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132U - Fixing structure of a fuse - Google Patents

Fixing structure of a f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132U
KR20080006132U KR2020070009356U KR20070009356U KR20080006132U KR 20080006132 U KR20080006132 U KR 20080006132U KR 2020070009356 U KR2020070009356 U KR 2020070009356U KR 20070009356 U KR20070009356 U KR 20070009356U KR 20080006132 U KR20080006132 U KR 200800061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us bar
fastening hole
sea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3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9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132U/en
Publication of KR20080006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13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정션박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면에 안착되고, 제1체결공(3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부(33)가 형성되는 버스바(30)와; 상기 버스바(30)에 안착되고, 상기 제1체결공(32')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4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버스바(30)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3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30)에 안착되면 상기 돌출부(33)가 삽입되는 삽입부(43)가 형성되는 퓨즈(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퓨즈가 볼트에 의해 체결될 때, 볼트의 회전력에 의해 퓨즈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퓨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퓨즈와 버스바가 가조립상태가 되어 위치가 고정되므로 볼트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Figure P2020070009356

퓨즈, 버스바, 정션박스, 볼트, 체결공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fix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3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formed in the junction box,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is formed to penetrat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form a protrusion 33; The second fastening hole 42 ′ which is seated on the bus bar 30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is formed to penetrate and is coupled to the bus bar 30 by a fastener. And a fuse 4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33 and seated on the bus bar 30 to form an insertion portion 43 into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33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use is fastened by the bolt, the fuse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olt,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fuse, and the fuse and the busbar are temporarily assembled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astening using the bolt is easy.

Figure P2020070009356

Fuses, Busbars, Junction Boxes, Bolts, Fasteners

Description

퓨즈 고정구조 {Fixing structure of a fuse} Fixing structure of a fus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퓨즈가 결합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unction box coupled to a 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퓨즈가 버스바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Figure 4 is a main portion of the fus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us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bus bar.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케이스 20: 안착틀10: case 20: seating frame

22: 제1안착면 23: 수직면22: first seating surface 23: vertical surface

25: 고정홈 26: 제2안착면25: fixing groove 26: the second seating surface

29: 결합홈 30: 버스바29: coupling groove 30: bus bar

31: 몸체부 32: 제1안착부31: body 32: first seat

32': 제1체결공 33: 돌출부32 ': First fastening hole 33: protrusion

34: 직립부 35: 고정편34: upright part 35: fixing piece

36: 제2안착부 38: 결합부36: second seating portion 38: coupling portion

40: 퓨즈 41: 전류차단부40: fuse 41: current interruption

42: 고정부 42': 제2체결공42: fixed part 42 ': second fastener

43: 삽입부43: insert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정션박스에 설치되는 버스바에 장착되는 퓨즈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structure of a fuse mounted to the bus bar installed in the junction box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퓨즈 및 입력되는 값이 일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가 수납되는 정션박스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정션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에는 링터미널이 결합되어 버스바가 연결된 상태로 정션박스에 고정된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current from flowing to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 fuse that temporarily cuts off a circuit when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lows and a relay that is operated when an input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o open and close another circuit. It is provided with a junction box accommodated. In addition, a ring terminal is coupled to the wire harness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junction box and is fixed to the junction box with a bus bar connected thereto.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퓨즈가 결합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junction box in which a 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upled.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결합되는 상부커 버(미도시) 및 하부커버(미도시)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junction box forms a basic skeleton and the upper cover (not shown) and the lower cover (not show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ase 1 and various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se 1 o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It consists of o).

상기 케이스(1)에는 버스바(3)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3)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각종 부품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스바(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5)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The case 1 is equipped with a bus bar 3. The bus bar 3 serves to distribut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various components. The bus bar 3 is fastened and fixed with a fuse 5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버스바(3)의 상면에는 퓨즈(5)가 장착된다. 상기 퓨즈(5)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5)는 내부에 얇은 금속으로 된 차단선(미도시)이 구비되는 전원차단부(6)와 상기 버스바(3)에 안착되는 고정부(7)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5)는 볼트(B)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버스바(3)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The fuse 5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3. The fuse 5 serves to block a circuit instantaneously when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lows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junction box. The fuse 5 includes a power cutoff part 6 having a thin metal cutoff line (not shown) therein and a fixing part 7 seated on the bus bar 3. The fuse 5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us bar 3 by bolts B and nuts (not show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버스바(3)는 상기 볼트(B)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3)의 상면에 상기 퓨즈(5)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B)를 조여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The busbar 3 is coupled by fasteners such as bolts B and nuts.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o tighten the bolt (B) in the state in which the fuse (5)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3).

