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240A -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240A
KR20080006240A KR1020060065130A KR20060065130A KR20080006240A KR 20080006240 A KR20080006240 A KR 20080006240A KR 1020060065130 A KR1020060065130 A KR 1020060065130A KR 20060065130 A KR20060065130 A KR 20060065130A KR 20080006240 A KR20080006240 A KR 20080006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module
bluetooth
ser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철
서규선
전종오
송우기
김덕현
내성우
Original Assignee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 마이크론(주) filed Critical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to KR102006006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240A/ko
Publication of KR2008000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는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모듈 및 통신 모듈과 저장 모듈간 스위칭(switching)을 통한 용도 변경을 수행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한다.
VoIP, 블루투스, 블루투스 모듈

Description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Storage device for multi-service and method for transforming service of storage device}
도 1은 종래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를 이용한 VoIP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USB 오디오 칩을 구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VoIP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를 이용한 VoIP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스위칭 모듈의 예시 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0: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305: USB 커넥터
310: 저장 모듈
320: 중계 모듈
330: 스위칭 모듈
340: 통신 모듈
본 발명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을 통해 이동식 저장 장치를 단순 저장 용도 또는 무선 통신 서비스 용도로 변경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폰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즉, VoIP 서비스는 기존 IP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해 전화 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나 팩스 전송에 소요되었던 회선 비용을 크게 절감하여 전화 사용자들이 시내 전화 요금만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외 전화 및 국제 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들의 관심이 늘어 나고 있다.
상기 VoIP 서비스는 계속적으로 발전하여, PC-to-phone 방식 또는 웹투폰(web-to-phone)에서는 불가능했던 착신 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통화 품질도 대폭 개선되었다. 또한 MSN 메신저, 야후(yahoo) 메신저 등 기존 메신저 서비스에서 보안 시스템(방화벽)으로 인하여 실행이 어려웠던 음성 통화를 방화벽을 우회하여 웹 상에서 언제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P2P(peer to peer) 메신저 기반의 VoIP 서비스(예를 들어, Skeype, Allup 등)로 발전되어, 그 사용자가 점차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P2P 메신저 기반의 VoIP 서비스(이하, VoIP 메신저 서비스 라함)는 통상적으로 마이크가 부착된 헤드셋(headset)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가진 VoIP 전화기와 같은 유선 방식을 통해 제공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VoIP 메신저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말기 앞에 존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데,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방법이 제안 되었다. 즉,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CTP(Cordless Telephone Profile)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휴대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선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VoIP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P2P 기반의 VoIP 메신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VoIP 메신저 서비스가 구동되는 노트북, PC, 또는 PDA 와 같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 내에 블루투스 모뎀으로 지칭되는 하드웨어 및 블루투스 호스트 스택이라는 블루투스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driver)를 설치하였다.
도 1은 종래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를 이용한 VoIP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P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블루투스 휴대 폰(8) 또는 블루투스 헤드셋(7)과,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 그리고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로 구성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헤드셋(7) 또는 블루투스 휴대폰(8)이 자체에 내장된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로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면,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으로 수신된 상기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로 전송하여, VoIP 메신저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도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를 경유하여, 블루투스 헤드셋(7) 또는 블루투스 휴대폰(8)으로 전송된다.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에는 VoIP 메신저 소프트웨어(26)(예를 들어 Skeype, Allup 등)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시스템 운영 체제는 Window XP/2000, MacOS 또는 Linux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의 USB 포트(22)에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를 삽입하면,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에 내장된 USB 프로세서(32)에 의해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에서 USB 구동용 드라이버(24)를 자동 탐색하여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간의 USB 기반의 통신이 구축된다. 예를 들어, Window XP/2000의 경우 USB 하드웨어가 검색되면 기본 오디오 드라이버를 메인 보드 오디오에서 USB 오디오로 자동 전환하고, USB 하드웨어를 탈착시키면 원래의 메인 보드 오디오로 복귀된다. 따라서, 메인 보드 오디오가 USB 오디오로 선택되면 PC 상의 모든 오디오 출력은 USB 오디오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기존 USB 프로세서(3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콘트롤모드(control mode), 인터럽트모드(interrupt mode), 벌크모드(bulk mode), ISO 모드와 같은 4가지의 모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내의 블루투스 모듈(30)은, 상기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의 USB 포트(22)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12)와 상기 USB 커넥터(12)와 연결되는 범용 USB 프로세서(32), 블루투스 규격 통신을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34),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가 부착된 RF 프로세서(36), 및 모듈 전체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30)은 안테나(3)와 연결되고,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 및 버튼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30)내의 메모리 장치(40)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관장하는 호스트 스택(42), 통신 대상이 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의 기능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46), USB 프로세서(32)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USB 드라이버(44), 및 기타 응용 소프트웨어(48)가 저장된다.
