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932A -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932A
KR20080008932A KR1020060128769A KR20060128769A KR20080008932A KR 20080008932 A KR20080008932 A KR 20080008932A KR 1020060128769 A KR1020060128769 A KR 1020060128769A KR 20060128769 A KR20060128769 A KR 20060128769A KR 20080008932 A KR20080008932 A KR 2008000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time
secondary storage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235B1 (ko
Inventor
가즈마 다까쯔
모또히로 사까이
아끼라 사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1Backup scheduling poli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6Hardware arrangements for back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6Protection against loss of memory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ync 처리에 관련하는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감시부(160)가 현재 시각,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의 최종 액세스 시각, 파라미터 테이블(150b)의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규정 시간을 경과한 MRB를 갖는 VLU를 검출하고, 검출한 VLU에 포함되는 MRB중, 규정 시간 이상 합계 시간 이하로 되는 MRB를 복수 선택하고, 선택한 MRB가 관리하고 있는 1차 스토리지 상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Sync 처리 중에 타 장치(호스트 컴퓨터 등)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보정값을 조정한다.
모니터, ROM, 버퍼, 감시부, 테이프 장치,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DIUM, AND DATA RECORDING METHO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장치와 종래의 기술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시간 관리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파라미터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부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기록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종래의 스토리지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차 스토리지
30: 입력 장치
31: 모니터
32: RAM
32a: 각종 데이터
33: ROM
33a: 각종 프로그램
34: 매체 판독 장치
35: 인터페이스
36: CPU
36a: 각종 프로세스
100: 데이터 기록 장치
110: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120: 2차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
130: 버퍼
140: 리드라이트 처리부
150: 메모리
150a: 시간 처리 테이블
150b: 파라미터 테이블
160: 감시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1-100931호 공보
본 발명은,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ync 처리 등의 백업에 관련하는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1차 스토리지(RAID 장치 등) 및 2차 스토리지(테이프 장치 등)로 구성되는 스토리지 시스템에서는, 1차 스토리지 상에서 규정 시간 이상 갱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카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즉, 이 스토리지 시스템은, 데이터가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체크하기 위해 데이터가 갱신된 시각을 특정한 데이터 단위(MRB<Migration/Recall Block>)마다 기록해 두고, 이 MRB 단위로 Sync 처리(1차 스토리지로부터 2차 스토리지에의 데이터 카피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GFS(Global File System) 환경을 구비하는 스토리지 시스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 등에 드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보이는 1차 스토리지 상의 LUN(Logical Unit number)를 복수 결합하여 1개의 LUN으로서 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도 7은, 종래의 스토리지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FS 환경을 구비하는 스토리지 시스템에서는, VLU(0)∼VLU(4)를 1개의 LUN으로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능에 의해 결합된 LUN에 대하여 데이터를 갱신한 경우, 갱신의 순서는 이하와 같이 임의의 특정 범위에서 VLU를 절환하여 행해진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데이터 갱신시의 시각은 MRB(1)가 가장 오래되고, MRB(2), MRB(3), MRB(4)의 순서대로 새롭게 되어 간다.
또한, 종래의 스토리지 시스템에서는, 가상 논리 유닛(Virtual Logical Unit; VLU)마다 테이프 장치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Sync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VLU가 절환될 때마다 테이프 장치를 절환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MRB(1)로부터 MRB(2)로 Sync 처리 대상이 절환된 경우에는, VLU(0)로부터 VLU(1)로 절환되기 때문에, VLU(0)에 대응하는 테이프 장치를 VLU(1)에 대응하는 테이프 장치로 절환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VLU마다 테이블 장치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Sync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 빈번하게 테이프 장치의 절환이 발생하여,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Sync 처리에 관련하는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 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이 선택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 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수순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이 선택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순과, 상기 판정 수순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수순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공정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개요 및 특징에 대해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장치와 종래의 기술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1차 스토리지(10)는, 복수의 가상 논리 유닛 VLU(Virtual Logical Unit)에 의해 구성되고, 이 가상 논리 유닛은 MRB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기록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 상의 GFS가 복수의 가상 논리 유닛을 결합해서 1개의 LUN으로서 관리하고 있는 경우, 1차 스토리지 상의 각 가상 논리 유닛을 절환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1의 괄호 내에 기재된 시간은, 데이터가 기록된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즉,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는 MRB(1), MRB(2), …, MRB(25)의 순서대로 할당되어 기록되고, 기록된 시간은, 각각 17시, 17시 1분, …, 17시 25분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Sync 처리를 실행하는 규정 시간을 설정하고, 미 액세스 시간이 규정 시간 이상으로 된 기록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Sync 처리(1차 스토리지로부터 2차 스토리지에의 데이터 카피 처리)를 행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규정 시간이 60분인 경우에는, 18시에 VLU(0)의 MRB(1)가 관리하고 있는 1차 스토리지 상의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이 VLU(0)에 대응하는 테이프 장치(2차 스토리지)에 기록되고, 18시 1분에 VLU(1)의 MRB(2)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이 VLU(1)에 대응하는 테이프 장치에 기록되어 있다(이하 마찬가지로, MRB(3)∼MRB(25)의 순으로 데이터의 Sync 처리를 테이블 장치의 절환을 행하면서,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Sync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빈번하게 VLU의 절환이 행해지고, 그에 수반하여 테이프 장치(2차 스토리지)의 절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는, 1차 스토리지(10)의 VLU에 포함되는 각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의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이 데이터 기록 장치는, 보정값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규정 시간 및 보정값에 기초하여 Sync 처리 대상으로 되는 MRB를 동일 VLU로부터 복수 선택하고, 선택한 복수의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의 데이터를 한번에 동일한 테이프 장치(2차 스토리지)에 기록한다.
