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367B1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0367B1 KR101280367B1 KR1020060065888A KR20060065888A KR101280367B1 KR 101280367 B1 KR101280367 B1 KR 101280367B1 KR 1020060065888 A KR1020060065888 A KR 1020060065888A KR 20060065888 A KR20060065888 A KR 20060065888A KR 101280367 B1 KR101280367 B1 KR 101280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abinet
- air
- stand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 및 평판표시유닛으로 구성된 실내기가 스탠드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가 실내의 벽면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door unit composed of an air conditioner unit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on a stand, the installation place is not limited to the walls of the room, bu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and also maximizes the user's space utilization. There i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2 a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이 도시된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영상표시유닛과 공기조화유닛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image display unit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탠드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스탠드가 도시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nd a st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스탠드의 조립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he stan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스탠드가 도시된 사시 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nd a st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공기청정기가 도시된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er of the stan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1 : 압축기 12 : 실외열교환기11: compressor 12: outdoor heat exchanger
13 : 실외송풍기 14 : 팽창밸브13
15 : 센서부 20 : 캐비닛15: sensor unit 20: cabinet
22 : 프론트패널 24 : 베이스22: front panel 24: base
25, 28 : 흡입구 26, 27 : 토출구25, 28:
30 : 실내송풍기 50 : 실내열교환기30: indoor blower 50: indoor heat exchanger
60 : 필터 70 : 컨트롤박스60: filter 70: control box
80 : 드레인팬 90 : 토출유닛80: drain pan 90: discharge unit
100 : 공기조화유닛 200 : 평판표시유닛100: air conditioning unit 200: flat panel display unit
210 : 신호수신부 220 : 신호변환부210: signal receiver 220: signal converter
250 : 영상패널 260 : 오디오 출력부250: video panel 260: audio output unit
300 : 전원부 400 : 조작부300: power supply unit 400: operation unit
410 : 조작패널 420 : 무선리모콘410: operation panel 420: wireless remote control
411, 412 : 조작버튼 500 : 제어부411, 412: operation button 500: control unit
600 : 연결유닛 610 : 케이스600: connection unit 610: case
612 : 메모리슬롯 614 : 외부입력단자612: memory slot 614: external input terminal
616 : 스피커 620 : 제 1 링크616: speaker 620: first link
630 : 제 2 링크 800 : 스탠드630: second link 800: stand
802 : 베이스 플레이트 804 : 컬럼802: base plate 804: column
805 : 스탠드배관 806 : 서포트플레이트805: Stand piping 806: Support plate
807a : 백플레이트 807b : 서브플레이트807a:
808 : 전선 809 : 고정바808: wire 809: fixed bar
810 : 청정송풍기 820 : 플라즈마 필터810: clean blower 820: plasma filter
830 : 여과필터830: Filtration filt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V 영상 등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유닛과 공기조화유닛이 결합되어 스탠드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stand in which a flat pane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V image or the like is coupled to an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In general, air conditioner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 heating the room or purifying the air with a radiator, air conditioner, purifier, etc.,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An air conditioner with a built-in turbo fan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cabinet has been developed.
한편, 최근에는 평판표시유닛이 일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flat panel display units have been used in place of general CRT displays.
