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053A -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053A
KR20080007053A KR1020060072571A KR20060072571A KR20080007053A KR 20080007053 A KR20080007053 A KR 20080007053A KR 1020060072571 A KR1020060072571 A KR 1020060072571A KR 20060072571 A KR20060072571 A KR 20060072571A KR 20080007053 A KR20080007053 A KR 2008000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noise
slab
passag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765B1 (ko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김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원 filed Critical 김기원
Publication of KR2008000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슬라브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직접적인 전달루트는 물론 간접적인 공명음을 방진/흡수하기 위한 층간 소음방지구조로서,
슬라브위에 밀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와; 상기 흡음바닥재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와; 상기 방습부재(130)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140)와; 상기 고무시트위에 적층/결합되는 스폰지(150); 및 상기 스폰지(150)위에 적층되고 온수난방관(190)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180)를 충진하고 그 저면에 은박지(160)를 피착하고 상면에는 바닥재(200)가 피착된 온수난방층을 포함하며,
격자형 방진부재와 음원통로를 형성하므로서 방진과 동시에 음원의 환기가 가능해지는 소음제거구조를 제공한다.
소음방지,

Description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Floor space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part and floor space noise preven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실시예의 일부 절개 결합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의 층간 방음/환기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의 요부를 발췌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 결합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 결합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9a,9b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의 다른 실시예들의 층간 방음/환기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흡음바닥재, 120:방진부재, 121:음원통로, 130:방습부재,
132:허니컴시트, 134:부직포, 140:고무시트, 150:스폰지, 160:은박지,
170:허니컴시트, 180:세멘몰타르, 190:온수난방관, 200:바닥재,
본 발명은 아파트 층간의 슬라브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직접적인 전달 계통의 진동 소음을 차단하고, 간접적인 공명소음을 방진/흡수하기 위한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등의 집합 건물에서는 층간의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많이 알려져 있다.
즉, 특허 제10-0552981호는 상판부와, 이 상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수단과, 상기 지지부 하면에 구비되는 소음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지지부를 지탱하는 다리를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등으로 구성하였다. 이 소음방지수단이 강구된 층간 설비구조의 문제점은 난방 배관 및 지지구조를 지탱하는 소음방지수단을 통하여 진동/충격소음이 여전히 하층 슬라브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잔존하였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03302호의 아파트등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방지 방법 및 장치는 슬라브위에 뜬 바닥구조 온돌층을 구성하여 공간을 통한 차음 효과를 의도하기 위하여 온돌층 주변 즉 벽의 인근 주변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온돌층 중앙부에는 순수공간을 형성시켜 충격/소음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었으나, 이 뜬 바닥방식의 층간 소음방지구조는 지지대와 공기압축튜브를 시도하여 지지대를 통한 상층의 충격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잔존하는 충격/소음이 그대로 남아있고, 뜬 바닥이 밀폐되어 울림통 역할을 함에 의하여 난방 배관층위에서의 충격에 공간이 울려 하층 슬라브에 진동소음이 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 밖에도 많은 슬라브의 층간 소음방지대책이 강구된 슬라브 층간 소음방지구조들이 알려져 있으나, 상층부의 소음을 방지/차단하기 위하여 단지 지지대를 완충하여 흡음하거나 뜬 바닥구조를 형성하여 차음효과를 주고자 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슬라브층위에 공간을 형성한 뜬 바닥타입의 소음방지구조의 경우 공간이 밀폐되어 있어 충격 소음이 공간내에서 나가지 못하고 공명을 이루어 하울링(howling)현상을 유발하는 데에 그 원인이 있었다.
