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520A -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520A
KR20080011520A KR1020060071941A KR20060071941A KR20080011520A KR 20080011520 A KR20080011520 A KR 20080011520A KR 1020060071941 A KR1020060071941 A KR 1020060071941A KR 20060071941 A KR20060071941 A KR 20060071941A KR 20080011520 A KR20080011520 A KR 2008001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unit
stylus pen
pow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520A/ko
Publication of KR2008001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포인터(pointer)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블릿 모드, 포인터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선택부와, 상기 타블릿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팁과, 상기 포인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에 의해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 또는 포인터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을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시키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 타블릿 기능, 포인터 기능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소정의 장치에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바디부 11 : 버튼부
12 : 충전부 14 : 전원부
20 : 선택부 30 : 헤더부
31 : 팁 32 : 포인터부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포인터(pointer)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은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타블릿 피씨(tablet PC), 팜 피씨(palm PC) 등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전자 또는 통신기기의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스타일러스 펜의 일단에 형성된 팁(tip)이라고 칭해지는 터치부가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면, 그에 따라 전자 또는 통신 기기가 동작하게 된다.
즉, 터치 스크린 상에는 아이콘, 메뉴 화면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아이콘, 메뉴 등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누르면, 전자 또는 통신 기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와 같이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될 수 있어서, 필요시에 꺼내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장착시켜서 보관할 수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이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전자 또는 통신기기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는 지참하고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을 이용하여 회의, 프레젠테이션, 강의 등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사용자는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는 포인터(pointer)를 사용한다.
상기 포인터(pointer)는 회의, 프레젠테이션, 강의 등에서 사용자가 특정 내용을 지시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도록 볼펜 정도 또는 그 이하의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소정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을 온(on)/오프(off)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을 이용하여 회의, 프리젠테이션, 강의 등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과 별도로 상기 포인터를 가방에 지참하고 다니거나 몸에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을 이용하여 회의, 프레젠테이션, 강의 등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평상시에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을 지참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도 상기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과 별도로 상기 포인터를 지참하고 다녀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는 밝은 곳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강한 빛을 발광하여야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는 쉽게 전원이 소모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의 경우에는 일반 상점에서 구입하기 어려운 수은 전지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갑자기 전원이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포인터 기능을 추가하여 일반적인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뿐만 아니라 포인터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스타일러스 펜을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전원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포인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이 쉽게 충전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블릿 모드, 포인터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선택부와, 상기 타블릿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팁과, 상기 포인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에 의해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선택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팁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포인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팁과, 상기 팁을 통해 특정 내용을 지시하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와, 상기 포인터부가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 기능을 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팁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특정 내용을 지시하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와, 상기 포인터부가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 기능을 하는 버튼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 또는 포인터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을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시키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 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선택부(20)와, 상기 바디부(10)의 타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팁(31)이 형성된 원추 형상의 헤더부(3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택부(20)는 사용자가 소정각도 돌리면 일반적인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이하, 타블릿(tablet) 기능이라 한다)을 수행할 수 있는 타블릿 모드 또는 일반적인 포인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포인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부(20)는 사용자가 소정각도 돌려서 해당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스타일러스 펜(1)을 상기 타블릿 모드 또는 포인터 모드로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아무 기능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홀드(hold)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타블릿 모드 또는 포인터 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홀드 모드를 선택하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는 상기 선택부(20)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일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버튼부(11)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소정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11)는 타블릿 모드시에는 마우스의 버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포인터 모드시에는 특정 내용을 지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의 내부 일측에는 스타일러스 펜(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이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구 비된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팁(31)은 타블릿 모드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더부(30)의 단부에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더부(30)의 내부에는 포인터 모드시 사용자가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 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타블릿 기능 또는 포인터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장치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장착함에 의해서 전원을 쉽게 충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선택부(20)에는 사용자가 돌려서 타블릿 모드, 포인터 모드 및 홀드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회로기판(2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에는 버튼부(11)와, 상기 버튼부(1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들을 누름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회로기판(1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로기판(13)은 상기 제1회로기판(21)과 통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버튼부(11)의 기능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버튼부(11)는 타블릿 모드시 소정의 마우스의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고, 