상기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에 있어서, 통상적이고 기본적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34)가 블루투스 호스트 스택(42)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위해 RF 프로세서(36)로 전송된다. 그리고, 동글(10)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 동작 및 버튼을 조작하고 헤드셋(7)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없는 기기간의 통신 선로 개통을 위한 페어링(paring) 동작 등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34)의 여분의 CPU 시간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또한 블루투스 프로파일(46) 및 USB 드라이버(44)도 베이스밴드 프로세서(34)의 여분의 CPU 시간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를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의 USB 포트(22)에 삽입하면,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에 내장된 USB 프로세서(32)에 의해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에서 USB 구동용 드라이버(24)를 자동 탐색하여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10)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 간의 USB 기반의 통신이 구축된다.
도 2는 종래 USB 오디오 칩을 구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오디오 칩(52)을 구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50)는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12), 상기 USB 커넥터(12)와 연결되고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제어 및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USB 오디오 칩(52), 상기 USB 오디오 칩(52)과 연결되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프로파일(74)이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60), 상기 블루투스 모듈(60)과 각각 연결되고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3), 전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50)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4),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5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5)으로 구성된다. 상기 USB 오디오 칩(52)은 오디오 및 멀티 미디어 스트리밍이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설계된 오디오 기기 연결용 디바이스로서,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 기(20)의 운영 시스템에 포함된 USB 구동용 드라이버(24)와 연계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USB 오디오 칩(52)을 사용하는 경우,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의 운영체제가 WindowXP/2000, MacOS 또는 Linux 인 경우, USB 구동용 드라이버(24)를 자동 탐색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50)는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20)의 USB 포트(22)에 연결하여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g)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 단절 없이 즉시 VoIP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모듈(60)은 블루투스 규격 통신 및 외부 I/O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64),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프로세서(62), 및 모듈 전체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7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 장치(70)는 블루투스 통신을 관장하는 호스트 스택(72), 통신 대상이 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의 기능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74), 및 콜 제어를 위한 전화 번호 및 콜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응용 소프트웨어(76)가 저장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60)은 단일 칩에 시스템 프로그램이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76)는, 블루투스 휴대폰(8) 사용시 블루투스 휴대폰(8)에서 전달되는 전화 번호 및 콜 제어 데이터를 USB 오디오 칩(52)의 콘트롤 패킷(control packet)을 통하여 VoIP 소프트웨어로 전달하며, VoIP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콜 해제 정보를 블루투스 휴대폰(8)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예를 들어 블루 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등)는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 삽입되었을 경우, 자동 탐색 및 실행 기능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VoIP 서비스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이얼러 등)이 실행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자동 탐색 및 실행 기능을 제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는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모듈 및 통신 모듈과 저장 모듈간 스위칭(switching)을 통한 용도 변경을 수행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은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도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 중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switching)하는 단계 및 스위칭을 통해 송출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상기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 서비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무선랜, 무선팬, 무선USB, 또는 무선 IEEE 1394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는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305), 저장 모듈(310), 중계 모듈(320), 스위칭 모듈(330), 및 통신 모듈(340)을 포함한다. 또한, RF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342),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344), 및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346)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의 각 구성 요소들과 관련된 중복된 기능들에 대한 설명은 되도록 생략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 모듈(31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로서, 저장 모듈(310)은 사용자 저장 영역(User area)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단순 저장 장치 용도로 스위칭(switching)하고, 저장 모듈(310)을 일반적인 저장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310)은 소정의 저장 영역으로 분할되어, 저장 모듈(310)의 소정의 분할된 저장 영역에 블루투스 통신을 관장하는 호스트 스택, 통신 대상이 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의 기능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 및 기타 응용 소프트웨어 등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의 메모리 장치(40, 70)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모듈(340)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셋을 지원하기 위한 HF(Hands free) 프로파일, 헤드셋을 지원하기 위한 HS(Headset) 프로파일, 무선 전화를 지원하기 위한 CTP(Coreless Telephone Profile) 중에서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에 맞추어서 선 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그램이 저장 모듈(3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고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메모리 영역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 모듈(310)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의 칩 형태일 수 있다.
