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676U -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676U
KR20080004676U KR2020070006027U KR20070006027U KR20080004676U KR 20080004676 U KR20080004676 U KR 20080004676U KR 2020070006027 U KR2020070006027 U KR 2020070006027U KR 20070006027 U KR20070006027 U KR 20070006027U KR 20080004676 U KR20080004676 U KR 200800046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ll
signal
user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재현
Original Assignee
송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현 filed Critical 송재현
Priority to KR2020070006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676U/en
Publication of KR20080004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7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탕(사우나) 등과 같이 휴대전화기를 소지함이 불가능하거나 소음의 발생으로 인해 휴대전화기의 전화수신상태를 인식할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 개인의 휴대전화기으로 전화/메세지가 수신되는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비즈니스 상 놓칠 수 없는 전화통화를 가능케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ceiving a call signal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in a place where it is impossible to carry a mobile phone such as a bath (sauna) or when a telephone recep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cannot be recognized due to noi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grasp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ll / message received by a mobile phone and enables a phone call that cannot be missed in business.

본 고안에 따르면, 개인의 휴대전화기를 소지할 수 없는 목욕탕 등과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휴대전화기로 전화/메세지가 수신됨을 알려주도록 하는 통상의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람장치에 있어서, 개인의 휴대전화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그로부터 발생된 착신신호를 신호로 구분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내부에 개별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및 홍보효과를 함께 거두기 위한 보관함과; 그리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문자로 변환 표시함으로, 이용객이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직접 소지하지 않고도 전화/메세지 수신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oming call alarm devic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for notifying a user of a telephone / message is received in his cell phone at a place such as a bathhouse where a personal cellular phone cannot be carried. A cradle configured to be mounted and to transmit an incoming signal generated therefrom as a signal;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radle individually and having an advertisement and a promotion effect together; And, by converting and display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radle to the character, the output monitor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telephone / message reception without having to carry his own mobile phone direct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휴대전화기, 전화통화, 보관함, 거치대, 착신신호, 알림장치, 진동, 센서, 출력모니터 Mobile Phone, Telephone Call, Storage Box, Cradl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Vibration, Sensor, Output Monitor

Description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for mobile phone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사우나에서의 휴대전화기 수신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블럭도1 is a schematic system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ystem in a saun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사우나에서의 휴대전화기 수신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 거치대 및 휴대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holder and a portable receiving device in the mobil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ystem in the sauna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거치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cradle in th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보관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box in the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메세지가 표현된 출력모니터를 나타낸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n output monitor in which a message is expressed in th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블럭도.Figure 6 is a schematic system block diagram of an 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A : 알림장치, 1 : 거치대, 2 : 보관함A: notification device, 1: cradle, 2: storage box

2a : 내부공간, 2-1 : 통화수단, 2-11 : 탄성코일줄2a: internal space, 2-1: means of communication, 2-11: elastic coil

2-12 : 이어마이크, 2-12a : 이어폰, 2-12b : 마이크2-12: Ear microphone, 2-12a: Earphone, 2-12b: Microphone

2-13 : 통화연결버튼, 3 : 출력모니터, 11 : 지지몸체2-13: call connection button, 3: output monitor, 11: support body

11a : 고정편, 12 : 진동센서, 13 : 음파센서11a: fixed piece, 12: vibration sensor, 13: sound wave sensor

14 : 주회로기판, 21 : 함본체, 21a : 걸이구14: main circuit board, 21: the main body, 21a: hook

22 : 개폐덮개, 22a : 식별번호, 31 : 착신출력부22: opening and closing cover, 22a: identification number, 31: incoming call output

32 : 스피커, 111 : 전원공급선, 112 : 신호송출선32: speaker, 111: power supply line, 112: signal transmission line

113 : 충전잭, 114 : 통화연결선, 114a : 이어폰잭113: charging jack, 114: call connection line, 114a: earphone jack

221 : 로킹수단, 222 : 광고부, 223 : 문구기재부221: locking means, 222: advertising unit, 223: stationery base

311 : 제1표시부, 312 : 제2표시부, 500 : 목욕탕311: first display unit, 312: second display unit, 500: bathroom

501 : 로비, 501a : 테이블, 502 : 목욕실501: Lobby, 501a: Table, 502: Bath Room

503 : 개인사물함503: personal locker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탕(사우나) 등과 같이 휴대전화기를 소지함이 불가능하거나 소음의 발생으로 인해 휴대전화기의 전화수신상태를 인식할 수 없는 장소에서 이용객 개인의 휴대전화기으로 전화/메세지가 수신되는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비즈니스 상 놓칠 수 없는 전화통화를 가능케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ceiving a call signal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in a place where it is impossible to carry a mobile phone such as a bath (sauna) or when a telephone recep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cannot be recognized due to noi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grasp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ll / message by using a mobile phone of the user and enables a phone call that cannot be missed in business.

