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719A -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719A
KR20080012719A KR1020060073956A KR20060073956A KR20080012719A KR 20080012719 A KR20080012719 A KR 20080012719A KR 1020060073956 A KR1020060073956 A KR 1020060073956A KR 20060073956 A KR20060073956 A KR 20060073956A KR 20080012719 A KR20080012719 A KR 2008001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weeks
disease
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7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719A/ko
Publication of KR2008001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개인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연월일시 정보를 입력하고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회원 단말; 및 상기 회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연월일시 정보로부터 사주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사주 정보와 관련된 건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월일시, 사주, 체질, 건강 관리 정보, 건강 검진 서버

Description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examination by using the four pillars in th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건강 검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필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필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필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주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건강 검진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웹서버 101 : 건강 관리 서버
102 : 메시징 서버 103 : 데이터베이스 서버
104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105 :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106 :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 110 : PDA
120 : 네트워크 130 : 회원 단말
200 : 연관성 분석부 210 : 결과 생성부
220 : 사용자 송수신부 230 : 정보 조회부
240 : 사용자 인증부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으로 사주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어난 연월일시를 가지고 개인의 미래를 예측한다는 사주 명리학은 개인의 믿음에 따른 신념 체계로, 또는 과학적 근거를 가지는 자연 철학이라는 논쟁으로 양면적 평가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와는 달리 개인들의 사주에 대한 호기심은 높은 편이며,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들의 52%가 점, 사주를 믿는다는 결과도 있다.
이런 정서와 더불어 사주 명리학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일부 대학교에서는 교양 과정으로 개설하거나, 보다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석사 과정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의학계에서도 사주 명리학과 질병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경제학에서도 사주가 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이라는 논문이 제시될 정도로 적극적인 접근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통신 과학이 발전함으로 인해 원격 진료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핸드폰이나 PDA 등에 진단 모듈 등을 부가하여 부분적으로 원격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개인은 직접 의료 서비스를 수행하는 병원 또는 보건소까지 직접 방문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이러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인은 환자들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환자들은 기본적으로 통원치료를 요하는 환자와 보호 관찰을 필요로 하는 환자 및 입원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환자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통원치료를 요하는 환자들은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 정기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진찰을 받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보호 관찰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증세의 여부에 따라 입원이 필요하거나 또는 통원치료를 하게 된다. 또한, 입원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병의 증세가 심각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해당하는 경우가 된다.
현재에는 미용 등에도 전문적인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피부 미용 또는 비만관리 등에서도 전문적인 의료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보편적인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현상이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들은 피부 미용, 비만, 질병 발생 유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며, 환자들의 경우는 질병에 대비하여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 및 건강 관리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사주 정보를 통해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연월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사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저장하여 관리하여,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에 대하여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원의 사주 정보와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건강 관리 정보를 PDA 단말기를 통해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원의 사주 정보와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건강 관리 정보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환자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개인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연월일시 정보를 입력하고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회원 단 말; 및 상기 회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연월일시 정보로부터 사주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사주 정보와 관련된 건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회원의 기본 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개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온라인 건강 관리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를 검색하여 사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사주 정보를 비교하여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원의 사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회원이 로그인할 경우 사주 정보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 및 건강 검진 계획 정보를 제공해주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사주 정보, 및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는 PDA 단말기와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전력선 통신과 같은 다양한 통신 수단을 통해 개인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웹서버(100), PDA 단말(110), 회원 단말(1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사업자는 건강 관리 서버(101), 메시징 서버(102)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03) 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원 단말(130) 또는 PDA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웹서버(100)에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100)를 통해 로그인함으로써 개인 관련 기초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를 통해 사주 정보, 체질 정보 및 질병 발생 가능성 여부 정보 등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120)는 유무선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LAN, WAN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네트워크로도 확장하여 해석될 수 있으나 인터넷(internet) 네트워크 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101)는 상기 회원 단말(130) 또는 PDA 단말(110)을 통해 입력된 개인 기초 정보, 