그런데, 실내 공간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평판표시유닛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간을 다수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together in the indoor space, there is a problem of occupying a large number of indoor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와 평판표시유닛을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서, 실내 공간의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the occupied area of an indoor space by providing an air conditioner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in combina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평판표시유닛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고 부품을 공유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area and by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the indoor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스탠드를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ich is easy to install by installing the indoor unit and the stand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는 평판표시유닛이 스탠드에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에 공기조화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e flat panel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stand,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the stan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영상이 표시되는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조화유닛이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the case is installed a flat pane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cabinet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cas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flowing air by a blower installed there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nd for supporting the cabinet.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된 영상패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유닛과;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유닛과;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A flat panel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n image panel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An air conditioning unit including a blower for blowing air to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nd for supporting the cabine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영상표시유닛과 공기조화유닛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n image display unit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100)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과 일체로 설치되어 TV 또는 모니터 등의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유닛(20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or 2,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공 기조화유닛(10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flat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평판표시유닛(200)은 공중파 TV영상, 위성/지상파 DMB 영상 또는 영화 등의 동영상이 구현된다. In this case, the flat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100)은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고, 실내 공기의 냉/난방, 제습, 공기청정 등의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2)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송풍기(13)와, 액체상태로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분사시키는 팽창밸브(14)와,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5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 공기를 송풍함과 아울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송풍기(30)와, 상기 압축기(11)의 토출압력 및 온도, 실내열교환기(50) 또는 실외열교환기(12)의 온도, 실내의 온도 또는 실외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기이다. 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프론트패널(22)과, 베이스(24)로 구성된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송풍기(30), 오리피스(40), 실내열교환기(50), 컨트롤박스(70), 드레인팬(80) 및 상 기 캐비닛(20)의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캐비닛(20)의 전면에 설치된다. The flat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22)과,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배면에 설치되는 베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프론트패널(22)에는 중앙에 흡입구(25)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은 상기 베이스(2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24)에는 복수개의 토출구(26)가 형성된다. A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베이스(24)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축중심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The
그래서 상기 베이스(24)에는 양측부 및 하측에 각각 토출구(26)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각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24a)이 형성된다. Thus, the
더불어 상기 베이스(24)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실내송풍기(24)에서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를 측부의 토출구(26)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24b)가 각각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베이스(24)에는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토출유닛(90)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베인(92)과, 상기 베인(92)의 작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오리피스(40)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7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
상기 오리피스(40)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80)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A heat exchanger (5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rifice (40) for cooling / heating indoor air that is sucked by heat exchange with indoor air. Condensate generated in the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프론트패널(22) 또는 상기 오리피스(40)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Here, the
특히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필터(110)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5)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집진 및 필터링한다. 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캐비닛(20)의 모서리에는 배관커버(21)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커버(21)는 상기 베이스(24)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상기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배관커버(21)는 상기 캐비닛(20)에 4 모서리 중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커버(2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상기 캐비닛(20) 내부로 안내된다. Here, the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캐비닛(20)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250)과, 음향이 출력되는 오디오출력부(260)와,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210)와, 상기 영상패널(250)에 또는 상기 오디오출력부(260)에 적합한 신호로 상기 수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lat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Flat display Panel로 구성된 영상표시장치로서, LCD TV 또는 PDP TV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캐비닛(20)과 연결유닛(600)을 통해 연결된다. The flat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연결유닛(600)을 통해 상기 캐비닛(20)에 설치되는 케이스(61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10)에는 상기 영상패널(250)이 설치되어 고정된다. The flat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 내부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 상기 신호수신부(210) 및 상기 신호변환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10)에 외부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입력단자(614)(예를 들어 DVI, RGB, 컴포넌트, S-Video, 컴포지트, 옵티컬, AV단자, HDMI, DVI 등이다.)가 설치되어 상기 신호변환부(220)와 연결된다. The