휴대전화기(携帶電話機, Portable telephone)라 함은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면서 걸고 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인 전자기기로써, 그 특성상 대부분의 것들이 수분(水分, 물기)의 접촉에 의해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목욕탕(사우나, 찜질방)이나 수영장 등과 같이 물을 이용하는 시설 내에서는 개인이 직접 소지함이 쉽지 않아 물품보관을 위한 개인라커에 옷가지와 함께 별도로 보관함이 일반적이다.A portable telephon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a user can carry and receive, and most of them can be fatally damaged by contact with moisture. Therefore, in a facility using water such as a bath (sauna, jjimjilbang) or a swimming pool, it is not easy for an individual to carry it directly, so it is generally stored separately with clothes in a personal locker for storing goods.

아울러, 기밀유지와 같은 보안을 요하는 특정기업의 연구실 등과 같은 시설 내 역시도 사진촬영이나 음성녹음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발휘하는 휴대전화기를 개인이 소지할 수 없는 장소, 또는 주파수 송신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의료장비가 마련된 병원 내에는 전파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어 휴대전화기를 개인이 소지한다 하더라도 전화통화가 불가능하다.In addition, in a facility such as a laboratory of a specific company that requires security such as confidentiality, it may also cause malfunction by a place where an individual cannot carry a mobile phone that exhibits a multimedia function capable of taking a picture or recording voice or by transmitting a frequency. In the hospital where medical equipment is provided, a radio circuit breaker is installed, so even if an individual possesses a mobile phone, telephone calls are not possible.

때문에, 사우나 또는 보안유지시설이나 병원 등과 같이, 휴대전화기의 소지불가 및 전파수신이 불가능한 장소에서의 전화통화가 불가능함에 따라, 시시때때로 휴대전화기를 이용하여 업무에 관련된 된 전화통화를 실시하는 비즈니스맨들이 기업이나 개인적으로 중요한 전화를 놓치게 되어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감내하여야만 했다.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make a phone call in a place where a mobile phone is not available or a radio wave cannot be received, such as a sauna or a security maintenance facility or a hospital. The company missed important calls, both personally and personally, and had to deal with serious problems that caused huge losses.

상술한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69588호에서는, 휴대전화기를 휴대할 수 없는 장소에서 전화가 걸려옴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도록 하는 사우나에서의 휴대전화기 수신 알림 시스템이 제공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69588 discloses a mobil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ystem in a sauna that informs a user that a call is made from a place where the mobile phone cannot be carried. Has been provided.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사우나에서의 휴대전화기 수신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블럭도이고,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사우나에서의 휴대전화기 수신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 거치대 및 휴대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system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ystem in a sau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mobil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ystem in a sauna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holder and a portable receiver Is a perspective view.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우나에서의 휴대전화기 수신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전화기(5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개인부스(100)내에 장착되면서 수신신호를 검출하도록 하는 수신신호검출부(210)와, 상기 수신신호검출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다음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중앙처리장치(220)와, 중앙처리장치(220)로부터 전달받은 수신신호를 RF방식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안테나(233)가 구비된 송신부(230)와, 상기 각 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부(240)가 구비된 전화기거치대(200)와 상기 송신부(230)의 안테나(233)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또 다른 안테나(311)가 구비된 수신부(310)와, 상기 수신부(310)에 수신된 신호에 의해 출력부(330)의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20)와, 제어부(320)의 신호를 통해 작동하여 휴대전화기(500)가 수신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출력부(330)와, 상기 각 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배터리(340)가 구비된 휴대용 수신장치(300)로 구성되되, 상기 전화기거치대(200)의 수신신호검출부(210)에는 휴대전화기(500)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진동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 및 액정화면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도록 하는 빛검출센서(212)가 더 구비결합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ystem in the sauna, the reception signal detection unit 210 is mounted in the personal booth 100 so as to mount the user's mobile phone 500 to detect the received signal ),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signal detection unit 210 to control the next operation,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in an RF metho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base 200 and the antenna 233 of the transmitter 230 having a transmitter 230 and a power supply 2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spective units. A receiving unit 310 provided with another antenna 311, a control unit 320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output unit 330 by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310, and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320. Works through And a portable receiver 300 having an output unit 330 for informing a user that the telephone telephone 500 is received, and a small battery 340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respective units. The reception signal detection unit 210 of the 200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mobile phone 500 and a light detection sensor 212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CD screen. Combined.

