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759A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759A
KR20080006759A KR1020060065886A KR20060065886A KR20080006759A KR 20080006759 A KR20080006759 A KR 20080006759A KR 1020060065886 A KR1020060065886 A KR 1020060065886A KR 20060065886 A KR20060065886 A KR 20060065886A KR 20080006759 A KR20080006759 A KR 20080006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panel
cabine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병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759A/en
Publication of KR2008000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lat display unit is provided to minimize the exposure of an intake to a user by discharging air through the front of a cabinet after sucking the air through the rear or side of the cabinet.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binet, a flat display unit(200), an air conditioning unit(100), and a control unit(500). The cabinet has a plurality of intakes and outlets, a front panel where the flat display unit is installed, and a base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nd assembled at the front panel. The flat display unit includes an image panel(250) and a signal receiving unit(210). The image panel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The signal receiving unit displays a broadcasting image on the image panel.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abinet, and blows air through the intakes and the outlets. The control un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image panel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outlets are formed at the front of the image panel.

Description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압축기 12 : 실외열교환기11: compressor 12: outdoor heat exchanger

13 : 실외송풍기 14 : 팽창밸브13 outdoor blower 14 expansion valve

15 : 센서부 20 : 캐비닛15: sensor unit 20: cabinet

21 : 프론트커버 22 : 프론트패널21: front cover 22: front panel

23 : 이너패널 24 : 베이스23: inner panel 24: base

25, 28 : 흡입구 26, 27 : 토출구25, 28: suction port 26, 27: discharge port

30 : 실내송풍기 32 : 팬30: indoor blower 32: fan

34 : 모터 36 : 토출유로34: motor 36: discharge flow path

50 : 실내열교환기 60 : 필터50: indoor heat exchanger 60: filter

80 : 드레인팬 90 : 토출유닛80: drain pan 90: discharge unit

92 : 베인 94 : 모터92: vane 94: motor

100 : 공기조화유닛 200 : 평판표시유닛100: air conditioning unit 200: flat panel display unit

210 : 신호수신부 220 : 신호변환부210: signal receiver 220: signal converter

250 : 영상패널 260 : 오디오 출력부250: video panel 260: audio output unit

300 : 전원부 400 : 조작부300: power supply unit 400: operation unit

410 : 조작패널 420 : 무선리모콘410: operation panel 420: wireless remote control

411, 412 : 조작버튼 500 : 제어부411, 412: operation button 500: control unit

510 : 공기조화유닛 제어부 520 : 평판표시유닛 제어부510: air conditioning unit control unit 520: flat panel display unit control unit

530 : 메인 제어부530: main control uni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전면에 TV 영상 등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lat panel display unit displaying a TV image or the like o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In general, air conditioner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 heating the room or purifying the air with a radiator, air conditioner, purifier, etc.,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An air conditioner with a built-in turbo fan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cabinet has been developed.

한편, 최근에는 평판표시유닛이 일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flat panel display units have been used in place of general CRT displays.

그런데, 실내 공간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평판표시유닛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간을 다수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together in the indoor space, there is a problem of occupying a large number of indoor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와 평판표시유닛을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서, 실내 공간의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the occupied area of an indoor space by providing an air conditioner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in combina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평판표시유닛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고 부품을 공유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area and by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the indoor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이 일체로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 최적의 공기 흡/토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mum air intake / discharge structure in the air condition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이 일체로 설치된 구조에서 냉 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공기 흡/토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intake / discharge structure for maximizing cooling efficiency in a structure in which an air conditioning unit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are integrally install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영상패널과, 상기 영상패널에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신호수신부가 설치되어 구성된 평판표시유닛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공기조화유닛과; 상기 영상패널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영상패널이 설치된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the cabinet is formed with the inlet and outlet; A video display panel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receiver to display a broadcast video on the video panel; An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in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blow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panel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mage panel.

여기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과;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binet may include a front panel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installed;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영상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평판표시유닛의 배면 측에 위치되는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패널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조화된 공기를 전면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cov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image panel; And an inner panel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wherein the inner pane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air-conditioned air inside the cabinet to the front.

