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036A -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036A
KR20080005036A KR1020060066545A KR20060066545A KR20080005036A KR 20080005036 A KR20080005036 A KR 20080005036A KR 1020060066545 A KR1020060066545 A KR 1020060066545A KR 20060066545 A KR20060066545 A KR 20060066545A KR 20080005036 A KR20080005036 A KR 2008000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cation information
control region
uplink control
region al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052B1 (ko
Inventor
조희권
황인석
문준
장정렬
전재호
윤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RU20091040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RU2413366C2/ru
Priority to MYPI20090055A priority patent/MY154511A/en
Priority to PCT/KR2007/003305 priority patent/WO2008004845A1/en
Priority to JP2009518003A priority patent/JP5008724B2/ja
Priority to EP07013314.5A priority patent/EP1876768B1/en
Priority to BRPI0713858 priority patent/BRPI0713858B1/pt
Priority to CN2007800258365A priority patent/CN101490979B/zh
Priority to CA2655714A priority patent/CA2655714C/en
Priority to AU2007270156A priority patent/AU2007270156B2/en
Priority to EP19178208.5A priority patent/EP3554171B1/en
Priority to US11/774,923 priority patent/US9088980B2/en
Publication of KR2008000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052B1/ko
Priority to JP2012121782A priority patent/JP5249448B2/ja
Priority to US14/803,935 priority patent/US10770419B2/en
Priority to US16/282,882 priority patent/US1076323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러의 판단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생성기를 포함하여, 특정 영역의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OFDM, MAP 오버헤드, 상향링크 제어영역

Description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ASING OF THE VOLUME OF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MASSAGE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접속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이하 'LAN'이라 칭함)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 이하 'MAN'이라 칭함)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802.16의 규격 제정 그룹(Working group) 중 무선 통신 규격으로 대표되는 규격은 802.16d, 802.16e이며, 상기 두 규격은 다시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칭함) 규격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802.16d/e의 OFDMA 규격은 전송해야하는 디지털 비트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신단에 전달하기 위해서 주파수 자원 및 시간 자원을 이용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프레임 구조 및 여러 무선 채널 상황을 고려한 프레임 내의 자원 할당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OFDMA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OFDMA 규격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은 상향링크(Uplink)(110) 프레임과 하향링크(Downlink)(120)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110)은 프리앰블(Preamble)(111), FCH(Frame Control Header)(113), 하향링크 맵(Downlink-MAP, 이하 DL-MAP 이라 칭함)(115), 상향링크 맵(Uplink-MAP, 이하 UL-MAP이라 칭함)(117),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Burst)(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리앰블(111)은 단말의 초기 동기 획득 및 셀 탐색에 사용되는 정보를 위한 영역이며, 상기 FCH(113)는 상기 DL-MAP(115)과 UL-MAP(117)의 코딩(Coding) 방법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DL-MAP(115)는 상기 하향링크 버스트(119)의 단말별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나타내는 영역이고, 상기 UL-MAP(117)는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의 상기 제어정보(121)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123)의 단말별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 버스트(119)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120)은 제어정보 영역(121)과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 정보 영역(121)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통신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영역이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123)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 영역(121)은 Ranging 채널(151),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채널(153), ACK(Acknowledge) 채널(155) 및 Sounding 채널(1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anging 채널(151)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자원 할당 없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영역으로, 네트워크 초기 접속을 수행하거나, 핸드오프(Handoff)를 요청하거나,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된다. 상기 CQI 채널(153)은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 하향링크 채널의 상황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ACK 채널(155)은 상기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의 성공적인 수신 여부를 상기 기지국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고, 상기 Sounding 채널(157)은 상기 기지국이 단말의 채널 정보를 얻기 위한 영역이다.
