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392U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392U
KR20080006392U KR2020070009916U KR20070009916U KR20080006392U KR 20080006392 U KR20080006392 U KR 20080006392U KR 2020070009916 U KR2020070009916 U KR 2020070009916U KR 20070009916 U KR20070009916 U KR 20070009916U KR 20080006392 U KR20080006392 U KR 200800063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fixing
connector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9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44896Y1 (en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9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96Y1/en
Publication of KR20080006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9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9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2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클립(1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클립(15)은 연결부(15a)와 고정부(15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5b)의 선단에는 챔퍼(15c)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5a)와 고정부(15b)에는 보강리브(15d)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에는 지지가이드(17)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삽입창이 형성되는 커넥터홀더(20)에 결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0 are formed by the housing 11.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clips (15). The fixing clip 15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15a and a fixing portion 15b. A chamfer 15c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part 15b. Reinforcing ribs 15d ar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15a and the fixing part 15b. A support guide 17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The housing 11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insertion window is form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고정클립(15)의 보강리브(15d)가 상기 고정클립(15)의 강도를 보완해주어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쉽게 탄성변형되지 않아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홀더(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rib 15d of the fixing clip 15 supplements the strength of the fixing clip 15 so that the connector 10 is not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or vib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or holder 20 is more firmly fixed.

커넥터, 커넥터홀더, 고정클립, 보강리브 Connector, Connector Holder, Retaining Clip, Reinforcement Rib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커넥터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Ⅱ-Ⅱ'선의 일부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II 'line of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케넥터가 커넥터홀더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4a and 4b is a working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hol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커넥터 11 : 하우징10 connector 11 housing

11': 안착공간 13 : 플렌지11 ': Seating space 13: Flange

15 : 고정클립 15a: 연결부15: fixing clip 15a: connection portion

15b: 고정부 15c: 챔퍼15b: fixing portion 15c: chamfer

15d: 보강리브 17 : 지지가이드15d: reinforcing rib 17: support guide

20 : 커넥터홀더 20': 내부공간20: connector holder 20 ': inner space

21 : 삽입창21: Insertion window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자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에는 전선이 연결된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면 각각의 커넥터에 설치된 터미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general, a connector is composed of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coupled to the connector. Terminals connected with wires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ors. When mating connectors are coupled to the connectors, terminals installed in the respective conne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커넥터는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진동 및 움직임에 의해 상기 커넥터들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일측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는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넥터홀더에 결합되어 차량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홀더에는 삽입창이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창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connecto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ecause the connectors can be separated by the vibration and movemen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For example,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connector hold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and fixed to the vehicle. The connector holder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window, and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window.

상기 커넥터의 외면에는 고정클립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삽입창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홀더에 고정시킨다.A plurality of fixing clip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The fixing clip is hook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window to fix the connector to the connector holder.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운행에 의한 진동과 외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홀더의 삽입창에서 유동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connector may flow from the insertion window of the connector holder due to vibration and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vehicle, and thus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lde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고정클립에 보강리브가 구비되고, 고정클립의 선단에 챔퍼가 형성되는 커넥터를 제공하 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onnector that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in the fixed clip of the connector, the chamfer is formed on the tip of the fixed clip.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커넥터홀더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에 형성되는 삽입창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홀더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과 상기 고정클립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클립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의 상면에 지지되는 플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seating space in which the terminal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connector holder, formed in the connector holder Hang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window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clip for fixing the housing to the connector holder and the fixing clip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reinforce the rib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ixing clip and to project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t is formed and comprises a flang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커넥터홀더의 삽입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의 저면에 걸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보강리브가 구비된다.The fixing clip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window of the connector holder and hook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The reinforcing ribs ar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government parts.

상기 고정클립의 선단 모서리에는 챔퍼가 형성된다.A chamfer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fixed clip.

