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927A - 타이어 제조방법 및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를 취부하는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방법 및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를 취부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927A
KR20080012927A KR1020077028085A KR20077028085A KR20080012927A KR 20080012927 A KR20080012927 A KR 20080012927A KR 1020077028085 A KR1020077028085 A KR 1020077028085A KR 20077028085 A KR20077028085 A KR 20077028085A KR 20080012927 A KR20080012927 A KR 2008001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orming support
reinforcing element
profile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791B1 (ko
Inventor
마우리지오 마르치니
마르코 칸튜
Original Assignee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08001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165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cut-to-length piec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re axis and placing the pieces side-by-side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4Rolling-down or pressing-down the layers in the bui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1657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cut-to-length pieces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re axis and placing the pieces side-by-side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8Rolling-down or pressing-down the layers in the bui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305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cut-to-length piec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rum axis and placing the pieces side-by-side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3057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cut-to-length pieces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rum axis and placing the pieces side-by-side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8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s and not provided for in the relevant subclasses, (e.g. making dies, filament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2030/082Optimizing the deposition of the layers on the tyre building support, e.g. by using mathematical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1664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 B29D2030/1685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the layers being applied being already cut to the appropriate length, before the applic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3064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3085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layers being applied being already cut to the appropriate length, before the application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지지대(3) 상에 환형고정구조물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carcass ply)을 포함하는 폐 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와 상기 폐 구조물(carcass structure)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벨트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벨트구조물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트레드 밴드(tread band)를 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 상기 환형고정구조물 그리고 상기 벨트구조물 각각이, 상기 성형지지대(3)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취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취부함에 있어,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제1취부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취부경로를 따라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상기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와 상기 변이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실제 취부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취부 경로를 따라 상기 성형지지대(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타이어, 타이어제조, 강화요소

Description

타이어 제조방법 및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를 취부하는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a Tyre and Apparatus for Laying a Reinforcing Element on a Forming Support}
본 발명은 운송수단 바퀴에 쓰이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지지대(forming support)에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reinforcing element)를 취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기도 한데, 이는 상기 언급된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후술하는 청구항을 통하여, "강화요소(reinforcing element)"라는 용어는, 섬유 혹은 금속 코드(cord)와 같이, 엘라스토머(elastomer) 소재의 층에 혼합되거나 엘라스토머 소재의 층에 덮인 나사산(thread)이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화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후술하는 청구항에서, "엘라스토머 소재"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폴리머(elastomer polymer)와 적어도 하나의 강화충전재(reinforcing filler)를 포함하는 합성물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도록 특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합성물은, 예를 들어 가교접속제(cross-linking agent) 및/또는 가소제(可塑劑,plasticizer)와 같은, 첨가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교접속제의 구비로 인하여 상기 소재가 가열을 통해 교차연결되어서 최종물(final product)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는 대개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주형(鑄型)에 혼합된 강화코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carcass ply)을 포함하는 폐 구조물(carcass structur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폐 가닥은 통상 "비드(bead)"라는 명칭으로 식별되는 지역에 배치된 환형고정구조물(annular anchoring structure)에 각각 결합된 엔드플랩(end flap)을 가지고 있으며, 대개 적어도 하나의 충전삽입구(filling insert)가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에 적용되는 둘레환형삽입구(circumferential annular insert)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환형구조물은 통상 "비드 코어(bead cores)"라고 칭해진다.
폐 가닥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벨트층을 포함하는 벨트 구조물(belt structure)이 구비되는데, 상기 벨트층은 반경방향으로 다른 벨트층의 위에 하나의 벨트층이 배치되는 구조이며, 타이어의 둘레쪽 확장의 방향을 가로지르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방향지어진 섬유 또는 금속으로 된 강화코드(reinforcing cord)를 가진다.
폐 구조물과 벨트 구조물 사이에는 "하부벨트(underbelt)"라 알려진 엘라스토머 소재의 층이 있게 되는데, 상기 층은 벨트 구조물의 후속작용에 대하여 폐 구조물의 반경방향 바깥쪽 표면을 가능한 한 일정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벨트 구조물에 대한 반경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트레드 밴드(tread band)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타이어를 형성하는 다른 구성요소와 마찬가지로 또한 엘라 스토머 소재로 되어 있다.
트레드 밴드와 벨트구조물 사이에는, 트레드 밴드 자체의 일정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물성치를 가지는 엘라스토머 소재의 소위 "하부층(under-layer)"이 배치될 수 있다.
