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26A -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 Google Patents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26A
KR20080004826A KR1020060063638A KR20060063638A KR20080004826A KR 20080004826 A KR20080004826 A KR 20080004826A KR 1020060063638 A KR1020060063638 A KR 1020060063638A KR 20060063638 A KR20060063638 A KR 20060063638A KR 20080004826 A KR20080004826 A KR 2008000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terminal
section information
section
multimedi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528B1 (ko
Inventor
한광록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5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Streaming) 방법 및 그 스트리밍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리밍을 받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Client)는 한 개 멀티미디어 파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만을 소정의 구간정보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서버(Server)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받을 수 있다. 반대로 스트리밍 서버도, 구간정보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요청에 대해, 자신이 보유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특정 구간만을 선택적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와 접속될 수 있는 통신환경에서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스트리밍에 따른 통신 자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원하는 구간만을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 클라이언트, 구간정보, P2P

Description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스트리밍 단말기{Multimedia Contents Streaming Method Using Section Information and Streaming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간정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한 개 멀티미디어 파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만을 소정의 구간정보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는,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스트리밍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특히 요즘에는 콘텐츠 공급자들의 저작권을 고려함으로 인해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사용자가 스트리밍 콘텐츠에 존재하는 정보를 보다 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다.
네트워크 기술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 그리고 콘텐츠 공급자들의 저작권 고려 문제로 인해 스트리밍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현재 서비스되는 스트리밍 기술은 애플(Apple)사의 퀵타임(Quicktime)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있지만, 'RealNetworks'사의 리얼미디어(RealMedia) 기술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WMT(Windows Media Technology)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처음부터 스트리밍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 추출해 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콘텐츠에 존재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추출하기를 원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개 멀티미디어 파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만을 소정의 구간정보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는,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스트리밍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은,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구분된 구간 중 하나에 대한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요청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구간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스트리밍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스트리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에서 생성되어 공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구간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구간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구간정보 검색을 위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해당 구간에 대한 설명 및 키워드(keywor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트리밍(streaming)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해 복수개의 구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정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스트리밍 요청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간정보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단말기는 통신인터페이스부, 저장매체 및 스트리밍 서버처리부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는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구분된 구간 중 하나에 대한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저장매체에는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된다.
스트리밍 서버처리부는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스트리밍 요청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상기 저장매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구간정보에 대응되는 구간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스트리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간정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트리밍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서버(Server) 역할을 수행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Client)의 요청에 따라 소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여 소정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스트리밍 단말기로서, 제1단말기(100)가 스트리밍 서버로서 역할하며, 제2단말기(200)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역할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를 기초로 설명한다. 다만, 제2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며, 제1단말기(100)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정확하게는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 중 상대방으로부터 스트리밍 요청을 받는 단말기가 서버가 되고, 스트리밍을 요청한 단말기가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다.
도 1은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가 P2P(Peer to Peer)방식으로 연결된 예를 보인 것이나, P2P 방식이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서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제1단말기(100) 또는 제2단말기(200)는 다수 개의 단말기와 P2P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는 제2단말기(200)에 대해 스트리밍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더라도, 임의의 제3단말기(미도시)에 대해서는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파일(File) 단위로 저장되며, 음성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은 전체 스트리밍 구간 중 특정 구간만을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인코딩(Encod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MV(Windows Media Video)나 ASF(Active Streamming Format)의 형식으로 인코딩된 콘텐츠가 여기에 해당한다.
제1단말기(100)는 자신이 보유한 파일(File) 단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소정 개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각 구간에 대한 구간 정보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인 제2단말기(200)에게 제공하여 공유하며, 구간 정보를 기초로 한 제2단말기(200)의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한 개 파일 단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대응되는 부분만을 제2단말기(200)로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구간정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파일 단위 멀티미디어 콘텐츠 a, b가 보인다.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a, b는 스트리밍 되는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도시된 것으로,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a의 전체가 스트리밍 된다고 할 경우, t=0에서 시작하여 c 시간(t=c)이 되면 스트리밍이 종료될 것이다.
콘텐츠 a는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있으며, 그 중 a-1 구간은 t1에서 시작하여 t2에서 종료되는 구간이다.
콘텐츠 b는 b-1 내지 b-9의 전체 9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구간의 구분은 제1단말기(100)의 사용자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콘텐츠 a가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 중 뉴스를 녹화하여 저장한 것이라고 하자. 이 중 특별히 a-1 구간은 스포츠 뉴스 또는 날씨 뉴스 부분이 해당할 수 있다. 콘텐츠 b가 영화 동영상 파일이라고 할 경우, 각 구간은 시나리오의 전개에 따라 임의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제1단말기(100)는 자신이 보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도 2와 같이 구분하고, 그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정보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연결 가능한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한다. 구간정보 파일은 각 구간별로 생성될 수도 있고, 한 개 멀티미디어 파일 단위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제1단말기(100)가 보유한 전체 멀티미디어 파일을 기초로 생성될 수도 있다.