중계 모듈(320)은 저장 모듈(310)과 통신 모듈(340)간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송출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단순 저장 용도로서 사용하고자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치를 열림 상태로 스위칭한 경우, 중계 모듈(320)은 상기 스위칭 모듈(330)을 통한 용도 변경 신호(즉, 스위치 열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하고자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치를 닫힘 상태로 스위칭한 경우, 중계 모듈(320)은 상기 스위칭 모듈(330)을 통한 용도 변경 신호(즉, 스위치 닫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 모듈(320)은 상기 스위치의 열림/닫힘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LED(344)의 색상 및 기타 신호음 등을 출력하여 용도 변경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계 모듈(320)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모듈(320)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와 통신 모듈(34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USB 커넥터(305)를 통해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USB 포트에 연결된 경우, 중계 모듈(320)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제어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시 통신 모듈(3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되도록 닫힘 상태로 스위칭된(제어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중계 모듈(320)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와 저장 모듈(31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되도록 열림 상태로 스위칭된(제어된) 상태일 수 있다. 중계 모듈(320)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오디오/비디오 및 기타 파일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모듈(310)에 저장할 수 있다.
스위칭 모듈(330)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로서의 기능 및 단순 저장 장치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소정의 스위칭 장치를 통해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되거나,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되도록 제어(스위칭)한다. 만약,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칭(즉 스위치 열림(Off)) 한 경우,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 삽입되면 단순 저장 장치로 인식되어 초기 감지 속도가 향상된다. 즉, 기 존에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VoIP 프로그램(예를 들어 VoIP 다이얼러 등)이 동작하여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간 초기 감지 속도가 느렸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칭(즉 스위치 닫힘(On)) 한 경우, 통신 모듈(340)을 통해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 모듈(310)의 저장 영역도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나의 장치(즉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를 통해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 및 저장 용도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모듈(330)에 대한 다양한 형태는 이하 도 5에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모듈(340)은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규격 통신을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프로세서,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40)은 안테나(342)와 연결되고,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344) 및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346)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관장하는 호스트 스택, 통신 대상이 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의 기능 또는 조건 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 및 기타 응용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셋을 지원하기 위한 HF(Hands free) 프로파일, 헤드셋을 지원하기 위한 HS(Headset) 프로파일, 무선 전화를 지원하기 위한 CTP(Coreless Telephone Profile) 중에서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에 맞추어서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통신 모듈(340)은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의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 및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내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비롯한 기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들의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의 메모리 장치(40, 70)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 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를 이용한 VoIP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는 VoIP 메신저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Skeype, Allup 등)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시스템 운영 체제는 Window XP/2000, MacOS 또는 Linux 등이 가능하다.