폐 구조물의 측면에는 엘라스토머 소재의 각각의 측벽이 또한 구비되는데, 각 측벽이 트레드 밴드의 측면 선단(side edge)들 중 하나로부터 비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각각의 환형구조물까지 뻗어 있게 된다.
"튜브가 없는" 타이어에서, 폐 가닥은 내부가 엘라스토머 소재로 된 층에 의하여 코팅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공기 밀폐성에 있어 적정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비드로부터 또 다른 비드로 뻗어 있는 통상 "라이너"로 알려진 부틸렌계 소재가 사용된다.
종래의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의 제조공정은 필연적으로 상기 열거된 타이어의 구성요소들이 일단 서로 분리되어 만들어진 다음 후속의 타이어 결합단계에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현재의 경향은 반제품(semi-finished product)의 생산과 보관을 최소화시키거나 가능하면 없애도록 하는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관심은 타이어의 개별 구성요소가 미리 설정된 시퀀스(sequence)에 따라 대개 환상형(toroidal) 또는 실린더형(cylindrical)의 성형지지대(forming support) 위에 놓여지는 타이어 위로 직접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출원한 WO 01/36185 에서, 타이어의 구성요소는 환상형 지지대 위에서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강화요소를 구비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서 복수 개의 강화요소란, 특히 폐 구조물과 벨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개별적 고무 코드 또는 스트립과 유사한(strip-like) 구성요소의 형태로 평행하게 그룹지어진 고무코드를 포함하거나 특히 예를 들어 트레드 밴드, 측벽, 라이너, 충전재와 같은 타이어의 기타 구성요소를 제조하는데에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된 연속되는 세장요소(elongated eleme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타이어의 제조는 실질적으로 반제품의 중간보관이 없는 자동화 공정을 제공하게 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상기 언급된 타이어의 개별 구성요소가, 압출기와 함께 작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전달부재(delivery member)에 의하여 이송되는 세장요소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조된다. 그 다음, 가압방향을 따라 세장요소에 작용하며 미리 설정된 취부경로(deposition path)를 따라 성형지지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세장요소가 성형지지대 위에 놓여진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유럽특허 EP 1,299,825호에서 타이어의 설계단계는 디자인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실질적으로 모든 구성요소의 취부 시퀀스(deposition sequence)를 재생산하는, 복수 개의 절차를 만들어내는데, 여기에서 타이어 제조 플랜트는 그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낸다. 상기 생산 플랜트의 대응하는 제조 유니트에 보내지기 위해서는 적절히 철수되어야 하는 절차,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차가 구성요소의 취부 시퀀스를 포함하는 절차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베이 스에 위치한다.
본 출원인은, 유럽특허 EP 1,299,825호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은 세장요소의 취부가 실행되는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profile)에 근거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선험적 취부경로를 결정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특히 상기 소프트웨어는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을 인식하는 일련의 정보 입력치를 수신한 후, 상기 성형지지대 상의 취부경로를 결정하는 일련의 지점들의 공간적 배치를 연산하는 정보를 처리한다.