구간정보 파일에 포함되는 구간정보는 자신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여 제2단말기(200)가 스트리밍 요청을 제1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간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과 그 구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하 '구간 식별자'라 함)를 포함한다. 또한, 구간정보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인 제2단말기가 해당 멀티미디어 구간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명과 검색을 위한 키워드(Keywor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정보는 구간 식별자를 대신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과 그 구간의 시작시간(예를 들어, t1)과 종료시간(예를 들어, 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단말기(200)는 제1단말기(100) 또는 다른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로부터 기 수신하여 보유하고 있는 구간정보 파일을 기초로, 스트리밍을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스트리밍 되도록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구간정보 파일에 포함된 구간정보를 기초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되고, 스트리밍 요청을 받은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가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제2단말기(200)가 제1단말기(100)로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함은 앞서 설명한 바이다.
제1단말기(100)는 메모리(101), 저장매체(103),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 통신인터페이스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는 각종 활성 및 비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제1단말기(100)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매체(103)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이 해당하며, 스트리밍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입력부(111)와,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113)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130)는 제2단말기(200)와 소정의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150)가 출력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2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1단말기(100)는 제2단말기(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와 P2P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인터페이스부(130)은 이러한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스트리밍 서버처리부(151)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153)를 포함하며, 제1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다만, 스트리밍 클라이 언트처리부(153)는 스트리밍 서버로 동작하는 제1단말기(100)에 있어 필수 구성은 아니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제2단말기(200)를 통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는 각각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1단말기(100)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153)가 주로 동작하게 된다.
스트리밍 서버처리부(151)는 저장매체(103)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소정 개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구간정보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간정보 파일을 통신인터페이스부(130)을 통해 제2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간정보 파일은 입력부(111)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명령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처리부(151)는 소정 구간정보에 포함된 구간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정보'를 제2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구간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해당 파일의 존재여부에 대한 '응답'을 통신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2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스트리밍 서버처리부(151)가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이유는 해당 파일이 구간정보 파일 생성 이후에 삭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서버처리부(151)는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2단말기(200)로부터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구간을 통신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2단말기(200)로 스트리밍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응답 없이 해당 멀티미디어 구간을 바로 스트리밍할 수 있으나, 제2단말기(200)로 하여금 스트리밍 데이터의 수신 및 버퍼링을 위한 기본작업의 준비를 위해 응답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콘텐츠 요청정보는 구간 식별자를 대신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과 그 구간의 시작시간(예를 들어, t1)과 종료시간(예를 들어, 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단말기(200)는 제2메모리(201), 제2저장매체(203), 제2사용자인터페이스부(210),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 및 제2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2단말기의 구성 중 제2메모리(201), 제2저장매체(203), 제2사용자인터페이스부(210) 및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는 제1단말기(100)의 메모리(101), 저장매체(103),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 및 통신인터페이스부(130)에 대응되며,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2단말기(200)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므로, 제2제어부(250) 중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제1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구간정보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매체(103)에 저장한다.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제2입력부(211)를 통한 사용자의 구간정보 표시명령에 따라, 제1단말기(100)나 다른 스트리밍 서버들로부터 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구간정보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구간정보 파일에 포함된 구간정보의 리스트를 제2표시부(213)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제2표시부(213)를 통해 표시된 구간정보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제2입력부(211)를 통해 수신하면, 선택된 구간정보에 포함된 구간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정보'를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는 콘텐츠 요청정보와 함께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로부터 전달받은 제1단말기(100)의 IP 주소나 URL을 이용하여 제1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구간정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구간에 대한 설명을 제2표시부(2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멀티미디어 구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구간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구간의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2표시부(2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제1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응답을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해당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구간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제2통신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2스트리밍 클라이언트처리부(253)는 제1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표시부(213)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P2P 환경에서 각 단말기가 각자 생성한 구간정보 파일을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는 일부 단말기는 원하는 멀티미디어 구간에 대한 구간정보 파일을 수신하여 공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중앙 서버가 각 단말기에서 생성된 구간정보 파일을 전송받아 모두 저장하고 있다면, 각 단말기는 중앙 서버에 접속하여 구간정보 파일을 검색하여 원하는 멀티미디어 구간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물론 실제적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은 단말기간 P2P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한다.
제1단말기(100)는 저장매체(103)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구간정보 파일을 생성하여(S401), 다른 단말기 즉, 제2단말기(200)에 전송함으로써 공유한다(S403).