그에 의하면, 사우나 등과 같은 장소에서 휴대전화기(500)를 직접 소지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게 되는 상기 수신장치(300)를 통하여 자신의 휴대전화기(500)로 전화(또는 메세지)가 수신됨을 놓치지 않을 수는 있으나, 그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휴대전화기(500)의 거치를 위한 상기 전화기거치대(200)는 물론 전화/메세지의 수신 알림을 위한 수신장치(300) 그리고 RF방식을 위한 다수의 안테나(233)(311) 등이 그들에 각각 더 구비결합되어야 하는 관계로, 복잡한 장치구성의 조합에 따른 제품 제작기간의 장기화 및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투자비용대비 사업현실화가 불균형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him, a telephone (or a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500 through the receiver 300 which the user wears on the wrist without directly carrying the mobile phone 500 in a place such as a sauna. Although it may not be, to achieve such an object, the telephone base 200 for th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500, as well as the receiving device 300 for notification of reception of the phone / message and a plurality of antennas for RF ( 233) (311) and the like should be further included in each of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lization of the investment compared to the investment cost due to the prolongation of the product manufacturing period and the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mplex device configuration.

그리고, 상기한 RF(無線周波數/무선주파수, Radio Frequency : 사람이 청취할 수 있는 9kHz에서부터 수천GHz까지의 주파수)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다수의 안테나(233)(311)를 상기 전화기거치대(200) 및 수신장치(300) 내에 더 장착하여야 함과 아울러, 그들의 무선수신을 위한 주파수 사용에 따른 무선국 허가증이 필요하고도 매년 전파관리소로부터 검사필을 승인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In addition, by adopting the above-described RF (Radio Frequency: Radio Frequency: Frequency from 9 kHz to thousands of GHz for human hearing) system, a plurality of antennas 233 and 311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stand 200. 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in the receiver 300 and the receiving device 300, there has been a hassle of needing to be inspected by the radio station every year even if a radio station permi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use of a frequency for radio reception.

또한, 상기 전화기거치대(2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상기 수신장치(300)를 사용자가 손목에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성이 있으며,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상기 수신장치(300)를 분실하거나 그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함과 같은 소모품 구매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폐단이 야기되어 왔다.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wear the receiving device 300 to receive a signal detected from the telephone cradle 200 on his or her wrist, and the receiving device 300 is lost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Discontinuance has resulted in the additional cost of purchasing consumables, such as the need for periodic replacement of batteries for opera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전 화기의 전화/메세지 수신 알림을 위한 수신장치를 이용객이 별도로 착용하지 않고도 실내에 설치되는 출력모니터의 착신출력부 및 스피커에 의해 착신상태를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전화기를 거치고정하게 되는 거치대와 출력모니터를 유선으로 직접 연결함으로써 RF방식에 의한 주파수 사용에 따른 전파관리소로부터의 무선국 허가와 같은 불필요한 승인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간단히 실시가능하게 한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the incoming output unit and the speaker of the output monitor that is installed in the room without the user to wear a separate device for receiving the call /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of the mobile phone Unnecessary approval procedure such as permitting radio station from radio control station by using RF frequency method by directly connecting wires and output monitor fixed by mobile phone and output monitor by wire to connect easily and visually. It is to provide an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made possible simply without going throug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는, 개인의 휴대전화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그로부터 발생된 착신신호를 신호로 구분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내부에 개별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및 홍보효과를 함께 거두기 위한 보관함과; 그리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문자로 변환 표시함으로, 이용객이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직접 소지하지 않고도 전화/메세지 수신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that can be mounted to the individual mobile phone, and is able to separate and send the incom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radle individually and having an advertisement and a promotion effect together; And, by converting and display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radle to the character, the output monitor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telephone / message reception without having to carry his own mobile phone direct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거치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에 따 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보관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메세지가 표현된 출력모니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블럭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n 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r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cradle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box in the 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essage indicating th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utput monitor, Figure 6 is a schematic system block diagram of th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A)는, 개인의 휴대전화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그로부터 발생된 착신신호를 신호로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1)와, 상기 거치대(1)를 내부에 개별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홍보효과를 함께 거두기 위한 보관함(1)과, 상기 거치대(1)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문자로 변환 표시함으로 이용객이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직접 소지하지 않고도 전화/메세지 수신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모니터(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A)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1) that can be mounted to the individual's mobile phone and to transmit the incoming signal generated therefrom as a signal In addition, the holder (1) can be individually stored therein, but the storage (1) for retrieving the effect of advertising and publicity, and the user can be displayed by conver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lder (1) into tex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monitor (3) to easily grasp the call / message reception without having a direct.