이때, 상기 퓨즈(5)는 볼트(B)를 조이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퓨즈(5)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차단부(6) 역시 휘어지게 되고, 매우 얇은 차단선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원차단부(6)가 끊어지게 되어 상기 퓨즈(5)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fuse 5 may be rotated or ben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e bolt (B). In this case, the power cut-off part 6 provided inside the fuse 5 is also bent, and the power cut-off part 6 formed of a very thin cut-off line is broken so that the fuse 5 is damaged. have.

또한, 상기 퓨즈(5)를 상기 버스바(3)에 장착할 때, 상기 퓨즈(5)와 상기 버스바(3)의 위치를 정확히 맞춘 후, 볼트(B)를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mounting the fuse (5) to the bus bar (3), after the exact position of the fuse (5) and the bus bar (3), the need to insert the bolt (B) occurs do.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의 회전력에 의해 퓨즈가 회전되지 않도록 돌출부와 삽입부가 구비되는 퓨즈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fuse fixing structure having a protrusion and an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fuse is no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ol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와 퓨즈가 서로 가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busbar and fuse to be assembled to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정션박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면에 안착되고, 제1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에 안착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버스바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에 안착되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formed in the junction box, the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is formed Bus bars; The protrusion is seated on the bus bar, the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the bus bar by a fastener,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use in which the insert is formed.

전류차단부와; 상기 전류차단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스바의 돌출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제1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urrent interrupting unit; Fixing part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blocking part, respectively, inserting part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bus bar,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bus b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가 상기 버스바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bus bar perpendicularly from the bus bar.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 성된다.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by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양측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insertion part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fixed between the protrusions.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에 의하면, 퓨즈가 볼트에 의해 체결될 때, 볼트의 회전력에 의해 퓨즈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퓨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퓨즈와 버스바가 가조립상태가 되어 위치가 고정되므로 볼트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use is fastened by the bolt, the fuse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olt, the durability of the fuse is improved, and the fuse and the busbar are temporarily assembled Since the position is fix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astening using the bolt is easy.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퓨즈가 버스바에 장착된 모습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The fuse i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main portion of the bus bar.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정션박스의 골격은 케이스(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를 비롯하여 퓨즈(40)나 릴레이(미도시)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결합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keleton of the junction box is formed by the case 10. The case 10 is equipp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fuse 40 or a relay (not shown) including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se 10 are combined with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respectively.

상기 케이스(10)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몸체부(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홈(12)은 몸체부(31)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sertion grooves 12 are formed in the case 10. The insertion groove 12 is a por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31 of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fixed. The insertion groove 1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correspond to the body portion 31.

상기 케이스(10)에는 안착틀(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2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 및 너트(N)가 안착되어, 다수개의 버스바(30) 및 링터미널(미도시)이 결합될 수도 있다.The case 10 is formed with a seating frame 20. The seating frame 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0, the bus bar 30 and the nut (N)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a plurality of bus bars 30 and a ring terminal (not shown) May be combined.

상기 안착틀(20)에는 제1안착면(22)이 형성된다. 제1안착면(22)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제1안착부(32)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너트(N)와 제1안착부(32)에 형성된 체결공(32')이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eating frame 20 is formed with a first seating surface 22.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is a portion on which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of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center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nut N may be exposed. This is to allow the fastening hole 32 ′ formed in the nut N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to be fastened by the fastener through the open portion.

상기 제1안착면(22)과 연결되어 수직면(2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제1안착면(22)과 직교하게 연장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직립부(34)와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제1안착면(22)과 마찬가지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너트(N)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가이드부(24)가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vertical surface 23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The vertical surface 23 extends orthogonally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right portion 34 of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Like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the vertical surface 23 opens a part of the center so that the nut N may be inserted. In particular, the guide portion 24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en portion so that the nut (N) can be easily inserted.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면(23)의 양측으로는 고정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고정편(35)이 삽입되어 버스바(30)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25)의 폭은 버스바(3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5)은 상기 수직면(23)의 양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fixing grooves 25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rface 23. The fixing groove 2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ece 35 of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serves to prevent the flow and deformation of the bus bar 30. Therefore, the width of the fixing groove 2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30). The fixing groove 25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rface (23).

상기 수직면(23)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제2안착면(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면(26)은 상기 수직면(2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착면(22)과 단차 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안착면(26)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제2안착부(36)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안착면(26)은 제1안착면(22)과 마찬가지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Extending orthogonally from the vertical surface 23, a second seating surface 26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about the vertical surface 23.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is a portion on which the second seating portion 36 of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Like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center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nut N may be exposed.