우선, 데이터 기록 장치는, 미 액세스 시간이 규정 시간 이상으로 된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갖는 VLU를 선택한다. 그리고, 규정 시간과 이 규정 시간에 보정값을 승산한 보정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VLU에 포함되는 MRB 중, 미 액세스 시간이 규정 시간 이상, 또한, 합계 시간 이하로 되는 MRB를 선택하고, 선택한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의 데이터를 테이프 장치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규정 시간이 60분, 보정값이 30%(0.3)인 경우에는, 보정 시간은 (60×0.3=18) 18분으로 되어, 합계 시간이 78분으로 된다. 즉, 시각이 18시로 된 시점에서, 도 1에 도시하는 VLU(0)가 선택되고, 미 액세스 시간이 규정 시간 이상, 합계 시간 이하로 되는 MRB(1), MRB(6), NRB(11), MRB(16)이 선택되고, 선택된 각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2차 스토리지에 통합하여 기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는, VLU에 포함되는 각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기 때문에, 테이프 장치의 절환수가 대폭 감소하여,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10)와, 2차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120)와, 버퍼(130)와, 리드라이트 관리부(140)와, 메모리(150)와, 감시부(1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중,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처리부이고, 2차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120)는, 테이블 장치 등의 2차 스토리지(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2차 스토리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테이블 장치는, 각각 1차 스토리지(10)의 가상 논리 유닛 VLU(0∼4)에 대응지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버퍼(130)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혹은, 호스트 컴퓨터에 출력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장치이다. 리드라이트 처리부(140)는, 1차 스토리지(10)에 대한 데이터의 써넣기 및 읽어들이기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메모리(150)는,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시간 관리 테이블(150a)과 파라미터 테이블(150b)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은, 1차 스토리지(10)가 갖는 각 VLU의 MRB에 기록된 데이터의 최종 액세스 시각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도 3은,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 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은 VLU 식별 정보와, MRB 식별 정보와, 최종 액세스 시각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VLU(0)의 MRB(1)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의 최종 액세스 시각이 17시라고 하는 취지가 기록되어 있다. 이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의 각 최종 액세스 시각은, 각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에 액세스될 때마다 갱신된다.
파라미터 테이블(150b)은, Sync 처리 대상으로 되는 MRB를 판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기록한 테이블이다. 도 4는, 파라미터 테이블(150b)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파라미터 테이블(150b)은, 규정 시간과, 보정값과, Sync 스케줄수를 구비한다. 따라서, Sync 스케줄수는, 한번에 선택되는 MRB의 상한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감시부(160)는, 1차 스토리지(10)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의 대응 개소를 갱신함과 함께, 시간 관리 테이블(150a) 및 파라미터 테이블(150b)에 기초하여, Sync 처리 대상으로 되는 MRB를 선택하고, 선택한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 이 감시부(160)는, 우선, 시간 관리 테이블(150a)에 기록된 각 최종 액세스 시각과, 파라미터 테이블(150b)의 규정 시간과, 현재 시각을 비교하여, 최종 액세스 시간이 규정 시간 이상으로 된 MRB를 갖는 VLU를 검출한다. 그리고, 감시부(160)는, 규정 시간과 그 규정 시간에 보정값을 승산한 보정 시간을 가산한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검출한 VLU 중에서, 규정 시간 이상 합계 시간 이하로 되는 MRB를 선택하고, 선택한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감시부(160)는, 선택한 MRB의 수가 파라미터 테이블(150b)의 Sync 스케줄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Sync 스케줄수를 초과한분의 수만큼, Sync 대상으로 되는 MRB의 수를 줄인다(우선 순위가 낮은 MRB로부터 줄여 간다). MRB의 우선 순위는, 최종 액세스 시각이 오래된 것일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감시부(16)는, Sync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Sync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와의 경합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타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경합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감시부(160)는, 파라미터 테이블(150b)에 기록된 보정값을 조정한다(보정값으로부터 소정값을 감산한다). 예를 들면, 보정값을 30%로부터 20%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감시부(16O)의 처리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부(160)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시부(160)는, 규정 시간을 경과한 MRB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현재 시각, 시간 관리 테이블(150a), 파라미터 테이블(150b)에 기초하여 판정하고(스텝 S100), 규정 시간을 경과한 MR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01, 아니오), 스텝 S100으로 이행한다.