거치대(1)는, 이용객 개개인의 휴대전화기를 개별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그로부터 반응하는 진동이나 음파(벨소리)의 발생주기를 감지하여 전화수신 또는 메세지 수신상태를 판별한 후 구분된 신호로 송출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을 가능케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휴대전화기를 간단히 거치시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편(111)이 양단에 구비된 지지몸체(11)와, 상기 지지몸체(11)의 전면에 각각 구비결합되어 상술한 휴대전화기의 진동주기를 감지하도록 하는 진동센서(12) 및 벨소리주기를 감지하기 위한 음파센서(13)와, 상기 진동센서(12)와 음파센서(13)에 의해 감지된 주기신호를 통하여 전화수신 또는 메세지수신을 판별함과 동시에 구별된 그 신호를 상기 출력모니터(3) 에 전송하도록 하는 주회로기판(14)으로 구성된다.The cradle 1 detects the occurrence of vibration or sound waves (rings) that react from the mobile phone of each user individually, and determines the state of receiving a call or receiving a message, and then transmits it as a separate signal. And yet to enable the battery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ure 4a, the support body 11 provided at both ends with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111 for simply mounting and fixing the personal mobile phone, and A vibration sensor 12 and a sound wave sensor 13 for detecting a ring cycle,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1 to detect the vibration cycl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vibration sensor 12 and sound waves. A main circuit for discriminating telephone reception or message reception through the periodic signal sensed by the sensor 13 and transmitting the distinguished signal to the output monitor 3. The plate 14 is comprised.

또한, 상기 거치대(1)에 장착된 진동센서(12)와 음파센서(13) 각각의 작동과 함께 상기 주회로기판(14) 내로의 전력인가 및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111)과, 상기 진동센서(12)나 음파센서(13)에 연결됨과 동시에 그들로부터 송출되는 주기신호를 상기 주회로기판(14)이 다시 상기 출력모니터(3)에 재차 전송함을 위한 신호송출선(112)과, 차후 설명될 통화수단을 통해 착신통화가 가능하도록 휴대전화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잭(114a)이 일선단에 구비된 통화연결선(114)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with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vibration sensor 12 and the acoustic wave sensor 13 mounted on the holder (1),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enable power into the main circuit board 14 and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The main circuit board 14 again transmits a periodic sig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11 and the vibration sensor 12 or the sound wave sensor 13 and transmitted from them to the output monitor 3 again.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112 for the box, and a telephone connection line 11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jack (114a)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enable the incoming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to be described later.

보관함(2)은, 상기 거치대(1)를 내부에 수용한 채로 휴대전화기의 분실방지 및 특정기업의 광고/홍보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객의 인원수를 감안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개가 횡렬(橫列)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대(1)가 내부에 수용됨이 용이한 내부공간(2a)이 마련된 함본체(21)와, 상기 함본체(21)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된 개폐덮개(22)의 힌지결합으로 구성된다.The storage box (2) i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mobile phone and the effect of advertising / publicity of a specific company while accommodating the holder (1) therein, as shown in Figure 4b,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users A plurality of the above can be arranged in a horizontal row, the main body 21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2a) easy to accommodate the cradle (1) therein, and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21 It consists of a hinge coupl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to be opened or closed.

한편, 상기 보관함(2)을 횡렬로 다수개를 배치시킬 경우, 각각의 이용객들이 자신의 휴대전화기가 어떠한 보관함(2)에 수납되었는지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식별번호(22a)가 상기 개폐덮개(22)의 상측 표면 및 상기 로킹수단(221)의 열쇠(도시하지 않음) 등에 인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storage box 2 in a row, the identification number (22a) so that each user does not confuse which storage box 2 his phone is stor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 And a key (not shown) of the locking means 221.

