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530A -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 Google Patents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530A
KR20080010530A KR1020060070601A KR20060070601A KR20080010530A KR 20080010530 A KR20080010530 A KR 20080010530A KR 1020060070601 A KR1020060070601 A KR 1020060070601A KR 20060070601 A KR20060070601 A KR 20060070601A KR 20080010530 A KR20080010530 A KR 2008001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pressure
fluid
pulsation
mode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한기봉
전계록
김철한
김윤진
남기곤
박현
김지철
윤상화
전용욱
정재희
전아영
Original Assignee
이현철
전계록
김윤진
김철한
한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철, 전계록, 김윤진, 김철한, 한기봉 filed Critical 이현철
Priority to KR102006007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530A/ko
Publication of KR2008001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the pressure transducers comprising a liquid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5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03Anatomical models specially adapted to simulate circulation of bodily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압측정을 위한 교육용 또는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를 위해, 펌핑된 유체의 공급을 단속하는 서보밸브와; 상기 서보밸브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타측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제1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맥동발생관과; 상기 맥동발생관의 측면으로부터 분지되는 유입가지관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유출가지관이 결합되는 모형아암과; 상기 유출가지관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2오리피스와; 상기 맥동발생관에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어용 압력센서와; 상기 맥동발생관의 압력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모형아암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출력용 압력센서와; 상기 서보밸브, 제어용 압력센서 및 출력용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서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혈압,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 혈압계, 모형아암, 맥동발생관, 서보밸브

Description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혈압계의 테스트방법{Blood pressure actuating apparatus and method driven by fluid and thereby test method of a sphygmomanometer}
도1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의 구성도.
도2- 본 발명에 의한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의 흐름도.
도3 - 본 발명에 의한 혈압계의 테스트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서보밸브 200 : 맥동발생관
210 : 제1오리피스 300 : 모형아암
310 : 제2오리피스 400 : 제어용 압력센서
500 : 출력용 압력센서 600 : 제어부
본 발명은 혈압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압측정을 위한 교육용이나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유체구동 혈압 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압이라 함은, 혈액이 혈관 내를 흐를 때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을 의미하며, 정상혈압 범위를 벗어나는 고혈압이나 저혈압은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는 질병으로 분류된다. 특히, 고혈압을 방치하면 뇌출혈과 같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큰 동맥내의 압력 즉, 동맥혈압을 혈압이라 부르는데, 혈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한편, 혈압은 수축기혈압(systolic pressure)과 확장기혈압(diastolic pressur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수축기혈압이란, 심근의 수축에 의해서 심실 내의 혈액이 대동맥으로 방출될 때의 혈관 내 최고압력을 의미하고, 확장기혈압은 심장이 수축한 다음에 이어서 확장될 때의 혈관 내 압력을 말하며 최저혈압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수축기혈압이나 확장기혈압은 사람의 나이에 따라 변화되는데, 이것은 나이가 들수록 혈관의 유순도가 낮아져 동일한 양의 혈액이 심장으로부터 방출되더라도 혈관에 미치는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하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크게 분류하면 침습적(invasive)방법과 비침습적(noninvasive)방법이 있다.
침습적방법은 직접법이라고도 하는데, 폴리에틸렌 재질의 카테터를 말초동맥내로 삽입하고, 이것을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통해서 감시장치(monitor)에 연결하거나, 또는 압력계에 연결하여 동맥혈관 내의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
비침습적방법은 간접법이라고 하며, 보통 팔뚝에 커프를 감고 가압해서 동맥을 막은 다음 천천히 감압하면서 피가 흐를 때 생기는 와류의 소리를 청진기로 들으면서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자동 혈압계가 널리 보급되고 있어 가정에서도 손쉽게 혈압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확도에 있어서는 언급한 청진기와 커프를 이용하는 것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혈압의 측정은 의사가 환자의 치료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반드시 측정해야 하는 항목 인만큼 그 중요도는 매우 높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는 마땅한 혈압발생 시뮬레이터가 없는 실정이며,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도 용이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혈압발생 시뮬레이터가 제공되면 피교육자들은 보다 친근하게 교육에 임할 수 있을 것이고 다양한 조건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육용 등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혈압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는, 펌핑된 유체의 공급을 단속하는 서보밸브와; 상기 서보밸브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타측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제1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맥동발생관과; 상기 맥동발생관의 측면으로부터 분지되는 유입가지관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유출가지관이 결합되는 모형아암과; 상기 유출가지관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2오리피스와; 상기 맥동발생관에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어용 