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718U -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718U
KR20080005718U KR2020070008538U KR20070008538U KR20080005718U KR 20080005718 U KR20080005718 U KR 20080005718U KR 2020070008538 U KR2020070008538 U KR 2020070008538U KR 20070008538 U KR20070008538 U KR 20070008538U KR 20080005718 U KR20080005718 U KR 200800057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ultivation
cultivation apparatus
pillar
wate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to KR2020070008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718U/ko
Publication of KR20080005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급배수가 용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기둥과,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지는 중공형의 삽입 기둥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 기둥의 주위에 마련되며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수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재와,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수용 부재의 결합 기둥의 상부를 덮고 물이 흘러내리는 외부 벽면을 갖는 중공형의 물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삽입 기둥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배수구멍을 구비하는 식물재배장치가 제공된다.
식물재배장치, 수경재배, 수용부재, 중심기둥, 고정너트, 물안내부재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 수용 부재와 중심 기둥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식물재배장치의 수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한 수용 부재의 결합부와 결합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물재배장치 20 : 받침대
30 : 수용 부재 40 : 수용부
46 : 내벽 50 : 결합부
52 : 삽입 기둥 53 : 암나사부
54 : 슬릿 60 : 중심 기둥
70 : 물 안내 부재 90 : 고정너트
본 고안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급배수가 용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식물재배장치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재배부와, 최상부의 재배부로 물을 공급하고 물이 아래의 재배부로 차례대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배수 구조를 구비한다. 종래의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는 상층의 재배부와 하층의 재배부를 단순히 연결해주는 급배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층이 많아지면 층 사이를 일일이 연결해주어야 하므로 설치가 번거로우며, 외형도 매우 제한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물의 급배수 구조를 갖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기둥과,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지는 중공형의 삽입 기둥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 기둥의 주위에 마련되며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수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재와,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수용 부재의 결합 기둥의 상부를 덮 고 물이 흘러내리는 외부 벽면을 갖는 중공형의 물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삽입 기둥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배수구멍을 구비하는 식물재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배수구멍이 마련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내벽을 구비하며, 상기 내벽은 상기 배수구멍과 측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 부재의 외부 벽면의 아래 끝단은 상기 내벽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 기둥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삽입 기둥은 원형이며, 상기 삽입 기둥의 양단 중 적어도 상단은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지며 상기 삽입 기둥의 수나사부와 결합하는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의 내경은 길이방향 끝단으로부터 중심 쪽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물 안내 부재와 상기 중심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밀봉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중심 기둥이 고정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는 상기 중심 기둥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 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받침대 내부의 물을 위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물이 이송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중심 기둥의 내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식물재배장치(10)는 수경재배용으로서, 받침대(20)와, 받침대(20)로부터 위로 연장축선(110)을 따라 연장된 중심 기둥(60)과, 기둥(60)에 끼워진 다수의 수용 부재(30) 및 물 안내 부재(70)를 구비한다. 받침대(20)는 바닥판(22)과, 바닥판(22)과 마주보는 상판(24)과, 바닥판(22)과 상판(24)을 연결하는 측벽(26)을 구비한다. 상판(22)의 중심부에는 기둥(60)이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삽입통로(23)가 마련된다. 삽입통로(23)를 통해 끼워진 기둥(60)은 바닥판(22)에 고정된다. 삽입통로(23)는 기둥(60)의 형상에 맞게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삽입통로(23)의 주위에는 삽입통로(23)를 둘러싸는 수용홈(25)이 마련된다. 수용홈(25)과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은 연결통로(27)를 통해 서로 통한다. 수용홈(25)의 연결통로(27)를 통해 기둥(60)의 외벽면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물이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으로 들어간다.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는 수중펌프(80)가 설치된다. 수중펌프(80)는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 저장된 물을 이송관(66)을 통해 위로 이송시킨다.