따라서 뜬 바닥구조를 통한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은 슬라브와의 설비구조를 탈피하여 1차적 진동이 방진/흡음됨과 동시에 충격소음이 뜬 바닥공간을 통하여 반복적인 하울링을 발생하지 못하도록 접촉부재를 통하여 흡음되거나 방진 되게 한 뒤 음원통로를 통한 잔여음파는 실내 공간측으로 반사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뜬 바닥에서의 공명을 줄임과 동시에 2차적으로 진동 및 충격소음을 천장측에 마련된 환기구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소멸되게 함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층간 소음방지구조들이 안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1차적으로 난방배관층으로 부터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을 흡음가능하도록 흡음부재를 보강하고, 방진고무와 부직포로 양면이 피착된 허니컴시트로서 슬라브에서의 직접적 진동 및 충격소음을 방진함과 동시에 뜬 바닥공간을 통하여 소음의 공명음 파형을 완화함과 동시에 이를 양측면 음원통로와 연결된 환기로를 통하여 실내로 빠져나감과 동시에 천장에 설치된 소음제거구조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 종합적인 슬라브 층간 소음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난방배관층을 통한 차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허니컴시트를 적용하여 세멘몰타르 혹은 황토의 충진에 있어서 그 수평강도를 보강하여 균열을 방지하고자 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난방배관층의 저면에 위치하는 소음방지수단으로 목재 대신 허니컴시트와 부직포를 적용한 새로운 타입의 층간소음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는,
슬라브위에 밀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와; 상기 흡음바닥재위에 소정의 음원통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가 내장된 방습부재와; 상기 방습부재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와, 스폰지와, 상기 스폰지위에 적층되고 온수난방관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 혹은 황토를 충진하고 저부에는 은박지를 피착하고, 상면에는 바닥재가 피착된 허니컴시트를 포함하여서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는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내에 형성된 음원통로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 층간소음방지구조는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내에 형성된 음원통로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환기로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을 형성하고, 이 환기공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환기구로 이루어진 소음제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아파트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공법은,
슬라브위에 흡음바닥재를 깔고 그 위에 소정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뜬 바닥 구조의 음원통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는 격자형 방진부재 설치단계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가 내장된 방습부재를 적층한 뒤 그 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고무시트와, 스폰지와 은박지를 복합/적층하여서되는 차음층 형성단계와; 상기 차음층위에 온수난방관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 혹은 황토를 충진하고 바닥재를 마무리하는 난방층형성단계; 및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 설치단계에서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진동음의 소정파형이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통로와 수직 연통하 는 환기로를 형성하고, 이 환기로를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환기구로서 소음이 제거되는 음파제거단계를 포함하여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의 실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슬라브위에 밀착/고정되며 고무부재 혹은 스폰지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와, 상기 흡음바닥재(110)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와, 상기 방습부재(130)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140)와, 스폰지(150)와, 은박지(160)와, 세멘몰타르(180)로 충진되는 허니컴시트(170)와, 온수난방관(190)과, 바닥재(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210)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천장에 외부와 연통하되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형성하여 실내(220)로 파형 증폭된 음파가 관내부를 거쳐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형성하여서 된다.
즉,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환기로(210)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232)을 형성하고, 이 환기공(232)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23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포함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층간 소음방지구조의 실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슬라브위에 밀착/고정되며 고무부재 혹은 스폰지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와, 상기 흡음바닥재(110)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와, 상기 방진부재(120)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140)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를 그 위에 적층하고, 다시 그 위에 스폰지(150)와, 은박지(160)와, 세멘몰타르(180)로 충진되는 허니컴시트(170)와, 온수난방관(190)과, 바닥재(200)를 구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210)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천장에 외부와 연통하되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형성하여 실내(220)로 파형 증폭된 음파가 관내부를 거쳐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형성하여서 된다.
즉,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환기로(210)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232)을 형성하고, 이 환기공(232)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23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포함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7a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 결합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 결합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9a,9b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의 다른 실시예들의 층간 방음/환기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7a에 따르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슬라브위에 밀착/고정되며 고무부재 혹은 스폰지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와, 상기 흡음바닥재(110)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 부재(120)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를 그 위에 적층하고, 그 위에 온수난방관(190)과, 바닥재(200)를 구성하여서 된다.