더불어 상기 케이스(610)는 상기 영상패널(25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프론트커버(611)와, 상기 프론트커버(611)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프론트커버(611)와 결합되는 프론트베이스(613)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영상패널(250)은 상기 프론트커버(611)와 상기 프론트베이스(613) 사이에 위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영상패널(250)의 배면에 설치된 신호수신부(210), 신호변환부(220) 및 제어부(500)는 상기 프론트베이스(613)에 의해 차폐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에는 외장 메모리가 연결되는 메모리슬롯(612)(예를 들어 MMC/SD, CF, XD, MS 등이다.)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10) 내부에는 내장메 모리가 설치된다. A memory slot 612 (eg, MMC / SD, CF, XD, MS, etc.) to which an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is installed in the
여기서 상기 외장메모리와 상기 내장메모리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부(270)이고, 상기 메모리슬롯(612) 또는 상기 외부입력단자(614)는 상기 제어부(500)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캐비닛(2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Here, the external memory and the internal memory are the
더불어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는 상기 신호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610)에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미도시)와, 상기 캐비닛(20)의 측부에 위치되는 오디오출력단자(미도시)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TV 튜너, DMB 등의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신호변환부(220)는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특히 오디오 출력단자(미도시)는 상기 신호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에는 스피커(616)가 연결된다. In particular, the audio output terminal (not shown)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mong the signals converted by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400)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 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되는 전압은 서로 상이한 바,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적합한 전류를 승압 또는 감압하도록 입력전원을 변환시킨다. The
예를 들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영상패널(250) PDP 패널인 경우,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PDP 패널에서 이루어지는 방전의 과정에 필요한 리셋전압, 스캔전압, 서스테인 전압을 각각 상기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구동보드에 전달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에 필요한 압축기(11)의 전압, 실내/외 송풍기(13, 30)의 모터(32) 전압, 토출유닛(90)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 및 상기 센서부(15), 상기 팽창밸브(14)의 작동에 필요한 각 전압을 제어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DP panel of the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케이스(610)에 설치된 조작패널(410)과, 무선리모콘(420)과, 상기 무선리모콘(420)의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수신부(430)로 구성된다. The
상기 조작패널(410)은 상기 케이스(610)에 버튼(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500)에 직접 입력한다. The
상기 무선리모콘(420)은 사용자가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5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무선리모콘(42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무선리모콘(420)에서 발신된 신호는 상기 수신부(430)를 거쳐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The wireless
여기서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한다. The user controls the
한편, 상기 연결유닛(60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케이스(61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프론트패널(22)을 연결하여, 상기 필터(60)의 교체 또는 청소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개폐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상기 연결유닛(600)은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과 상기 프론트패널(22)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 1, 2 링크(620)(6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링크(630)는 상기 제 1 링크(620)의 하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링크(62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The connection unit 600 includes first and
그리고 상기 제 1, 2 링크(620)(630)는 본 실시예에서 모두 끝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되게 힌지 연결된다. The first and
여기서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2 링크(620)(630)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브래킷(622)(632)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전면에도 상기 제 1, 2링크(620)(630)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브래킷(623)(633)이 형성된다. In this case,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630)의 타단은 상기 브래킷(63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평판표시유닛(200)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분리 시 상기 제 2 링크(630)의 타단은 상기 브래킷(633)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프론트패널(22)과 분리된다. The other end of the
또한 상기 케이스(610)와 상기 프론트패널(22)은 서로 끼움결합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에는 후크(642)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에는 상기 후크(642)와 끼움결합되는 후크브래킷(64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그래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과 상기 캐비닛(20)의 결합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케이스(610)는 상기 제 1, 2 링크(620)(630)가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642)와 상기 후크브래킷(644)이 끼움결합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Thus, when the flat
또한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에는 상기 이격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그릴(65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100)과 평판표시유닛(200)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800)에 거치되어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mposed of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탠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탠드(800)는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0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2)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컬럼(804)과, 상기 컬럼(804)에 고정되어 상기 실내기의 캐비닛(20)이 안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806)로 구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컬럼(804)의 좌/우측에는 각각 스피커(616)가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616)는 상기 오디오출력부(260)인 오디오 출력단자와 연결된다. Here, a
그리고 상기 컬럼(804)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50)의 연결배관(52)과 연결되는 스탠드배관(805)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
상기 스탠드배관(805)은 상기 컬럼(80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배관(805)은 외부에 설치된 실외기와 연결된다. The
그래서 상기 스탠드배관(805)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열교환기(50)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스탠드배관(805)을 통해 상기 실외기의 냉매를 순환시킨다. Thus, the
여기서 상기 스탠드배관(805)은 상기 컬럼(804)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단에 설치된 체결부(805a)를 통해 상기 연결배관(52)과 연결된다. Here, the
특히 상기 스탠드배관(805)의 체결부(805a)는 상기 컬럼(804)의 상부로 돌출되지만, 상기 캐비닛(20)의 안착 시 상기 캐비닛(20)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In particular, the
더불어 상기 스탠드배관(805)의 하단은 상기 컬럼(804)의 배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8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50)는 실외기와 직접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스탠드배관(805)이 설치된 상기 컬럼(804)의 상단에는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전선(808)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선(808)을 통해서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11) 또는 실외송풍기(13) 등의 전원이 제어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 기(11) 또는 실외송풍기(13) 등에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In addition, an
