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98U - 이침구 - Google Patents

이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98U
KR20080004898U KR2020070006581U KR20070006581U KR20080004898U KR 20080004898 U KR20080004898 U KR 20080004898U KR 2020070006581 U KR2020070006581 U KR 2020070006581U KR 20070006581 U KR20070006581 U KR 20070006581U KR 20080004898 U KR20080004898 U KR 200800048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dhesive
ball
adhesive sheet
adhes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최종선
김종희
정용준
Original Assignee
김경일
김종희
정용준
최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김종희, 정용준, 최종선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20070006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898U/ko
Publication of KR20080004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7Ears

Abstract

본 고안은 이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귀에 부착하는 이침구로서, 상면에 복수의 절단홈(11)이 교차형성되어 다이아몬드 형상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격자 내에 원통형상의 삽입홈(13)이 형성된 다이아몬드 형상의 접착판(10)과; 상기 접착판(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20)와; 상기 접착시트(20)의 하면에 접착되되 상기 접착판(10)의 삽입홈(13)에 삽입되는 이침볼(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접착판 및 접착시트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복수의 이침볼을 수납할 수 있고, 접착판의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접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이침볼의 형상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침구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침구, 이침, 이침볼, 접착

Description

이침구{Ear stimulation ball}
도 1은 종래의 이침구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이침구의 다른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침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침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착판 11: 절단홈
12: 돌기 13: 삽입홈
20: 접착시트 21: 이침볼
22: 절단선
본 고안은 이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판 및 접착시트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복수의 이침볼을 수납할 수 있고, 접착판의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접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이침볼의 형상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침구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침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체의 귀에는 인체의 기혈이 흐르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경락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경락은 인체의 영양과 면역을 담당하고, 기혈의 순환경로가 되며 내부장기와 연결되어 있어서 만일 경락에 병변이 발생하면 인체의 기혈 순환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때 귀의 특정한 경혈에 침을 놓아 자극을 주게되면, 내부의 장부와 전신에 그 반응이 미치게 되어 질병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체의 귀는 내장기관과 사지(四肢), 내분비의 조절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 몸의 모든 부분은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데, 몸의 내부장기와 신체가 몸의 일부에 집중으로 반영되어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을 기본으로 한 반사요법(Reflexology) 중의 하나인 이침은 귀에 인체의 장부와 신체가 모두 담겨져 있다고 보고, 치료하고 싶은 자리에 침을 자입하고 테이프로 붙여 두고, 하루에 몇차례 손으로 자극을 줘서 침을 계속 맞는 효과를 보는 신침요법이다.
특히, 이침은 식욕을 억제시키고 뇌의 만복중추를 자극하며, 내분비 기능을 활성화시켜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와 진정, 이뇨 등의 효과가 있어 칼로리 섭취의 감소효과, 수분나트륨대사 개선작용, 위장관 활동을 약화시켜 식후 소화속도 를 지연시키는 등의 효과를 준다.
직접 침을 놓는 방법으로는, 압침요법, 자석요법, 사혈법, 맛사지법, 압환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압침요법과 사혈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여기서, 압침요법이란 반창고에 작은 침이 붙어있어 "T"자 형상의 침을 귀의 혈 자리에 붙이는 방법으로, 제일 간편하고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 방법은 현재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도 제일 많이 이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반인도 가정이나 직장에서 손쉽게 활용하고 있어 마치 우리나라의 수지침처럼 전 세계인이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침요법 방식의 이침구는 뾰족한 침을 시술 부위에 찌른 상태로 부착하기 때문에 통증이 뒤따르고, 시술이 끝난 후 상처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처부위에 염증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침은 피부를 관통하여 상처를 낸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되고, 또 접착부재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땀의 배출을 차단하기 때문에 습해져 병원균의 서식공간을 제공해 줌에 따라 침이 관통된 상처 부위를 통해 병원균이 침투하여 염증이나 다른 질병을 일으키거나 이물감과 같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이침구로는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922호(2004년 1월 16일자) 및 동공보 제20-0414787호(2006 년 4월 25일자)에 개량된 종래의 이침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침구는 접착판의 절단선을 기준으로 3열 10행으로 이루어져 접착판에 이침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량에 한계가 있었고, 접착부재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탈부착시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판과 접착부재 사이의 접착면적이 넓어서 장시간 접착을 유지할 경우, 접착판과 접착부재 사이의 접착제층이 손상되거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이침볼의 소재와 형상이 다양하지 못하여 이침구의 효능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접착판 및 접착시트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복수의 이침볼을 수납할 수 있고, 접착판의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접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이침볼의 형상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침구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귀에 부착하는 이침구로서, 상면에 복수의 절단홈(11)이 교차형성되어 다이아몬드 형상의 격자가 형성되 고, 상기 격자 내에 원통형상의 삽입홈(13)이 형성된 다이아몬드 형상의 접착판(10)과; 상기 접착판(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20)와; 상기 접착시트(20)의 하면에 접착되되 상기 접착판(10)의 삽입홈(13)에 삽입되는 이침볼(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판(10)은 상면에 복수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접착시트(20)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침볼(21)은 게르마늄(Ge)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절삭가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침볼(21)은 토르말린(tourmaline)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절삭가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침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침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침구는, 접착판(10), 접착시트(20) 및 이침볼(21)로 이루어져 인체의 귀에 부착되어 귀에 형성된 신체 장기를 활성화시키는 반응구역과 반응점을 자극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침구이다.
접착판(10)은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평판형태로 성형한 판재로서, 상면에 는 "V"형상 또는 "∪"형상 등과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절단홈(11)이 교차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판(10)의 격자 내에는 원통형상의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이침볼(21)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격자형상은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이몬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판(10)의 격자가 5열 6행으로 형성되어 30개의 이침볼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시트(20)는 접착판(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면에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판(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접착시트(20)의 소재로는 면섬유 또는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밴드 타입으로 제작하거나 면시트나 비닐시트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시트을 사용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접착시트(20)와 접착판(10)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착판(10)은 상면에 복수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의 형상은 미세한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돌기로 형성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접착시트(20)의 접착판(10)과의 탈부착에 의한 접착력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접착시트의 접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접착시트(20)에는 접착판(10)의 절단홈(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점선형태의 절단선(22)이 형성되어 접착시트(2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판(10)에 접착시트(20)를 부착한 상태에서 절단선(22)을 따라서 칼이나 손톱 등과 같이 날카로운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접착시트(20)를 절단하여 각각 이침구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침볼(21)은 상기 접착시트(20)의 하면에 접착되되 상기 접착판(10)의 삽입홈(13)에 삽입되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침볼(21)은 게르마늄(Ge)이나 토르말린(tourmaline)을 구형상의 볼로 절삭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침볼(21)은 종래의 황토나 세라믹을 소결가공하여 볼형태로 제작한 이침볼 보다 가공이 용이하고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침볼의 재료인 게르마늄(Ge)은, 산소공급작용, 음이온 효과, 인체 면연력 강화작용, 인터페론 생성유도작용, 엔돌핀 생성촉진작용, 통증제거작용, 제독작용 및 체내 중금속 배출작용, 자연 치유력 증강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인체에 유익한 물질로서 이침볼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르말린(tourmaline)은, 마찰에 의해 전기가 생기며, 가열하면 양끝이 양 ·음으로 대전하기 때문에 통상 전기석이라고 하며, 화학성분은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이다. 대개는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 주상(柱狀)을 이루며, 주(柱)의 상하에서 결정형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토르말린의 효능으로는 원적외산 방사, 음이온 발생, 항균, 탈취, 온열작용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토르말린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로서 이침볼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침볼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원뿔 형상, 사각뿔 형상, 오각뿔 형상 등 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뿔형상의 밑면을 접착시트(20)에 접착하여 사용하면 볼형상의 이침볼 보다 접착면적이 확장되므로, 이침볼(21)과 접착시트(20)와의 접착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접착판 및 접착시트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복수의 이침볼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착판의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시트의 접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이침볼의 형상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침구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인체의 귀에 부착하는 이침구로서,
    상면에 복수의 절단홈(11)이 교차형성되어 다이아몬드 형상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격자 내에 원통형상의 삽입홈(13)이 형성된 다이아몬드 형상의 접착판(10)과;
    상기 접착판(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20)와;
    상기 접착시트(20)의 하면에 접착되되 상기 접착판(10)의 삽입홈(13)에 삽입되는 이침볼(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판(10)은 상면에 복수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접착시트(20)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침볼(21)은 게르마늄(Ge)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절삭가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침볼(21)은 토르말린(tourmaline)을 구형상이나 뿔형상으로 절삭가공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침구.
KR2020070006581U 2007-04-20 2007-04-20 이침구 KR200800048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81U KR20080004898U (ko) 2007-04-20 2007-04-20 이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81U KR20080004898U (ko) 2007-04-20 2007-04-20 이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98U true KR20080004898U (ko) 2008-10-23

