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033A - 의자 다리의 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다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033A
KR20080011033A KR1020070024054A KR20070024054A KR20080011033A KR 20080011033 A KR20080011033 A KR 20080011033A KR 1020070024054 A KR1020070024054 A KR 1020070024054A KR 20070024054 A KR20070024054 A KR 20070024054A KR 20080011033 A KR20080011033 A KR 20080011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entral body
chair
body por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준
Original Assignee
오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준 filed Critical 오승준
Publication of KR2008001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하부 지지부재인 푸트부가 중심을 형성하는 중앙몸체부 및 상기 중앙몸체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연결부들의 선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부탭과, 이들이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사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의자 다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은 각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은 소정의 금형 내에 상기 연결부가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사출성형됨과 동시에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출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연결부와 사출물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의자, 사출물, 연결부, 후방지지부, 사출

Description

의자 다리의 구조{Leg structure of chair}
도 1은 종래 의자의 개략적 상부 측면도
도 2는 종래 의자의 개략적 하부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의자 다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c는 종래 의자 다리의 인서터시키는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d 및 도 3e는 종래 의자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의자 다리부의 저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
도 5b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
도 6b는 도 6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
도 7b는 도 7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
도 8b는 도 8a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의자 다리의 인서터시키는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부 18 : 후방지지부
40 : 다리부 42 : 컬럼
44 : 쇼크업소버 46 : 외측커버
51 : 중앙몸체부 53 : 연결부
53a,53b,53c : 사출물공 55 : 단부탭
57 : 이동휠
본 발명은, 의자 다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는 의자 다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걸터앉는데 사용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의자의 기본 구조는 쿠션부라고 하는 앉는 자리와 의자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등받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등받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의자는 그 형태, 구조, 재료 및 가공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고 나뉜다.
형태에 따라서는 등받이부가 없는 의자, 소형의자, 팔걸이의자, 안락의자, 긴의자(sofa), 침대식 긴의자, 흔들의자 등이 있다. 용도를 살펴보면 사무용, 학습용, 식사용, 회의용 의자 등이 있고, 특수용도로 이발용, 미용용, 의료용, 극장용 등이 나와 있기도 하다.
의자의 구조는 고정식, 회전식, 접이식 및 조합식 등이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로 분류해 볼 때, 목제의자, 금속의자, 플라스틱의자 등이 있으며, 가공기술에 따라 나무를 구부려서 만들거나 성형합판으로 만들거나 혹은 강관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만는 의자 등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의자의 기능은 무엇보다도 사용시, 신체에 무리를 느끼지 않도록 보건적인 기능이 중요하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단순히 앉는 수단으로써의 의자 외에도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기본으로 하여 쿠션부의 형상을 사용자의 엉덩이의 형태에 따라 파형으로 제조하거나 혹은, 등받이부의 구조 및 형상을 변경하여 인체의 등을 보다 편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의자는 도 1 내지 도 3e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자는, 팔걸이(2)와 쿠션(3)을 가지는 쿠션플레이트(4)의 후방에서 각도조절이 자유롭게 구비되는 등받이프레임(5)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브리지(6)와 등판(7) 상간에 탄성수단(8)을 고정하는 구성 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등받이(1)에 기대면 등받이(1)의 내측면이 등의 중앙부위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탄성수단이 비틀려 등받이(1)의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등 외측부위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탄성수단을 등판(7)과 고정하고 다시 등받이프레임(5)과 고정하도록 각각의 구성품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구성품을 가짐으로서 조립과 생산성이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탄성수단의 경우에는 고정부위는 경질로 되어 있고 비틀림이 작동하는 부위는 연질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 시 이격현상에 의하여 파손(손상)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는 실정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플레이트(4)의 하부에 마련된 결합부 위(4a)에 다리부(9)의 상부영역, 다시 말해 소버를 직접 압입하고 있는 바, 다리부(9)의 조립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후에, 쿠션플레이트(4)로부터 다리부(9)를 분리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는 자리로서의 쿠션부(10)와, 쿠션부(10)의 양측에 마련되는 팔걸이부(12)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등받이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방지지부(18) 및 지면에 대해 의자를 전반적으로 지탱하는 다리부(40)를 구비한다.