압력센서와; 상기 맥동발생관의 압력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모형아암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출력용 압력센서와; 상기 서보밸브, 제어용 압력센서 및 출력용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서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에서는, 상기 모형아암은 탄성을 갖는 것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에서는, 상기 출력용 압력센서가 상기 유출가지관에 장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와; 유체탱크 내부의 유체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와 서보밸브를 연결하는 배출관의 중간에 형성되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탱크로 되돌리는 순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에서의 상기 서보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은, 서보밸브의 단속적인 개폐로 맥동 발생관 내부의 압력을 변화되게 하는 맥동형성단계와; 상기 맥동발생관과 연결되는 모형아암에 유발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혈압측정단계와; 상기 모형아암에서 측정될 임의의 압력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서보밸브의 단속을 제어하는 목표값수득단계와; 목표값을 얻기 위한 반복적인 과정에서 맥동발생관과 모형아암으로부터 검출되는 압력치를 저장하여 모형아암에서 임의의 목표값을 얻기 위해 맥동발생관에 발생되어야 하는 압력치를 데이타화 하는 연산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 혈압계의 테스트 방법은,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형아암에서 검출되는 혈압이 일정치에 도달되도록 하는 목표값설정단계와; 상기 모형아암에 실제 혈압계의 커프를 장착하고 혈압측정준비를 하는 준비단계와; 실제 혈압계로 측정한 혈압치와 상기 모형아암에 셋팅된 혈압치를 비교하여 상기 실제 혈압계를 보정하는 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혈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의 실험이 가능하고, 센서를 통한 정확한 압력을 파악하므로 혈관에 관련되는 기초적인 자료수집을 위한 목적으로 널리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제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이하, 첨부되는 관련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한 하나의 예에 해당되므로 도면 자체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당업 자에 의한 단순한 설계변경, 치환과 같은 균등한 정도의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의 구성도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의 주요한 구성요소로는 서보밸브(100), 맥동발생관(200), 모형아암(300), 제1오리피스(210), 제2오리피스(310), 제어용 압력센서(400), 출력용 압력센서(500) 및 제어부(600)가 있다.
첨부된 도1에 보이는 것처럼, 서보밸브(100)는 맥동발생관(200)과 연결되며 모형아암(300)은 상기 맥동발생관(200)과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서보밸브(100)는 맥동발생관(200)으로 유체를 단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동작되는 것이고, 솔레노이드밸브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서보밸브(100)는 후술할 제어부(60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조건에 따라 다양한 개폐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1회 개폐 후 2회 개폐까지의 시간간격을 조정하거나 매회 개폐시의 밸브의 열림시간(열렸다가 닫히는 빠르기) 등을 변경하여 여러가지 상황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보밸브(100)에는 맥동발생관(200)이 연결되어 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맥동발생관(200)은 길다란 관으로서 타측단부에는 내경이 급격히 감소된 제1오리피스(210)가 연결되어 있다. 맥동발생관(200)이 상기 제1오리피스(210)와 연결되므로 유입되는 유체는 정체되며, 따라서 서보밸브(100)가 단속적으로 개폐되면 상기 맥동발생관(200) 내부에서는 맥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되는 맥동으로 인해, 상기 맥동발생관(200)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이 형성된다.
상기 맥동발생관(200)에서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1에 보이는 것처럼, 맥동발생관(200)의 좌측면에 제어용 압력센서(4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용 압력센서(400)는 후술할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측정된 압력치를 제공하며, 이 수치를 보고 상기 맥동발생관(200)에 형성시킬 압력을 가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맥동발생관(200)의 일측(도면상 우측)으로 유입가지관(320)이 연결되며, 모형아암(300)은 상기 유입가지관(3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모형아암(300)의 타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유출가지관(330)이 설치되고, 상기 유출가지관(330)의 단부에는 제2오리피스(310)가 형성된다. 상기 모형아암(300)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탄성을 지니는 재질로 관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고, 유체의 공급에 의해 부피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모형아암(300)의 재질이나 관벽의 두께 등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맥동발생관(200)과 모형아암(300)의 작동관계를 보면, 서보밸브(100)의 개폐동작에 의해 맥동발생관(200)에는 압력이 형성되는데, 이에 연동하여 모형아암(300)에도 압력의 변화가 발생된다. 이런 관계를 인체에 비교한다면, 상기 맥동발생관(200)은 심장에 해당되어 혈액을 내보내게 되며, 모형아암(300)은 일반적으로 혈압측정을 실시하는 부위인 팔뚝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상기 모형아암(300)에서 가상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모형아암(30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출력용 압력센서(500)를 설치하게 되는데, 본 예에서는 상기 모형아암(300)에 연결되는 유출가지관(330)에 상기 출력용 압력센서(500)를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가지관(330)의 단부에 제2오리피스(310)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용 압력센서(500)도 후술할 제어부(600)와 연결되며, 측정된 모형아암(300)의 내부압력은 제어부(600)로 보내어져 기록 및 연산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600)에서는 각종 측정 데이타의 저장 및 연산 뿐 아니라 서보밸브(100)에 개폐동작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즉, 서보밸브(100)의 작동으로 맥동발생관(200)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제어용 압력센서(400)에 의해 상기 맥동발생관(200)의 압력이 측정된다. 그리고 모형아암(300)의 내부압력도 출력용 압력센서(500)에 의해 측정되어 저장된다. 제어용 압력센서(40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치와 출력용 압력센서(500)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력치는 동일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수회 반복적으로 서보밸브(100)의 개폐정도 등을 조절하여 모형아암(300)의 내부압력을 목표치로 맞출 수 있다.