한편, 규정 시간을 경과한 MRB가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101, 예), 동일 VLU에 포함되고, 또한, 규정 시간 이상 합계 시간 이하로 되는 MRB를 검출하고(스 텝 S102), 검출한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3). 스텝 S103에서, 선택된 MRB의 수가 Sync 스케줄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Sync 스케줄수 이하로 되도록, 우선 순위가 낮은 MRB로부터 순서대로 Sync 처리를 중지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4), 데이터의 경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5, 아니오), 스텝 S100으로 이행하고, 데이터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는(스텝 S105, 예), 파라미터 테이블(150b)의 보정값을 조정한 후에(스텝 S106), 스텝 S100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감시부(160)가, 현재 시각, 시간 관리 테이블(150a), 파라미터 테이블(150b)에 기초하여, 단일의 VLU로부터 Sync 처리 대상으로 되는 MRB를 복수선택하고, 통합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감시부(160)가 현재 시각, 시간 관리 테이블(150a)의 최종 액세스 시각, 파라미터 테이블(150b)의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규정 시간을 경과한 MRB를 갖는 VLU를 검출하고, 검출한 VLU에 포함되는 MRB 중, 규정 시간 이상 합계 시간 이하로 되는 MRB를 복수 선택하고, 선택한 MRB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을 통합하여 Sync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테이프 장치의 절환수가 대폭 감소하여,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Sync 스케줄수를 설정하 여, 한번에 Sync 처리를 실행하는 MRB의 수를 제한하기 때문에, Sync 처리 중에 타 장치(호스트 컴퓨터 등)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합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Sync 처리 중에 타 장치(호스트 컴퓨터 등)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보정값을 조정하기 때문에, 차회부터의 Sync 처리에서, 데이터 경합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의 처리는,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상기 각종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를 구성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컴퓨터는, 유저로부터의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30), 모니터(31), RAM(Random Access Memory)(32), ROM(Read only Memory)(33), 각종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매체 판독 장치(34),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35), CPU(Central Processing Unit)(36)를 버스(37)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ROM(33)에는, 상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기능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는 각종 프로그램(33a)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CPU(36)가, 각종 프로그램(33a)을 ROM(33)으로부터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하는 각종 프로세스(36a)가 기동된다.
또한, RAM(32)에는, 상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메모리(150)에 기억되 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종 데이터(32a)가 기억된다. CPU(36)는, 각종 데이터(32a)를 호스트 컴퓨터 혹은 입력 장치(30)로부터 취득하여 RAM(32)에 기억함과 함께, RAM(32)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32a)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그런데, 각종 프로그램(33a)은, 반드시 최초부터 ROM(33)에 기억시켜 둘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컴퓨터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디스크(FD), CD-ROM, DVD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IC 카드 등의 「가반용의 물리 매체」, 또한, 컴퓨터의 내외에 갖추어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고정용의 물리 매체」, 또한, 공중 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을 통하여 컴퓨터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 등에 각종 프로그램(33a)을 기억해 두고, 컴퓨터가 이들로부터 각종 프로그램(33a)을 읽어내어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본 방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실시예 이외에도,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서로 다른 실시예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고, 혹은,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문헌에서나 도면에서 나타낸 처리 수순, 제어 수순, 구체적 명칭, 각종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으로,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 및 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한 것에 한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의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 및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 기능은,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가, CPU 및 해당 CPU에서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고, 혹은, 와이어드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다.
(부기 1)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부기 2)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 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장치.
(부기 3)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이 선택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장치.
(부기 4)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2 또는 3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장치.
(부기 5)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수순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수순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부기 6)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 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부기 7)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이 선택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순과, 상기 판정 수순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수순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부기 8)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 6 또는 7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부기 9)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부기 1O) 상기 데이터 기록 공정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방법.
(부기 11) 상기 데이터 기록 공정에 의해 선택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상기 판정 공정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방법.