상기 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홀더의 삽입창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is formed to protrude a support guide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insertion window of the connector holder.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고정클립에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reinforcing rib is provided in the fixing clip, and the connector is more firmly fixed in the connector holder by external force or vibration,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ld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 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커넥터홀더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Ⅱ-Ⅱ'선의 일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of FIG.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line II-II 'is shown.

이들 도면에 따르면,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어 전기적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10) 및 상대 커넥터에는 각각 전선과 연결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According to these figures, the connector 10 is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connected to electric wires are installed in the connector 10 and the mating connector, respectively.

상기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대략 그 중앙이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중앙에는 안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11')에 다수개의 랜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는 상기 안착공간(11')에 삽입된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0 are formed by the housing 11. The housing 11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in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enetrating the center thereof. A seating space 11 ′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11, and a plurality of lance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seating space 11 ′. The lance serves to fix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11 ′.

상기 안착공간(11')의 하방에는 상기 안착공간(11')과 연통되게 삽입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에는 상기 제 2 커넥터가 삽입되어 고정된다.An insertion space (not shown) is formed below the seating space 11 ′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space 11 ′.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에는 소정의 폭 돌출되게 플렌지(13)가 구비된다. 상기 플렌지(13)는 상기 하우징(11)이 후술할 커넥터홀더(20)의 삽입창(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is provided with a flange 13 to protrude a predetermined width. The flange 13 serves to support the housing 11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window 21 of the connector holder 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우징(11)의 측면에서 상기 플렌지(13)를 중심으로 그 하방에는 고정 클립(15)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고정클립(15)은 상기 하우징(11)이 후술할 커넥터홀더(20)의 삽입창(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창(21)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11)을 상기 삽입창(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fixing clips 15 are provided below the flange 13 at the side of the housing 11. The fixing clip 15 is hoo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window 21 so that the housing 11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window 21 of the connector holder 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housing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window ( 21).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클립(15)은 크게 연결부(15a)와 고정부(15b)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5a)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11)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5a)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15b)가 소정의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fixing clip 15 is largely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15a) and the fixing portion (15b). The connecting portion 15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5a, the fixing portion 15b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고정부(15b)는 상기 연결부(15a)에서 상기 플렌지(13)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기울어지며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15b)는 후술할 커넥터홀더(20)의 삽입창(21)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11)을 상기 커넥터홀더(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15b)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The fixing part 15b is inclined to extend away from the housing 11 in the direction of the flange 13 at the connecting part 15a. The fixing part 15b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window 21 of the connector holder 20 to be described later to serve to fix the housing 11 to the connector holder 20. The fixing part 15b may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and the shape.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고정부(15b)의 선단에는 챔퍼(15c)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15c)는 상기 고정부(15b)의 선단 모서리 중 상기 하우징(11)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는 모서리에 구비된다. 상기 챔퍼(15c)는 상기 하우징(11)이 상기 커넥터홀더(20)에 결합될 때 후술할 커넥터홀더(20)의 삽입창(21) 가장자리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고정부(15b)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1)이 커넥터홀더(20)에 결합된 후 상기 고정부(15b)가 원활하게 복원되게 하기 위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a chamfer 15c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part 15b. The chamfer 15c is provided at a corner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art 15b facing outward of the housing 11. The chamfer (15c) is guided by the edge of the insertion window 21 of the connector holder 2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housing 11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xing portion (15b) It is provided to smoothly, and to ensure that the fixing portion (15b) is smoothly restored after the housing 11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상기 연결부(15a)와 고정부(15b)에는 보강리브(15d)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 리브(15d)는 상기 연결부(15a)에서 상기 플렌지(13)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b)와 연결된다. 상기 보강리브(15d)는 상기 고정클립(15)의 강도를 보완하여 상기 고정클립(15)의 연결부(15a) 및 고정부(15b)가 쉽게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Reinforcing ribs 15d ar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15a and the fixing part 15b. The reinforcing rib 15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5a toward the flange 13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5b. The reinforcing rib 15d supplements the strength of the fixing clip 15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15a and the fixing part 15b of the fixing clip 15 from being easily plastically deformed.