강화요소의 취부가 수행되는 성형지지대는 환상형 또는 실린더형 드럼 뿐 아니라,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오버래핑(overlapping)되고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엘라스토머 소재로 된 복수 개의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층의 치수공차로 인하여, 강화요소의 취부가 수행되는 실제 취부 프로파일은 상기 언급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취부경로를 결정하는 이론적 프로파일과는 다르다는 점은,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이는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가 최적으로 놓여지지는 않음을 유발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출원인은 성형지지대에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로부터 결정된 취부경로를 따라 강화요소가 취부되는 것이, 인접한 강화요소들 사이에 오버래핑 또는 원치않는 공간의 발생과 같은, 타이어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타이어의 제조단계에서, 강화요소의 취부가 실제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취부 및 그에 의하여 타이어의 높은 품질 수준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개발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본 출원인은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로부터 결정된 제1취부경로를 따른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의 차이를 추적함으로써 그리고 추적된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취부경로로부터 시작하는 실제 취부경로를 결정함으로써 이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그 일 형태로서,
성형지지대 위에 환형고정구조물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 구조물을 빌딩(building)하는 단계;
상기 폐 구조물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에 벨트 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 상기 환형고정구조물 그리고 상기 벨트구조물의 각각이 상기 성형지지대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에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벨트 구조물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에 트레드 밴드를 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취부는,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제1취부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상기 제1취부경로를 따른 상기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차이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실제 취부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취부 경로를 따라 상기 성형지지대 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지지대의 프로파일로부터 시작하도록 결정된 실제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연산된 실제 취부 경로를 따라 성형지지대 위에 강화요소의 취부가 수행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잇점이 있다. 따라서 최적화된 강화요소의 취부가 오버래핑 또는 인접한 강화요소 간의 원치않는 공간의 발생과 같은 결함을 피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타이어의 높은 품질 수준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대하여,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추적된 변이에 근거하여 이론적 취부 경로로부터 실제 취부 경로가 연산된다. 그러한 변이는, 예를 들어 성형지지대 위에 앞서 놓여졌을 수 있는 표면층의 치수공차 등에 기인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취부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연산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제1취부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취부 유니트가 상기 성형지지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로 상기 취부 유니트의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움직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가 상기 제1취부경로의 초기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 및
추적장치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취부경로는 연산 알고리즘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잇점이 있다. 특히 이것은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일련의 정보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일련의 지점들의 공간적 배열을 연산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상기 지점들은 이론적 취부 경로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이론적 취부경로는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가 실제 취부 경로가 나중에 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추적되는 경로이다.
본 방법발명에서 추적장치는, 추적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0'에 설정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의 출력을 직접적으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가 연결된 탄성부재의 미리 설정된 신장(elongation)을 기계적으로 일으킨다.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가압부재는, 예를 들어 성형지지대에 미리 놓여진 표면층의 두께가 추적점 중 하나에서 이론적인 것보다 더 크다는 사실에 의하여 야기되는 (+) 변이와, 예를 들어 성형지지대에 미리 놓여진 표면층의 두께가 추적점 중 하나에서 이론적인 것보다 더 작다는 사실에 의하여 야기되는 (-) 변이를 모두 추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신장은 약 2mm ~ 5mm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상기 제1취부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 및
동시에 상기 성형지지대 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의 가압방향으로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압부재가 상기 제1취부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변이의 추적이 이루어진다.
본 방법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지지대 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가 취부되는 주기의 설정단계에서 수행된다. 그 경우, 추적 단계의 구동이 취부주기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기계작동시간의 증가를 초래하지는 않는다는 잇점이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시 취부 장치가 아이들(idle) 주기로 왕복운동하는 것이 예측되는, 타이어의 벨트층을 제조하는 강화요소의 취부에 있어, 이것은 성취될 수 있다.
본 방법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지지대 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취부주기를 가지는 제1취부단계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폐 가닥을 제조하기 위하여 강화요소를 취부하거나 폐 구조물의 고정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드코어(bead core)를 취부할 때, 이것은 성취될 수 있다.
본 방법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실제취부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취부경로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 변이가 추적되는 경우에만 실제취부경로의 연산이 행해진다는 것이 본 발명의 잇점이다. 위와 같은 연산이 단순히,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 변이가 추적된 제1취부경로의 단지 세 지점의 좌표의 수정을 제공한다는 점은 본 발명의 더 큰 잇점이다. 이는 최소로 줄여져야 하는 실제 취부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산 부담을 허용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취부경로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이가 미리 설정된 공차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한다. 이는 더욱 제한적인 실제취부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산 부담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공차범위가 약 -1.5mm와 약 +1.5mm 사이가 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mm와 약 +0.5mm 사이가 된다.
본 방법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지지대는 환상형 드럼이다. 대안적으로는, 성형지지대는 실린더형 지지대일 수 있다. 그러한 형태의 지지대는, 많은 성형지지대 위에서 별도로 타이어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조하고 타이어 완성품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으로 조립을 하도록 구비되는 타이어 제조공정에서 타이어의 몇몇 구성요소(벨트구조물 또는 트레드 밴드와 같은)를 만드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성형지지대의 특정형태와는 무관하게, 성형지지대는 바람직하게는 미리 취부된 엘라스토머 소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층으로 이루어진다. 그 경우, 엘라스토머 소재의 큰 치수공차로 인하여 실제 취부 프로파일이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과 다를 확률이 매우 크다. 본 방법발명은 또한 강화요소의 최적 취부가 위와 같은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잇점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취부경로가 상기 성형지지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취부방향으로 뻗어 있다. 즉, 본 방법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강화요소가 성형지지대의 표면에 취부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타이어와 폐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비드 코어의 벨트 및/또는 폐 구조물을 제조할 때에, 성형지지대 그 자체의 둘레방향 전개(development)의 방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취부각에 따라 사용된다.