특히 상기 전선(808)의 끝단에는 커넥터(808a)가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는 전원선 및 제어선이 상기 제어부(500)에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a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스탠드(800)를 통해 냉매배관이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전선(808)을 통해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가 연결되어 배선 또는 배관에 따른 설치 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한다. Therefor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via the
한편, 서포트 플레이트(806)는 상기 캐비닛(20)의 베이스(24)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24)와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에는 상기 베이스(24)와의 체결고정을 위한 체결홀(806a)이 다수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는 상기 캐비닛(20)의 배면 및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20)이 안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808) 및 스탠드배관(805)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는 상기 컬럼(804)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실내기를 지지한다.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평판표시유닛의 작동과정 및 공기조화유닛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무선리모콘(420) 또는 조작패널(410)을 통해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 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First,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wireless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을 구동시킨다.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driving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냉방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센서부(15)를 통해 실내공기의 온도, 실외공기의 온도, 실내열교환기(50)의 배관온도 등을 감지한 뒤, 공기조화유닛(100)의 희망온도와 비교하여 공기조화유닛(100)을 작동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cooling the room, the
여기서 상기 조작패널(410) 및 무선리모콘(42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각각 온/오프 시키기 위한 조작버튼(411)(412)이 구비된다. Here, the
그래서 상기 조작명령에 의해 공기조화유닛(100)이 냉방운전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압축기(11)를 작동시켜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2)에서 응축되며,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14)를 통해 분무상태로 팽창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서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1)로 이동됨으로서 냉방사이클을 구성한다. Thus, when the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동작 중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패널(250)에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If the flat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패널(250)에 실내온도, 습도, 희망 온도, 실외온도, 풍량 등을 표시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이 작동상태는 상기 영상패널(250)의 전체 또는 일부에 표시된다. For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압축기(11)-실내열교환기(50)-팽창밸브(14)-실외열교환기(12)로 냉매가 이동되면서 난방사이클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과정 중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작동시킨다. Next,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flat
여기서 사용자가 TV를 켜는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TV튜너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변환을 거쳐 상기 영상패널(250)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o turn on the TV, the
특히,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중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던 영상은 상기 영상패널(250)의 일부에 화면 속 화면 방식(畵面-畵面, picture in picture: PIP)으로 표시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image is displayed during operation of the
더불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작동 시, 사용자는 조작부(400)를 통한 조작명령으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 표시를 오프(off)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lat
그래서 상기 조작패널(410) 또는 상기 무선리모콘(42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상기 영상패널(250)에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414)이 설치된다. Thus, the
다음으로, 공기조화유닛(100)의 정지 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평판표시유닛(200)만 작동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평판표시유닛(200)만을 작동시킨다. Next, when only the flat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4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상기 화면 속 화면 방식으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실내 온도 및 습도 등은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센서부(1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패널(250)에 표시한다.Here,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 1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air in the
먼저, 공기조화유닛(100)이 작동되면, 상기 실내송풍기(30)가 구동되고, 상기 실내송풍기(30)의 구동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20)을 거쳐 순환된다. First, when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송풍기(30)는 원심팬인바, 상기 캐비닛(20)의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된 후 캐비닛(20)의 각 토출구(2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25)가 상기 프론트패널(22)에 형성되는 바, 상기 흡입공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케이스(610)와 상기 프론트패널 (22) 사이로 이동된 후 상기 필터(60)를 거쳐 상기 실내송풍기(30)로 이동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토출구(26)에 설치된 각 토출유닛(90)은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에만 상기 베인(92)이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26)를 개방시킨다. On the other hand, each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공기가 측면에서 흡입된 후 다시 측면으로 토출되고, 이로 인해 공기조화를 위한 흡/토출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air is sucked from the side and then discharged to the side, there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intake / outlet for air conditioning to the user.
또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상기 흡입구(25)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프론트베이스(613)의 배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흡입구(25)로 이동되는 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영상패널(250) 및 상기 제어부(500) 등을 냉각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그래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작동되면,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도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한다. Thus, when the flat
더불어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배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가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서 발열되는 부분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설치되어야 할 냉각장치가 필요치 않고, 이로 인해 평판표시유닛(200)의 구성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ion o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lat
그리고 상기 스탠드(800)의 컬럼(804)은 상기 토출구(26)에서 토출되는 공기 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베이스(24) 측에 위치된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스탠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스탠드의 조립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nd a st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anel of the conditioner, 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he stan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n.