포인터 모드시 특정 내용을 지시하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제1,2회로기판(21,13)과 통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4)는 소정의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으로 형성되는데, 일정한 크기의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수용되어 스타일러스 펜(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전원부(14)와 통전되는 충전부(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충전부(12)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이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장치의 전원과 통전되는 걸림부(미도시)에 소정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자(121)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14)에 소정의 충전지가 수용된 경우라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상기 장치에 장착시키면 상기 충전지는 상기 장치의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부(30)에는 사용자가 포인터 모드 선택시 빛을 발할 수 있는 포인터부(32)가 구비되고, 상기 팁(31)과 포인터부(32)와 연결되고, 상기 제1,2 회로기판(21,13)과 전원부(14)와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제3회로기판(33)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타블릿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1,2,3회로기판(21,33)과 전원부(14)의 전원에 의해 상기 팁(31)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타블릿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포인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1,3 회로기판(21,33)과 전원부(14)의 전원에 의해 상기 포인터부(32)가 작동되어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할 수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1)를 누르면 상지 제2,3 회로기판(13,33)에 의해 상기 팁(31) 또는 포인터부(32)는 상기 버튼부(11)에 상응하는 각각의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20)를 돌려서 홀드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전원부(14)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20)의 모드를 홀드 모드로 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20)를 돌려서 타블릿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1회로기판(21)과 상기 제2,3 회로기판(13,33)이 각각 통전되어, 상기 버튼부(11)는 마우스의 버튼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팁(31)은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포인터부(32)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20)를 돌려서 포인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1회로기판(21)과 상기 제2,3 회로기판(13,33)이 각각 통전되어, 상기 포인터부(32)는 빛을 발할 수 있고, 상기 버튼부(11)는 상기 포인터부(32)가 다양한 방법으로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하면, 상기 장치의 전원과 상기 충전부(12)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14)에 수용된 충전지는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부(2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선택부(20)는 상기 전원부(14)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부(20)는 상기 바디부(10)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택부(20)를 상기 바디부(10)와 분리하면, 상기 전원부(14)에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갈아 끼울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21)은 선택부(20)가 바디부(10)와 결합되면 상기 제2회로기판(13)과 제3회로기판(33)과 통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택부(20)의 일측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택부(20)와 연결되는 바디부(10)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20) 또는 바디부(10)를 돌림에 의해서 상기 선택부(20)와 바디부(1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14)에 수용된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수명이 다한 경우에 상기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갈아 끼워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1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부(11)에는 제1버튼(111)과, 제2버튼(112)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11)는 타블릿 모드시 소정의 마우스 버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포인터 모드시 상기 포인터부(32)가 빛을 발하는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능하는데, 상기 제1,2버튼(111,112)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블릿 모드시 상기 팁(31)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 클릭(click), 제1버튼(111)은 왼쪽 버튼 더블 클릭, 제2버튼(112)은 오른쪽 버튼 클릭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인터 모드시 상기 제1버튼(111)은 상기 포인터부(32)가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버튼(112)은 상기 포인터부(32)가 다른 색깔의 빛을 발하게 하거나 보다 밝은 빛을 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1)을 포인터로서 사용할 경우에 특정 내용을 지시할 때는 상기 제1버튼(111)을 누르고, 특정 내용을 강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버튼(112)을 눌러 다른 색깔의 빛을 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12)는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장치에 형성되어 상기 장치의 전원과 연결되는 접촉부(미도시)와 접촉되는 소정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자(121)와, 상기 단자(121)와 상기 전원부(14)를 연결하는 연결부(12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121)는 원통형의 바디부(10)의 둘레에 다수 개 형성되거나, 상기 바디부(1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할 때 어느 방향으로 장착하더라도 상기 장치에 형성된 접촉부(미도시)와 상기 단자(121) 는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더부(3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더부(30)에 구비되는 상기 포인터부(32)는 렌즈(321)와, 상기 렌즈(321)를 통해 빛을 발하는 발광부(322)가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부(322)는 소정의 LED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렌즈(321)는 상기 발광부(322)에서 발생된 빛을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빛을 집광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팁(31)은 상기 발광부(322)에서 발생되어 상기 렌즈(321)에서 집광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포인터부(32)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포인터부(32)는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한 점으로 밀집되는 강한 레이저빔을 발생하기 때문에, 렌즈(321)가 필요 없게 되어 상기 포인터부(32)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고, 특정 내용을 명확하게 지시할 수 있어서 포인터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소정의 장치에 장착된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2)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2)는 PDA, PMP, 셀룰러 폰, 타블릿 피씨, 팜 피씨 등 터 치 스크린이 설치된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접촉부(3)는 상기 장치(2)의 전원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14)에 수용되는 충전지는 이미 방출된 전류를 다시 외부로부터 유입시켜 전압이 회복되는 전지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리튬 폴리머(Li-polymer)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이 상기 장치(2)에 장착되면, 상기 충전부(12)의 단자(121)가 상기 접촉부(3)와 접촉됨에 의해, 상기 전원부(14)에 수용된 충전지는 쉽게 충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시 예와 비교하여, 선택부(20)와 제2버튼(112)이 생략된다는 점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설명과 도면부호는 상기 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참조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몸체부(10)와 헤더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부(11)는 하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버튼부(11)는 단지 상기 포인터부(32)에서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팁(31)은 소정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터치부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의 타블릿 기능은 단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타블릿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단지 상기 팁(31)을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기만 하면 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포인터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버튼부(11)를 눌러 상기 포인터부(32)에서 빛을 발하게 하여 특정 내용을 지시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에는 선택부(20)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버튼부(11)도 하나의 버튼만이 구비되면 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면, 일반적인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뿐만 아니라 포인터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전원이 충전될 수 있어서, 장시간 포인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이 쉽게 충전될 수 있다.