상기 개폐덮개(22)의 외면에는, 상술한 보관함(2)을 사용하는 이용객만이 그의 개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휴대전화기가 분실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로킹 수단(221)과, 특정기업의 제조상품을 광고/홍보하는데 필요한 문구나 문양 등이 부가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고부(222)와, 목욕탕이나 스포츠센터 등과 같은 공중시설 이용시 요구되는 에티켓(Etiquette : 예절) 조성을 위하여 휴대전화기를 진동모드로 변경설정토록 유도할 수 있게 한 문구기재부(223)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the locking means 221 to prevent the loss of the mobile phone by allowing only the user using the above-described storage box (2) to achieve its opening, and the manufacture of a specific company The mobile unit is used to create an etiquette required for use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a bath or a sports center, and an advertisement unit 222 for additionally expressing phrases and patterns necessary for advertising / promotion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that a stationery base unit 223 is provided to guide the setting of the vibration mode.

아울러, 상기 함본체(21)의 일 외면에는, 보관함(2) 내부공간(2a)에 설치되는 상기 거치대(1)에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덮개(22)를 개방하지 않고도 착신통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통화수단(2-1)이 더 결합된다.In addition, on on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the incoming call without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i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fixed to the holder (1) i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2) inner space (2a). Call means 2-1 for making a call are further combined.

상기 통화수단(2-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로부터 파생된 통화연결선(113)과의 연결로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상기 보관함(2) 외부로 꺼내지 않고도 착신되는 전화를 용이하게 통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화연결선(113)과 전기적 연결을 이룸과 함께 상기 함본체(21)의 일 외측면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 구성되되, 임의에 따라 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된 탄성코일줄(2-11)과, 상기 탄성코일줄(2-11)의 타 선단에 연결되고 이용객의 귀에 꽂은 채로 수신자와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2-12a) 및 마이크(2-12b)의 일체 결합으로 된 이어마이크(2-12)와, 상기 탄성코일줄(2-11)의 적정부위에 결합된 상태로 이용객이 누름으로써 전화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연결버튼(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B, the call means 2-1 is connected to the call connection line 113 derived from the holder 1 without receiving his mobile phone out of the storage box 2. To facilitate the call to be made, it is configured to extend by a certain length to on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together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all connection line 113, or further extends according to any Elastic coil cord (2-11) that can be reduced, and earphone (2-12a) and microphon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coil cord (2-11) to allow a call with the receiver while being plugged into the user's ear (2-12b) the ear microphone (2-12) of the integral coupling and the call connection to enable the user to make a telephone call by being coupled to the appropriate portion of the elastic coil string (2-11) And a button 2-13.

이와 함께, 상기 통화수단(2-1)이 위치되는 상기 보관함(2)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이어마이크(2-12)를 걸어 매달림 고정하기 위한 걸이구(21a)가 더 구성되 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box (2) where the call means (2-1) is located, the hook mechanism (21a) for hanging and fixing the ear microphone (2-12) is further configured.

출력모니터(3)는, 상기 거치대(1)의 주회로기판(14)을 통하여 송출된 전기적 신호를 다시 변환전송하여 휴대전화기의 전화수신 또는 메세지수신과 같은 판별된 착신상태를 선택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상기 보관함(2) 중 전화/메세지수신 중인 휴대전화기가 수용된 보관함(2)이 이용객 자신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문구가 표현되는 제1표시부(311)와,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 및 메세지의 착신을 분간하여 그에 맞는 문구를 표현하기 위한 제2표시부(312)로 이루어진 착신출력부(31)가 마련된다.The output monitor 3 converts and re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circuit board 14 of the holder 1 to selectively express the determined incoming state such as telephone reception or message reception of the cellular phone. First, the display unit 311 and the first display unit 311 is a phrase that makes it easy to identify whether the storage box (2) accommodated the phone / message receiving of the plurality of the storage box (2) of the user own, and the mobile phone A reception output unit 31 is provided that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312 for distinguishing the reception state of the message and the reception of the message.

또한, 샤워나 목욕 등을 실시하는 이용객들이 상기 출력모니터(3)를 시청하지 못하여 자신의 휴대전화기에 전화나 메세지가 수신되고 있음을 미쳐 확인할 수 없게 되는 폐단방지를 위하여, 알림음을 발생시켜 이용객이 상기 출력모니터(3)를 시청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스피커(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losing of the user who takes a shower or bath, the user cannot see the output monitor 3 because the telephone or a message is being received on his mobile phone, so as to prevent closure. A speaker 32 may be further provided to guide the output monitor 3 to be viewed.