더불어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영상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평판표시유닛은 상기 이너패널과 상기 프론트커버 사이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cover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image panel; And an inner panel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wherein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front cover.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조화된 공기를 전면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And the front panel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air-conditioned air in the cabinet to the front.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내송풍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송풍기는 원심팬이며, 상기 원심팬의 흡입구는 후방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indoor blower for blowing air, the indoor blower is a centrifugal fan, the suction port of the centrifugal fan is installed to face the rear side.

또한,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of the cabine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or on the side of the cabinet.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unit.

또한, 상기 영상패널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 상기 평판표시유닛의 배면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panel or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100)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과 일체로 설치되 어 TV 또는 모니터 등의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유닛(20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for air conditioning the indoor air,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TV or monitor It is composed of a flat panel display unit 200 for outputting an image.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캐비닛(20)에 설치되어 조립된다. Here,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are installed in the cabinet 20 and assembled.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평판표시유닛(200)은 공중파 TV영상, 위성/지상파 DMB 영상 또는 영화 등의 동영상이 구현된다. In this case,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may implement a video such as an aerial TV image, a satellite / terrestrial DMB image or a movie.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기를 이루는 캐비닛(20)에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일체로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냉/난방, 제습, 공기청정 등의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cabinet 20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thereby cooling / heating, dehumidifying, and airing indoor air. Carry out air conditioning such as cleaning.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2)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송풍기(13)와, 액체상태로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분사시키는 팽창밸브(14)와,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5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 공기를 송풍함과 아울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송풍기(30)와, 상기 압축기(11)의 토출압력 및 온도, 실내열교환기(50) 또는 실외열교환기(12)의 온도, 실내의 온도 또는 실외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11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12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n outdoor blower for blowing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 13, an expansion valve 14 for injecting a refrigerant condensed in a liquid state into a liquid in a spray state, an indoor heat exchanger 50 for exchanging indoor air and a refrigerant, and air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Air blower to circulate the air in the room, and discharg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1,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 the temperature of the room or the outdo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unit 15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the lik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은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기이다. Here,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nd the drawings illustrated in FIGS. 2 to 4 are indoor units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표시유 닛(200)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22)과,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배면에 조립되는 베이스(24)로 구성된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송풍기(30), 오리피스(40), 실내열교환기(50), 드레인팬(80) 및 상기 캐비닛(20)의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front panel 22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and a base 24 assembl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 to form an exterior. 20 and a filter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indoor blower 30, the orifice 40,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the drain pan 80, and the cabinet 20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20. 60).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22)과,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배면에 설치되는 베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 및 상기 베이스(24)는 내부에 상기 실내열교환기(50), 오리피스(40), 실내송풍기(30) 등이 내장되도록 상호 고정된다. The cabinet 20 includes a front panel 22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and a base 24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 And the base 24 is fix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the orifice 40, the indoor blower 30, and the like are embedded therein.

여기서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전면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구성하는 영상패널(250)이 설치되고, 상기 영상패널(250)의 주변인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전면에는 토출구(26)(27)가 형성된다. Here, the image panel 250 constituting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 and the discharge port 26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image panel 250. (27) is formed.

그리고 상기 베이스(24)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5)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5)는 상기 베이스(24)의 배면에 형성된다. The base 24 is formed with an intake port 25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the intake port 2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24.

그리고 상기 베이스(24)의 배면에는 후방 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29)가 더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5)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24)에 형성된다. A base portion 29 protruding to the rear side is furth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24, and the suction port 25 is formed on the base 24 protruding to the rear side.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프론트패널(22) 내측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축중심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The indoor blower 30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panel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oor blower 30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toward the axial center side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캐비닛(20) 내측에 2개 설치되고, 각 실내송풍기(30)는 팬(32)과, 상기 팬(32)을 구동시키는 모터(34)로 구성된 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indoor blowers 30 ar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20, and each indoor blower 30 includes a fan 32 and a motor 34 driving the fan 32. All.

여기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베이스(24)에 형성된 흡입구(25)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팬(32)이 상기 베이스(24)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터(34)는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Here, the indoor blower 30 is installed so that the fan 32 faces the base 24 so as to suck air from the suction port 25 formed in the base 24, and the motor 34 is It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anel 22.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22)에는 전면의 양 측부및 상/하측에 각각 토출구(26)(27)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각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20a)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22 is formed with outlets 26 and 27 on both sides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respectively, in the center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indoor blowers 30 to collide. The partition wall 20a is formed.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2)에 형성된 토출구(26)(27)는 상기 팬(32)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유로(36)와 연결된다.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formed in the front panel 22 are connected to a discharge passage 36 which guides the discharge air so that the air dischar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n 32 is discharged forward.

