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007A -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007A
KR20080010007A KR1020060069923A KR20060069923A KR20080010007A KR 20080010007 A KR20080010007 A KR 20080010007A KR 1020060069923 A KR1020060069923 A KR 1020060069923A KR 20060069923 A KR20060069923 A KR 20060069923A KR 20080010007 A KR20080010007 A KR 2008001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video
signal
image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007A/ko
Publication of KR2008001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게임동작의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영상기기는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처리부,및 영상기기가 특정모드로 동작할 경우, 영상신호처리부에서 수행되는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게임영상의 신호지연을 방지하고 보간에 의한 영상 왜곡을 해소하여 생동감있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바이패스, 게임모드, 영상기기, 디인터레이스부, 스케일러부.

Description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Video apparatus for alleviating delay of game mo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동작 지연을 완화시키는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동작 지연을 완화시키는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영상입력부 112: 튜너
114 : 영상수신부 120: 영상디코딩부
130: 영상신호처리부 132: 디인터레이싱부
136: 스케일링부 140: 영상출력부
160 : 조작부 170: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발력이나 민첩성이 요구되는 슈팅 게임, 액션 게임, 퍼즐 게임 및 스포츠 게임 등의 아케이드 게임(arcade game)는 한국에서 보통 전자오락실이라는 게임업소에서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TV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되면서, 가정에서도 아케이드 게임을 즐기고 싶어하는 욕구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케이드 게임을 디스플레이하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다.
그 이유로는 게임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게임에 대한 영상(이하'게임영상'이라고 한다)에 대해 디인터레이싱 처리하는 과정에서 신호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이유로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제품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반면, 게임기에서 출력되는 게임영상은 다양한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때문에, 입력되는 게임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를 일치시키기 위한 스케일링 과정에서 신호 지연이 발생하게 되거나, 보간(interpolation)에 의해 게임영상이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호지연이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행하는 동작에 대응되는 게임동작이 반영된 영상이 사용자의 실제 동작보다 비교적 많이 늦게 디스 플레이되어서 게임의 생동감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스케일링 과정에서 발생되는 게임영상의 왜곡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으로부터 게임이 수행될 수 없는 오류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처리과정이 수행되지 않게 함으로써, 변환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신호지연이나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여 게임이 생동감있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기기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처리부; 및 영상기기가 특정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에서 수행되는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신호선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는, 인가되는 인터레이스 영상신호을 디 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로 변환처리하는 디인터레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상기 영상기기의 해상도로 변환처리하는 스케일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 영상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특정모드는,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가 인가시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되어져야 하는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모드는, 외부게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임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영상기기는,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처리부; 영상기기가 특정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수행되는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영상기기 제어방법은, 영상기기의 동작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기기의 동작모드가 특정모드로 판단되면,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수행되도록, 상기 영상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는, 인가되는 인터레이스 영상신호을 디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로 변환처리하는 과정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상기 영상기기의 해상도로 변환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 영상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특정모드는,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가 인가시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되어져야 하는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모드는, 외부게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임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동작 지연을 완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영상기기는 영상입력부(110), 영상디코딩부(120), 영상신호처리부(130), 영상출력부(140), 조작부(160) 및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영상입력부(110)는 튜너(112), 영상수신부(114)를 구비한다. 튜너(112)는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영상디코딩부(120)로 인가한다. 영상수신부(114)는 외부장치(예를들면, 게임기, S-비디오 입력단자, 외부 셋탑박스, 외부 TV 등)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을 영상디코딩부(120)로 인가한다.
영상디코딩부(120)는 영상입력부(110)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만들어 주기 위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영상신호처리부(130)는 디인터레이싱부(132), 제1 신호선택부(134), 스케일링부(136)및 제2 신호선택부(138)를 구비한다. 디인터레이싱부(132)는 영상디코딩부(120)에서 출력되는 인터레이스 영상신호을 디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progressive image)를 생성한다.