즉, 계속적인 반복 실험을 통해 맥동발생관(200)과 모형아암(300)의 관계에 따른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서보밸브(100)의 개폐에 따른 유체의 유입량 등에 따라 맥동발생관(200)에서의 측정압력을 "x"라 하면, 이에 연동하는 모형아암(300)에서의 측정압력은 "x'"로 되는 데이타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타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적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서보밸브(100)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맥동발생관(200)과 모형아 암(300)으로 유입된 유체가 계속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탱크(10)에 수용된 유체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유압펌프(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유압펌프(20)로부터 배출되어 서보밸브(100)로 이어지는 배출관의 중간에는 어큐뮬레이터(30)를 두도록 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30)는 안정적으로 서보밸브(100)를 통한 유체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또한, 상기 맥동발생관(200)과 모형아암(300)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1오리피스(210) 및 제2오리피스(310)와 연결되는 순환관(40)을 통해 유체탱크(10)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가상적인 혈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압펌프(10)가 작동되어 어큐뮬레이터(30)에 유체를 저장하게 되며, 서보밸브(100)가 열렸다가 닫히면 상기 유체는 맥동발생관(200)으로 유입되면서 맥동을 일으키게 되며, 이에 의해 제어용 압력센서(400)가 상기 맥동발생관(200)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입력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맥동발생관(200)은 모형아암(300)과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형아암(300)에서도 맥동이 형성되어 출력용 압력센서(500)에 의해 압력이 측정된다. 상기 출력용 압력센서(500)에 의해 인식되는 압력치도 제어부(600)로 입력되어 저장되고, 프로그램에 따른 연산처리에 의해 맥동발생관(200)의 압력 치과 모형아암(300)의 압력치는 데이터화 된다.
상기 서보밸브(100)의 개폐동작의 시간 등을 달리하면 다양한 압력변화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이어서는, 상술한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를 이용한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은 인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가상적인 혈압을 형성시키는 것이 그 요지이다. 첨부되는 도2는 본 발명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혈압발생방법의 주요한 구성으로는 맥동형성단계(Ⅰ), 혈압측정단계(Ⅱ), 목표값수득단계(Ⅲ) 및 연산처리단계(Ⅳ)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맥동형성단계(Ⅰ)는 서보밸브(100)의 단속적인 개폐를 통해 맥동발생관(200) 내부의 압력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상기 서보밸브(10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나 개폐시간 등에 따라 형성되는 맥동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맥동발생관(200)에서 형성되는 압력은 제어용 압력센서(40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6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다음 단계로, 상기 맥동발생관(200)에는 모형아암(300)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맥동발생관(200)에 형성되는 맥동에 의해서 상기 모형아암(300)에도 맥동이 만들어지며 출력용 압력센서(500)에 의해 변화되는 압력이 측정된다. 이 단계를 혈압측정단계(Ⅱ)라 하며 가상적인 혈압이 된다.