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포함된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치를 열림(Off) 상태로 하여,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USB 포트에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USB 커넥터(305)를 삽입하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인식시 단순 저장 용도의 저장 장치로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VoIP 프로그램(예를 들어 VoIP 다이얼러 등)이 동작하여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간 초기 감지 속도가 느렸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나의 장치(즉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를 통해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 및 저장 용도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스위치의 열림/닫힘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부착된 LED(344)의 색상을 통해 스위치의 열림/닫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반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포함된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치를 닫힘(On) 상태로 하여,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USB 포트에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USB 커넥터(305)를 삽입하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인식시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자동으로 VoIP 프로그램이 동작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될 경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와 블루투스 휴대폰(402) 또는 헤드셋(404) 간의 통신을 위한 페어링이 요구된다. 즉, 모든 블루투스 기기는 초기에 기기간의 페어링이 선행된 후에, 상대편 기기를 신뢰하는 장치로 인식하고, 이를 목록화하여 신뢰하는 장치 간에 통신이 이루어 진다. 이 페어링 과정시 PIN 코드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0000 또는 1234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 출하시에 미리 셋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페어링을 실시하는 방법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LED(344)와 버튼(346)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예를 들어, 페어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는 헤드셋(404)의 경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버튼(346)을 수 초 이상 눌러 페어링 시도 모드로 전환시키고, 이어서 페어링 대상이 되는 헤드셋(404)을 페어링 시도 가능한 인쿼리 스캔 모드(Inquiry scan mode)로 만든다. 이후, 두 기기간의 페어링이 완료될 때에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LED(344)로 접속 성공을 알리는 점멸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휴대폰(402)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면 휴대폰(402)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검색하여, 자동 페어링을 실시한다.
상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344) 동작 및 버튼(346)을 조작하고 헤드셋(404)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없는 기기간의 통신 선로 개통을 위한 페어링(paring) 동작 등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여분의 CPU 시간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와 블루투스 헤드셋(404) 또는 휴대폰(402)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송 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음성의 경우는 64kbps의 동기식 채널(synchronous channel)인 SCO 링크를 이용하고, 전화번호나 콜 제어 데이터의 경우는 비동기식 채널(asynchronous channel)인 ACL 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스위칭 모듈의 예시 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스위칭 모듈(330)이 단일 온/오프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에 소정의 압력을 주어 스위칭 모듈(330)의 내부 스위치가 열림/닫힘(On/Off)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에 소정의 압력을 주어 한번 누른 경우에는, 스위치가 닫힘 상태로 되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에 소정의 압력을 주어 한번 더 누 른 경우에는, 스위치가 열림(Off) 상태로 되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열림/닫힘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LED(344)의 색상을 통해 스위치의 열림/닫힘를 알릴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스위칭 모듈(330)이 복수개의 기능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열림 또는 닫힘 버튼을 클릭하면, 열림 또는 닫힘 버튼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예를 들어 전기/자기적 신호)를 송출하여,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열림 버튼을 클릭하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닫힘 버튼을 클릭하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스위칭 모듈(330)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번 터치 스크린을 클릭하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다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클릭하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개의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지문 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권한이 있 는 사용자가 상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스위칭 모듈(330)이 단순히 단일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버튼을 누르고 있을 경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가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수초 이상(예를 들어 1/2초) 상기 버튼을 클릭하였을 경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다시 수초 이상 상기 버튼을 클릭하였을 경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변경된다.
상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 변경 유무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LED(344)의 색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LED(344)의 색상외에 기술적 구현에 따라 스피커 장치를 통한 소리, 음성 및 신호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도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 중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스위칭한다(S601).