이러한 팔걸이부(12)는 그 외면에 형성된 높이조절핀(14)에 의해 쿠션부(10)에 대해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팔걸이부(12)는 그 하단부가 쿠션플레이트(30)의 양측에 함몰되게 형성된 팔걸이수용홈부에 각각 배치된 후에 나사결합된다.
한편, 다리부(40)는 지면에 대해 의자를 전반적으로 지탱하는 부분으로서 크게 지면에 지지되는 푸트부(50)와, 푸트부(50)를 쿠션부(10)의 하부에 연결하는 컬럼(42)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리부(40)는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할 때, 쿠션부(10)의 저면에는 쿠션플레이트(30)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부(10)는 주로 천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쿠션플레이트(30)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평평한 판상체여도 좋고, 혹은 일정하게 굽은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컬럼(42)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컬럼(42)은 사용자의 하중을 완충하는 쇼크업소버(44, Gas Shock Absorber)와, 쇼크업소버(44)의 외측을 커버하는 외측커버(46)로 이루어져 있다.
푸트부(50)는 실질적으로 의자를 지면에 지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푸트부(50)는 중심을 형성하는 중앙몸체부(51)와, 중앙몸체부(5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5개의 연결부(53)와, 연결부(53)들의 선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부탭(55)과, 단부탭(55)들에 결합되는 이동휠(57)을 포함한다.
중앙몸체부(51)와 단부탭(55)이 각각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연결부(53)는 스테인리스 스틸(SUS)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비어 있다. 내부에는 사출물(P)이 충전된다.
또한, 다리부(90)의 구조를 살펴보면, 중앙몸체부(9a)와 단부탭(9b) 사이에 연결부(9c)가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부(9c)의 양측에는 각각 절취부(9d,9e)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절취부(9d,9e)들이 중앙몸체부(9a)와 단부탭(9b) 측에 배치된 후에 이체로 사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연결부(9c)의 각 절취부(9d,9e)들이 중앙몸체부(9a)와 단부탭(9b) 측에 배치된 후에는 연결부(9c)를 중앙몸체부(9a)와 단부탭(9b)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절취부(9d,9e)가 위치하는 단부탭(9c)의 일측은 함몰 가압시켜 함몰가압부(9f)를 형성시키고, 중앙몸체부(9a)의 일측은 별도의 덧살리브(9g)를 형성시키고 있다. 덧살리브(9g)의 주변에는 더미리브(9h)가 더 형성되어 있다.
함몰가압부(9f)와 덧살리브(9g)는 연결부(9c)에 형성된 절취부(9d,9e)의 형상에 기초하여 사출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절취부(9d,9e)를 통해 사출액이 흘러나와 고화되어 함몰가압부(9f)와 덧살리브(9g)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9c)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d 및 도 3e는 종래 의자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절취부(9j)가 형성되어 삽입되는 기단부의 단면적을 넓혀주려고는 하나, 이정도의 구조만으로는 중앙몸체부(9a) 및 단부탭(9b)에 대한 연결부(9c)의 결합력 및 결합강도를 높이기에 다소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중이 위에서 아래로 작용함에 따라 함몰가압부(9f)와 덧살리브(9g)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단의 위험성이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의자 다리의 구조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 다리의 구조를 다리 연결부에 사출물공을 형성하여 사출물과 연결부으 결합으로 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는 의자 다리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의 하부 지지부재인 푸트부가 중심을 형성하는 중앙몸체부 및 상기 중앙몸체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연결부들의 선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부탭과, 이들이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사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의자 다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은 각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은 소정의 금형 내에 상기 연결부가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사출성형됨과 동시에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출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연결부와 사출물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면의 사출물공은 장공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있고, 판면 양측에 사출물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사출공의 양측이 사출물로 연결되어 있으며, 판면 양측에 사출물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이 사출물공의 사출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다리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 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의자 다리부의 저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다리부의 저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다리부(40)는 지면에 대해 의자를 전반적으로 지탱하는 부분으로서 크게 지면에 지지되는 푸트부(50)와, 푸트부(50)를 쿠션부(10)의 하부에 연결하는 컬럼(42)을 구비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할 때, 푸트부(50)는 실질적으로 의자를 지면에 지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푸트부(50)는 중심을 형성하는 중앙몸체부(51)와, 중앙몸체부(5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5개의 연결부(53)와, 연결부(53)들의 선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부탭(55)과, 단부탭(55)들에 결합되는 이동휠(57)을 포함한다.