제 2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케이스(610)와 캐비닛(20)으로 구성된 실내기의 외형이 캐비닛(20) 하나로 구성되어 흡입구(25) 및 토출구(26)(27)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에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되며,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된 상기 프론트패널(22)과 상기 베이스(24)가 힌지 연결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to 12, in the first embodiment, an outer shape of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여기서 상기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22)과,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배면에 조립되는 베이스(24)로 구성된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송풍기(30), 오리피스(40), 실내열교환기(50), 드레인팬(80) 및 상기 캐비닛(20)의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may include a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22)과,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배면에 설치되는 베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 론트패널(22) 및 상기 베이스(24)는 내부에 상기 실내열교환기(50), 오리피스(40), 실내송풍기(30) 등이 내장되도록 상호 고정된다. The
여기서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전면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구성하는 영상패널(250)이 설치되고, 상기 영상패널(250)의 주변인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전면에는 토출구(26)(27)가 형성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24)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5)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5)는 상기 베이스(24)의 배면에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24)의 배면에는 후방 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29)가 더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5)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24)에 형성된다. A
또한 상기 베이스(24)의 배면에 도시된 도면부호 618은 본 발명의 오디오 출력부로서 오디오 출력단자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4) 배면에 도시된 806b는 스탠드(800)의 서포트 플레이트(806)에 상호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다. And 806b shown on the back of the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프론트패널(22) 내측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축중심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캐비닛(20) 내측에 2개 설치되고, 각 실내송풍기(30)는 팬(32)과, 상기 팬(32)을 구동시키는 모터(34)로 구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여기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베이스(24)에 형성된 흡입구(25)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팬(32)이 상기 베이스(24)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터(34)는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Here, the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22)에는 전면의 양 측부 및 상/하측에 각각 토출구(26)(27)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각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20a)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2)에 형성된 토출구(26)(27)는 상기 팬(32)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유로(36)와 연결된다. The discharge holes 26 and 27 formed in the
여기서 상기 프론트패널(22)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패널(250)이 노출되는 프론트커버(21)와, 상기 프론트커버(2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유로(36)가 형성된 이너패널(23)로 구성된다. Here, the
그래서 상기 프론트커버(21)에는 상기 토출구(26)(27)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패널(23)에는 상기 실내송풍기(30)가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상기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이너패널(23)에 형성된 토출유로(36)를 따라 상기 프론트커버(21)의 토출구(26)(27)로 안내된다. Thus, the
여기서 상기 토출유로(36)는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측방향에서 전방향으로 공기토출방향이 전환되게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토출구(26)(27)에는 상기 토출구(26)(27)를 개폐하는 토출유닛 (90)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베인(미도시)과, 상기 베인(미도시)을 작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이너패널(23)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26)(27)로는 상기 베인(미도시)만이 노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오리피스(40)는 상기 베이스(24)와 상기 실내송풍기(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25)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32)으로 안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팬(32)은 상기 오리피스(40)에 형성된 개구부에 일부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서, 상기 흡입공기가 상기 팬(32)의 중심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베이스(24)와 상기 오리피스(40) 사이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오리피스(40)에 고정된다. And the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배관(52)은 상기 열교환기(50)의 측부 및 하측을 경유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40)에는 상기 절곡된 연결배관(52)을 분리시키는 부재(40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And the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흡입구(25)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효율적인 열교환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25)의 설치위치보다 넓게 형성되어 설치된다. Here, the
더불어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 또는 배출시키는 드레인팬(80)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팬(80)은 상기 열교환기(50)의 하단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오리피스(40)에 고정된다. In addition, a
한편, 프론트패널(22)의 일측에는 제 1 힌지브래킷(66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4)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힌지브래킷(660)과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브래킷(670)이 설치되어 상기 영상패널(250)이 설치된 프론트패널(2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
그래서 사용자 또는 서비스업자는 상기 프론트패널(22)을 개방하여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us, the user or service provider can check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by opening the
한편, 상기 캐비닛(20)의 하측에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캐비닛(20)을 지지하는 스탠드(80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under the
여기서 상기 스탠드(800)는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0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2)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컬럼(804)과, 상기 컬럼(804)에 고정되어 상기 실내기의 캐비닛(20)이 안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806)로 구성된다. Here, the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는 상기 캐비닛(20)의 베이스(24)와 상호 체결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는 상기 베이스부(29)의 주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24)의 강도를 보강한다. The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06)는 상기 베이스(24)에 고정되는 백플레이트(807a)와, 상기 컬럼(804)에 고정되는 서브플레이트(807b)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플레이트(807b)에는 상기 캐비닛(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바(809)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고정바(809)는 상기 캐비닛(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fixing
그리고 상기 고정바(809)는 상기 베이스(24) 또는 상기 프론트패널(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24)와 상기 프론트패널(22)의 하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24)에 고정된다. The fixing