상기 도 7b에 따르는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슬라브위에 밀착/고정되며 고무부재 혹은 스폰지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와, 상기 흡음바닥재(110)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와, 상기 방진부재(120)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140)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를 그 위에 적층하고, 그 위에 온수난방관(190)과, 바닥재(200)를 구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는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210)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천장에 외부와 연통하되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형성하여 실내(220)로 파형 증폭된 음파가 관내부를 거쳐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형성하여서 된다.
즉,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환기로(210)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232)을 형성하고, 이 환기공(232)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23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 부(230)를 포함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를 이용한 소음방지공법은,
(1)슬라브위에 흡음바닥재를 깔고 그 위에 소정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뜬 바닥 구조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 설치단계(S1)와,
(2)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가 내장된 방습부재를 적층한 뒤 그 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고무시트와, 스폰지와 은박지를 복합/적층하여서되는 차음층 형성단계(S2)와,
(3)상기 차음층위에 온수난방관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 혹은 황토를 충진하고 바닥재를 마무리하는 난방층형성단계(S3)와,
(4)상기 격자형 방진부재 설치단계에서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진동음의 소정파형이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통로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로를 형성하고, 이 환기로를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환기구로서 소음이 제거되는 음파제거단계(S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음 및 흡음 기능의 고무시트는 전술한 방진부재(120)와 방습부재(130)사이에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층간 소음방지구조들이 안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난방차음층으로 부터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을 흡음가능하도록 허니컴구조의 차음망과 그 하층에 받쳐진 격자상의 고무재의 흡음부재를 통하여 흡음/완충시켜 충격소음을 줄여 직접적 진동 및 충격소음의 직접적 방진되는 효과를 거둔다.
아울러 이러한 직접적인 진동 및 충격소음외에 뜬 바닥공간을 통하여 발생되는 공명소음등은 양측면 환기공를 거쳐 실내에서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하여 천장에 설치된 흡음 환기공를 통하여 흡음/배기되도록 하므로서 그동안 뜬 바닥구조만 혹은 난방차음층과,지지수단만의 소음방지 구조로만 이루어지던 단편적 진동 및 충격 소음 방지구조가 전체적으로 적층구조를 통하여 직접 차음되게 하고, 뜬 바닥 공간을 통하여 공명되는 소음은 난반사과정을 일부 제거되도록 하므로서 아파트 슬라브 층간의 다양한 전달루트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슬라브를 통한 층간 전달을 보다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에 있어서,
    슬라브위에 밀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
    상기 흡음바닥재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
    상기 방습부재(130)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140);
    상기 고무시트위에 적층/결합되는 스폰지(150); 및
    상기 스폰지(150)위에 적층되고 온수난방관(190)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180)를 충진하고 그 저면에 은박지(160)를 피착하고 상면에는 바닥재(200)가 피착된 허니컴시트(170)를 포함하는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220)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210)를 더 포함하는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환기로(210)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232)을 천정측에 형성하고, 이 환기공(232)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23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더 포함하는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4.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에 있어서,
    슬라브위에 밀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
    상기 흡음바닥재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
    상기 방습부재(130)위에 적층되고 온수난방관(190)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180)를 충진하고 상면에는 바닥재(200)가 피착된 허니컴시트(170);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220)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210); 및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환기로(210)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232)을 천정측에 형성하고, 이 환기공(232)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23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부(230)를 포함하는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5.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에 있어서,
    슬라브위에 밀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흡음바닥재(110);
    상기 흡음바닥재위에 소정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134)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132)가 내장된 방습부재(130);