다음 단계로서 목표값수득단계(Ⅲ)가 수행되는데, 이것은 상기 모형아 암(300)에서 측정될 혈압치(목표값)을 미리 정하고, 출력용 압력센서(500)에서 측정되는 값이 목표값에 이를 때까지 서보밸브(100)의 단속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목표값수득단계(Ⅲ) 다음으로는 연산처리단계(Ⅳ)가 수행되며, 이것은 제어부(600)에서 자동처리되는 것이다. 맥동발생관(200)과 모형아암(300)에서 측정되는 압력치는 제어부(600)로 전송되어 저장되며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 연산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서, 특정의 목표값에 이를 때까지 맥동발생관(200)에서 측정되는 압력치와 이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모형아암(300)에서 측정되는 압력치는 모두 제어부(60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데이터화 되도록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상기 모형아암(300)에서의 목표값을 얻기 위한 맥동발생관(200)에서의 측정 압력치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맥동발생관(200)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얻기 위한 서보밸브(100)의 개폐조건은 제어부(6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조건을 찾아 서보밸브(200)를 제어하면 최종적으로 모형아암(300)에서 얻고자 하는 압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혈압을 모형아암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이용하면 유용한 실험용 혹은 교육용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는, 상술한 유체구동혈압발생장치 및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혈압계의 테스트 방법은 언급한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를 이용한 구체적인 활용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제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실제 혈압계 중에서 커프를 가지는 혈압계의 테스트에 활용할 수 있다.
도3은 혈압계의 테스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전체적인 과정은 목표값설정단계(S1), 준비단계(S2) 및 교정단계(S3)로 구성된다.
상기 목표값설정단계(S1)는 상술한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모형아암(300)에서 구체적인 목표값을 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형아암(300)에서의 목표 압력치를 구함에 있어서는, 다수회에 걸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서 맥동발생관(200)에서의 압력치에 상응하는 모형아암(300)에서의 압력치를 얻으면 된다. 즉, 서보밸브(100)의 어떠한 개폐조건에 의해 맥동발생관(20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x" 일 때 상기 모형아암(300)에서 측정되는 압력치 "x'"를 구하는 것이다. 상기 모형아암(300)에서 측정될 압력치가 100mmHg 로 설정되면, 이에 상응하는 조건을 찾아 그 조건으로 서보밸브(100)를 개폐함에 따라 동일한 압력치가 얻어질 것이다.
이어서는, 실제 혈압계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혈압측정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2)가 수행된다. 상기 모형아암(300)의 외면에 실제 혈압계의 커프를 감싸도록 하며, 상기 커프에 압을 가한 후 점차 커프의 압력을 해제하면서 혈압을 측정하면 된다. 즉, 실제 혈압계를 인체에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형아암 에 설치하여 혈압측정을 준비하면 된다. 물론, 혈압계의 커프를 모형아암(300)에 장착하고 혈압측정을 준비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하여둔 모형아암의 압력 목표값을 형성시켜야 한다.
혈압계를 셋팅하는 준비단계(S2) 후에는 모형아암(300)의 압력을 측정하며,이렇게 측정된 혈압계의 혈압치와 모형아암(300)에 설정된 가상의 혈압치를 비교하는 교정단계(S3)가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모형아암(300)에 설정된 압력치와 혈압계로 측정되는 압력치에 차이가 발생하면 혈압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보정을 실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실제 혈압계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서 발생되는 혈압의 생성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교육용이나 실험용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혈압발생 시뮬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을 활용하면 실제 혈압계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혈압계를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압발생장치는 다양한 조건으로 혈압발생 실험을 할 수 있으므로, 혈압에 관련되는 학술적인 기초적 실험 데이타를 확보할 수 있어 의료기술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Claims (7)

  1. 펌핑된 유체의 공급을 단속하는 서보밸브와;
    상기 서보밸브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타측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제1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맥동발생관과;
    상기 맥동발생관의 측면으로부터 분지되는 유입가지관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는 유출가지관이 결합되는 모형아암과;
    상기 유출가지관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2오리피스와;
    상기 맥동발생관에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어용 압력센서와;
    상기 맥동발생관의 압력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모형아암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출력용 압력센서와;
    상기 서보밸브, 제어용 압력센서 및 출력용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서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아암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압력센서는,
    상기 유출가지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와;
    유체탱크 내부의 유체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와 서보밸브를 연결하는 배출관의 중간에 형성되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탱크로 되돌리는 순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
  6. 서보밸브의 단속적인 개폐로 맥동발생관 내부의 압력을 변화되게 하는 맥동형성단계와;
    상기 맥동발생관과 연결되는 모형아암에 유발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혈압측정단계와;
    상기 모형아암에서 측정될 임의의 압력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서보밸브의 단속을 제어하는 목표값수득단계와;
    목표값을 얻기 위한 반복적인 과정에서 맥동발생관과 모형아암으로부터 검출되는 압력치를 저장하여 모형아암에서 임의의 목표값을 얻기 위해 맥동발생관에 발생되어야 하는 압력치를 데이타화 하는 연산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구동 혈압발생방법.
