표준 기반의 개인건강기기 측정데이터 관리 시스템
US11734222B2 (en) 2011-03-17 2023-08-22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1366781B2 (en) 2011-03-17 2022-06-21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77662B1 (ko) * 2011-11-18 2012-08-27 오동식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US10029047B2 (en) 2013-03-13 2018-07-24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O2014159284A1 (en) * 2013-03-13 2014-10-02 Carefusion 303, Inc. Healthcare validation system
US11615871B2 (en) 2013-03-13 2023-03-28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867265B2 (en) 2013-03-13 2020-12-15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937530B2 (en) 2013-03-13 2021-03-02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US10109377B2 (en) 2013-12-03 2018-10-23 Cur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atient-care
US10777321B2 (en) 2013-12-03 2020-09-15 Cur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atient-care
WO2015084743A1 (en) * 2013-12-03 2015-06-11 Shetty Devi Prasa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atient-care
KR200483102Y1 (ko) 2017-02-10 2017-04-06 유정시스템(주) 차량 운전자용 손목시계형 밴드
KR20210043364A (ko) * 2019-10-11 2021-04-21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령인구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10071793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과학기술원 다단계 적시 중재 시스템을 통한 원격 헬스케어 사용자의 운동 처방 준수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171742B1 (ko) * 2020-01-10 2020-10-29 최혜린 노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8076B1 (ko) * 2020-10-23 2020-12-07 최혜린 노년층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IoT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9503B1 (ko) * 2020-11-20 2022-03-04 (주) 경성테크놀러지 스마트 헬스 케어 기술을 기반 복지시설 차량 운행 보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2001981B2 (en) 2020-11-24 2024-06-04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KR20230065844A (ko) * 2021-11-04 2023-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장애인 당사자-보호자-보건 전문가의 요구도 기반 3자간 건강 정보 공유 플랫폼 및 모바일 앱/웹 시스템
CN117153316A (zh) * 2023-09-05 2023-12-01 中普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户的医疗信息采集终端的管理系统
CN117153316B (zh) * 2023-09-05 2024-04-19 中普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户的医疗信息采集终端的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166B1 (ko) 200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7631B1 (ko) 의료 중재 레벨을 원격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towe et al. Telecare, telehealth and telemedicine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US9384651B2 (en)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eijdekkers et al. Smart homecare system for health tele-monitoring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KR101025578B1 (ko)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204765593U (zh) 一种生命体征在线监测系统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US20160260310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US201400524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KR101897236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Gogate et al. Smart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10187682A (zh) 一种智能居家养老系统
KR102285597B1 (ko) 웨어러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간호지원 시스템
Gomathy et al. A Review On IOT Based Covid-19 Patient Health Monitor In Quarantine
Karunanithi et al. An innovative technology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the smarter safer homes platform
KR101894906B1 (ko) 헬프트리거를 소지한 실버 세대를 위한 개인응급 응답시스템
KR20110069356A (ko)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KR2012012940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TWI776284B (zh) 居家長期智能照顧系統和方法
KR20140120468A (ko) 원격 효대행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