상기 제2안착면(26)의 선단에는 결합홈(2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9)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결합부(38)를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홈(25)과 함께 버스바(30)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홈(29)은 상기 제2안착면(26)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9)은 상기 고정홈(25)과 마찬가지로, 버스바(3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상기 제2안착면(26)의 개방된 양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A coupling groove 29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The coupling groove 29 is a portion for fixing the coupling portion 38 of the bus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prevent the flow and deformation of the bus bar 30 together with the fixing groove 25. do. The coupling groove 29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from the tip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Like the fixing groove 25, the coupling groove 29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30, and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to both open sides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상기 케이스(10)에는 버스바(30)가 장착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3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케이스(10)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ase 10 is equipped with a bus bar 30. As shown in FIG. 3,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busbar 30 are formed by the body portion 31. The body part 31 is fixed to the case 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case 10.

상기 몸체부(31)에는 제1안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32)는 상기 제1안착면(22)에 안착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40)와 연결된다. 상기 제1안착부(32)에는 제1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에 의해 관통되어 너트(N)와 체결됨으로써, 제1안착부(32)가 상기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body portion 31 is formed with a first seating portion (32).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and connected to the fuse 40 to be described below. A first fastening hole 32 ′ is formed in the first seating part 32. As shown in FIG. 4,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is penetrated by the bolt B to be fastened with the nut N, so that the first seating part 32 is firmly attached to the case 10. To be fixed.

상기 제1안착부(32)의 상면에는 돌출부(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3)는 상기 제1안착부(32)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제1안착 부(32)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3)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40)의 삽입부(43)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33)는 퓨즈(40)의 삽입부(4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33)는 퓨즈(40)가 볼트(B)에 의해 체결될 때 유동을 방지하고, 삽입부(43)가 상기 돌출부(33)에 삽입될 때, 퓨즈(40)가 상기 버스바(30)에 가조립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otrusion 3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art 32. The protruding portion 33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so that the cut portion is bent orthogonally upward from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protrusions 32 are formed. The protrusion 33 is a portion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43 of the fuse 4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3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43 of the fuse 40. The protrusion 33 prevents flow when the fuse 40 is fastened by the bolt B, and when the insert 43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3, the fuse 40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B). This is to pre-assemble in 30).

상기 제1안착부(32)에는 직립부(34)가 연결된다. 상기 직립부(34)는 상기 제1안착부(32)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직면(23)에 지지되는 부분이다.The upright part 34 is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part 32. The upright portion 34 is a portion that is bent orthogonally from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and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surface 23.

이때, 상기 직립부(34)에는 고정편(3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5)은 상기 직립부(34)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35 is formed in the upright part 34. The fixing piece 35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upright portion 34,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5, thereby preventing the bus bar 30 from flowing.

상기 직립부(34)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안착부(32)와 단차지도록 제2안착부(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부(36)는 상기 제1안착부(32) 및 직립부(34)와 함께 계단형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36)는 상기 제2안착면(26)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링터미널이 그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안착부(36)에는, 상기 제1안착부(32)와 마찬가지로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볼트(B)가 너트(N)와 체결된다.A second seating portion 36 is formed to be bent orthogonally from the tip of the upright portion 34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That is, the second seating portion 36 is configured in a staircase shape together with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and the upright portion 34. The second seating part 36 is a part seated and fixed to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and the r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fastening hole 36 ′ is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part 36, similarly to the first seating part 32, through which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nut N.

상기 제2안착부(36)의 선단에는 결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8)는 상기 제2안착부(36)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29)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38)는 상기 고정편(35)과 함께,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케이 스(1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게 함으로써, 버스바(30)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38)는 상기 결합홈(29)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결합부(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A coupling part 38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seating part 36. The coupling part 38 extends perpendicularly from the second seating part 36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29. The coupling part 38, together with the fixing piece 35, serves to prevent the flow and deformation of the bus bar 30 by making the bus bar 30 more firmly mounted to the case 10. Do it.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38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oupling groove 29, it can be fixed without play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38.

상기 제1안착부(32)의 상면에는 퓨즈(40)가 장착된다. 상기 퓨즈(40)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40)는 볼트에 의해 상기 버스바(30)와 체결되어 고정된다.The fuse 40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art 32. The fuse 40 serves to block a circuit instantaneously when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lows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junction box. The fuse 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us bar 30 by bolts.

상기 퓨즈(40)는 전류차단부(41)와 고정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차단부(41)는 내부에 얇은 금속으로 된 차단선(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전류차단부(41)은 실질적으로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The fuse 40 includes a current blocking unit 41 and a fixing unit 42. The current blocking unit 41 is provided with a blocking line (not shown) made of a thin metal therein. The current blocking unit 41 serves to block a circuit instantaneously when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lows.