상술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OFDMA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나타내는 MAP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버스트가 같은 프레임 내에 구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MAP 정보와 데이터 버스트는 자원 점유를 경쟁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MAP 정보의 양이 많을수록 상기 사용자 버스트에 할당할 자원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는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지만 실제 시스템 사용시 상기 프레임 구조가 변화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120)의 제어정보(121)의 경우, 매 프레임이 같은 구조를 유지하는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매 프레임마다 동일한 내용의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트에 할당할 자원이 감소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전송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영역의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 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러의 판단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해독부와,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향링크 제어영역들 전체 혹은 특정영역에 대하여 할당정보의 생성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 주기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감소시켜 시스템의 전송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칭함)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FDMA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기는 스케줄러(201), MAP 생성기(203), 채널 부호화기(205), 변조기(207), 자원 매핑기(209), OFDM 변조기(211), DAC(Digital-Analog Convertor)(213) 및 RF(Radio Frequency) 송신기(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케줄러(201)는 하향링크(Downlink)에서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 상향링크(Uplink, 이하 UL라 칭함)에서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 및 제어영역들의 자원 할당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영역들은 Ranging 채널,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채널, ACK(Acknowledge) 채널 및 Sounding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할 것인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MAP 생성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 판단은 상기 UL 제어영역들 전체 또는 상기 UL 제어영역들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생성 여부 판단이다. 상기 스케줄러(201)는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할 주기가 되거나 또는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연속된 프레임마다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MAP 생성기(203)는 상기 스케줄러(201)로부터 자원 할당 스케줄 정보를 제공받아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케줄러(201)로부터 제공받은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에 따라 상기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만일,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 포함 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유효 기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MAP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상기 채널 부호화기(205)는 상기 MAP 생성기(203)로부터 제공받은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해당 부호화율로 인코딩(Encoding)한다. 상기 변조기(207)는 상기 채널 부호화기(205)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당 변조 방식(예 : QPSK(Qudrature Phase Shift Keying))에 따라 심벌로 변조한다.
상기 자원 매핑기(209)는 상기 변조기(207)로부터 제공받은 심벌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매핑한다. 즉, 상기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부 반송파에 상기 심벌들을 매핑한다. 상기 OFDM 변조기(211)는 상기 자원 매핑기(209)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으로 매핑된 심벌들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하여 시간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DAC(213)는 상기 OFDM 변조기(211)로부터 제공받은 생성된 시간영역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 송신기(215)는 상기 DAC(21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수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기는 RF 수신기(301), ADC(Analog-Digital Convertor)(303), OFDM 복조기(305), MAP 추출기(307), 복조기(309), 채널 복호화기(311) 및 MAP 해독기(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수신기(3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C(303)는 상기 RF 수신기(301)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 복조기(305)는 상기 ADC(303)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영역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MAP 추출기(307)는 상기 OFDM 복조기(305)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서 MAP 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한다.
상기 복조기(309)는 상기 MAP 추출기(305)로부터 제공되는 MAP 신호를 해당 복조 방식에 따라 데이터로 복조한다. 상기 채널 복호화기(311)는 상기 복조기(309)로부터 제공받은 MAP 데이터를 해당 부호화율로 디코딩(Decoding)한다.
상기 MAP 해독기(313)는 상기 채널 부호화기(311)로부터 제공되는 MAP 정보를 해석하여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 정보를 갱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MAP 정보에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결과에 따라 저장된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갱신한다. 즉, 만일, 상기 MAP 정보에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새로운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로 수정한다. 반면, 상기 MAP 정보에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기존에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MAP 메시지에 유효 기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되어도 새로운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폐기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은 Ranging 채널, CQI 채널, ACK 채널 및 Sounding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미 도시되었지만, 제어신호 전송부는 상기 수신되는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UL 시그널링(예 : Ranging, CQI, ACK 등)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1단계에서 MAP을 생성할 시점인지 확인한다.
상기 MAP을 생성할 시점이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자원 할당 스케줄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자원 할당 스케줄 중의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와 최근 송신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은 Ranging 채널, CQI 채널, ACK 채널 및 Sounding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만일,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된 이후의 경과된 프레임 수(m)를 0으로 설정한다.
상기 m의 값을 0으로 설정한 후,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 판단은 상기 UL 제어영역들 전체 또는 상기 UL 제어영역들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생성 여부 판단이다.
상기 405단계에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할 주기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MAP 송신 이후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MAP이 연속적으로 송신된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주기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주기는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이다.
만일,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주기이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03단계에서 확인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주기가 아니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상기 m의 값을 1 증가시킨다.
상기 m의 값을 1 증가시킨 후,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주기가 아닌 경우, 상기 MAP 생성기(203)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의 값과 N의 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N은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송신한 경우, 단말에서의 상기 변경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매 프레임마다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횟수이다. 또한, 상기 N은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이다.