특히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체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의 체질 정보 및 감정 주기 정보들을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회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사주 정보에 따른 발명 가능한 질병 정보, 질병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 정보 생성 및 건강 검진 계획 정보들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1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도 2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메시징 서버(102)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101)의 분석 결과에 따라 각종 사주 정보에 따른 체질 정보, 감정 주기 정보 또는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질병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 정보 생성 및 건강 관리 정보(일 예로, 상기 회원에게 도움이 되는 음식 정보, 날씨 정보, 또는 발명 가능한 질병 정보)를, 기설정된 회원의 정보 수신 수단(예컨대, 전화발신, 이메일, 단문 메시지 등)으로 제공해 주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3)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들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리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04),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05),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 등을 포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버(101)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 버(101)는 연관성 분석부(200), 결과 생성부(210), 사용자 송수신부(220), 정보 조회부(230) 및 사용자 인증부(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회원 단말(130)로부터 서버 접속을 위한 개인 인증 정보가 웹서버(100)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송수신부(220)에서는 사용자 인증부(240)로 상기 회원에 대한 인증을 위해 개인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240)에서는 상기 수신된 개인 인증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회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부(240)의 회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 결과를 정보 조회부(230)로 통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원이 인증을 통해 정상적으로 로그인하게 될 경우,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상기 회원의 과거 발생한 질병 정보 및 질병 발생 유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송수신부(220)를 통해 회원 단말(130)로 제공해 줄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조회부(230)에서는 상기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에 따라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에서 검색된 사주 정보를 상기 연관성 분석부(200)와 상기 결과 생성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연관성 분석부(200)는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05)를 참조하여 상기 정보 조회부(230)에서 조회한 사주 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의 질병 발병 유무 및 질병 명 및 건강 상태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결과 생성부(210)에서는 상기 연관성 분석부(200)로부터 분석된 사주 정보에 따른 회원의 질병 정보와 상기 정보 조회부(230)로부터 수신된 사주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송수신부(220)를 통해 해당 회원 단말(1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과 정보로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회원의 체질 정보 및 발병 가능한 질병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발명한 질병을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 정보와 같은 건강 검진 관리 정보 및 상기 회원의 감정이 주기적으로 변화함을 나타내는 감정 상태 정보들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원 단말(130)로부터 현재 발병한 질병 정보가 추가로 입력될 경우, 상기 정보 조회부(23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를 통해 해당 사주 정보에 대한 상극 정보 및 상생 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질병의 발생 가능성 유무를 판단하여 건강 검진 계획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질병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관성 분석부(200)로 제공되고, 상기 연관성 분석부(200)에서는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05)를 갱신하게 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 관리 서버(101)는 상기 회원 단말(130)이 정상적으로 로그인한 경우, 상기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를 조회한 후, 그 결과인 사주 정보에 따른 체질 정보, 감정 변화의 주기를 나타내는 감정 상태 정보, 발병 가능 질병 정보 및 질병이 발병하는 신체 부위 정보를 연관성 분석부(200)와 결과 생성부(210)로 전달한다.
상기 사주 정보는 상기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05)의 정보들과 상호 연관되어 건강 검진 계획 정보로 출력된다. 상기 건강 검진 계획 정보는 상기 회원 단말(130)로 전송되도록 사용자 송수신부(220)로 전달된 후, 회원 단말(130)로 제공해 주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04)의 데이터 필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04)는 아이디(301), 패스워드(302), 성명(303), 연월일시(304), 주소(305) 및 전화번호(306) 등의 데이터필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월일시(304) 데이터필드는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정보로, 상기 연월일시에 따라 상기 회원이 천체의 운행에 따른 다른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타인과는 다른 기(氣)를 가지는 곧, 다른 사주 정보를 가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월일시(304) 데이터필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주 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 및 건강 검진 계획 정보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상기 회원이 로그인시 확인하게 되는 개인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원의 로그인 후, 상기 회원의 단말(110)의 메뉴 설정에 따라 상기 회원의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체질 정보, 감성 상태 정보 및 건강 발생 여부 정보들이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05)의 데이터 필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 스(105)는 건강 상태(401), 질환 명(402), 질병 유무(403), 감정 주기(404) 및 특이 사항(405) 등의 데이터필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401)는 현재 회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에 따른 사주 정보와 관련된 건강 상태를 포함한다.
질환 명(402)은 발생 가능한 질병의 명칭을 나타낸다. 질병 유무(403)는 과거에 질병 발생의 유무 및 발생한 질병의 명칭, 정도들을 나타내며, 상기 질병 유무(403) 정보를 통해 해당 질병이 나타난 패턴 정보 및 반복 발생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감정 주기(404)는 해당 회원의 사주 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의 사물에 대응하는 성향, 성격 및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정 질병과 관련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혈압과 같은 질병은 갑작스러운 화냄, 기쁨에 반응하여 발병 가능하다. 따라서, 회원의 감정 상태는 건강 상태 또는 질병 유무와 관련성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특이 사항(405)은 사주 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의 기본적인 신체의 강하고 약한 부위, 선호하는 음식, 성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체질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회원의 자연 상태에서의 강하고 약한 부위에 따른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체질 정보는 질병 발생 가능성 유무 및 특정 부위의 반복 질병 발생 유무를 예측 가능하도록 하여 건강 검진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로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의 데이터 필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 스(106)는 오행 부위(501), 십간(502), 십이지(503), 상생(504) 및 상극 정보(505) 등의 데이터필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는 도 3이 설명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03)의 특히, 연월일시 정보에 대응하여 계산된 정보이다.