    상기 방습부재(130)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적층되는 고무시트(140);
    상기 스폰지(150)위에 적층되고 온수난방관(190)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180)를 충진하고 그 저면에 은박지(160)를 피착하고 상면에는 바닥재(200)가 피착된 허니컴시트(170);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실내(220)로 빠져 나가도록 양측벽에 환기로(210); 및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120)내에 형성된 음원통로(121)를 따라 형성된 진동 및 충격소음의 음파가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환기로(210)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공(232)을 천정측에 형성하고, 이 환기공(232)을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231)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하는 소음제거 부(230)를 더 포함하는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6. 아파트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공법에 있어서,
    슬라브위에 흡음바닥재를 깔고 그 위에 소정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뜬 바닥 구조의 음원통로(121)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는 격자형 방진부재(120) 설치단계(S1)와;
    상,하 표면이 각각 부직포로 피착되고, 그 내측에는 질석이 포함된 허니컴시트가 내장된 방습부재를 적층한 뒤 그 위에 차음 및 흡음기능을 위하여 고무시트와, 스폰지와 은박지를 복합/적층하여서되는 차음층 형성단계(S2)와;
    상기 차음층위에 온수난방관을 배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세멘몰타르 혹은 황토를 충진하고 바닥재를 마무리하는 난방층형성단계(S3); 및
    상기 격자형 방진부재 설치단계에서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진동음의 소정파형이 양측벽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상기 통로와 수직 연통하는 환기로를 형성하고, 이 환기로를 통한 파형이 천장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충분한 길이의 관공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환기구로서 소음이 제거되는 음파제거단계(S4)를 포함하는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공법.
KR1020060072571A 2006-07-14 2006-08-01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KR100824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6413 2006-07-14
KR1020060066413 2006-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053A true KR20080007053A (ko) 2008-01-17
KR100824765B1 KR100824765B1 (ko) 2008-04-24

Family

ID=3922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571A KR100824765B1 (ko) 2006-07-14 2006-08-01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912B1 (ko) * 2014-03-18 2014-08-29 주식회사 에너피아 층간차음기능을 구비한 난방패널
KR102287727B1 (ko) * 2021-02-19 2021-08-10 더블유건설주식회사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77B1 (ko) * 2011-04-11 2013-08-05 박은태 황토온돌패널을 이용한 뜬바닥구조
KR20240026032A (ko) 2022-08-19 2024-02-27 유인섭 층간소음 알림장치가 구비된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69Y1 (ko) 2003-01-07 2003-03-28 이증환 바닥재
KR20050121787A (ko) * 2004-06-23 2005-12-28 (주)삼현케미칼 소음제거수단을 갖는 벽면절연제
KR100593562B1 (ko) 2005-05-18 2006-06-28 주식회사 토일론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86195B1 (ko) 2006-04-14 2007-02-26 김기원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KR200428537Y1 (ko) 2006-07-27 2006-10-16 주식회사 대한엠엔알 층간소음방지재의 소음방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912B1 (ko) * 2014-03-18 2014-08-29 주식회사 에너피아 층간차음기능을 구비한 난방패널
KR102287727B1 (ko) * 2021-02-19 2021-08-10 더블유건설주식회사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765B1 (ko)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878B1 (ko)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2061573B1 (ko)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101698572B1 (ko) 층간소음방지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시공방법
JP6409137B2 (ja) 床材
KR100824765B1 (ko)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2137373B1 (ko)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감쇄 구조물을 포함하는 난방패널
KR20080001139U (ko) 층간 소음방지용 판넬
KR100724123B1 (ko)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1819793B1 (ko) 황토 재질의 층간 차음재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040009634A (ko) 복합 차음패널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2361502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200421088Y1 (ko) 아파트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KR100686195B1 (ko) 층간 소음방지구조와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공법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KR100625774B1 (ko) 층간 차음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0455544Y1 (ko) 공동주택용 층간차음재
KR20180131126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슬라브 상,하면의 시공방법
KR100629309B1 (ko) 액체용기에 의한 진동소음 방지구조
JP7222498B1 (ja) 防音構造
KR100914333B1 (ko) 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KR200376070Y1 (ko) 층간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