본 방법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가, 상기 성형지지대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어느 구성요소로부터 절단된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각의 형태로, 상기 성형지지대에 구비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타이어의 벨트층을 제조하기 위하여 또는 폐 가닥의 제조를 위하여 강화요소가 취부되는 경우이다.
본 방법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구성요소의 형태로 상기 성형지지대에 구비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폐 구조물의 고정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드 코어를 취부하는 경우이다.
제2의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위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성형지지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송 유니트;
상기 성형지지대 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취부 유니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취부 유니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취부유니트에 대한 제어유니트;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상기 이론적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결정된 제1취부경로를 따른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 및
상기 변이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 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에 대한 실제 취부 경로를 결정하는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방법발명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그 잇점이 있다.
본 장치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적(electromechanical)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장치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optical)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는 상기 장치의 프레임(frame)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취부 부재(deposition member) 위에서 작동하여 미리 결정된 가압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의 변위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한 본 장치발명은 상기 성형지지대 위의 복수 개의 조각으로 된 미리 결정된 길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 서로 떨어져서 움직임으로써 상기 성형지지대 위의 상기 조각들에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압부재로부터 절단해 내는 절단부재(cutting memb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압부재는 압연가압부재(rolling presser members)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타이어의 벨트층의 제조를 위하여 강화요소를 취부하는 경우 및/또는 타이어의 폐 가닥의 제조를 위하여 강화요소를 취부하는 경우 사용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구성요소의 형태로 상기 성형지지대 위에서 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폐 구조물의 고정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드 코어를 취부하는 경우 사용된다.
본 장치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지지대는 환상형 또는 실린더형 드럼인데, 바람직하게는 미리 취부된 엘라스토머 소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잇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에 대한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성형지지대 위의 강화요소의 취부주기(deposition cycle)의 작용단계에서 본 장치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단계에 이은 작용단계에서의 도 1의 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있어 운송수단 타이어용 강화요소를 만드는 장치의 일 실시예가 전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본 장치(1)는 본 출원인의 WO 01/36185에 설명된 형태의 작업장(work station)의 일부분이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본 장치(1)는 얻어져야 할 타이어의 내부 제원에 따라 실질적으로 규정되는 외부면(3a)을 가지는 환상형 지지대(3) 위에서 벨트 구조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환상형 지지대(3)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라면 적당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강화요소(reinforcing element)는, 바람직하게는 인발(drawing) 및/또는 캘린더 장치에서 나오거나 또는 피드 릴(feed reel)에서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strip-like) 구성요소(6) 위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절단 작용을 통하여 얻어지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조각들(5)로 이루어진다.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와, 그로부터 후속하여 얻어지는 조각들(5) 각각은 금속이나 섬유소재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코드 또는 유사물을 가지는 데, 이들은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와 조각들(5) 자체의 길이방향 확장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인발 및/또는 캘린더 작용을 통하여 적용되는 엘라스토머 소재 층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코팅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본 장치(1)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 뿐 아니라 본 장치(1) 역시 예를 들면 폐 구조물과 같이 타이어의 다른 강화구조물을 만들도록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것이 특정되어야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1)는 폐 구조물의 고정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드코어를 취부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 경우 강화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소재의 층으로 코팅된 금속 또는 섬유 소재로 된 코드(고무코드로 알려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무코드(rubberized cord)는 연속적인 구성요소의 형태로 타이어에서 이송되며, 적당히 구비된 가압부재의 작용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나선형 진행에 따라 타이어 비드에 취부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벨트구조물을 만들기 전에 폐 구조물(미도시)이 환상형 지지대(3) 위에 빌딩된다. 이러한 구조물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0 928 680 호에 설명된 바에 따라 환상형 지지대(3) 위에 잇점을 가지고 성형될 수 있다.
완전한 엘라스토머 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와 혼합되거나 엘라스토머 소재로 코팅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화요소를 포함하는 소재로 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층이 폐 구조물에 더하여 환상형 지지대(3) 위에 빌딩될 수도 있다.