제2단말기(200)는 제1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구간정보 파일을 저장한다(S405).
역시 제2단말기(200)도 제1단말기(100)와 같이 자신이 보유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구간정보 파일을 생성하여 제1단말기(100)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제2단말기(200)는 제2입력부(2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구간정보의 리스트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보유한 구간정보 파일을 검색하고, 구간정보 파일의 구간정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구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거나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스트리밍을 원하는 멀티미디어 구간을 선택받는다(S407).
제2단말기(200)는 제1단말기(100)로 구간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이로써, 제1단말기(100)는 스트리밍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S409).
제1단말기(100)는 제2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구간 식별자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S411), 그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한다(S413).
제2단말기(200)는 제1단말기(1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그 응답이 스트리밍 가능하다는 것인지 판단하여(S415), 스트리밍 가능하다는 것이면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17).
제1단말기(100)는 제2단말기(200)로부터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구간 식별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구간을 추출하여(S419), 제2단말기(200)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한다(S421).
제2단말기(200)는 제1단말기(100)로부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하면서 스트리밍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형태(즉, 음성 또는 영상)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423).
이상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단말기의 스트리밍 방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적 디스크, 하드(Hard)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 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Streaming) 단말기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스트리밍 하거나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특히, 스트리밍 단말기는 P2P(Peer to Peer) 환경에서 구간별로 스트리밍 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인터넷 패킷(Packet)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P2P 패킷의 점유율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간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구간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구간정보를 기 보유하고 있지 않은 스트리밍 서버라도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만을 보유하고 있다면 재생구간별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구분된 구간 정보를 별도의 중앙 서버에서 관리한다면,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매우 쉽게 추출 할 수 있고, 이 정보를 P2P 환경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많은 접속자 및 데이터량으로 인한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구분된 구간 중 하나에 대한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요청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구간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스트리밍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스트리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에서 생성되어 공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구간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구간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구간정보 검색을 위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해당 구간에 대한 설명 및 키워드(keywor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리밍(streaming)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해 복수개의 구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정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스트리밍 요청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간정보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8.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구분된 구간 중 하나에 대한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요청정보를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스트리밍 요청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상기 저장매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구간정보에 대응되는 구간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 서버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리밍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스트리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에서 생성되어 공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의 재생 구간별 스트리밍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름,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구간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구간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복수개의 구간정보 중에서 해당 구간정보를 검색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해당 구간에 대한 설명 및 키워드(keywor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단말기.
KR1020060063638A 2006-07-06 2006-07-06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KR10083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38A KR100835528B1 (ko) 2006-07-06 2006-07-06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38A KR100835528B1 (ko) 2006-07-06 2006-07-06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26A true KR20080004826A (ko) 2008-01-10
KR100835528B1 KR100835528B1 (ko) 2008-06-04

Family

ID=3921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638A KR100835528B1 (ko) 2006-07-06 2006-07-06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9547A1 (en) * 2012-02-06 2013-08-21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delivery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delivery method
KR101424284B1 (ko) * 2008-06-13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 방송 수신기와 그에 따른 아이피 방송 프로그램의일부 구간 재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9792B2 (ja) * 2001-06-22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295568A (ja) * 2003-03-27 2004-10-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92567B1 (ko) * 2003-05-13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http 기반 비디오 스트리밍 장치및 방법
KR20040073402A (ko) * 2004-03-02 2004-08-19 양영민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284B1 (ko) * 2008-06-13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 방송 수신기와 그에 따른 아이피 방송 프로그램의일부 구간 재생방법
EP2629547A1 (en) * 2012-02-06 2013-08-21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delivery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deliver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528B1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101B2 (en) Streaming of segmented content
US79965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event information to a client
RU25974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способ приема,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рограмма и система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передачи
US8135844B2 (en) Content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20060178A1 (en) Continuable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inuable communication managing method
US20120303705A1 (en) Contents simultaneous playback terminal, the sam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20119497A (ja) 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セグメント化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EP2515537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playback terminal and content delivery method
JP2008520029A (ja) コンテンツを追跡する方法、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
US201102582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210021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usic on mobile devices
JP2011082977A (ja) P2p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送受信方法
JP5347759B2 (ja) 継承通信管理装置
JP5815136B2 (ja) 同期配信サーバ
US8082326B2 (en) Server and server program
EP3160101B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WO2009097002A1 (en) Improved data sharing
KR100835528B1 (ko)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CN111225248B (zh) 点播内容的管理方法及内容分发网络点播服务器
US10298984B2 (en) Network PVR
WO2008013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display of grouped multiple independent contents
US20110246628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030046817A (ko) 예약분산전송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방법
KR101703963B1 (ko) 캐시 서버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5085146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