상기 전류차단부(41)의 양단에는 고정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2)는 상기 전류차단부(4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2)는 상기 버스바(30)의 제1안착부(32)에 안착되어,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42)에는 제2체결공(4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공(42')은 상기 버스바(30)의 제1체결공(3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공(42')은 볼트(B)에 의해 관통되어 너트(N)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42)가 상기 제1안착부(3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Fixing parts 4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urrent blocking part 41. The fixing part 42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rrent blocking part 41. The fixing part 42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 of the bus bar 30, and is fastened by bolts B. A second fastening hole 42 ′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42. The second fastening hole 42 ′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of the bus bar 30. The second fastening hole 42 ′ is penetrated by the bolt B to be fastened with the nut N, so that the fixing part 42 may be firmly fixed to the first seating part 32.

그리고, 상기 고정부(42)에는 삽입부(43)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고정부(42)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43) 는 상기 돌출부(33)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고정부(42)가 상기 제1안착부(32)에 안착될 때, 상기 돌출부(33)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돌출부(33)에 삽입됨으로써, 볼트(B)에 의해 고정부(42)가 제1안착부(32)에 볼트(B)에 의해 체결될 때 볼트(B)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퓨즈(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43)가 상기 돌출부(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퓨즈(40)가 상기 버스바(30)에 가조립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42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part 43. The insertion part 43 is a part formed by penetrating a part of the fixing part 42. The insertion part 43 is formed to have a shape of the protrusion part 33. The insertion part 43 is a part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art 33 when the fixing part 42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 That is, the insertion part 43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art 33, so that when the fixing part 42 is fastened to the first seating part 32 by the bolt B by the bolt B, the bolt B is us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rves to prevent the fuse 40 to flow. In addition, the insertion part 43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art 33, whereby the fuse 40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s bar 30.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고정부(42)의 양측 선단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3)는 상기 삽입부(4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안착부(32)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돌출부(3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돌출부(33)의 사이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42)가 상기 제1안착부(32)에 볼트(B)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43)가 상기 돌출부(33)의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볼트(B)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퓨즈(4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43)가 상기 돌출부(3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퓨즈(40)가 상기 버스바(30)에 가조립상태가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43 may b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both ends of the fixing portion 42. In addition, the protrusion part 33 is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first seating part 3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art 43. The insertion part 43 is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s 33. In other words, the insertion part 43 is supported and fixed between the protrusions 33.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part 42 is fastened to the first seating part 32 by the bolt B, the insertion part 43 is fixed between the protrusions 33 to thereby secure the bolt B.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use 4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addition, the insertion part 43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part 33, so that the fuse 40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s bar 3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의 고정구조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우선,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N)는 이미 케이스(1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30)의 몸체부(31)를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2,36)를 각각 상기 제1안착면(22) 및 제2안착면(26)에 안착시킨다.First, a process in which the bus bar 30 is mounted to the case 10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nut (N) is already in the state seated on the case (10). In this state, the body portion 31 of the bus bar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 formed in the cas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2 and 36 are respectively The first seating surface 22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26 are seated.

이때, 상기 버스바(3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편(35)이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결합부(38)를 상기 결합홈(29)에 삽입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2,36)를 안착시킬 때, 상기 고정편(35)및 결합부(38)가 각각 상기 고정홈(25) 및 결합홈(29)에 끼워지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us bar 30, the fixing piece 3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5.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portion 38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9.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2 and 36 are seated, the fixing piece 35 and the coupling portion 38 ar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25 and the coupling groove 29, respectively. do.

상기 버스바(30)를 장착한 뒤에는, 퓨즈(40)를 상기 버스바(3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퓨즈(40)의 고정부(42)를 상기 제1안착부(32)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도 4에 보듯이, 상기 퓨즈(40)의 삽입부(43)가 상기 버스바(30)의 돌출부(33)에 끼워지도록 한다.After the bus bar 30 is mounted, the fuse 40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30. More precisely, the fixing part 42 of the fuse 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art 3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insertion portion 43 of the fuse 4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33 of the bus bar 30.