본 장치(1)는, 첨부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이 송유니트(4)가 마운팅되는 프레임(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송 유니트는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의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을 제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개별적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을 얻기 위해서 이송 유니트(4)는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를 절단하도록, 수직적으로 또는 길이방향 확장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경사에 따라,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절단부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의 종단(6a)을 절단부재(7)에 결합시키는 제1 작업지점과 절단부재(7) 그 자체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제2작업지점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gripping member, 미도시)는 절단부재(7)에 결합되어 있다. 제1작업지점에서 제2작업지점으로 이송 후 파지부재는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를 당겨서, 절단부재 자체의 후속적 작동을 따라 얻어지는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에 따라, 절단부재(7)를 지나서 바람직하게는 환상형 지지대(3)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서 그것을 취부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의 도면부호 9가 지시하는 한 쌍의 롤러가 절단부재(7)를 향하여 상기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절단부재(7) 쪽으로 이송되는 지역에서 연속적인 스트립 유사 구성요소(6) 상에 작용한다.
본 장치(1)는 첨부된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듯이 적어도 하나의 취부유니트(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것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구비된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의 각각을 차례로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하여 환상형 지지대(3)의 외부면(3a) 상에 그들을 취부한다.
바람직하게는, 취부유니트(10)는, 스트립 유사 조각(5)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환상형 지지대(3)의 외부면(3a)을 반대쪽으로 맞대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특정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압연가압부재(11)가 사용되는데, 그 각각은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장치들,예를 들어 웜 나사(worm screw) 종류의 장치들,의 동작에 의해 안내구조물(13)을 따라 이동가능한 지지 구성요소(12)에 의하여 동작한다. 그에 대해서는 편리한 방식이라면 어떤 것이든 당업자가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탄성계수 k를 가지고 있는 탄성부재(미도시)는 각각의 가압부재(11)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11)가 미리 설정된 힘 F로 환상형 지지대(3)의 외부면(3a)에 대향하여 압력을 받을 때, F/k와 같은 미리 설정된 스프링의 신장(elongation)이 생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계수 k와 설정된 힘 F는 상기 신장이 약 2mm와 약 5mm 사이가 되도록 선택된다.
절단부재(7)의 작동에 따라 후자(latter)의 절단과 환상형 지지대(3) 위로 적용의 사이 시간에 스트립 유사 조각(5)을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가압부재(11)와 같이 작용하는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지부재(14)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지지부재(12)와 결합된다.
더 상세히는, 각 보조지지부재(14)는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부재(12)로부터 돌출한 작은 롤러로 구성되어, 파지부재가 잡아당긴 세장요소(6) 그리고 절단된 스트립 유사 조각(5)에 대한 지지시트(support seat)를 제공하게 된다.
환상형 지지대(3)의 외부면(3a)에 반경방향으로 더 가까운 가압부재(11)를 전달하도록 구비된, 반경방향 운동장치는 또한 취부유니트(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반경방향 운동장치는 당업자라면 적당한 어떤 방법에 의하여 만들 수 있는 것이므로 도시되지도 상세히 서술되지도 아니하는데, 반경방향 운동장치는 예를 들어 안내구조물(13) 위에 작용하거나 및/또는 가압부재(11) 위에 직접 작용할 수 있어서 환상형 지지대(3)의 외부면(3a)에 접촉하는 관계에 있는 스트립 유사 조각(5)을 취하게 된다.
횡방향 운동장치 또한 구비되나,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어떤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져서 예를 들어 안내구조물(13)과 블록들(12) 사이에서 작동하여, 도 1에 의하면 블록들이 서로 인접해 있는 제1작동조건과 도 2에 의하면 블록들이 환상형 지지대(3)의 Y-Y 면에 대하여 서로 떨어져서 이동하는 제2작동조건 사이에서 가압부재(11)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장치(1)는 환상형 지지대(3)에 대한 취부유니트(10)의 운동과 도 1에 도시된 제1작동지점으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제2작동지점까지 미리 설정된 취부경로를 따른 가압부재(11)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장치(1)의 더 상세한 것과 준비과정 및 환상형 지지대(3) 위에 각 스트립 유사 조각(5)을 취부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1 147 007호에 설명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이하에서 설명될 추가적인 설비가 없다면 위에서 설명된 형태의 본 장치(1)에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을 취부하는 것은 최적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역시 환상형 지지대(3)의 프로파일에서 나온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취부경로가 선험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특정되어야 한다. 특히, 입력에 있어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일련의 정보를 수신하는 소프트웨어가 상기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취부경로를 결정하는 일련의 지점들의 공간적 좌표를 연산한다.