상기 오행(501)은 수, 목, 화, 토, 금으로 정의되며, 다섯 가지의 기질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오행은 간(干)과 지(支)의 두 가지 성질로 구별되는데, 간(干)은 하늘의 기질을 나타내며, 지(支)는 땅의 기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간은 강하며 양(陽)이 되고 성격은 명랑하고 외향적이며 적극적인 성질을 가지고, 지(支)는 부드러우며 음(陰)이 되고 내성적이며 소극적이고 보수적 기질이 있다.
십간(天干)(502)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정의된다.
십이지(地支)(503)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정의된다.
오행 정보(501)는 상생 정보(504)와 상극 정보(505)와 관계가 있는 정보로 적용되는데, 오행에 따른 상생 정보(504)는 목은 화를 생하고(나무로 인해 불이 타는 이치), 화는 토를 생하고(불이 타면 재가 남는 이치), 토는 금을 생하고(흙이 굳어 바위나 금속이 되는 이치), 금은 수를 생하고,(바위에서 물이 나오는 이치), 수는 목을 생한다(물을 먹으면 나무가 자라는 이치)와 같은 상행 법칙이 적용가능하다.
오행에 따른 상극 정보(505)는 목을 토를 극하고(나무가 토양의 자양분을 빨 아들이므로 토양이 황폐화되는 이치), 토는 수를 극하고(토양이 물을 가둬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이치), 수는 화를 극하고(물이 불을 꺼버리는 이치), 화는 금을 극하고(불이 쇠를 녹여버리는 이치), 금은 목을 극한다(쇠는 나무를 찍어 쓰러뜨리는 이치)와 같은 상극 법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106)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오행 (五行)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신체 증상 성 향
양(陽) 음(陰) 양(陽) 음(陰) 관련계 증상 부위 감정 날씨
수(水) 임(壬) 계(癸) 해(亥) 자(子) 신장, 방광, 자궁 공포 건조
목(木) 갑(甲) 을(乙) 인(寅) 묘(卯) 간과 담 화냄 바람
화(火) 병(丙) 정(丁) 사(巳) 오(午) 심장, 소장 지나친 기쁨 더위
토(土) 무(戊) 기(己) 진(辰), 술(戌) 미(未), 축(丑) 비장, 위장 지나친 생각 습기
금(金) 경(更) 신(辛) 신(申) 유(酉) 폐, 대장 지나친 슬픔 추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건강 관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건강 관리를 위하여, 먼저, 회원의 기본 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601)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되는 기본 기록으로는 회원의 개인 신상 정보, 인증 정보, 회원의 태어난 연월일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상기 회원이 개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건강 관리 서버(101)에 로그인(S602)하게 되면, 해당 회원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월일시 정보를 출력(S603)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연월일시 정보에 대응하여 사주 정보를 조회한 후,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결과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회원의 건강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주 정보와 관련하여 질병이 발생했는지 확인한다(S604).
여기서, 상기 사주 정보는 회원의 질환 발생이 가능한 신체 부위, 질환 발생시 증상이 나타나는 신체 부위 및 상기 질환 발생 가능하게 하는 감정 상태 정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건강 관리 서버(101)는 상기 건강도 정보, 일례로, 상기 회원의 발생한 질병 명 또는 발생 주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주 정보를 참조하여 분석한다.
이때,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이 발생함을 확인하면(S605), 사주 정보와 연관된 건강 검진 결과를 생성하거나, 앞으로 발병 가능한 질병에 대한 건강 검진 결과를 출력한다(S606). 반면에,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이 발생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사주 정보에 따른 감정 상태 및 특이 사항을 상기 회원에게 전송 및 출력(S607)해 주게 된다. 출력되는 정보로는 상기 회원의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날씨 정보, 음식 정보, 생활 패턴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건강 관리 서버(101)의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건강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로그인한 회원의 사주 정보에 따른 체질 정보, 감정 주기 정보 또는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발명 가능한 질병 정보, 질병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 정보 생성 및 건강 검진 관리 정보(S608)를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원의 입력된 연원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사주 정보를 고려하여 발병 가능한 질병 및 체질 정보를 회원 단말에 제공해 줌으로써 원격적으로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체질 정보 및 발병된 질병을 억제하는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여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개인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연월일시 정보를 입력하고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회원 단말; 및
    상기 회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연월일시 정보로부터 사주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사주 정보와 관련된 건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체질 정보, 감정 주기 정보, 발명 가능한 질병 정보, 질병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 정보와 같은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상기 회원이 기설정한 정보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메시징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회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월일시에 대응하여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상기 회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개인 인증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회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회원 인증 결과에 따라 사주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회원의 사주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 조회부;
    상기 회원의 질병 발병 유무 및 발병한 질병 명과 같은 건강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연관성 분석부; 및
    상기 사주 정보와 분석된 건강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건강 검진 관리를 위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회원 단말로 전송하는 결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시스템.