중앙몸체부(51)와 단부탭(55)이 각각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연결부(53)는 스테인리스 스틸(SUS)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비어 있다. 내부에는 사출물(P)이 충전된다.
다만, 중앙몸체부(51)와 단부탭(55)이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따라 일체로 성형될 때, 연결부(53)가 중앙몸체부(51)와 단부탭(55) 사이에 위치해야 하므로, 중앙몸체부(51)와 단부탭(55)에 대해 연결부(53)는 인서트(Insert) 사출된다.
즉, 별도의 금형 내에, 연결부(53)를 인서트한 다음에, 금형 내의 틀에 사출물(P)을 주입함으로써 중앙몸체부(51), 단부탭(55) 및 연결부(53)가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53)의 양단은 각각 중앙몸체부(51)와 단부탭(55) 측으로 소정 길이 삽입되어 있으며, 연결부(53)의 배면에는 사출물(P)이 충전되어 사출물(P)과 함께 고화될 수 있는 사출물공(53a,53b)이 더 형성되어 있다.
사출물공(53a,53b)들은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부(53)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성형시, 사출물(P)은 연결부(53)의 내부로 흐흔 후, 사출물공(53a,53b)까지 충전된다. 사출물공(53a,53b)의 높이보다 높게 흘러나온 사출물(P)은 추후에 연마 가공된다.
이처럼, 연결부(53)를 인서트한 상태에서 금형으로 사출물(P)을 주입하여 중앙몸체부(51), 단부탭(55) 및 연결부(53)를 일체로 사출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물(P)은 연결부(53)의 배면에 형성된 사출물공(53a,53b)까지 채워지게 됨으로써 중앙몸체부(51) 및 단부탭(55)에 대한 연결부(53)의 결합 강도를 훨씬 더 크게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도 3b와 같이, 단순한 결합 구조에 비해서는 중앙몸체부(51), 단부탭(55) 및 연결부(53) 간의 결합 강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따라서 중앙몸체부(51), 단부탭(55) 및 연결부(53)들이 상호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우려가 낮아지게 된다. 도 4a에서 미설명부호 57a는 이동휠(57)이 결합되는 휠결합부이다.