실제 취부 프로파일은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과는 다르기 때문에, 환상형 지지대(3) 위에 스트립 유사 조각(5)를 취부하는 것은 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환상형 지지대(3) 위에 스트립 유사 조각(5)를 취부하는 것이, 예를 들어 라이너(liner), 폐 가닥, 비드 코어, 하부벨트(under-belt)와 같은 타이어의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환상형 지지대(3)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실제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연산된 취부경로를 따라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적합한 설비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 대하여, 본 장치(1)는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선험적으로 결정된 취부경로를 따른,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를 추적하는 데에 적합한 추적장치(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장치(1)는 또한 추적된 변이에 근거하여 환상형 지지대(3) 위에 스트립 유사 조각(5)을 실제 취부하는 경로를 처리하는 데에 적합한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적장치(20)는 전기기계적 또는 광학적 위치센서이다. 상기 센서는 본 장치(1)의 프레임(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취부유니 트(10) 상에서 작용하여 미리 결정된 가압방향 P를 따라 가압부재(11)의 변위를 추적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추적장치(20)는 예를 들면 스프링과 같은 종래의 탄성부재(21)의 삽입을 통해 프레임(2)에 결합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추적장치(20)는 프레임(2)과 취부유니트(10)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위치하여 취부유니트(10) 상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압부재(11)는 가압방향 P를 따르는 운동에 있어, 취부유니트(10)의 다른 부재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작동지점으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제2작동지점까지 가압방향 P를 따라 상기 가압부재(11)가 운동하는 동안 가압부재(11)의 변위는 취부유니트(10) 전체의 대응하는 변위들을 만들어낸다. 당업자라면 추적장치(20)의 위치는 도시된 추적장치와는 경우에 따라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특히 추적장치(20)는 가압부재(11) 또는, 그 부재가 가압방향 P를 따른 상기 가압부재의 운동에 있어 가압부재(1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면 취부유니트(10)의 다른 부재에, 직접 작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추적장치(10)는,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가 추적될 때마다, 상기 변이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변이가 발생한 이론적 취부경로의 지점들의 공간적 좌표를 수정하는, 처리유니트에 보내진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본 장치(1)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타이어의 벨트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환상형 지지대(3) 위에 스트립 유사 조각(5)을 취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초기에 환상형 지지대(3a) 위에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 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후, 폐 구조물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벨트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가 수행되며,이어서 벨트구조물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트레드 밴드를 빌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폐 구조물 및/또는 벨트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는 환상형 지지대(3)의 외부면(3a) 상에 복수 개의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을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는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이론적 취부 경로를 초기에 결정하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론적 취부 경로는, 이론적 환상형 지지대 및 빌딩될 타이어에 대한 일련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론적 취부 경로를 결정하는 일련의 지점들의 공간좌표를 연산하는, 연산 알고리즘에 의하여 연산된다.
그 다음, 제어유니트는, 환상형 지지대(3) 상에서 접촉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로 가압부재(11)를 이동시키는 취부유니트(10) 상에서 작용한다. 상기 지점은 이론적 취부 경로의 초기 위치를 결정한다. 이 단계에서, 추적장치는 '0'으로 설정된다.
그 다음, 기계의 초기설정주기를 수행하도록 가압부재(11)가 이론적 취부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변위와 동시에, 추적장치는 미리 설정된 가압방향 P를 따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과 실제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를 추적하며 상기 변이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신호는, 변이가 발생한 이론적 취부 경 로의 지점들의 공간좌표를 수정하는 처리유니트에 보내진다.
그리하여, 실제 취부경로가 결정된다.
본 방법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론적 취부 경로의 공간좌표의 수정은, 추적된 변이가 예를 들어 약 -1.5mm와 약 +1.5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0.5mm와 약 +0.5mm 사이의 미리 결정된 공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이 지점에서, 스트립 유사 조각들(5)의 실제 취부 단계가 시작된다. 상기 단계에서 제어유니트는 미리 연산된 실제 취부 경로를 따라 가압부재(11)가 움직이도록 한다.