상기 하우징(11)의 측면에서 상기 플렌지(13)를 중심으로 그 하방에는 지지가이드(17)가 소정의 폭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가이드(17)는 상기 하우징(11)이 후술할 커넥터홀더(20)의 삽입창(21)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삽입창(21)의 가장자리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11)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guide 17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width below the flange 13 at the side of the housing 11. The support guide 17 contacts the edge portion of the insertion window 21 to support the housing 11 so that the housing 11 does not flow in the insertion window 21 of the connector holder 20 to be described later. Play a role.

상기 커넥터(10)는 커넥터홀더(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홀더(20)는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홀더(20)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10)가 안착될 수 있는 내부공간(20')이 형성된다.The connector 1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The connector holder 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and serves to fix the connector 10. An inner space 20 ′ in which the connector 10 is seated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lder 20.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공간(20')과 연통되는 삽입창(2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삽입창(21)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20')으로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상면에는 상기 커넥터(10)의 플렌지(13)가 지지되고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저면에는 상기 커넥터(10)의 고정클립(15)이 걸어져서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홀더(20)에 고정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20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window 21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20 '. The connector 10 penetrates through the insertion window 21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0 ′. The flange 13 of the connector 1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20, and the fixing clip 15 of the connector 10 is hook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20 to connect the connector 10. Is fix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nector hold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4a and 4b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or in 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10)의 안착공간(11')으로 전선과 연결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터미널은 상기 랜스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11')에서 고정된다.The worker inserts and fixes a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into the seating space 11 ′ of the connector 10. At this time, the terminal is fixed in the seating space (11 ') by the lance.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삽입창(21)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삽입창(21)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커넥터(10)의 고정클립(15)은 상기 삽입창(21)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클립(15)의 고정부(15b)가 상기 삽입창(21)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operator inserts the connector 10 into the insertion window 21 of the connector holder 20. As the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window 21, the fixing clip 15 of the connector 10 comes into contact with an edge of the insertion window 21. To be precise, the fixing portion 15b of the fixing clip 15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insertion window 21.

한편 상기 커넥터(10)의 지지가이드(17) 역시 상기 삽입창(21)의 가장자리부분과 접촉하게 된다.Meanwhile, the support guide 17 of the connector 10 also comes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insertion window 21.

상기 고정클립(15)은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고정클립(15)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삽입창(21)으로 밀어넣는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5b)의 선단에는 챔퍼(15c)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15b)는 상기 삽입창(21)으로 원활하게 삽입된다.Since the fixing clip 15 can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shape, the worker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fixing clip 15 and pushes the connector 10 into the insertion window 21. This state is shown in FIG. 4A. Since the chamfer 15c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portion 15b, the fixing portion 15b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window 21.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10)를 더 밀어넣으면 상기 고정클립(15)의 고정부(15b)는 상기 삽입창(21)의 가장자리를 벗어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부(15b)가 복원되어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저면에 걸어진다.When the operator pushes the connector 10 further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A, the fixing part 15b of the fixing clip 15 is out of the edge of the insertion window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part 15b is restored. And hang on the bottom of the connector holder 20.

한편 상기 커넥터(10)의 플렌지(13)는 상기 고정부(15b)가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커넥터홀더(20)에 고정된다. Meanwhile, the flange 13 of the connector 10 is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20 while the fixing part 15b is restored. Therefore, the connector 10 is fix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이때, 상기 고정클립(15)의 고정부(15b) 선단의 챔퍼(15c) 때문에 상기 고정부(15b)의 선단이 상기 커넥터홀더(20)의 저면에 걸리지 않게되어 상기 고정부(15b)가 초기의 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된다.At this time, the tip of the fixing part 15b is not caught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20 due to the chamfer 15c at the tip of the fixing part 15b of the fixing clip 15, so that the fixing part 15b is initially initialized. The state is restored smoothly.