Claims (11)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블릿 모드, 포인터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선택부;
    상기 타블릿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팁; 및
    상기 포인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에 의해 특정 내용을 지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가 포함되는 스타일러스 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홀드 모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타블릿 모드시 소정의 마우스 버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포인터 모드시 상기 포인터부가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 기능을 하는 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인터부는 상기 팁을 통해 특정 내용을 지시하도록 빛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5.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선택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팁;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가 포함되고,
    상기 선택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포인터부에 의해 포인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포인터부가 작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8.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고, 투명한 재질 로 이루어지는 팁;
    상기 팁을 통해 특정 내용을 지시하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 및
    상기 포인터부가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 기능을 하는 버튼부;가 포함되는 스타일러스 펜.
  9.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팁;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특정 내용을 지시하도록 빛을 발하는 포인터부;
    상기 포인터부가 빛을 발하게 하는 스위치 기능을 하는 버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소정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가 포함되는 스타일러스 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부에는 빛을 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이 특정 내용을 지시하도록 집광시켜주는 렌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부는 레이저 포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20060071941A 2006-07-31 2006-07-31 스타일러스 펜 KR20080011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1A KR20080011520A (ko) 2006-07-31 2006-07-31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1A KR20080011520A (ko) 2006-07-31 2006-07-31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20A true KR20080011520A (ko) 2008-02-05

Family

ID=3934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41A KR20080011520A (ko) 2006-07-31 2006-07-31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52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86B1 (ko) * 2008-07-10 2010-07-07 배종현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원터치 개폐 슬림 스타일러스 펜
KR101149005B1 (ko) * 2011-08-22 2012-05-24 주식회사 송현디엔씨 터치펜
US8246192B2 (en) 2008-12-16 2012-08-21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Touch pe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2122734A1 (zh) * 2011-03-14 2012-09-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写笔及使用手写笔的移动终端
KR20140060172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패널용 칼라 광펜
US9268379B2 (en) 2012-07-27 2016-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and holder device associated therewith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86B1 (ko) * 2008-07-10 2010-07-07 배종현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원터치 개폐 슬림 스타일러스 펜
US8246192B2 (en) 2008-12-16 2012-08-21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Touch pe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2122734A1 (zh) * 2011-03-14 2012-09-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写笔及使用手写笔的移动终端
KR101149005B1 (ko) * 2011-08-22 2012-05-24 주식회사 송현디엔씨 터치펜
US9268379B2 (en) 2012-07-27 2016-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and holder device associated therewith
US9575579B2 (en) 2012-07-27 2017-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ttaching a stylus
KR20140060172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패널용 칼라 광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1578B1 (en) Universal presentation device
CN101120413B (zh) 高便携性媒体装置
KR20080011520A (ko) 스타일러스 펜
US20120039662A1 (en) Stylus
US20070277119A1 (en) Personal computer mouse
JP2017224333A (ja)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3545237U (zh) 触控笔及电子设备
JP2022511379A (ja) ポールおよびスティックのハンドル
US20010044908A1 (en) Stylus operated switch system for a portable data processing device
US20140356044A1 (en) Writing device with input unit
CN104639673A (zh) 人体工学双屏手机
JP2004086902A (ja) 充電表示スタイラス
US20030034962A1 (en) Touch control pen for PDA
CN212302442U (zh) 一种鼠标
TW200416524A (en) Power saving method of wireless input equipment and mechanism thereof
KR200447216Y1 (ko) 다기능 마우스
US20060202959A1 (en) Rechargeable mouse holder
CN201514619U (zh) 便携易握的手持式无线鼠标
CN213182700U (zh) 一种辅助触控装置
US7941190B2 (en) Mobile phone
CN216118711U (zh) 一种带数显功能的电容笔
CN216721370U (zh) 一种可收纳蓝牙耳机的移动电子设备
CN112051931A (zh) 一种鼠标
CN220290188U (zh) 一种带鼠标功能的电容笔
CN214670501U (zh) 一种便携式智能终端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