폐 구조물의 고정구조물을 만드는 비드코어를 취부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소재의 층으로 코팅된 금속 또는 섬유 소재의 나사산(thread) 유사 부재로 구성되는 고무코드가 환상형 지지대(3)에서 이송된다. 상기 고무코드는 연속적인 구성요소의 형태로 타이어에서 이송되고, 적절히 제공되는 가압부재의 작동을 통해 실질적으로 나선형 이송에 따라 타이어의 비드에 취부된다.
제1취부주기(나선형 경로의 제1순서에 대응하는)가 상기 설명한 방식으로 선험적으로 연산된 이론적 취부 경로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상기 주기가 수행되고 있는 동안,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 변이가 추적된다.
그 다음, 이론적 취부경로와 실제 취부를 수정하는 단계가 위에 도시된 것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 바퀴에 쓰이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또한 성형지지대(forming support)에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reinforcing element)를 취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기도 한데, 이는 상기 언급된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화요소의 취부가 실제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취부 및 그에 의하여 타이어의 높은 품질 수준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25)

  1. 성형지지대(3) 상에 환형고정구조물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carcass ply)을 포함하는 폐 구조물을 빌딩(building)하는 단계;
    상기 폐 구조물(carcass structure)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벨트구조물을 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벨트구조물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트레드 밴드(tread band)를 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 가닥, 상기 환형고정구조물 그리고 상기 벨트구조물 각각이, 상기 성형지지대(3)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에 취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취부함에 있어,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제1취부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취부경로를 따라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상기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변이에 근거하여 상기 성형지지대(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의 실제 취부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취부 경로를 따라 상기 성형지지대(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취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취부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연산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제1취부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적어도 하나의 취부유니트(10)가 상기 취부유니트의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를 상기 성형지지대(3)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가 상기 제1취부경로의 초기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적장치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는 상기 가압부재(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탄성부재의 미리 결정된 신장(enlongation)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신장이 약 2mm 와 약 5mm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제1취부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를 움직이는 단계; 및
    상기 성형지지대(3)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의 가압방향(P)으로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동시에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지지대(3)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취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프로파일과 이론적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지지대(3)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취부주기의 제1취부단계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취부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취부경로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취부경로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이가 미리 설정된 공차범위를 벗어날 때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공차범위는 약 -1.5mm과 약 +1.5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공차범위는 약 -0.5mm과 약 +0.5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지지대(3)는 환상형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지지대(3)는 실린더형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엘라스토머 소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취부경로는 상기 성형지지대(3)의 회전축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취부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는 상기 성형지지대(3)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구성요소(6)로부터 절단되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각들의 형태로 상기 성형지지대(3)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구성요소의 형태로 상기 성형지지대(3)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바퀴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18. 성형지지대(3)에서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유니트(4);
    상기 성형지지대(3) 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를 취부하는 것으 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취부유니트(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취부유니트(10)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
    상기 이론적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결정된 제1취부경로를 따라 실제 취부 프로파일과 이론적 취부 프로파일 간의 변이를 추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20); 및
    상기 성형지지대(3) 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실제 취부경로를 상기 변이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처리유니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적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적장치(20)는 미리 결정된 가압방향(P)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의 변 위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1)의 프레임(2)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취부유니트(10) 위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지지대(3)에 상기 강화요소(5)의 조각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구성요소(6)와 서로 떨어진 채 이동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가압부재(11)로부터 상기 성형지지대(3) 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5)의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각들을 절단하는 절단부재(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압부재(11)는 압연가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지지대(3)는 환상형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기 위한 장치.
  25.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지지대(3)는 실린더형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요소를 성형지지대 상에 취부하 기 위한 장치.
