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712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712A
KR20080005712A KR1020060064392A KR20060064392A KR20080005712A KR 20080005712 A KR20080005712 A KR 20080005712A KR 1020060064392 A KR1020060064392 A KR 1020060064392A KR 20060064392 A KR20060064392 A KR 20060064392A KR 20080005712 A KR20080005712 A KR 2008000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xt
text window
window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강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712A/ko
Publication of KR2008000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은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 1문자창 및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 2문자창을 한 화면에 분할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가능한 특수문자 및 일반문자를 포함한 문자메시지의 입력중 제2 문자창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특수문자의 사용빈도를 산출하여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사용빈도에 따라 특수문자를 재배열하여 제2 문자창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문자메시지 입력시, 특수문자와 일반문자의 혼용입력 및 자주 사용되는 특수문자의 입력이 편해진다.
특수문자, 문자메시지, 재배열,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Input method for Special charact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빈도에 따른 특수문자의 재배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제2 문자창 표시시 제1 문자창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제2 문자창 표시시 제1 문자창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재배열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특수문자 저장부
140 : 메모리 150 : 통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특수문자가 배열된 상태에서 특수문자 및 일반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가며, 사용자간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사진 또는 이미지데이터의 송수신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한 소정의 문자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문자메시지는 일반문자와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문자메시지의 입력시, 특수문자는 다수의 특수문자가 배열된 창이 팝법(pop-up)형태로 문자메시지 입력창에 나타나거나 새로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 및 입력가능하게 됨으로써, 입력중인 내용이 상당수 가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원하는 내용을 신속하게 입력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특수문자의 배열이 일정하게 나타나므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라 하더라도 입력할 때마다 원하는 문자를 검색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확인이 가능하고,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를 쉽게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전에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특수문자 입력시에도 확인가능하고, 사용횟수에 따라 특수문자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은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자창에 일반문자 및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문자창을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문자창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의 사용빈도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문자창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저장된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제2 문자창에 상기 특수문자가 재배열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 및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 및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제2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 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자창에 일반문자 및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를 함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0), 표시부(120), 입력부(110), 메모리(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입력부(110)는 구비된 키의 조작을 통해 그에 대응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구비된 키는 유선 전화기에 구비된 형식과 유사한 형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입력부(110)는 키에 따른 문자 또는 기호의 입력을 통해 문자메시지의 작성이 가능하며, 문자메시지 입력창 및 특수문자가 배열된 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110)는 키뿐 아니라 터치패드 및 레이저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다.
표시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 기호가 표시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이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2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과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이 표시된다. 이때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는 제1 문자창에 표시된다.
표시부(120)는 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가 적용되나, 그 외에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형광표시관(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등 의 평판표시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통화수신 및 발신뿐 아니라 문자메시지의 입력, 전송 및 수신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을 한 화면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일반문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100)는 제1 문자창이 입력가능한 상태인 일반문자입력모드이면 일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며, 입력된 일반문자를 제1 문자창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의 특수문자 입력이 가능한 상태인 특수문자입력모드이면 방향키와 확인키를 통해 제2 문자창에 표시된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입력된 특수문자를 제1 문자창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일반문자입력모드와 특수문자입력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00)는 특수문자의 사용빈도를 산출하여, 제2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키에 의해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빈도가 높은 순서로 특수문자를 재배열하여 제2 문자창에 표시한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각종 참조 데이터 및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메모리(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가능한 일반문자 및 특수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입력부(100)에 의해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40)는 문자메시지중 특수문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특수문자 저장부 (130)가 포함된다.
특수문자 저장부(130)는 문자메시지의 내용 입력시 입력가능한 특수문자가 저장되며, 각 특수문자의 사용빈도가 저장된다. 또한 특수문자 저장부(130)는 제어부(100)가 저장된 사용빈도에 따라 재배열한 특수문자의 배열이 저장되어 제어부(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특수문자의 배열이 표시부(120)로 전달된다.