기둥(60)은 원형기둥 형상으로서, 받침대(20)로부터 연장축선(110)을 따라 위로 길게 연장된다. 기둥(60)의 하단은 받침대(20)의 바닥판(22)에 고정된다. 기둥(60)은 중공형으로서, 내부 통로를 통해 펌프(80)로부터 연장된 이송관(66)이 지나간다. 이송관(66)은 기둥(60)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펌프(80)에 의해 이송된 물을 배출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수용 부재(30)는 수용부(40)와, 수용부(4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결합부(50)를 구비한다. 수용부(40)는 바닥판(42)과, 바닥판(42)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바깥쪽의 측벽(44)을 구비한다. 수용부(40)의 중심부에는 결합부(50)를 둘러싸는 측벽(44)보다 낮게 형성된 내벽(46)이 구비된다. 내벽(46)의 바깥쪽에 물이 내벽(46)의 높이만큼 수용되고, 화분(100)들이 놓인다. 내벽(46)의 안쪽 바닥판(42)에는 배수구멍(48)이 결합부(50)의 후술하는 삽입기둥(52)에 붙어서 여러 개 형성된다. 배수구멍(48)을 통해 내벽(46)을 넘어온 물이 아래로 배수된다. 결합부(50)는 바닥판(42)과 수직으로 연장된 중공형의 삽입기둥(52)을 구비한다. 삽입기둥(52)은 원형으로서, 중심 기둥(60)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다. 삽입기둥(52)의 상단과 하단은 수나사부(53)를 구비하며, 바깥면이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고, 슬릿(54)에 의해 분리되어, 고정 너트(90)에 의해 내경이 좁아져 중심 기둥(6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 너트(90)의 내부는 중심부로부터 양끝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으며, 고정 너트(90)의 외부는 중심부로부터 양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고정 너트(90)가 받침부재(30)의 삽입기둥(52)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3)에 각각 결합되어 삽입기둥(52)의 갈라진 양단을 좁혀 수용 부 재(30)를 중심 기둥(60)에 결합시킨다. 고정 너트(90)에 의해 수용 부재(30)의 고정 및 분해가 쉬워진다. 상부의 고정 너트(90) 위에는 물 안내 부재(70)가 중심 기둥(60)에 끼워져 설치된다. 물 안내 부재(70)는 대체로 관형상으로서 아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넓어져 아래 끝단이 수용 부재(30)의 바닥판(42)의 내벽(46)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물 안내 부재(70)의 외부 벽면(71)을 따라 물이 흘러내린다. 물 안내 부재(70)와 중심 기둥(60) 사이에는 밀봉링(99)이 끼워져 물이 물 안내 부재(7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의 저장된 물은 수중펌프(80)에 의해 기둥(60)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관(66)을 따라 위로 이송된다. 이송된 물은 가장 위에 위치하는 물 안내 부재(70)의 바깥쪽 상부로 배출된다. 물 안내 부재(70)의 바깥쪽 상부로 배출된 물은 물 안내 부재(70)의 외부 벽면(71)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고, 수용 부재(30)의 내벽(46)의 바깥에 위치하는 물 안내 부재(70)의 아래 끝단을 지나 내벽(46)의 바깥쪽 공간으로 공급된다. 물 안내 부재(70)의 벌어진 아래 끝단에 의해 물은 화분(100)이 구비된 (20)의 수용 부재(30)의 수용부(40)로 공급된다. 수용부(40)로 공급된 물은 내벽(46)의 높이까지 유지되며, 내벽(46)의 안쪽에 마련된 배수 구멍(48)을 통해 아래로 배수된다. 배수 구멍(48)을 통해 아래로 배수된 물은 삽입 기둥(52), 고정 너트(90) 및 중심 기둥(60)의 외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아래에 위치하는 물 안내 부재(70)를 통해 아래의 수용 부재(30)로 공급된다. 이때, 물 안내 부재(70)의 내부에 마련된 밀봉링(99)에 의해 물이 물 안내부재(7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상부로 공급된 물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각 수용 부재(30)를 거쳐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으로 들어가서 순환하게 된다. 각 수용 부재(30)의 수용부(40)에 구비된 화분은 수용부(40)에 내벽(46)의 높이까지 유지되는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이 펌프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동으로 상단에 물을 공급해줌으로써 물이 각 재배부에 공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둥에 끼워지는 수용 부재가 고정 너트를 통해 쉽게 고정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물이 기둥의 외벽을 통해 흘러내리며 각 수용 부재에 물이 공급되는 구성이므로 급배수 구조가 단순합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기둥과,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지는 중공형의 삽입 기둥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 기둥의 주위에 마련되며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수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재와,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수용 부재의 결합 기둥의 상부를 덮고 물이 흘러내리는 외부 벽면을 갖는 중공형의 물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삽입 기둥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배수구멍을 구비하는 식물재배장치.