여기서 상기 프론트패널(22)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패널(250)이 노출되는 프론트커버(21)와, 상기 프론트커버(2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유로(36)가 형성된 이너패널(23)로 구성된다. Here, the front panel 22 is located in fro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e front cover 21 to which the image panel 250 is exposed, and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21 is located inside the front blower 30 It consists of an inner panel 23 formed with the discharge passage 36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그래서 상기 프론트커버(21)에는 상기 토출구(26)(27)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패널(23)에는 상기 실내송풍기(30)가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상기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이너패널(23)에 형성된 토출유로(36)를 따라 상기 프론트커버(21)의 토출구(26)(27)로 안내된다. Thus, the front cover 21 is provided with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the inner panel 23 is provided with the indoor blower 30 to discharge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door blower 3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s guided to the discharge ports 26 and 27 of the front cover 21 along the discharge passage 36 formed in the inner panel 23.

여기서 상기 토출유로(36)는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측방향에서 전방향으로 공기토출방향이 전환되게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Here, the discharge passage 36 is formed to guide the air for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front panel 22, and has a gentle curve so tha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22 to the front direction. Is formed.

또한, 상기 토출구(26)(27)에는 상기 토출구(26)(27)를 개폐하는 토출유닛(90)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베인(92)과, 상기 베인(92)을 작동시키는 모터(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are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9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and the discharge unit 90 has a vane 9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26. And a motor 94 for operating the vanes 92.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이너패널(23)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26)(27)로는 상기 베인(92)만이 노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90 is installed in the inner panel 23, and only the vanes 92 are exposed to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한편, 상기 오리피스(40)는 상기 베이스(24)와 상기 실내송풍기(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25)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32)으로 안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rifice 40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24 and the indoor blower 30, and guides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port 25 to the fan 32.

여기서 상기 팬(32)은 상기 오리피스(40)에 형성된 개구부에 일부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서, 상기 흡입공기가 상기 팬(32)의 중심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fan 32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in the orifice 40 so that the suction air can flow into the central axis of the fan 32.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베이스(24)와 상기 오리피스(40) 사이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오리피스(40)에 고정된다. And the heat exchanger 50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24 and the orifice 40, in this embodiment the heat exchanger 50 is fixed to the orifice 40.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배관(52)은 상기 열교환기(50)의 측부 및 하측을 경유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40)에는 상기 절곡된 연결배관(52)을 분리시키는 부재(40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And the heat exchanger 5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52 on one side to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not shown) installed from the outside, the connection pipe 52 is the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50) It is bent to pass through, and the orifice 40 is formed to protrude a member (40a) for separating the bent connection pipe 52.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흡입구(25)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효율적인 열교환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25)의 설치위치보다 넓게 형성되어 설치된다. Here, the heat exchanger 5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25 so that efficient heat exchange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can occur.

더불어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된 응축수 를 저장 또는 배출시키는 드레인팬(80)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팬(80)은 상기 열교환기(50)의 하단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오리피스(40)에 고정된다. In addition, a drain pan 80 is installed below the heat exchanger 50 to store or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r 50, and the drain pan 8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50. It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orifice 40.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캐비닛(20)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250)과, 음향이 출력되는 오디오출력부(260)와,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210)와, 상기 영상패널(250)에 또는 상기 오디오출력부(260)에 적합한 신호로 상기 수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which is installed in the cabinet 20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he image panel 250, the image is displayed, the audio output unit 260 to output the sound, the signal And a signal converter 210 for receiving the signal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image panel 250 or the audio output unit 260.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Flat display Panel로 구성된 영상표시장치로서, LCD TV 또는 PDP TV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캐비닛(20)과 연결유닛(600)을 통해 연결된다.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at display panel, for example, an LCD TV or a PDP TV, and is connected to the cabinet 20 through a connection unit 600.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캐비닛(20)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cabinet 20.