만일, 상기 m의 값이 N의 값보다 작으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03단계에서 확인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m의 값이 N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MAP 생성기(203)는 본 절차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MAP 해독기(313)는 501단계에서 MAP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MAP이 수신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MAP에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은 Ranging 채널, CQI 채널, ACK 채널 및 Sounding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만일, 상기 수신된 MAP에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수신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로 수정한다.
반면, 상기 수신된 MAP에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MAP 해독기(313)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버스트 영역 정보를 확인한 후, 본 절차를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MAP 생성기(203)는 601단계에서 MAP을 생성할 시점인지 확인한다.
상기 MAP을 생성할 시점이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자원 할당 스케줄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MAP 생성기(203)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자원 할당 스케줄 중의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와 최근 송신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은 Ranging 채널, CQI 채널, ACK 채널 및 Sounding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만일,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사용 유효 기간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경우, 한번 송신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는 한 주기가 지나면 신뢰할 수 없는 정보가 된다. 따라서, 상기 주기를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 상기 유효 기간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MAP 생성기(203)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 및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 판단은 상기 UL 제어영역들 전체 또는 상기 UL 제어영역들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생성 여부 판단이다.
반면, 상기 605단계에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할 주기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MAP 송신 이후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MAP이 몇 회 송신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송신 횟수가 상기 주기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주기는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이다.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주기가 아니면, 상기 MAP 생성기(203)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MAP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MAP 해독기(313)는 701단계에서 MAP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MAP이 수신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MAP에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은 Ranging 채널, CQI 채널, ACK 채널 및 Sounding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만일, 상기 수신된 MAP에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수신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로 수정한다.
반면, 상기 수신된 MAP에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수신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이전에 수신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사용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만일,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711 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에 저장된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삭제한다. 여기서,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은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명시하는 영역을 사용하지 않기 위함이다. 따라서, 삭제하는 절자 외에 단말 내에 이를 확인하는 플래그(Flag)를 지정하는 방법이나 또는 단말이 제어 정보 송신 시 상기 유효 기간을 매번 확인하여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신뢰성이 없음을 확인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MAP 해독기(313)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버스트 영역 정보를 확인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MAP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UL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MAP 메시지에는 상기 UL 제어영역 전체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UL 제어영역 전체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UL 제어영역 중 특정 영역(예 : Rainging 영역)의 할당정보만을 포함하는 MAP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기지국에서 MAP 정보를 생성할 때, 상향링크 제어 영역 별로 지시자를 두는 방법이 있다. 즉 초기 Ranging 영역을 포함한 상향링 크 제어 영역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각각의 MAP 정보의 CID 값을 상기 지시자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초기 Ranging 영역을 가리키는 정보의 CID를 "0000"으로 나타내어 송신하면, 상기 MAP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는 이후 상기 초기 Ranging 영역 정보는 새로운 정보가 올 때 까지 저장하라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기 Ranging 영역을 가리키는 정보의 CID를 "ffff"로 설정하는 경우, 이후 상기 초기 Ranging 영역 정보는 수신한 시점의 해당 프레임만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에서의 유효 기간 정보로써 CI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써, CID가 "0000"인 경우 유효 기간 정보는 다음 새로운 정보가 수신할 때까지의 프레임 구간을 가리키며, "ffff"인 경우의 유효 기간 정보는 하나의 프레임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방송 메시지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IEEE 802.16시스템의 경우 UCD(Uplink Channel Descript) 메시지에 하기 표 1과 같이 TLV를 추가하여 표현할 수 있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Ranging Region 212 5/10/15/20 For 5 bytes per each ranging method Bit #0~31, Allocation IE for UIUC = 12 in Table 287 Bit #32~35, Allocation Periodicity in 2^d Frames Bit #36~39, 4 LSB of Allocation Start Frame
Fast Feedback Region 210 5 Bit #0~31, Allocation IE for UIUC = 0 in Table 295a Bit #32~35, Allocation Periodicity in 2^d Frames Bit #36~39, 4 LSB of Allocation Start Frame
HARQ Ack Region 211 4 Bit #0~23, Allocation IE for UIUC = 11 with Type = 8 in Table 302t Bit #24~27, Periodicity in 2^d Frames Bit #28~31, 4 LSB of Allocation Start Frame
Sounding Region 213 5 Bit #0~31, Allocation IE for UIUC = 13 in Table 289 Bit #32~35, Periodicity in 2^d Frames Bit #36~39, 4 LSB of Allocation Start Frame