제1 신호선택부(134)는 영상디코딩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디인터레이싱부(13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 하나를 스케일리부(136) 또는 제2 신호선택부(138)로 인가한다.. 제1 신호선택부(134)는 후술할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영상디코딩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인가받은 경우에는 제1 신호선택부(134)로 인가된 영상신호는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로 변환되지 않는 영상신호이다.
스케일링부(136)는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영상기기의 해상도와 일치되도록 변환시켜 준다. 즉, 스케일링부(136)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크기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킨다.
제2 신호선택부(138)는 제1 신호선택부(13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스케일링부(13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 하나를 영상출력부(140)으로 인가한다.. 제2 신호선택부(138)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제1 신호선택부(13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인가받은 경우에, 제2 신호선택부(138)로 인가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영상기기의 해상도로 변환되지 않는 영상신호이다.
영상신호처리부(130)은 제1 신호선택부(134) 및 제2 신호선택부(138)를 포함하는 것을 도 1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신호선택부(134) 및 제2 신호선택부(138) 가 영상신호처리부(130)에서 수행되는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영상신호를 인가한다면 영상신호처리부(130)의 구성요소가 아니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신호선택부(134) 및 제2 신호선택부(138)은 하나의 신호선택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출력부(140)는 영상신호을 내부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i)내부 디스플레이로 출력은, 디스플레이구동부(142)가 인가된 영상신호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에 의하게 되고, ii)외부 디스플레이로 출력은, 영상송신부(146)가 인가된 영상신호을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TV)로 송신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조작부(160)는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다. 모드선택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는 영상기기의 모드를 특정모드, 예를 들어, 외부 게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임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게임모드는 영상신호가 영상기기로 인가되면, 인가시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되어져야 하는 모드의 일종이다.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한 조작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콘(미도시)과 리모콘으로부터 조작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하는 수광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70)는 영상입력부(110)로부터 영상신호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거나, 조작부(160)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독출한다. 즉 영상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기기의 외부입력신호에 대한 정보가 게임영상에 관한 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영상기기에 대한 모드를 게임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독출된 정보가 게임에 관한 정보인 경우에는 제1 신호선택부(134) 또는 제2 신호선택부(138)를 제어하여 영상디코딩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변환처리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신호선택부(134) 및 제2 신호선택부(138)를 제어하여, 영상신호가 디인터레이싱부(132) 및 스케일링부(136) 모두를 바이패스하여 변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70)는 제 1신호선택부(134) 및 제 2신호선택부(138) 를 제어하여, 영상신호가 디인터레이싱부(132) 또는 스케일링부(136)중 어느 하나를 바이패스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영상기기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동작의 지연을 완화시키는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영상기기에 영상신호가 입력된다.(S210). 구체적으로 S210단계는, 게임기로부터 영상입력부(110)에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입력된 영상신호는 일반적으로 압축되어 있으므로, 영상디코딩부(120)는 재생가능한 원래의 영상신호으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영상신호를 디코딩한다(S220).
한편, 제어부(170)는 디코딩된 영상신호에 대한 모드가 게임모드인지 판단한다(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 또는 조작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영상신호에 대한 모드가 게임모드인지 판단한다.
디코딩된 영상신호에 대한 모드가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S230-N), 제어부(170)는 디코딩된 영상신호가 인터레이스 영상신호인 경우 디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로 변환처리되도록 제1 신호선택부(134)를 제어한다(S24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신호선택부(134)를 제어하여, 디코딩된 영상신호가 제1신호선택부(134)에 의해 바이패스되지 않고 디인터레이싱부(132)로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영상기기의 해상도로 변환처리되도록 하는 스케일링 과정이 수행되도록 제2 신호선택부(138)를 제어한다(S25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2 신호선택부(138)를 제어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가 제2 신호선택부(138)에 의해 바이패스되지 않고 스케일링부(136)로 입력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70)는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를 영상출력부(140)로 출력한다(S260).