Family

ID=4150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581U KR20080004898U (ko) 2007-04-20 2007-04-20 이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89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35A (ko) * 2016-10-05 2018-04-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홀 가공 방법
KR101995669B1 (ko) * 2018-05-23 2019-10-01 김정란 혈패치용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35A (ko) * 2016-10-05 2018-04-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홀 가공 방법
KR101995669B1 (ko) * 2018-05-23 2019-10-01 김정란 혈패치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239B1 (ko) 경혈 자극용 귀걸이
JP2010529881A (ja) 眼マッサージ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72215Y1 (ko) 착탈식 경혈 지압구
KR200487759Y1 (ko) 기능성 건강 실리콘 패치
KR20090006287U (ko) 기능성 수지 자석이 구비된 복합 기능 건강 밴드
KR20080004898U (ko) 이침구
KR100728155B1 (ko) 쑥뜸 패드
CN206081057U (zh) 一种能量辅助治疗即贴型针灸针
KR102202094B1 (ko) 장식부의 교체가 가능한 이침
KR200415603Y1 (ko) 마사지용 접시
KR200490232Y1 (ko) 자기 밴드
KR200338922Y1 (ko) 이침구
CN202233187U (zh) 一种保健腰带
CN213219076U (zh) 一种按摩指环
JP3155819U (ja) 足裏貼着用加圧治療具
KR20100010472U (ko) 귀부분 경혈 자극용 귀걸이
KR20130005043A (ko) 착탈식 경혈 지압구
CN201663942U (zh) 一种围巾
KR200433729Y1 (ko) 혈자리 자극형 안대
KR200234594Y1 (ko) 수지용 지압구
JP3104409U (ja) 健康刺激体
CN2621727Y (zh) 磁扣
KR200192347Y1 (ko) 옥모자
CN2384632Y (zh) 防治近视弱视的药枕
KR101002728B1 (ko) N극 자기장을 인체에 발산하는 기능성 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