다음으로, 상기 퓨즈(40)의 삽입부(43)가 상기 버스바(30)의 돌출부(33)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안착부(32)의 제1체결공(32')과 상기 고정부(42)의 제2체결공(42')이 서로 연통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B)가 상기 제1안착부(32)의 제1체결공(32')과 상기 고정부(42)의 제2체결공(42')을 통과하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B)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퓨즈(40)는 버스바(30)와 밀착되어 서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퓨즈(40)는 상기 버스바(30)의 돌출부(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볼트(B)를 조일 때 볼트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퓨즈(40)가 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Next, when the insertion portion 43 of the fuse 4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33 of the bus bar 30,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32 and the The second fastening holes 42 'of the fixing part 42 are position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bolt B is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of the first seating part 3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 ′ of the fixing part 42. Then, when the bolt (B) is fastened, the fuse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s bar 30 is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since the fuse 40 may be fixed by the protrusion 33 of the bus bar 30, the fuse 40 may be damaged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olt when the bolt B is tightened. It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퓨즈(40)의 삽입부(43)가 상기 버스바(30)의 돌출부(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퓨즈(40)가 상기 버스바(30)에 가조립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32)의 제1체결공(32')과 상기 고정부(42)의 제2체결공(42')이 연통되게 위치되어 볼트(B)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43 of the fuse 40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33 of the bus bar 30 so that the fuse 40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s bar 30.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hole 32 ′ of the first seating part 3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 ′ of the fixing part 42 are position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facilitate fastening using the bolt B. do.

마지막으로,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상기 케이스(10)에 결합시켜 차량의 내부에 장착하여 마무리한다.Finally,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mbined with the case 10 to be mounted inside the vehicle to finish.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한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고안에 의한 퓨즈 고정구조에서는, 퓨즈에 형성된 삽입부가 버스바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퓨즈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퓨즈의 손상이 방지되어 퓨즈의 불량률이 감소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fus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fus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busbar. Therefore, the fuse is not rotated even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bolt fastened to the fus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fuse and reduc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fuse,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퓨즈에 형성된 삽입부가 버스바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어 가조립상태가 된다. 따라서, 퓨즈에 형성된 체결공과 버스바에 형성된 체결공이 연통되게 위치되어 고정되므로 볼트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 가 있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fuse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ortion formed in the bus bar to be temporarily assembled. Therefore, since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use and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bus bar are positioned and fixed in communica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as the fastening using a bolt is easy.

Claims (5)

정션박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면에 안착되고, 제1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는 버스바와;A bus bar seated on a seating surface formed in the junction box, the first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rethrough,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form a protrusion; 상기 버스바에 안착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버스바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에 안착되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퓨즈 고정구조.The protrusion is seated on the bus bar, the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the bus bar by a fastener,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A fuse fixing structure configured to include; a fus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se, 전류차단부와;A current interrupting unit; 상기 전류차단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스바의 돌출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의 제1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고정구조. Fixing part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blocking part, respectively, inserting part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bus bar,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bus bar; Fuse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가 상기 버스바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고정구조. The protruding portion is a fuse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bus bar is bent orthogonally from the bus bar.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고정구조. And the insertion part is formed by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fixing part such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양측 선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고정구조. And the insertion part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fixed between the protrusions.
KR2020070009356U 2007-06-07 2007-06-07 Fixing structure of a fuse KR2008000613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356U KR20080006132U (en) 2007-06-07 2007-06-07 Fixing structure of a f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356U KR20080006132U (en) 2007-06-07 2007-06-07 Fixing structure of a f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132U true KR20080006132U (en) 2008-12-11

Family

ID=4132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356U KR20080006132U (en) 2007-06-07 2007-06-07 Fixing structure of a f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13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8827A (en) * 2015-02-02 2015-05-27 惠州住成电装有限公司 Automobile fuse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8827A (en) * 2015-02-02 2015-05-27 惠州住成电装有限公司 Automobile fus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48888B4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347733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1609213B1 (en) Fuse unit
US106862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WO2006115173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378236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5074989B2 (en) Fusible link mounting structure
KR20080006132U (en) Fixing structure of a fuse
JP503022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2184299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erator from forgetting to tighten inclined tightening preventive terminal
JP2005168178A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150095842A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KR200480383Y1 (en) Connect structure between relay and busbar for electric vehicle
KR200437691Y1 (en) Mounting structure of a busbar
KR100796030B1 (en) A ring terminal and mounting structure of a ring terminal
KR100814935B1 (en) Parts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ox
JP4550121B2 (en) Cable bracket mounting structure in the outer box containing the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KR100830698B1 (en) Fuse box having multi-fuse
JP2012038643A (en) Battery direct-mounting fuse
KR100783163B1 (en) Junction box
KR100948131B1 (en) Fixing structure of bus-bar
JP3640755B2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to fusible link and wire connection method
KR100748614B1 (en) Fuse mounting structure for fuse box
JP5671709B2 (en) Terminal block for plug-in distribution boards
JP4578462B2 (en) Circuit breaker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