(부기 12) 상기 데이터 기록 공정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 10 또는 11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방법.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방법은, 1차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백업하는 스토리지 시스템 등에 유용하고, 특히, 백업시의 2차 스토리지의 절환 횟수를 억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기 때문에, 백업에 관련하는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규정 시간과 이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동일 기록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규정 시간 이상, 또한,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기 때문에, 효율 좋게 백업을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업에 관련하는 2차 스토리지의 성능 및 사용 수명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기 때문에, 데이터 경합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동일한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 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기 때문에, 데이터 경합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이 선택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5.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수순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수순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이 선택한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순과, 상기 판정 수순에 의해 타 장치와의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합계 시간을 조정하는 조정 수순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수순은,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규정수 이하로 되는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 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9. 기록 영역이 분할된 복수의 기록 장치로 구성되는 1차 스토리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규정 시간 이상 경과한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 장치를 상기 1차 스토리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규정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공정은, 상기 규정 시간과 해당 규정 시간에 소정의 비율을 승산한 시간과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기록 장치 중,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의 시간이 상기 규정 시간 이상, 또한, 상기 합계 시간 이하인 기록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KR1020060128769A 2006-07-20 2006-12-15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80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8625 2006-07-20
JP2006198625A JP2008027163A (ja) 2006-07-20 2006-07-20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932A true KR20080008932A (ko) 2008-01-24
KR100802235B1 KR100802235B1 (ko) 2008-02-11

Family

ID=3897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769A KR100802235B1 (ko) 2006-07-20 2006-12-15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37544B2 (ko)
JP (1) JP2008027163A (ko)
KR (1) KR100802235B1 (ko)
CN (1) CN101110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0836A (ja) * 2008-03-25 2009-10-08 Fuji Xerox Co Ltd 電子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24747A (zh) * 2009-06-17 2010-12-22 华为终端有限公司 处理数据冲突的方法、装置、网络侧服务器及终端
JP5971509B2 (ja) * 2011-08-30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1346A1 (en) * 1991-10-18 1993-04-19 Claus William Mikkelsen Method and means for time zero backup copy of data
JP3250859B2 (ja) * 1993-02-19 2002-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アレイ装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憶装置
JPH11120057A (ja) * 1997-10-17 1999-04-30 Hitachi Ltd ファイルバックアップ方法
JP2001100931A (ja) * 1999-09-30 2001-04-13 Toshiba Corp 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7318134B1 (en) * 2004-03-16 2008-01-08 Emc Corporation Continuous data backup using distributed journaling
JP2005332067A (ja) 2004-05-18 2005-12-02 Hitachi Ltd バックアップ取得方法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2006040065A (ja) * 2004-07-28 2006-02-09 Fujitsu Ltd 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記憶方法
JP2006092124A (ja) * 2004-09-22 2006-04-06 Fujitsu Ltd 記憶装置、記憶制御方法および記憶制御プログラム
US7779218B2 (en) * 2005-07-22 2010-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synchronization management
JP2007226347A (ja) * 2006-02-21 2007-09-06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計算機システムの管理装置、及びデータのリカバリー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0059B (zh) 2011-05-25
JP2008027163A (ja) 2008-02-07
CN101110059A (zh) 2008-01-23
US7937544B2 (en) 2011-05-03
US20080022056A1 (en) 2008-01-24
KR100802235B1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664B2 (ja) サービス品質に基づくストレージ階層化及び移動技法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181583B2 (en) Method and program for creating a snapshot, and storage system
US7035883B2 (en) Stor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6437656B2 (ja) 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システム、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361034B2 (en) Transferring storage resources between snapshot storage pools and volume storage pools in a distributed network
JP4220724B2 (ja) ストレージ装置
JP5171840B2 (ja) メモリの寿命を縮める動作を遅延させる方法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US8412905B2 (en) Storage system having secondary data store to mirror data
US9235354B2 (en) Storage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20080215836A1 (en) Method of managing time-based differential snapshot
JP2009075672A (ja) アクセス制御リストを用いてファイル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アクセスコントローラ
US20080229131A1 (en)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Power Saving
JP2011523746A (ja) タイムスナップショットにおけるポイントのランク付及び優先順位付システム
US20100058015A1 (en) Backup apparatus, backup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a backup program
WO2013136366A1 (en) Storage apparatus and program update method
KR100802235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
US7849280B2 (en) Storage system a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256598B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py-on-demand optimization for large writes
US9880765B2 (en) Copy processing management system and copy processing management method
JP5477027B2 (ja) 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装置制御方法およびストレージ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2018147341A (ja) ファイル分散記憶装置、プログラム、ファイル分散管理方法
JP2009230674A (ja) 記憶システム、制御装置、削除要求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削除要求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