미설명부호, (500)은 공중시설의 하나인 목욕탕이고, (501)은 목욕탕 내의 로비이며, (501a)는 로비 한켠에 마련되어 다수의 상기 보관함들을 횡렬로 비치하기 위한 테이블이고, (502)는 샤워나 증기목욕(사우나)의 목적을 위한 목욕실이며, (503)은 옷가지와 같은 개인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목욕탕 내의 개인사물함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 public bath which is one of public facilities, 501 denotes a lobby in a public bath, 501a denotes a table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storage bins in a lobby, and 502 denotes a A bath room for the purpose of shower or steam bath (sauna), and 503 is a private locker in a bath for storing personal items such as clothes.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대중들이 대표적으로 이용하는 목욕탕(사우나)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ncoming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A)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bath (sauna) representatively used by the public as follows.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거치고정을 위한 거치대(1) 가 내부에 일체로 결합된 상기 보관함(2)을 목욕탕(500) 내의 로비(501)에 비치하게 되는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비(501) 한켠에 마련된 테이블(501a)이나 벽면에 다수개를 횡렬로 고정설치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4a, the holder (2)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holder (1) for fixing th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is provided in the lobby 501 in the bath 500, FIG.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the tables 501a or wall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bby 501 are fixedly installed in a row.

이어서, 상기 출력모니터(3)를 상술한 로비(501)의 벽면이나 목욕실(502) 내의 중앙 천장에 설치하되, 사방을 향하도록 다수개를 설치하거나 사우나실 또는 샤워부스 벽면에 특정하게 개별설치함으로써, 목욕탕(500)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언제 어디서든 출력모니터(3)를 주시할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output monitor 3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lobby 501 or the central ceiling in the bath room 502, and the plurality of output monitors 3 are installed so as to face in all directions or specifically installed individually on the wall of the sauna room or the shower booth. , So that users using the bath 500 can watch the output monitor 3 anytime and anywhere.

계속해서, 상기 거치대(1)로부터 파생된 신호송출선(112)을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한 출력모니터(3)에 연결함으로, 휴대전화기로부터 착신되는 전화나 메세지의 수신상태가 주회로기판(14)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스피커(32)를 통한 알림음으로 발생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by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112 derived from the holder 1 to the output monitor 3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the reception state of the incoming call or message received from the cellular phone is displayed on the main circuit board 14. While being able to output through the) can be generated as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32.

따라서, 대중시설인 목욕탕(500)을 이용하게 되는 사람들(이용객)이 상기 거치대(1)에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간단히 거치고정하게 되는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보관함(2)의 개폐덮개(22) 전면에 기재된 문구기재부(223)를 통하여 공중시설 이용시 타인을 배려하기 위한 에티켓 문구를 접하게 됨으로써 휴대전화기를 진동모드로 변환설정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people (users) who use the public bath 500 are simply fixed to their mobile phones by the holder 1, as shown in FIG. 4A, first of the storage box 2. Through the stationery base unit 223 described in fro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is to contact the etiquette phrases to consider other people when using the public facilities to convert the mobile phone into vibration mode.

그 후, 보관함(2)의 개폐덮개(22)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킹수단(221)을 조작하여 휴대전화기가 분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폐덮개(22)의 외면의 광고부(222)를 통하여 특정기업 제품의 광고 및 홍보를 위한 문구나 문양을 이용객이 보게 되므로 광고효과도 발휘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of the storage box 2 is sealed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means 221 is operated so that the cellular phone is not lost. At this time, through the advertising unit 22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the user can see the phrases or patterns for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 of a specific company product can also exhibit the advertising effect.

그와 같이, 상기 보관함(2) 내의 거치대(1)에 휴대전화기 거치고정을 완료함으로써, 부재시에 따른 전화/메세지 수신에 이용객이 신경 쓰지않고 샤워나 사우나를 자유로이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러한 과정 중 자신의 휴대전화기로 전화가 수신되거나 메세지가 도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가 진동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거치대(1)의 진동센서(12)가 휴대전화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의 발생주기(횟수)를 파악하여 반복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지속됨은 전화수신으로 판단하고, 단일 발생일 경우에는 메세지수신으로 판별하게 된다.As such, by completing the fixing of the mobile phone to the holder 1 in the storage box 2, the user can freely enjoy the shower or sauna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receiving a call / message in the absence, and during the process When a call is received or a message arrives at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6, when the mobile phone is in the vibration mode, the vibration sensor 12 of the holder 1 generates vibrations from the mobile phone. The number of occurrences (number of times) is determined repeated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telephone reception and, in the case of a single occurrence, is determined by message reception.