  2. 제1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배수구멍이 마련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는 식물재배장치.
  3. 제2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수용부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내벽을 구비하며, 상기 내벽은 상기 배수구멍과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식물재배장치.
  4. 제3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 부재의 외부 벽면의 아래 끝 단은 상기 내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식물재배장치.
  5. 제1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 기둥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삽입 기둥은 원형이며, 상기 삽입 기둥의 양단 중 적어도 상단은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 기둥에 끼워지며 상기 삽입 기둥의 수나사부와 결합하는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6. 제5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의 내경은 길이방향 끝단으로부터 중심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식물재배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 부재와 상기 중심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 기둥이 고정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는 상기 중심 기둥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식물재배장치.
  9. 제8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내부의 물을 위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물이 이송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10. 제9항의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중심 기둥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식물재배장치.
KR2020070008538U 2007-05-23 2007-05-23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KR200800057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38U KR20080005718U (ko) 2007-05-23 2007-05-23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38U KR20080005718U (ko) 2007-05-23 2007-05-23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18U true KR20080005718U (ko) 2008-11-27

Family

ID=4132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538U KR20080005718U (ko) 2007-05-23 2007-05-23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71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434B1 (ko) * 2011-03-14 2013-02-07 이명재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KR101280123B1 (ko) * 2011-09-08 2013-06-28 안주현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0469311Y1 (ko) * 2011-09-23 2013-10-07 정영미 이동식 수경 재배 장치
KR101387205B1 (ko) * 2012-05-17 2014-04-21 이명재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KR101537657B1 (ko) * 2014-09-30 2015-07-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공간이 구비된 기둥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434B1 (ko) * 2011-03-14 2013-02-07 이명재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KR101280123B1 (ko) * 2011-09-08 2013-06-28 안주현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0469311Y1 (ko) * 2011-09-23 2013-10-07 정영미 이동식 수경 재배 장치
KR101387205B1 (ko) * 2012-05-17 2014-04-21 이명재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KR101537657B1 (ko) * 2014-09-30 2015-07-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공간이 구비된 기둥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718U (ko) 다층 구조의 식물재배장치
KR102066276B1 (ko) 식물의 수직 재배용 장치의 기둥 요소
JP2018531028A5 (ko)
EP2084957B1 (en) Planting container
KR200436615Y1 (ko) 조립식 간편 육묘기
US20170079223A1 (en)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KR200427165Y1 (ko) 복층식 화분 정리대
WO2020085743A1 (ko) 수경 재배 장치
EP1720633B1 (en) Scrubber
KR200429952Y1 (ko) 재배박스의 다층구조
KR100801133B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WO2018065910A1 (en) Hydroponics system
KR101387205B1 (ko)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KR20200080065A (ko) 실내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93380A (ko) 식물재배 트레이 내의 식물 재배용 수조
CN105875250A (zh) 花盆组件
KR20090056752A (ko) 안정된 급·배수구조가 마련된 적층식 화분
KR200435608Y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JP7454260B2 (ja) T型コネクタ及びt型コネクタを用いた潅水装置
KR101707616B1 (ko) 조립파이프형 수조
KR20040045781A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KR102556218B1 (ko) 물탱크 천장판 세정장치
US20230363325A1 (en) Vertical garden with nestable, leakproof design
RU2019125859A (ru) Цепной стол для турели судна
JP2013099262A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