통신부(150)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비롯하여 문자메시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특히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종료된 후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제어부(100)에 의해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00)는 입력부(110)의 입력을 통해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S200). 이때, 디스플레이된 제1 문자창은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커서가 표시되며, 표시된 커서의 위치에 특수문자 및 일반문자를 포함한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중 입력부(110)를 통해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S210). 이때, 제어부(100)는 표시부(120)의 하단 또는 표시부(12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를 분할하여 제1 문자창과는 별도로 제2 문자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후 특수문자 입력모드인지 판단하 여(S220), 일반문자 입력모드이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일반문자를 제1 문자창에 표시한다(S230).
또한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특수문자 입력모드이면, 제2 문자창에서 방향키와 확인키를 통해 특수문자가 입력되고(S240), 입력된 특수문자를 제1 문자창에 표시한다(S250). 이때, 제어부(100)는 방향키의 입력을 통해 제2 문자창에 배열된 특수문자의 선택이 가능하며, 확인키의 입력을 통해 방향키에 의해 선택된 특수문자가 입력되어 입력된 특수문자를 제1 문자창에 표시한다(S250).
제어부(100)는 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와 확인키를 제외한 신호가 입력되면, 일반문자 입력모드로 문자메시지 입력을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일반문자 입력모드이면,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특수문자 입력모드와 일반문자 입력모드의 전환을 통해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을 통해 특수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특수문자의 입력횟수를 임시저장한다(S260). 이때 특수문자의 입력횟수는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된 특수문자 각각의 입력횟수이다.
제어부(100)는 특수문자 및 일반문자를 포함한 문자메시지의 입력후,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완료되었으면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종료한다(S270). 이때,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된 제1, 제2 문자창을 해제하여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종료한다. 또한 입력이 완료된 문자메시지는 통신부(250)를 통해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빈도에 따른 특수문자의 재배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부(110)의 입력을 통해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제1 문자창에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중,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S300). 이때, 제어부(100)는 한 화면을 분할하여 제1, 제2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특수문자 입력모드이면,방향키와 확인키를 통해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며(S310), 입력된 특수문자는 제1 문자창에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입력된 특수문자의 입력횟수를 임시저장한다(S320). 이때, 특수문자의 입력횟수는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된 제2 문자창에 표시된 특수문자 각각의 입력횟수이다.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을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제2 문자창을 해제한다(S330). 이때, 제2 문자창의 해제는 해제를 위한 기능키의 입력 및 문자메시지의 입력완료로 인한 해제를 포함한다.
제2 문자창의 해제후, 제어부(100)는 임시저장된 특수문자의 입력횟수에 따라 특수문자의 사용빈도를 산술하여 특수문자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340). 이때, 사용빈도는 특수문자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전 사용빈도와 임시저장된 입력 횟수를 더한 것으로, 계속해서 누적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저장된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빈도가 높은 순서로 특수문자를 재배열하여(S350), 재배열된 특수문자의 배열을 특수문자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S360), 제2 문자창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재배열하여 특수문자 저장부(130)에 저장한 특수문자의 배열을 제2 문자창에 표시한다(S370).
이와 같이 동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의 도 4 내지 도 7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도시된 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이 도시된 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b)에서 일반문자의 입력으로 전환된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400)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제1 문자창(400)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입력된 문자메시지는 일반문자메시지이다.
문자메시지 입력중 일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표시부(120)의 하단에 제1 문자창(400)과는 별도로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450)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 2 문자창(450)을 표시함과 동시에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100)는 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방향키와 확인키를 통해 제2 문자창(450)에 배열된 특수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특수문자를 제1 문자창(400)에 표시한다.