특히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캐비닛(20)의 프론트패널(22) 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 내부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 상기 신호수신부(210) 및 상기 신호변환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20)에 외부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입력단자(614)(예를 들어 DVI, RGB, 컴포넌트, S-Video, 컴포지트, 옵티컬, AV단자, HDMI, DVI 등이다.)가 설치되어 상기 신호변환부(220)와 연결된다. In particular,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22 of the cabinet 20, and the audio output unit 260,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and the signal conversion inside the front panel 22. The unit 220 is installe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614 (for example, DVI, RGB, component, S-Video, composite, optical, AV terminal, HDMI, DVI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to the cabinet 20) Etc.)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220.

그리고 상기 베이스(24)에는 외장 메모리가 연결되는 메모리슬롯(612, 예를 들어 MMC/SD, CF, XD, MS 등이다.)이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20) 내부에는 내장메모리가 설치되며, 상기 외장메모리와 상기 내장메모리는 메모리부(270)를 구성한 다. A memory slot 612 (for example, MMC / SD, CF, XD, MS, etc.) to which an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is installed in the base 24, and an internal memory is installed in the cabinet 20. The external memory and the internal memory constitute a memory unit 270.

여기서 상기 메모리슬롯(612) 또는 상기 외부입력단자(61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24)에 설치되었으나, 상기 캐비닛(20)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상기 프론트패널(22)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memory slot 612 or the external input terminal 614 is installed in the base 24 in this embodiment, but may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of the cabinet 20, for example, the front panel ( 22) can be installed.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TV 튜너, DMB 등의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The signal receiver 210 is for receiving a frequency such as a TV tuner, a DMB.

상기 신호변환부(220)는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signal converter 220 is for decoding and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so that the received signal can be displayed on the image panel 200. The signal converter 220 converts the receiv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는 상기 신호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캐비닛(20)에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616)와, 상기 캐비닛(20)의 측부에 위치되는 오디오출력단자(618)로 구성된다. The audio output unit 26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mong the signals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220 to the user. The cabinet 20 includes a speaker 616 for outputting audio and the cabinet ( And an audio output terminal 618 positioned at the side of 20).

여기서 상기 스피커(616)는 상기 캐비닛(20)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오디오출력단자(618)를 통해 스피커를 상기 캐비닛(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Here, the speaker 616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cabinet 20, and the speaker may be separated from the cabinet 20 through the audio output terminal 618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400)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 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s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Control unit 400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to the unit 200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or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4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500.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되는 전압은 서로 상이한 바,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적합한 전류를 승압 또는 감압하도록 입력전원을 변환시킨다. The power supply unit 300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conditioner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respectively, and the voltage used in the air conditioner unit 100 or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wer supply unit 300 converts the input pow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urrent suitable for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or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예를 들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영상패널(250) PDP 패널인 경우,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PDP 패널에서 이루어지는 방전의 과정에 필요한 리셋전압, 스캔전압, 서스테인 전압을 각각 상기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구동보드에 전달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에 필요한 압축기(11)의 전압, 실내/외 송풍기(13, 30)의 모터(32) 전압, 토출유닛(90)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 및 상기 센서부(15), 상기 팽창밸브(14)의 작동에 필요한 각 전압을 제어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DP panel of the image panel 250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he power supply unit 300 controls the reset voltage, the scan voltage, and the sustain voltage necessary for the discharge process performed in the PDP panel.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o the drive board constituting the 500, the voltage of the compressor 11 required for driv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he voltage of the motor 32 of the indoor / outdoor blowers 13 and 30, the discharge unit The voltag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90 and the respective voltag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5 and the expansion valve 14 are controlled.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캐비닛(20)에 설치된 조작패널(410)과, 무선리모콘(420)과, 상기 무선리모콘(420)의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수신부(430)로 구성된다. The operation unit 400 is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or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400 is an operation installed in the cabinet 20. The panel 410,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420, and a receiver 430 for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420 to the controller 500.

상기 조작패널(410)은 상기 캐비닛(20)에 버튼(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500)에 직접 입력한다. The operation panel 410 is provided with a button (not shown) in the cabinet 20,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unit 500.

상기 무선리모콘(420)은 사용자가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5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무선리모콘(42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무선리모콘(420)에서 발신된 신호는 상기 수신부(430)를 거쳐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420 is for a user to wirelessly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unit 500.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420,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420 is The control unit 5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via the receiving unit 430.