상기 표 1에서 각 TLV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표현하고 있다. IEEE802.16 시스템에서는 Ranging Method 마다 영역을 독립적으로 할당하므로 Ranging Region 관련 길이(Length)는 각 방법(method)마다 5byte씩 표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Value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표시하는 Bitmap,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 전송 주기를 표현하는 Bitmap, 그리고 해당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 기준 프레임 오프셋(frame offset)을 표현하는 Bitmap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은 동시에 UL MAP으로도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에서는 UCD에서의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와 MAP에서의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상이할 경우에는 둘 중에 우선 순위가 있는 정보를 해당 정보로 판단한다. 우선 순위는 UCD 내의 값이 될 수도 있고, UL MAP에서 표현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될 수 도 있다. UCD에 해당 TLV 가 없는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MAP에 있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메시지를 이용하면 IEEE802.16 시스템의 MAP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함으로써 DL 트래픽(traffic) 용량 증대 효과가 발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UCD와 UL MAP의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충돌하는 경우, 상기 UL MAP에 우선 순위를 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801단계에서 수신된 프레임에서 MAP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MAP이 존재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MAP의 CRC(Cyclic Redanduncy Checking)를 수행하여 MAP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MAP이 정상이 아니라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AP이 올바로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프레임 동안에 단말이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MAP이 정상이라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AP에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변경한다.
이후, 상기 MAP 해독기(313)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803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MAP 해독기(303)는 813단계에서 UCD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UCD에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MAP 해독기(313)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UCD에 존재하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MAP 해독기(313)는 81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의 MAP IE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MAP 해독기(313)는 본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송 신되는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중, 특정 영역의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31)

  1.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러의 판단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들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하여 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소정 주기마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된 시점부터 소정 횟수 연속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생성기는,
    상기 스케줄러에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생성기는,
    상기 스케줄러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 생성시, 상기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유효 기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생성기로부터의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자원에 매핑하는 자원 매핑기와,
    상기 자원 매핑기로부터의 자원 매핑된 데이터를 OFDM(Orth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하는 OFDM 변조기와,
    상기 OFDM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해독부와,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해독부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로 수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해독부는,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유효 기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폐기하고,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면,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영역들 전체 혹은 일부 영역에 대하여 할당정보의 생성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 주기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자원 할당 스케줄을 참조하여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변경된 시점부터 소정 횟수 연속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 할당정보 생성 시, 상기 제어영역 할당정보의 유효 기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폐기하는 과정과,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기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저장된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지 않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할당정보가 존재하면,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영역정보 및 상기 영역정보의 전종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메시지를 단말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은 레인징(ranging)영역, 빠른피드백(fastfeedback) 영역, HARQ 응답 영역, 사운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상기 영역정보가 적용되는 시작 프레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소정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메시지를 해독하여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영역정보 및 상기 영역정보의 전종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은 레인징(ranging)영역, 빠른피드백(fastfeedback) 영역, HARQ 응답 영역, 사운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상기 영역정보가 적용되는 시작 프레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맵 정보를 해독하여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할당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할당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영역 의 할당정보와 상기 방송 메시지로부터 획득된 영역정보 중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에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영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맵 정보로부터 상향링크 제어영역의 할당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66545A 2006-07-07 2006-07-14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4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8208.5A EP3554171B1 (en) 2006-07-07 2007-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7270156A AU2007270156B2 (en) 2006-07-07 2007-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518003A JP5008724B2 (ja) 2006-07-07 2007-07-06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り当て情報メッセージ量を減少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MYPI20090055A MY154511A (en) 2006-07-07 2007-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asing of the volume of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massage in a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RPI0713858 BRPI0713858B1 (pt) 2006-07-07 2007-07-06 métodos para operação de uma estação base e de uma estação móvel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e a referida estação móvel
CN2007800258365A CN101490979B (zh) 2006-07-07 2007-07-06 宽带无线通信系统中减少资源分配信息消息量的装置和方法