다음 단계에서, 중계 모듈(320)은 상기 스위칭을 통해 송출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변경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 변경 사실을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LED(344)의 색상, 신호음 등을 통해 출력한다(S611, S621). 스위칭 모듈(330)은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를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 삽입한다(S631). 이때,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의 USB 커넥터(305)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의 포트에 삽입되면, 중계 모듈(320)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와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300)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S601 내지 S621 단계들은 상기 S631 단계 이후에 실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설정한 용도에 따라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가 자신의 기능을 수행한다(S641). 만약,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제어(스위칭)한 경우,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삽입)되면 단순 저장 장치로 인식되어 초기 감지 속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는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오디오/비디오 및 기타 파일 등의 데이터를 중계 모듈(320)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 모듈(310)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를 VoIP 서비스용 블루투스 통신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 모듈(330)을 통해 제어한 경우, 통신 모듈(340)을 통해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300)의 용도 변경 유무는 다용도 이 동식 저장 장치(300)에 장착된 LED(344)의 색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LED(344)의 색상외에 기술적 구현에 따라 스피커 장치를 통한 소리, 음성 및 신호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가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를 단순 저장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한 경우, 다용도 이동 저장 장치가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되면 단순 저장 장치로 인식되어 초기 감지 속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장치를 통해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도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5)

  1.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저장 모듈간 스위칭(switching)을 통한 용도 변경을 수행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팬, 무선USB, 및 무선 IEEE 13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규격 통신을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용 호스트 스택; 및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셋을 지원하기 위한 HF(Hands free) 프로파일;
    헤드셋을 지원하기 위한 HS(Headset) 프로파일; 및
    무선 전화를 지원하기 위한 CTP(Coreless Telephone Profile) 중에서 상기 외부의 블루투스 장치에 맞추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VoIP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 및
    상기 스위칭 모듈을 통해 송출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용도 변경이 수행되었음을 LED 및 신호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 모듈로 스위칭된 경우, 상기 VoIP 메신저 서비스 단말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저장 모듈을 감지하여 초기 감지 속도를 향상시키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단일 버튼에 소정의 압력을 주어 스위치가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하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되거나, 복수개의 버튼에 따라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단일 버튼에 소정 시간 동안 압력을 주어 상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클릭한 횟수에 따라 상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11. 외부의 무선 통신 장치와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도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 중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스위칭(switching)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을 통해 송출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팬, 무선USB, 및 무선 IEEE 13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용도 변경이 수행되었음을 LED 및 신호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단일 버튼에 소정의 압력을 주어 스위치가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하여 상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거나, 복수개의 버튼에 따라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상 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단일 버튼에 소정 시간 동안 압력을 주어 상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클릭한 횟수에 따라 상기 용도 변경을 수행하는,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KR1020060065130A 2006-07-11 2006-07-11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KR20080006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130A KR20080006240A (ko) 2006-07-11 2006-07-11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130A KR20080006240A (ko) 2006-07-11 2006-07-11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40A true KR20080006240A (ko) 2008-01-16

Family

ID=3922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130A KR20080006240A (ko) 2006-07-11 2006-07-11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2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9118B2 (ja) 自動リンク連結可能な無線ヘッドセ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857272B (zh) 短距离无线通信装置
US8116686B2 (en) Instant message audio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4639549B (zh) 设备绑定方法和装置
US86202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of a wireless interface
CN104640166B (zh) 通信方法及装置
KR100678099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TW200421770A (en) Low power operation in a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CN102723971B (zh) 一种蓝牙设备及其蓝牙配对方法
CN110113739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1671439A2 (en) Cal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258672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00273420A1 (en) Device, system, communication method fo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system
US20150172433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to a public network
US20240113568A1 (en) Communication pairing for telephone based on wireless charging protocol
KR100619092B1 (ko) 메모리 공간이 확장된 블루투스 usb 동글 장치
JP4383700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80006240A (ko) 다용도 이동식 저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용도 변경 방법
KR100562363B1 (ko) VoIP 메신저서비스용 블루투스 USB 오디오 동글 장치
KR200377236Y1 (ko) Usb 오디오 칩을 구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JP2005341157A (ja) ハイブリッド型ip電話機
KR100815558B1 (ko) 이동통신단말, 블루투스 동글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원폰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0866239B1 (ko) 블루투스 외장형 모뎀 겸용 헤드셋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06241A (ko) 유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70130396A1 (en) A computer i/o device with a voice i/o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