그래서 상기 실내기의 설치 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806)에는 상기 캐비닛(20)의 베이스(24)가 상기 백플레이트(807a)에 고정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바(809)가 상기 베이스(24)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스탠드(800)와 상기 캐비닛(20)간의 체결력 및 휨 등에 대한 강성을 대폭 상승시킨다. Thus,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he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고정바(809)는 상기 베이스(24)에 볼트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더불어 상기 고정바(809)는 상기 베이스(24)와 상기 프론트패널(22) 사이에 형성된 홀(809a)에 끼움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fixing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스탠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공기청정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nd a st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er of a st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에서 스탠드(800)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that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on the
여기서 상기 스탠드(800)의 컬럼(804)은 흡입구(811) 및 토출구(812)가 형성 되고, 상기 컬럼(804) 내부에는 상기 컬럼(804) 내측면에 고정되는 청정송풍기(810)와, 상기 청정송풍기(810)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플라즈마 필터(820)와, 상기 청정송풍기(810)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서 냄새, 유해균 또는 이물질 등을 여과하는 여과필터(830)가 설치된다. Here, the
상기 컬럼(804)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806)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02)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컬럼바디(815)와, 상기 컬럼바디(815)의 전면에 설치되되, 가장자리가 상기 컬럼바디(815)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컬럼커버(816)로 구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컬럼바디(815)의 전면에는 상기 컬럼(804)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흡입구(811)가 형성되고, 상기 컬럼바디(815)의 양 측면에는 상기 토출구(812)가 형성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컬럼커버(816)의 후방 측에는 상기 청정송풍기(81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에서 먼지 등을 집진하는 상기 플라즈마 필터(82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플라즈마 필터(820)는 상기 컬럼바디(815)에 고정되는 필터케이스(821)와, 상기 케이스(821)에 조립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유닛(8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필터케이스(821)는 상기 집진유닛(822)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컬럼바디(815)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811) 전체를 커버한다. The
그래서 상기 흡입구(8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모두 상기 필터케이스 (821)를 관통하여 상기 청정송풍기(810)로 이동된다. Therefore, all the air sucked through the
특히, 상기 필터케이스(821) 내측에는 상기 실내에서 상기 청정송풍기(810)로 이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상기 여과필터(830)가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821)에는 상기 집진유닛(8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823) 및 커넥터(824)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집진유닛(822)은 방전극이 설치되는 방전극 케이스(825)와, 방전대응극이 설치되는 방전대응극 케이스(826)로 구성되고, 상기 방전극에는 + 전류가 입력되며, 상기 방전대응극에는 - 전류가 입력된다. The
상기 청정송풍기(830)는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원심팬(832)과, 상기 원심팬(832)을 회전시키는 모터(834)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834)는 상기 컬럼바디(815)에 고정된다. The
여기서 상기 청정송풍기(830)의 작동 시, 실내 공기는 상기 플라즈마 필터(820) 및 여과필터(830)를 거쳐 집진/정화된 후 상기 원심팬(832)으로 이동되고, 상기 원심팬(832)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Here, when the
이후 상기 원심팬(832)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812)를 통해 다시 실내로 이동된다. Sin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ifugal fan 832 is moved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스탠드(800)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조작부(400)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과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Here, the air cleaner installed in the
즉, 상기 스탠드(800)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 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작동되지 않더라고,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단독 작동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과 함께 듀얼 작동 시 실내 공기의 정화 및 냉/난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the air cleaner installed in the
특히, 상기 공기청정기는 스탠드(800)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in the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의 제어 및 작동에 관련된 전장부품을 공유할 수 있고, 작동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400) 또한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lean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indoor unit, it is possible to share the electrical components related to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and also to share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LCD 또는 PDP 등의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이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설치공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lat panel display unit such as an LCD or a PDP and an air conditioner unit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are integrally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indoor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종래 실내에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기가 설치될 때 각각 설치되어야 했던 것에 비해,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이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time because the air conditioner unit and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when th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stalled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 및 평판표시유닛으로 구성된 실내기가 스탠드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가 실내의 벽면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door unit composed of an air conditioner unit and a flat panel display unit on the stand, the installation place is not limit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이 스탠드에 설치되어 설치 장소가 실내의 벽면으로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어디든지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ocated anywhere the user wants because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tand is not limited to the wall of the room,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user's space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이 스탠드의 서포트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캐비닛이 서포트 플레이트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the indoor unit because the cabinet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f the stand, and the cabinet is coupled with the support plate has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cabin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과 