여기서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한다. The user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400.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캐비닛(20)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22) 내부 즉,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배면에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00 is to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the cabinet 20,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The panel 22 is install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영상패널(250), 신호수신부(210), 신호변환부(220), 오디오 출력부(260), 메모리부(27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송풍기 모터(34) 및 토출유닛(90) 모터(94)와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배면에 설치된다. The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n image panel 250, a signal receiver 210, a signal converter 220, an audio output unit 260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driven by the controller 500. The memory unit 270 and the indoor blower motor 34 and the discharge unit 90 motor 94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for easy connection.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배면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영상패널(250)과의 연결거리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송풍기 모터(34)와의 연결거리도 최소화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hereby minimizing the connection distance with the image panel 250 and the connection distance with the indoor blower motor 34.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에 필요한 전선의 결선 및 연결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since 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o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he wiring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ires necessary for the control are It has the effect of being simplifi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평판표시유닛의 작동과정 및 공기조화유닛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무선리모콘(420) 또는 조작패널(410)을 통해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First,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420 or the operation panel 410,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400 or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or the At least on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s 200 is controlled.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을 구동시킨다.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driv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he controller 500 drives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comman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냉방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센서부(15)를 통해 실내공기의 온도, 실외공기의 온도, 실내열교환기(50)의 배관온도 등을 감지한 뒤, 공기조화유닛(100)의 희망온도와 비교하여 공기조화유닛(100)을 작동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cooling the room,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indoor air, the temperature of outdoor air, the piping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and the like through the sensor unit 15. After sens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o operate compared to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여기서 상기 조작패널(410) 및 무선리모콘(42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각각 온/오프 시키기 위한 조작버튼(411)(412)이 구비된다. Here, the operation panel 410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420 are provided with operation buttons 411 and 412 for turning on / of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respectively.

그래서 상기 조작명령에 의해 공기조화유닛(100)이 냉방운전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압축기(11)를 작동시켜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2)에서 응축되며,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14)를 통해 분무상태로 팽창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서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1)로 이동됨으로서 냉방사이클을 구성한다. Thus, when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operated in the cooling operation by the opera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compressor 11 to compress the refrigerant,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expanded in a spray state through the expansion valve 14 and then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and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moved back to the compressor 11 to form a cooling cycle. .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동작 중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패널(250)에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I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does not oper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he controller 500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on the image panel 250. .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패널(250)에 실내온도, 습도, 희망온도, 실외온도, 풍량 등을 표시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이 작동상태는 상기 영상패널(250)의 전체 또는 일부에 표시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displays an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 desired temperature, an outdoor temperature, an air volume, and the like on the image panel 250,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operates in the image panel 250. Are displayed in whole or in pa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압축기(11)-실내열교환기(50)-팽창밸브(14)-실외열교환기(12)로 냉매가 이동되면서 난방사이클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 heating cycle while the refrigerant is moved to the compressor (11)-indoor heat exchanger (50)-expansion valve (14)-outdoor heat exchanger (12).

다음으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과정 중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작동시킨다. Next,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40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he control unit 500 to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Accordingly,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operated.

여기서 사용자가 TV를 켜는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TV튜너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변환을 거쳐 상기 영상패널(250)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o turn on the TV, the controller 500 receives the signal through the TV tuner and then displays the received image signal on the image panel 250 through signal conversion.

특히,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중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던 영상은 상기 영상패널(250)의 일부에 화면 속 화면 방식(畵面-畵面, picture in picture: PIP)으로 표시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image is displayed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he image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part of the image panel 250. -Picture, picture in picture (PIP).

더불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작동 시, 사용자는 조작부(400)를 통한 조 작명령으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 표시를 오프(off)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operated, the user may turn off the display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by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unit 400.

그래서 상기 조작패널(410) 또는 상기 무선리모콘(42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상기 영상패널(250)에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414)이 설치된다. Thus, the operation panel 410 or the wireless remote control 420 is provided with a button 414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to the image panel 250.