  5. 회원의 기본 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개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온라인 건강 관리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를 검색하여 사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사주 정보를 비교하여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의 연월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오행, 십간, 십이지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 중에서 발병된 질병 정보와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여 발생 가능한 질병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여 발생 가능한 질병 정보가 상기 회원의 발병된 질병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여 질병 억제를 가능하게 치료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여 발생 가능한 질병 정보가 상기 회원의 발병된 질병 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사주 정보에 대응하여 발명 가능한 질병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주 정보에 따른 건강 검진 관리 정보를 상기 회원이 기설정한 정보 수신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KR1020060073956A 2006-08-04 2006-08-04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2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56A KR20080012719A (ko) 2006-08-04 2006-08-04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56A KR20080012719A (ko) 2006-08-04 2006-08-04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19A true KR20080012719A (ko) 2008-02-12

Family

ID=3934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56A KR20080012719A (ko) 2006-08-04 2006-08-04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7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03A1 (ko) * 2011-11-29 2013-06-06 주식회사 지지 육십갑자와 그레고리력 매칭 방법 및 이 매칭 방법을 이용한 질환 예측 장치와 방법
KR101402781B1 (ko) * 2013-12-27 2014-06-03 송주희 체형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75152B1 (ko) * 2019-05-14 2020-02-07 김형운 건강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09683A (ko) * 2019-07-17 2021-01-27 혁 허 건강검진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온라인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03A1 (ko) * 2011-11-29 2013-06-06 주식회사 지지 육십갑자와 그레고리력 매칭 방법 및 이 매칭 방법을 이용한 질환 예측 장치와 방법
KR101298663B1 (ko) * 2011-11-29 2013-08-21 (주)지지 육십갑자와 그레고리력 매칭 방법 및 이 매칭 방법을 이용한 질환 예측 장치와 방법
KR101402781B1 (ko) * 2013-12-27 2014-06-03 송주희 체형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75152B1 (ko) * 2019-05-14 2020-02-07 김형운 건강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0231203A1 (ko) * 2019-05-14 2020-11-19 김형운 건강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09683A (ko) * 2019-07-17 2021-01-27 혁 허 건강검진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온라인 추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nison et al. Aboriginal women's experiences of accessing health care when state apprehension of children is being threatened
Richardson Health promotion in palliative care: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rapeutic interaction with the palliative nurse in the primary care setting
Wilkin et al. The meaning of caring to nurses: an investigation into the nature of caring work in an intensive care unit
Morrison et al. The challenges of working with men who perpetrate partner violence: Perspectives and observations of experts who work with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s
Heidemann et al. “We walk through it together”: The importance of peer support for formerly incarcerated women's success
Glover et al. Men's experiences of having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factors relating to bother
US20090070148A1 (en) Health care data management
Schoenberg et al. Colorectal cancer prevention: Perspectives of key players from social networks in a low-income rural US region
Quévat et al.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preventive telemedicine in France based on the use of connected wearable devices
Carver et al. Health applications of gerontechnology, privacy, and surveillance: a scoping review
KR20080012719A (ko) 사주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검진 시스템 및 방법
Wilson et al. Double perspective narrating time, life and health
De Viggiani A new approach to prison public health? Challenging and advancing the agenda for prison health
Abekah-Carter et al. Perspectives of community members on homeless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Nsawam, Ghana
Cassel et al. No Ke Ola Pono o Nā Kāne: a culturally grounded approach to promote health improvement in Native Hawaiian men
Malika et al. African immigrant health: prostate cancer attitudes, perceptions, and barriers
Kearns et al. Health and wellbeing
Griffiths et al. Are one-stop shops acceptable? Community perspectives on one-stop shop models of sexual health service provision in the UK
Swisher et al. Complication Rates in Osteotome and Drill Techniques in External Auditory Canal Exosto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arnett et al. Eating disorders from parent to child: Mothers’ perceptions of transgenerational effect
KR101674908B1 (ko) 종합적 역술 정보의 제공 및 운세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운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Lien et al. Evidenced‐based practice of decision‐making process in oncofertility care among registered nurses: A qualitative study
Rudolph Gender and the development of forensic science: a case study
Brendtro et al. Nurses in churches: A population-focused clinical option
KR20070079885A (ko) 기상 정보에 의한 개인 맞춤형 외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