특수문자 입력중 일반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면,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을 일반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일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일반문자 입력모드로의 전환은 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와 확인키외 다른 신호가 입력되면 전환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문자창 표시시 제1 문자창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입력이 도시된 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문자창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제1 문자창(401)을 표시하여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중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제2 문자창(451)을 표시부(120)에 표시하여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1 문자창(401)에 표시된 문자메시지의 용량에 의해 제2 문자창(451)을 표시할 공간이 부족하게 되면, 제어부(100)는 제1 문자창(401)에 스크롤(405)을 표시하여 제2 문자창(451)이 표시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제2 문자창(451)을 표 시부(120)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된 스크롤(405)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문자창(401)에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문자창 표시시 제1 문자창의 표시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입력이 도시된 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문자창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제1 문자창(402)을 표시하여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중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제2 문자창(452)을 표시부(120)에 표시하여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1 문자창(402)에 표시된 문자메시지의 용량에 의해 제2 문자창(452)을 표시할 공간이 부족할 경우, 제어부(100)는 제1 문자창(402)의 공간이 제2 문자창(452)의 표시로 인해 감소된 만큼 제1 문자창(402)을 축소하여 제1 문자창(402)에 표시된 문자메시지가 모두 확인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에서 특수문자 재배열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입력을 도시한 도이고, 도 7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도시한 도이고, 도 7의 (e) 내지 (f)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새로운 문자메시지 입력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을 위한 제 1 문자창(403)과 제2 문자창(453)을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특수문자 입력모드와 일반문자 입력모드를 전환하면서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제1 문자창(403)에 표시한다.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표시부(120)에 표시한 제1 문자창(403)과 제2 문자창(453)을 해제한다.
또한, 제2 문자창 해제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된 특수문자의 입력횟수에 따라 사용빈도를 산출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순서로 특수문자를 재배열한다.
도 7의 (e) 내지 (f)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110)의 입력에 따라 새로운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문자창(403')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00)는 문자메시지 입력중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제2 문자창(453')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제2 문자창(453')에 재배열된 특수문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특수문자의 입력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주제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과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을 한 화면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특수문자 및 일반문자를 포함한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하여 일반문자와 특수문자의 혼용입력시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문자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자메시지 입력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특수문자의 사용빈도에 따라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특수문자를 재배치하여 표시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를 빠르게 찾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특수문자 입력에 편의를 제공한다.

Claims (9)

  1.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자창에 일반문자 및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창을 해제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문자창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의 사용빈도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문자창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저장된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제2 문자창에 상기 특수문자가 재배열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창은 상기 제1 문자창과 한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제1 문자창의 한 화면에 표시된 문자메시지가 모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문자창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제1 문자창에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용량에 대응하는 스크롤바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방법.
  6.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표시되는 제1 문자창 및 특수문자가 배열된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 및
    기능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제2 문자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문자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자창에 일반문자 및 제2 문자창을 통해 입력된 특수문자를 함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특수문자의 입력에 따른 사용빈도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특수문자를 재배열하여 상기 제2 문자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제1 문자창에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용량이 소정의 양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문자창의 표시로 인해 감소된 상기 제1 문자창의 문자메시지 입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문자창에 스크롤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문자창의 디스플레이시, 상기 제2 문자창의 표시로 인해 감소된 상기 제1 문자창의 문자메시지 입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문자창을 축소하여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모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64392A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KR20080005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92A KR20080005712A (ko)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92A KR20080005712A (ko)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12A true KR20080005712A (ko) 2008-01-15

Family

ID=3921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92A KR20080005712A (ko)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87B1 (ko) * 2011-07-01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87B1 (ko) * 2011-07-01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913E1 (en)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137689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링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68490A (ko)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롤 바의 표시방법
KR20100043066A (ko) 휴대 단말
JPWO2012111058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画面表示方法
JP2008134348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180232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JP20071882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WO2007086371A1 (ja) 文字入力装置
EP4246922A1 (e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06091987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メニュー表示制御方法
US20100180229A1 (en) Method for menu performance using shortcut key in po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10205821B2 (en)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2106141A (zh) 便携式电子设备
KR2008000571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특수문자 입력방법
KR20080077474A (ko) 단말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07235566A (ja) 携帯電話装置及び該携帯電話装置における入力制御方法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JP2010129076A (ja) 文字入力装置
JP2008204260A (ja) 電子機器
KR2006003411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윈도우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단말기
JP5368841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20120065795A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20030002983A (ko) 단어의 초성을 이용한 단어 검색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이를 적용한 단어검색 방법
KR10133576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작성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