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170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170A
KR20080008170A KR1020060067680A KR20060067680A KR20080008170A KR 20080008170 A KR20080008170 A KR 20080008170A KR 1020060067680 A KR1020060067680 A KR 1020060067680A KR 20060067680 A KR20060067680 A KR 20060067680A KR 20080008170 A KR20080008170 A KR 2008000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balance
image
user
balance adjustmen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8170A/ko
Publication of KR2008000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영상신호를 처리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조정부와; 사용자조정부를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이트발란스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입력부 20 : 신호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사용자조정부
41 : UI 발생부 43 : 사용자선택부
5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의 화질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특히 칼라 디스플레이장치는 TV(TeleVision), DTV(Digital TV), TFT(Thin Film Transistor) 모니터나 TV, 칼라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프로젝터, 핸드폰과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 는 기기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람의 눈은 풍경 등의 경치가 어떤 색온도의 빛에 비추어져도 자동적으로 색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색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는 색온도가 그대로 색채에 반영되기 때문에 큰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날씨가 맑은 날은 태양광의 색온도가 높기 때문에 화면 전체가 청색으로 보이는 반면, 일출 또는 일몰 시간대에는 색온도가 낮아 화면 전체가 붉게 보인다. 이러한 환경에서 아무런 처리 없이 그대로 촬영하면 광원의 색온도에 의해 화면 전체가 청색으로 되었다가 붉은 색으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온도에 맞추어 RGB 각각의 게인(Gain)을 조정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화이트발란스(White Balance)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이트발란스값이 중간값으로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화이트발란스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화이트발란스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조정부 와; 상기 사용자조정부를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 정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조정부는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선택부와, 상기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는 UI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로부터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도록 상기 UI 발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상기 영상의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롤 바(Scroll Ba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상기 영상의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롤 바(Scroll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입력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조정부(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입력부(10)는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미도시)와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접속단자(미도시)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신호입력부(10)는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D-Sub 커넥터, CVBS(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 커넥터, S-비디오 커넥터나 컴포넌트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0)는 신호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0)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format)에 대응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되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팅 기능, 디지털 디코딩 기능과,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및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을 조절하는 스케일링 기능 및 소정의 포맷 변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사용자조정부(40)는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선택부(43)와, UI 발생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선택부(43)는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 등을 구비하며, 리모콘 또는 케이싱에 마련된 메뉴 키와,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UI 발생부(4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며, OSD 생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스크롤 바(Scroll Ba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생성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여기서, UI 발생부(41)에 의해 생성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영상신호의 화이트발란스 값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선택부(43)를 이용하여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을 선택한 후,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조정부(40)를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신호처리부(20)를 제어하는 것으로, CPU, 마이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선택부(43)로부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도록 UI 발생부(41)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스크롤 바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 으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선택부(43)에 마련된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영상의 붉은 정도 또는 푸른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선택부(43)를 통한 조정에 따라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조정된 화이트발란스 값에 기초하여 RGB 게인(Gain) 값을 조정하도록 신호처리부(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조정된 RGB 게인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50)는 사용자선택부(43)로부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기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기설정되어 있다면,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해제되도록 제어한다.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해제되면, 화이트발란스 값이 중간값을 갖도록 신호처리부(20)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화이트발란스 값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화이트발란스 값을 선택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사용자선택부(43)로부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판단 결과,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도록 UI 발생부(41)를 제어한다(S3).
그리고,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가 조정되도록 신호처리부(20)를 제어한다(S5).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화이트발란스 값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이트발란스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흰색의 붉은 정도 또는 푸른 정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조정부와;
    상기 사용자조정부를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정부는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선택부와, 상기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는 UI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로부터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도록 상기 UI 발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상기 영상의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롤 바(Scroll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을 통한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화이트발란스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발란스 조정창은 상기 영상의 화이트발란스 값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롤 바(Scroll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67680A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8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680A KR20080008170A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680A KR20080008170A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170A true KR20080008170A (ko) 2008-01-23

Family

ID=3922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680A KR20080008170A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81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7687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isplay apparatus
KR1006636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08343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
KR200700687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036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cidental image thereof
KR1007565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JP2015125346A (ja) 表示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90020790A (ko) 시야각에 따른 화질 보정 장치 및 방법
US2006005017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022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질설정방법
KR10071248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817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44526B1 (ko) 스케일 팩터에 따른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6650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
KR10077400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03512B1 (ko) Osd 메뉴 제어방법
JP5189810B2 (ja) 画質制御装置及び画質制御方法
KR1006327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7509B1 (ko) 영상 모드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6625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816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173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KR1007203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897652B1 (ko) 광원 출력 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