KR1020077028085A 2005-05-30 2005-05-30 타이어 제조방법 및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를 취부하는장치 KR10120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05/000307 WO2006129326A1 (en) 2005-05-30 2005-05-30 Method for manufacturing a tyre and apparatus for laying a reinforcing element on a forming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927A true KR20080012927A (ko) 2008-02-12
KR101202791B1 KR101202791B1 (ko) 2012-11-19

Family

ID=3551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085A KR101202791B1 (ko) 2005-05-30 2005-05-30 타이어 제조방법 및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를 취부하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62822B2 (ko)
EP (1) EP1901915B1 (ko)
KR (1) KR101202791B1 (ko)
CN (1) CN101189120B (ko)
BR (1) BRPI0520247A2 (ko)
WO (1) WO2006129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5409B2 (ja) * 2007-11-30 2013-03-06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516142B1 (en) * 2009-12-22 2015-04-08 Pirelli Tyre S.p.A. Method and plant for building different types of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JP2013082143A (ja) * 2011-10-11 2013-05-0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
ITMI20112039A1 (it) * 2011-11-10 2013-05-11 Pirelli Processo ed impianto per realizzare pneumatici differenti tra loro
JP6648771B2 (ja) * 2018-02-16 2020-02-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
CN111251635B (zh) * 2019-02-15 2021-09-28 山东合海能源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子午胎成型机胎侧宽度控制系统
DE102020209014A1 (de) * 2020-07-17 2022-01-2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Spulmusters für eine Laufstreifenwickl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0965A (en) * 1986-03-28 1988-06-14 The Ingersoll Milling Machine Company Adaptive control for tape laying head having natural path generation
US4874455A (en) 1987-01-29 1989-10-17 The Armstrong Rubber Co. Apparatus for forming endless tire reinforcing belts
FR2677578A1 (fr) * 1991-06-17 1992-12-18 Sedepro Procede de fabrication d'un pneumatique et machines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DE19901958C2 (de) 1999-01-20 2001-06-13 Continental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ürtelbandage eines Fahrzeugluftreifens
IT1313339B1 (it) 1999-08-03 2002-07-23 Electronic Systems Spa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misurare il bilanciamneto di un'animametallica in uno strato di gomma o simili.
TR200201324T2 (tr) 1999-11-19 2002-10-21 Pirelli Pneumatici S.P.A. Taşıt tekerleklerine mahsus bir lastiğin elastomer malzeme bileşenlerini imal etmeye yöntemi.
TR200102150T1 (tr) * 1999-11-26 2002-02-21 Pirelli Pneumatici S.P.A Taşıtların lastikleri için bir takviye yapısının imalatı için bir yöntem ve tertibat.
FR2804368A1 (fr) 2000-02-01 2001-08-03 Sedepro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de renforts pour pneumatique
EP1440789B1 (en) 2000-07-11 2007-04-25 Pirelli Tyre S.p.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yres
US6799619B2 (en) * 2002-02-06 2004-10-05 The Boeing Company Composite material collation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 for high rate collation of composite materials
KR20050019105A (ko) 2002-06-03 2005-02-28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체적 제어식 타이어용 강화 구조물 제조 시스템
WO2003101714A2 (fr) 2002-06-03 2003-12-11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Fabrication d’une structure de renforcement pour pneumatique avec controle volumetrique de la matrice
JP4313094B2 (ja) * 2003-06-03 2009-08-1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コード貼付方法及び貼付装置
ES2292987T3 (es) 2003-06-30 2008-03-16 Pirelli Tyre S.P.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e componentes elastomericos de un neumatico para ruedas de vehiculos.
JP2007518612A (ja) * 2003-09-30 2007-07-12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ATE350210T1 (de) * 2003-11-21 2007-01-15 Michelin Soc Te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legen eines endlosen streifens auf eine torusförmige oberfläche.
US7766063B2 (en) * 2005-04-28 2010-08-03 The Boeing Company Machine assisted laminat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2822B2 (en) 2012-09-11
US20090301638A1 (en) 2009-12-10
EP1901915B1 (en) 2013-12-18
US20120298305A1 (en) 2012-11-29
WO2006129326A1 (en) 2006-12-07
CN101189120A (zh) 2008-05-28
US9254618B2 (en) 2016-02-09
CN101189120B (zh) 2010-09-29
KR101202791B1 (ko) 2012-11-19
BRPI0520247A2 (pt) 2009-09-15
EP1901915A1 (en)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791B1 (ko) 타이어 제조방법 및 성형지지대에 강화요소를 취부하는장치
KR100696901B1 (ko) 타이어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US11931980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EP2049324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pneumatic tyres
JP5122745B2 (ja) タイヤコンポーネント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KR20100103482A (ko) 차륜용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장치
EP1509386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astomeric material components of a tyre for vehicle wheels
EP1560698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ssembling tyres for vehicle wheels
EP2906413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EP2563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position of a continuous elongated element in build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KR100987411B1 (ko) 차량 바퀴용 타이어의 생산 방법 및 장치
KR20060034649A (ko) 차량용 휠 타이어의 엘라스토머 부품 제조방법
EP16996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yre
EP1827804B1 (en) Method and plant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KR20150086399A (ko) 타이어 제조 설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