실외기가 스탠드에 설치된 스탠드배관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실내기가 실내의 벽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더라도 냉매배관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outdoor unit through a stand pipe installed in the stand, the indoor air conditioner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refrigerant pipe even if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탠드에 전원이 입력되는 전선이 설치되고, 상기 전선이 상기 실내기의 전원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실내기 밖으로 노출되는 전선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re to the power input to the stand, since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of the indoor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re exposed outside the indoor unit i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스탠드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전선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전선이 밖으로 노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누전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wires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is connected through the stand, not only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wire, bu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hort circuit that may be generated by exposure to the outside of the wir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캐비닛의 스탠드에 설치된 고정바에 끼움고정된 후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스탠드와 캐비닛간의 체결력이 대폭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and fixed after being fitted to the fixing bar installed in the stand of the cabinet of the indoor unit,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tand and the cabinet is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탠드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실내기와 독립적으로 또는 상호 연동되어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on the stand, the air cleaner is operated independently or interlocked with the indoor uni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 및 공기청정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작동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냉난방 및 공기정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air purifier independently or toge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indoor space and air purif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탠드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 바닥에 쌓이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진/여과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 purifier on the stand, there is an effect to more effectively collect / filter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indo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탠드에 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실내기의 제어부 및 조작부 등의 전장부품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대폭 간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reatly simplifying the number of parts used because the air cleaner installed in the stand shares the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indoor unit.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888A KR101280367B1 (en) | 2006-07-13 | 2006-07-13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CNB2007100081742A CN100532968C (en) | 2006-07-13 | 2007-01-26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888A KR101280367B1 (en) | 2006-07-13 | 2006-07-13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6761A KR20080006761A (en) | 2008-01-17 |
KR101280367B1 true KR101280367B1 (en) | 2013-07-01 |
Family
ID=3899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888A Active KR101280367B1 (en) | 2006-07-13 | 2006-07-13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0367B1 (en) |
CN (1) | CN100532968C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83840B2 (en) | 2008-10-10 | 2011-12-27 | Headwaters R&D Inc | High cleaning efficiency room air cleaner with slim profile |
KR101875881B1 (en) * | 2018-03-05 | 2018-07-06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Sedimentary facies classification system using remote sensing data |
CN110726175A (en) * | 2019-10-21 | 2020-01-2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and cooling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4538A (en) * | 2001-08-11 | 2003-02-19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KR20050048777A (en) * | 2003-11-20 | 2005-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air conditioner |
-
2006
- 2006-07-13 KR KR1020060065888A patent/KR101280367B1/en active Active
-
2007
- 2007-01-26 CN CNB2007100081742A patent/CN10053296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4538A (en) * | 2001-08-11 | 2003-02-19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KR20050048777A (en) * | 2003-11-20 | 2005-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532968C (en) | 2009-08-26 |
KR20080006761A (en) | 2008-01-17 |
CN101105301A (en) | 2008-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06757A (en) | Air conditioner with flat panel display unit | |
US8047016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280368B1 (en)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
EP2128533A1 (en) | Air conditioner | |
KR101280367B1 (en)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
KR20080006758A (en) | Air conditioner with flat panel display unit | |
WO2007081078A2 (en) |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20080006764A (en) | Air Conditioner with Broadcast Display | |
KR101280369B1 (en)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
KR10081371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221923704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1245254B1 (en) | Air conditioner having flat display unit | |
EP1878977A2 (en) |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 |
KR10136231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65035A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06759A (en) | Air conditioner with flat panel display unit | |
JP4382904B2 (en) | Built-in air conditioner | |
EP4030110A1 (en) | Air purifier and smart wall | |
KR20080065034A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
KR20080063574A (en) | Air conditioner with display function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KR20080063573A (en) | Air Conditioner with Display Function | |
CN215175487U (en) | Air conditioner | |
WO2008007843A2 (en) |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 |
JP3615328B2 (en) | Wall-mounted air conditioner | |
KR20080065038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