마찬가지로, 이용객이 휴대전화기의 진동모드설정 변경을 간과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거치대(1)의 음파센서(13)가 휴대전화기로부터 발생되는 벨소리의 발생시간을 파악하여 전화수신인지 아니면 메세지수신인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Similarly, when the user overlooks the change of the vibration mode setting of the mobile phone, the sound wave sensor 13 of the holder 1 determines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ring tone generated from the mobile phon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elephone reception or a message reception. Will be don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진동이나 벨소리의 발생주기 및 횟수를 감지한 진동센서(12) 또는 음파센서(13)는, 전화수신인가 메세지수신인가를 판별한 그 구별신호를 상기 주회로기판(14)에 송출하게 되는 것이며, 그러한 신호를 송출받은 상기 주회로기판(14)은 다수의 상기 보관함(2) 중 해당하는 보관함(2)의 식별번호(22a)를 상기 출력모니터(3)의 착신출력부(31) 중에서 제1표시부(311)에 표시하는바, 예를 들어 "03번 이용객님께"라는 문구를 출력함으로 이용객이 자신의 휴대전화기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vibration sensor 12 or the sound wave sensor 13 that detects the frequency and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the vibration or the ringing sound is sent to the main circuit board 14 by determining the distinction signal that determines whether a telephone call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main circuit board 14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22a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box 2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2 to the incoming output unit of the output monitor 3. 31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11, for example, by outputting the phrase "to the user # 0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his mobile phone.

또한, 진동이나 벨소리수신 발생주기에 의해 구별된 신호를 상기 착신출력부(31) 중 제2표시부에 더하여 표시하게 되는바, 일 예로 "전화가 수신 중입니다" 또는 "메세지가 도착했습니다"라는 문구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이용객이 전 화수신인지 아니면 메세지수신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ignal distinguished by the vibration or ring tone generation period is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second display unit of the incoming output unit 31. For example, the phrase "a call is being received" or "a message has arrived" is displayed. By selectively outputting,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user is receiving a call or receiving a message.

이때, 샤워 또는 사우나를 즐기는 중일 경우와 같이, 출력모니터(3)를 시청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감안하여, 상기 스피커(32)를 통하여 알람음을 발생시켜줌으로써 이용객의 출력모니터(3) 시청을 유도한다.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output monitor 3 may not be viewed as in the case of enjoying a shower or a sauna, an alarm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32 to induce the user to watch the output monitor 3. do.

그로 인하여, 이용객이 자신의 휴대전화기로부터 전화 또는 메세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으로, 비즈니스를 위한 중요한 전화수신을 놓치지 않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grasp whether or not a call or a message is received from his mobile phone, so that important telephone reception for the business is not miss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모니터(3)를 통해 자신의 휴대전화기로 착신(수신) 중임을 파악한 이용객이 목욕실(502)을 빠져나와 로비(501)의 테이블(501a)까지 급히 이동한 후, 상기 로킹수단(221)의 잠금상태를 해지하여 보관함(2)의 개폐덮개(22)를 개방한 다음, 다시 상기 거치대(1)로부터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꺼내 전화통화를 실시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통화시작과정의 번거로움 및 과정지연으로 인한 착신상태 종료로 전화통화를 이루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점은, 상기 개폐덮개(22)의 개방을 생략하고 외부에서 상기 이어마이크(2-12)를 자신의 귀에 꽂음과 동시에 통화연결버튼(2-13)을 눌러 통화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user, who is grasping (receiving) with his mobile phone through the output monitor 3 exits the bath room 502 and moves quickly to the table 501a of the lobby 501, Opening the opening / closing cover 22 of the storage box 2 by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221, and then starting a call required to take out a mobile phone from the holder 1 again and carry out a telephone call. Problem that may not be able to make a telephone call due to the end of the incoming state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delay of the process, omit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2 and plug the ear microphone (2-12)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call can be canceled by pressing the call connection button 2-13.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using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는, 종래의 주파수를 이용한 RF무선방식에 따라 전파관리소로부터 사용승인을 거쳐야만 했던 번거로움의 해소를 위하여 거치대 및 출력모니터를 유선으로 직접연결 구성함으로써, 간략한 구성조합 실현 및 설치기간 단축에 따른 제품사용성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d to the cradle and the output monitor in order to eliminate the hassle that had to pass the approval from the radio sta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F wireless method By direct connection configura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maximizing product usability by realizing simple combination and shortening installation time.