또, 상기 커넥터(10)의 지지가이드(17)가 상기 삽입창(21)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며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홀더(2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홀더(2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guide 17 of the connector 10 is hooked to the edge of the insertion window 21 and the connector 1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the connector 10 is the connector holder. Flow at 20 is prevented.

그리고, 상기 고정클립(15)에는 보강리브(15d)가 구비되므로 상기 고정클립(15)의 강도가 보완되어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고정클립(15)이 쉽게 탄성변형되지 않아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홀더(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clip 15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15d, the strength of the fixing clip 15 is supplemented so that the fixing clip 15 is not easily elastical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or vibration, so that the connector 10 Is more firmly fixed to the connector holder 20.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가 차량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차량뿐만 아니라 TV나 오디오등 커넥터가 사용되는 다른 전자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connector is used in a vehic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can be used not only in the vehicle but also in other electronic devices in which a connector such as a TV or an audio is used.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고안에 의하면 커넥터의 고정클립에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커넥터의 고정클립이 쉽게 탄성변형되지 않아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clip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the fixing clip of the connector is not easily elastical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or vibration,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lder.

또, 고정클립의 선단에는 챔퍼가 형성되어 고정클립이 탄성변형된 후 복원될때 커넥터홀더의 저면에 걸리지 않고 완전하게 복원되어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chamf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clip so that when the fixed clip is elastically deformed, the chamfer is completely restrain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bottom of the connector holder, thereby more effectively coupling the connector to the connector holder.

또한, 커넥터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가이드가 커넥터홀더의 삽입창의 가장자리부분에 지지되므로 커넥터가 커넥터홀더에서 유동되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guid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nector is supported by the edge portion of the insertion window of the connector hold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nector is more securely fixed without flowing from the connector holder.

Claims (4)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커넥터홀더에 고정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seating space in which a terminal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connector holder;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에 형성되는 삽입창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홀더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과;A fixing clip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connector holder by hooking on a bottom surface of an insertion window formed in the connector holder; 상기 고정클립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클립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와;A reinforcing rib provided between the fixed clip and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ixed clip; 상기 하우징의 외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의 상면에 지지되는 플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And a flange formed to protrude a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커넥터홀더의 삽입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홀더의 저면에 걸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보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clip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window of the connector hold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rib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의 선단 모서리에는 챔퍼가 형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chamfer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fixing clip.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홀더의 삽입창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protrudes from a support guide supported by an edge of an insertion window of the connector holder.
KR2020070009916U 2007-06-15 2007-06-15 Connector KR2004448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16U KR200444896Y1 (en) 2007-06-15 2007-06-15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16U KR200444896Y1 (en) 2007-06-15 2007-06-15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92U true KR20080006392U (en) 2008-12-18
KR200444896Y1 KR200444896Y1 (en) 2009-06-12

Family

ID=4132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916U KR200444896Y1 (en) 2007-06-15 2007-06-15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9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48Y1 (en) 2010-08-19 2011-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Solid state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896Y1 (en) 200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7929A1 (en) Connector
KR100759123B1 (en) Connector assembly for junction box
KR200444896Y1 (en) Connector
KR200471891Y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37689Y1 (en) Connector
KR101651653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KR20090132362A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13632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40518Y1 (en) Connector
KR200448593Y1 (en) Connector
KR100948132B1 (en) Box for car
KR200467964Y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42919Y1 (en) A connector
KR100955646B1 (en) Terminal connector with rear-holder function
KR200442920Y1 (en) Connector housing
KR100842725B1 (en) Connector for anti-vibration
KR100874971B1 (en) Cassette block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KR200466960Y1 (en) connector
KR20120073696A (en) Connector
KR101830436B1 (en) Wiring connector
KR20100121925A (en) Box
KR102567021B1 (en) Connector
KR20090093650A (en) Connector assembly
KR20120001478U (en) Connector
KR200425989Y1 (en) receptacle for connecting a relay and a connector of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