RU2009104064/09A RU2413366C2 (ru) 2006-07-07 2007-07-06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бъема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сообщения о распределении ресурсов в широкополосной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PCT/KR2007/003305 WO2008004845A1 (en) 2006-07-07 2007-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7013314.5A EP1876768B1 (en) 2006-07-07 2007-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655714A CA2655714C (en) 2006-07-07 2007-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74,923 US9088980B2 (en) 2006-07-07 2007-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2121782A JP5249448B2 (ja) 2006-07-07 2012-05-29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り当て情報メッセージ量を減少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4/803,935 US10770419B2 (en) 2006-07-07 2015-07-20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282,882 US10763233B2 (en) 2006-07-07 2019-02-22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4126 2006-07-07
KR1020060064126 2006-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36A true KR20080005036A (ko) 2008-01-10
KR100941052B1 KR100941052B1 (ko) 2010-02-05

Family

ID=3921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545A KR100941052B1 (ko) 2006-07-07 2006-07-14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2) JP5008724B2 (ko)
KR (1) KR100941052B1 (ko)
CN (1) CN101490979B (ko)
AU (1) AU2007270156B2 (ko)
BR (1) BRPI0713858B1 (ko)
CA (1) CA2655714C (ko)
MY (2) MY156686A (ko)
RU (1) RU2413366C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675A (ko) * 2009-01-28 201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40859A2 (ko) * 2009-06-03 2010-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248994B2 (en) 2007-09-20 2012-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region to reduce map overhead
WO2013125930A1 (ko) * 2012-02-26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81034B1 (ko) * 2008-02-14 201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322A (ko) 2008-07-15 2010-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포맷의 메시지를 이용한 대역 요청 방법
US8560696B2 (en) * 2009-04-28 2013-10-15 Intel Corporation Transmission of advanced-MAP information elements in mobile networks
WO2015169360A1 (en) 2014-05-08 2015-11-12 Huawei Technologies Co.,Ltd Network device for joint decoding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6492A1 (de) * 1999-11-24 2001-05-31 Siemens Ag Verfahren zum Abbilden von Formatkennungs-Bits auf einen in einem Komprimiermodus zu sendenden Rahmen
EP1198908B1 (en) * 2000-06-12 201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ssigning an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747962B2 (en) 2000-10-10 2004-06-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uplink state flag (USF) with multiple uplink temporary block flows (TBFs)
KR20050048256A (ko) * 2003-11-19 2005-05-24 주식회사 포스코 양방향 배출 유로 슈트의 막힘 제거장치
US20060011129A1 (en) * 2004-07-14 2006-01-19 Atomic Energy Council -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Method for fabricating a compound semiconductor epitaxial wafer
WO2006043773A2 (en) * 2004-10-18 2006-04-27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n orthogon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ofdm access (of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09788B1 (ko) 2005-03-09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절차 수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8994B2 (en) 2007-09-20 2012-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region to reduce map overhead
US8649330B2 (en) 2007-09-20 2014-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region to reduce map overhead
US9084248B2 (en) 2007-09-20 2015-07-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area in wireless access system
KR101481034B1 (ko) * 2008-02-14 201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KR20100087675A (ko) * 2009-01-28 201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40859A2 (ko) * 2009-06-03 2010-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140859A3 (ko) * 2009-06-03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982813B2 (en) 2009-06-03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WO2013125930A1 (ko) * 2012-02-26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61779B2 (en) 2012-02-26 2016-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70152A (ja) 2012-09-06
JP5249448B2 (ja) 2013-07-31
MY156686A (en) 2016-03-15
CN101490979A (zh) 2009-07-22
KR100941052B1 (ko) 2010-02-05
JP5008724B2 (ja) 2012-08-22
RU2009104064A (ru) 2010-08-20
AU2007270156A1 (en) 2008-01-10
AU2007270156B2 (en) 2010-10-21
BRPI0713858B1 (pt) 2019-12-03
CA2655714C (en) 2014-05-13
JP2009543429A (ja) 2009-12-03
CA2655714A1 (en) 2008-01-10
MY154511A (en) 2015-06-30
CN101490979B (zh) 2013-09-04
RU2413366C2 (ru) 201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550B1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US107632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99383B1 (ko) 중계국을 통한 레인징 수행 방법 및 그 지원 방법
US201600446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signaling using time-frequency resources
JP5249448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り当て情報メッセージ量を減少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46434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정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043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172126B1 (ko)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EP18768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system
KR101674007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위한 레인징 방법 및 장치
KR10095157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0801869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frame structure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103382A (ko)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맵 구조를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38305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채널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90232072A1 (en) Resource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32825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80099580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맵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00053089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할당된 자원을 변경 및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