다음으로, 공기조화유닛(100)의 정지 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평판표시유닛(200)만 작동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평판표시유닛(200)만을 작동시킨다. Next, when only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op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command when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stopped,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only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by the user's operation command.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4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상기 화면 속 화면 방식으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실내 온도 및 습도 등은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센서부(1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패널(250)에 표시한다.Here,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operation unit 400 to displa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om in the screen manner in the screen, and the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may be displayed on the air conditioner unit in the control unit 500.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5 of 100 and displayed on the image panel 2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or FIG. 6.

먼저, 공기조화유닛(100)이 작동되면, 상기 실내송풍기(30)가 구동되고, 상기 실내송풍기(30)의 구동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20)을 거쳐 순환된다. First, when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operated, the indoor blower 30 is driven, and the indoor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cabinet 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indoor blower 30.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송풍기(30)는 원심팬인바, 상기 캐비닛(20)의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된 후 캐비닛(20)의 각 토출구(2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indoor blower 30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a centrifugal fan, and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of the cabinet 20, and then through each discharge port 26 of the cabinet 20. Air is discharged.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25)가 상기 캐비닛(20)의 배면(20b)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26)(27)가 상기 캐비닛(20)의 전면(20a)에 형성되는 바, 상기 실내송풍기(30)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배면의 흡입구(26)를 통해 흡입된 후 상기 실내송풍기(30)로 이동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port 2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20b of the cabinet 20, and the discharge ports 26 and 27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0a of the cabinet 20. By the operation of the indoor blower 30,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6 on the rear side and then moved to the indoor blower 30.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공기는 상기 베이스(24) 측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공기조화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50)를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40)를 통과하여 상기 실내송풍기(30)로 이동되며, 상기 실내송풍기(30)의 팬(32)은 흡입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킨다. In this process, the intake air is air-condition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installed on the base 24 sid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passes through the orifice 40 to the indoor blower. The fan 32 of the indoor blower 30 discharges the suction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팬(32)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이너패널(23)에 형성된 토출유로(36)를 거쳐 공기의 유동방향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전환된 다음, 상기 프론트커버(21)의 전면(20a)에 형성된 토출구(26)(27)를 통해 토출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32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36 formed in the inner panel 23, and the air flow direction is changed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 It discharges through the discharge ports 26 and 27 formed in 20a.

여기서 상기 팬(3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영상패널(250)의 상/하/좌/우 측에서 각각 토출된다. Here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an 32 is discharged fro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panel 250, respectively.

한편, 상기 토출구(26)에 설치된 각 토출유닛(90)은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에만 상기 베인(92)이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26)(27)를 개방시킨다. On the other hand, each discharge unit 90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2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the vane 92 is rotated only when the air conditioning unit 100 is operated, the discharge port 26 (27) is opened.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흡/토출 유로가 후방흡입/전방토출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에는 상기 영상패널(250) 만이 위치되는 바, 사용자에게는 상기 영상패널(250)이 노출된다.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suction / discharge flow path is configured to be rear suction / front discharge, and only the image panel 25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image panel 250 is provided to the user. Exposed.

더불어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배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가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unit 100 minimizes the area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exposed to the user because the flat panel display unit 200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공기가 전면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영상패널(250)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공기조화된 공기를 직접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irectly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to a user who views the image panel 250 because the discharg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공기가 영상패널(250)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감 냉/난방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user's haptic cooling / heating time because the discharge air is directly provided to the user watching the image panel 250.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공기의 흡/토출 유로가 후방흡입/전방토출가 형성되는 것과 달리 흡입구(28)를 캐비닛(20)의 측면에 형성시켜 공기의 흡/토출 유로가 측방흡입/전방토출 구조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the suction / discharge passage of ai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ar suction / front discharge is formed, the inlet 2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binet 20 so that the suction / discharge passage of the air is sucked in the side /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formed in the forward discharge structure.

그래서 상기 캐비닛(20)의 베이스(24)의 각 측면에는 상기 흡입구(28)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26)(27)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프론트커버(21)의 전면에 형성된다. Thus, each suction port 28 is formed at each side surface of the base 24 of the cabinet 20, and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 as in the first embodiment.

여기서 상기 흡입구(28)는 상기 베이스(24)의 4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suction ports 28 are formed at four sides of the base 24, respectively.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베이스부(29)가 삭제되는 바, 상기 베이스(24)의 배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의 두께를 최소화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ase portion 29 of the first embodiment is removed,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24 is formed in a plan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indoor unit.