반면에, S230단계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에 대한 모드가 게임모드라고 판단한 경우(S230-Y), 제어부(170)는 영상신호가 디인터레이싱 및 스케일링 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출력되도록 제1 신호선택부(134)및 제2 신호선택부(138)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게임영상을 디인터레이싱 및 스케일링하지 않고 출력하는 이유는 영상신호가 디인터레이싱되면서 소요되는 시간과 스케일링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게임영상이 생동감있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케일링하는 과정에서 보간에 의한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게임이 수 행될 수 없는 오류가 생기는 것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게임영상이 생동감있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S230단계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에 대한 모드가 게임모드인지 판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가 디코딩되기 전에 제어부(170)는 게임모드인지 외부기기의 외부입력신호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부(16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모드인 경우(S230-Y), 제어부(170)는 영상신호가 디인터레이싱 및 스케일링 되지 않고 출력되도록 제어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70)는 디코딩된 영상신호가 디인터레이싱되지 않으나, 스케일링되는 변환처리과정을 거쳐 출력되도록 제1 신호선택부(134)및 제2 신호선택부(138)를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코딩된 영상신호가 인터레이스 영상신호인 경우,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으로 변환처리하지만 스케일링되지 않는 채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부(170)는 제1 신호선택부(134)및 제2 신호선택부(138)를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신호처리부(130)는 디인터레이싱과 스케일링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신호처리부(130)가 다른 변환처리를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게임영상은 영상입력부(110)의 영상수신부(114)에 게임기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임영상은 튜너(112)를 통해 인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과 다른 방식으로 게임동작의 지연을 완화시키는 영상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신호선택부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어부(170)가 특정 모드, 예를 들어 게임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변환처리되지 않도록 디인터레이싱부(132)나 스케일링부(136)를 구비한 영상신호처리부(130)를 직접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어부(170)는 입력된 영상신호가 변환처리되지 않은 채 바이패스되도록 영상신호처리부(130) 전체를 직접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환처리과정의 하나의 디인터레이싱이나 스케일링 중 하나가 미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가되는 영상신호가 변환처리되지 않음으로써, 변환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신호지연이나 영상에 대한 왜곡을 방지하여 게임영상이 생동감있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처리부; 및
    영상기기가 특정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에서 수행되는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는,
    인가되는 인터레이스 영상신호를 디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로 변환처리하는 디인터레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상기 영상기기의 해상도로 변환처리하는 스케일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 영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 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모드는,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가 인가시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되어져야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모드는,
    외부게임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임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영상기기의 동작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기기의 동작모드가 특정모드로 판단되면,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처리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인가되는 인터레이스 영상신호를 디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 로 변환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상기 영상기기의 해상도로 변환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 영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모드는,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가 인가시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되어져야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모드는,
    외부게임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임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KR1020060069923A 2006-07-25 2006-07-25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23A KR20080010007A (ko) 2006-07-25 2006-07-25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23A KR20080010007A (ko) 2006-07-25 2006-07-25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07A true KR20080010007A (ko) 2008-01-30

Family

ID=3922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23A KR20080010007A (ko) 2006-07-25 2006-07-25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0681B2 (en) 2013-11-25 2016-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thereof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gamma tuning
US9666164B2 (en) 2014-02-24 2017-05-30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0681B2 (en) 2013-11-25 2016-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thereof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gamma tuning
US9666164B2 (en) 2014-02-24 2017-05-30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10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8361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overlays in a multimedia system
US758654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having a bypass mod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060037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and switching to favorite channels
JP4693546B2 (ja) デジタルノイズ低減装置及び方法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725911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映像処理装置
US7974513B2 (en) Optical disk player
JP4691193B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US200702009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 Video Image
CA2950642C (en) Minimizing input lag in a remote gui tv application
JP2012182673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KR100270815B1 (ko) 부화상 표시방법 및 장치
KR10156362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007A (ko) 게임동작 지연이 완화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352303A (ja) 映像表示装置
WO2010103716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20080117329A1 (en) Multi-mode video deinterlacer comprising a low delay mode
KR100736935B1 (ko) 그래픽 처리를 이용한 비디오 뮤트 화면 표시장치 및 그방법
US2006010938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2955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57925A (ko)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KR20080051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5259867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US2006002089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video data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