  7. 제4항의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형아암에서 검출되는 혈압이 일정치에 도달되도록 하는 목표값설정단계와;
    상기 모형아암에 실제 혈압계의 커프를 장착하고 혈압측정준비를 하는 준비단계와;
    실제 혈압계로 측정한 혈압치와 상기 모형아암에 셋팅된 혈압치를 비교하여 상기 실제 혈압계를 보정하는 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테스트 방법.
KR1020060070601A 2006-07-27 2006-07-27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KR20080010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01A KR20080010530A (ko) 2006-07-27 2006-07-27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01A KR20080010530A (ko) 2006-07-27 2006-07-27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530A true KR20080010530A (ko) 2008-01-31

Family

ID=3922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01A KR20080010530A (ko) 2006-07-27 2006-07-27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5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77618C1 (ru) * 2011-07-21 2013-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 (КГТУ-КАИ) Установка пульсирующих потоков жидкости для комплектной поверк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х сфигмоманометров
WO2013122737A1 (en) * 2012-02-16 2013-08-22 Welch Ally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patient
KR101454204B1 (ko) * 2013-04-02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탄성체를 이용한 가변압력 공급장치, 방법, 가상혈압발생장치 및 혈압계 성능시험방법
KR101454201B1 (ko) * 2013-08-19 2014-10-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력펄스 제공을 이용한 자동혈압계 시험장치, 혈압계 시험방법 및 혈압계 교정방법
KR101474827B1 (ko) * 2013-04-25 2014-12-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혈압계 테스트용 팬텀, 이를 이용한 혈압계 테스트장비 및 방법
KR20220048799A (ko) 2020-10-13 2022-04-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마이크가 내장된 자동 혈압계용 커프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77618C1 (ru) * 2011-07-21 2013-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 (КГТУ-КАИ) Установка пульсирующих потоков жидкости для комплектной поверк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х сфигмоманометров
WO2013122737A1 (en) * 2012-02-16 2013-08-22 Welch Ally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patient
US9241642B2 (en) 2012-02-16 2016-01-26 Welch Ally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patient
US11484274B2 (en) 2012-02-16 2022-11-01 Welch Ally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patient
KR101454204B1 (ko) * 2013-04-02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탄성체를 이용한 가변압력 공급장치, 방법, 가상혈압발생장치 및 혈압계 성능시험방법
KR101474827B1 (ko) * 2013-04-25 2014-12-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혈압계 테스트용 팬텀, 이를 이용한 혈압계 테스트장비 및 방법
KR101454201B1 (ko) * 2013-08-19 2014-10-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력펄스 제공을 이용한 자동혈압계 시험장치, 혈압계 시험방법 및 혈압계 교정방법
KR20220048799A (ko) 2020-10-13 2022-04-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마이크가 내장된 자동 혈압계용 커프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0708A (en) High frequency intravascular prosthesis fatigue tester
JP4465349B2 (ja) 心臓のパラメーター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741344B2 (ja) 心臓シミュレーションデバイス
WO2001054576A1 (en) System for measuring pressure and flow in a blood vessel
KR20080010530A (ko) 유체구동 혈압발생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혈압계의 테스트방법
CN104248478A (zh) 一种多功能体外心脏功能模拟及瓣膜性能测试装置
JP2006518249A5 (ko)
JP2009122130A (ja) 冠動脈バイパス手術用の訓練評価システム
JP6710027B2 (ja) 心臓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心臓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及び心臓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166905B2 (ja) 人工冠動脈及び冠動脈ステント性能評価シミュレータ
WO2018217858A1 (en) Method for correcting cuff pressure in a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JP4587776B2 (ja) 血流シミュレータ及び流れ変換装置
JP2020528808A (ja) 膨張ベースの非侵襲的血圧モニター用の膨張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CN111312050A (zh) 一种高血压血液循环模拟装置
JPH0431256B2 (ko)
CN114166494A (zh) 心室辅助装置用测试系统
KR100664682B1 (ko) 혈압 시뮬레이터
Vandenberghe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the PUCA II intra-arterial LVAD
KR100835012B1 (ko) 가상 혈관 노화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Laqua et al. A phantom with pulsating artificial vessels for non-invasive fetal pulse oximetry
CN113453547B (zh) 用于离体测量供体心脏性能的装置和方法
JP7103339B2 (ja) Iabp駆動装置
Harabedian Modeling the Arterial System to Improve Ultrasound Measurements of Hemodynamic Parameters
JP2021007502A (ja) 医療用膨張・収縮駆動装置
WO20222569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cardiovascular fluid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