더불어 제 2 실시예에서는 흡입구(28)가 측면에 형성되는 바, 상기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50)를 상기 프론트패널(22) 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공기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50)와 상기 흡입공기와의 열교환이 충분히 발생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uction inlet 28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installed in the cabinet 20 is positioned on the front panel 22 so as to move the suction air.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50 and the suction air is sufficiently generated.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LCD 또는 PDP 등의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이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설치공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lat panel display unit such as an LCD or a PDP and an air conditioner unit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are integrally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indoor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종래 실내에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기가 설치될 때 각각 설치되어야 했던 것에 비해,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이 일체 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time because the air conditioner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re integrally configur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when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stalled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평판표시유닛이 공기조화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된 공기조화유닛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in the room because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에 의한 흡/토출 구조에서 토출공기가 사용자가 위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공기조화된 공기를 직접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irectly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to the user because the discharg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take / discharge structure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공기가 사용자가 위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 중 사용자가 위치되는 공간의 공기조화가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the air conditioning of the space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is the highest priority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배면 또는 측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된 후 캐비닛의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흡입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공기의 순환 방향이 효율적으로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of the cabinet after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back or side of the cabinet, to minimize the inlet port exposed to the user,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is efficiently formed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이 프론트패널과 베이스로 구성되어 평판표시유닛을 설치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abinet is composed of a front panel and the base is easy to install a flat panel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이 프론트커버와 이너패널로 구성되어 평판표시유닛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front cover and an inner panel, so that the flat panel display unit can be easi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실내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토출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원심팬을 사용하여도 캐비닛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charge passag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blower inside the cabin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even using a centrifugal fan.

Claims (1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A cabinet in which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re formed;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영상패널과, 상기 영상패널에 방송 영상이 표시되도록 신호수신부가 설치되어 구성된 평판표시유닛과;A video display panel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receiver to display a broadcast video on the video panel;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공기조화유닛과;An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in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blow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 영상패널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panel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상기 토출구는 상기 영상패널이 설치된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mage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캐비닛은 상기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과;The cabinet includes a front panel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installed;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base located i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영상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프론트커버와;The front panel includes a front cover install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image panel; 상기 평판표시유닛의 배면 측에 위치되는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an inner panel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이너패널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조화된 공기를 전면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inner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air-conditioned air in the cabinet to the front sid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영상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이너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The front panel includes a front cover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image pane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panel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상기 평판표시유닛은 상기 이너패널과 상기 프론트커버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front cove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조화된 공기를 전면으로 안내 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at the front panel to guide the air-conditioned air inside the cabinet to the front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내송풍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송풍기는 원심팬이며, 상기 원심팬의 흡입구는 후방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air condition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indoor blower for blowing air, wherein the indoor blower is a centrifugal fan, and the air inlet of the centrifugal fan is installed to face the rear side. 청구항 1 내지 청구상 7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bine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uni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영상패널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평판표시유닛의 배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panel and the air conditioner unit.
KR1020060065886A 2006-07-13 2006-07-13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KR200800067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86A KR20080006759A (en) 2006-07-13 2006-07-13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86A KR20080006759A (en) 2006-07-13 2006-07-13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59A true KR20080006759A (en) 2008-01-17

Family

ID=3922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886A KR20080006759A (en) 2006-07-13 2006-07-13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7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757A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US6701738B2 (en) Wire fixing structure, electrical equipment mou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5697226A (en) Self-contained air-conditioner of the wall-mounted type
KR20080006764A (en) Air conditioner having broadcasting apparatus
KR20080006758A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CN112888903A (en) Assembling structure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371990B2 (en) Air conditioner
US8127830B2 (en) Air conditioner
KR101280368B1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KR101280367B1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KR20080006759A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CN214206220U (en) Fresh air integrated machine air conditioner
JP6789252B2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EP1878977A2 (en)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KR101280369B1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US11933507B2 (en) Air conditioner
KR20050019444A (en) Air conditioner
KR101245254B1 (en)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KR20080065035A (en) Air conditioner
CN101266066B (en) Air conditioner
WO2008007843A2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KR20080065034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KR20080065038A (en) Air conditioner
JPS60181526A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orporated type air conditioner
KR200401165Y1 (en) An air-conditioner indoor unit using downward blow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