이러한 다리부(40)의 푸트부(50)에서, 연결부(53)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사출물공(53a,53b)들이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부(53)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물공(53c)은 연결부(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한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성형이 완료되면 도 5b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데, 길이가 길게 형성된 사출물공(53c)의 표면까지 사출물(P)이 충전되어 중앙몸체부(51) 및 단부탭(55)과 함께 고화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이 외에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앞서 기술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연결부(53)에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형성하여 중앙몸체부(51) 및 단부탭(55)과 함께 연결부(53)를 일체로 사출하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과정에서 연결부(53)의 내부로 충전된 사출물(P)이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통해서, 연결부(53)의 외측으로 흘러나와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각각 내측에서 연결하는 형태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 연결부(53)의 외측으로 흘러나와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각각 내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사출 물을 참조부호 P'로 하여 구별한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을 경우에는, 연결부(53)에 대해 좀 더 강인하고 강도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일, 연결부(53)의 내부로 충전된 사출물(P)이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통해서, 연결부(53)의 외측으로 흘러나오되,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포함하여 연결부(53) 전체를 감싸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이러한 경우라도 연결부(53)에 대해 좀 더 강인하고 강도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 있음에 틀림이 없다. 도 7b에서는 연결부(53)의 외측으로 흘러나온 사출물을 참조부호 P"로 구별하고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앞서 기술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연결부(53)의 양측 끝단부위에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형성하여 중앙몸체부(51) 및 단부탭(55)과 함께 연결부(53)를 일체로 사출하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과정에서 연결부(53)의 내부로 충전된 사출물(P)이 양 끝단 2개의 사출물공(53a,53b)을 통해서, 모두가 일체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연결부(53)의 사출물공(53a,53b)을 각각 내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사출물을 참조부호 P로 하여 구별한다.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을 경우에는, 중앙몸체부(51) 및 단부탭(55)과 함께 연결부(53)를 일체로 사출되기 때문에 하부에서 이동휘에 받는 힘이 위로 재켜지기 때문에 이의 힘을 받쳐주는 구조로서, 양 끝단 2개의 사출물공(53a,53b)에 의하여 연결시켜주므로 연결부(53)에 대해 좀 더 강인하고 강도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 다리의 구조를 다리 연결부에 사출물공을 형성하여 사출물과 연결부의 결합으로 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의자의 하부 지지부재인 푸트부가 중심을 형성하는 중앙몸체부 및 상기 중앙몸체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연결부들의 선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부탭과, 이들이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사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의자 다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은 각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은 소정의 금형 내에 상기 연결부가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사출성형됨과 동시에 연결부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출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연결부와 사출물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다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판면의 사출물공은 장공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다리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판면 양측에 사출물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사출공의 양측이 사출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다리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판면 양측에 사출물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에는 사출물이 돌출되어 상기 중앙몸체부와 상기 단부탭이 사출물공의 사출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다리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판면의 사출물공은 장공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부(53)의 양측 끝단부위에 사출물공(53a,53b)을 형성하여 중앙몸체부(51) 및 단부탭(55)과 함께 연결부(53)를 일체로 사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다리의 구조.
KR1020070024054A 2006-07-28 2007-03-12 의자 다리의 구조 KR20080011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44 2006-07-28
KR20060071444 2006-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033A true KR20080011033A (ko) 2008-01-31

Family

ID=3922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54A KR20080011033A (ko) 2006-07-28 2007-03-12 의자 다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49B1 (ko) * 2008-08-05 2009-02-23 김선환 의자 다리의 구조
CN103735069A (zh) * 2013-12-24 2014-04-23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椅脚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49B1 (ko) * 2008-08-05 2009-02-23 김선환 의자 다리의 구조
CN103735069A (zh) * 2013-12-24 2014-04-23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椅脚
CN103735069B (zh) * 2013-12-24 2016-04-27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椅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443B2 (ja) 椅子
US6935690B2 (en) Chair with synchronously moving seat and seat back
CN101410037B (zh) 人体工学椅
US6217121B1 (en) Therapeutic cushioning device
US6439665B1 (en) Ergonomic chair with mesh seat and back
US10791841B2 (en) Lumbar support chair having structure adjustable according to change of posture
KR20080011033A (ko) 의자 다리의 구조
US3332718A (en) Swinging chair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JP3137036U (ja) 椅子
KR100807819B1 (ko) 의자 다리의 구조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0435212Y1 (ko) 의자 쇼크업소버 결합구조
US20120133190A1 (en) Air inflatable reclining shampoo chair
KR200435300Y1 (ko) 의자 쿠숀부의 쿠숀플레이트 체결구조
KR200435302Y1 (ko) 의자
KR200405813Y1 (ko) 좌식의자
KR200435213Y1 (ko) 의자 쇼크업소버 결합구조
KR200435301Y1 (ko) 의자 등받이의 텐션 조절 구조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80000847U (ko) 의자
KR101263344B1 (ko) 책상용 쿠션
JP7270954B2 (ja) 理美容椅子
JP2012143634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CN210870626U (zh) 一种弹跳型单人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