또한, 의료장비가 설치된 병원 등과 같이, RF(무선)방식에 의한 주파수 사용을 불허하는 특정시설에서의 설치제한과 같은 제반사항에 무관하게 설치사용이 가능함에 의한 그 활용 폭이 방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use irrespective of various matters, such as installation restriction in a specific facility that does not allow the use of frequency by RF (wireless) method, such as a hospital where medical equipment is installed. have.

이와 함께, 자신의 휴대전화기에 전화/메세지가 수신됨의 파악을 위해 이용객이 자신의 신체에 반드시 착용하여야만 했던 수신장치와 같은 분리된 장치사용에 따른 구성부품의 분실우려 및 그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함과 같은 소모품의 추가적 비용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Along with this,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loss of components and the battery for its operation due to the use of a separate device, such as a receiver, which the user must wear on his or her body in order to understand that a telephone / message is received in his or her mobile phone.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additional cost of consumables such as replacement periodically.

Claims (6)

개인의 휴대전화기를 소지할 수 없는 목욕탕 등과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휴대전화기로 전화/메세지가 수신됨을 알려주도록 하는 통상의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람장치에 있어서,In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incoming call alarm device for notifying a user of a call / message received by his mobile phone at a place such as a bathhouse where an individual mobile phone cannot be carried, 개인의 휴대전화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그로부터 발생된 착신신호를 신호로 구분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거치대와;A cradle configured to mount a personal mobile phone and to transmit an incoming signal generated therefrom as a signal; 상기 거치대를 내부에 개별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및 홍보효과를 함께 거두기 위한 보관함과; 그리고,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radle individually and having an advertisement and a promotion effect together; And, 상기 거치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문자로 변환 표시함으로, 이용객이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직접 소지하지 않고도 전화/메세지 수신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An output monitor for converting and display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lder into a tex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reception of the call / message without having to carry his / her own mobile phone directly; Notif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대는, 개인 휴대전화기를 간단히 거치시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편이 양단에 구비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전면에 각각 구비결합되어 상술한 휴대전화기의 진동주기를 감지하도록 하는 진동센서 및 벨소리주기를 감지하기 위한 음파센서와, 상기 진동센서 또는 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기신호를 통하여 전화수신이나 메세지수신을 판별함과 동시에 구별된 그 신호를 상기 출력모니 터에 전송하도록 하는 주회로기판으로 구성되되,The cradle includes a support body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provided at both ends to simply mount and secure the personal mobile phone, and a vibration sensor which i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body to sense the vibration period of the mobile phone. A main circuit board for discriminating telephone reception or message reception and transmitting the distinguished signal to the output monitor through a sound wave sensor for detecting a ring tone period and a periodic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or sound wave sensor. Consisting of, 상기 거치대에 장착된 진동센서와 음파센서의 작동과 함께, 상기 주회로기판 내로의 전력인가 및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과,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nable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circuit board and the battery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sound wave sensor mounted on the holder; 상기 진동센서와 음파센서에 연결됨과 동시에, 그들로부터 송출되는 주기신호를 상기 출력모니터에 전송함을 위한 신호송출선과,A signal transmission line which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sound wave sensor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 period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m to the output monitor; 휴대전화기가 거치고정된 상태에서도 전화통화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전화기와 연결되는 통화연결선이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urther provided with a call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phone can be connected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fix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관함은, 이용객의 인원수를 감안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개가 횡렬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대를 수용함이 용이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함본체와, 상기 함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된 개폐덮개의 힌지결합으로 구성되되,In the storage box, one or more dogs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lin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radle and opening or closing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are provided. Consists of hinged coupling of the cover, 상기 함본체의 일측 외면에는, 휴대전화기와 전기적 연결을 이룸으로써 상기 개폐덮개를 개방하지 않고도 착신 전화통화를 가능케 하는 통화수단이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On one side of the outer body of the main body, by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the call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nable the incoming telephone call without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further coupl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모니터는, 다수의 상기 보관함 중, 전화수신 또는 메세지수신 중인 휴대전화기가 수용된 보관함이 이용객 자신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문구가 표현되는 제1표시부와, 상기 휴대전화기의 전화 및 메세지 수신상태의 착신을 분간하여 그에 맞는 문구를 구분되게 나타내기 위한 제2표시부를 포함한 착신출력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The output monitor may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 phrase for easily identifying whether a storage box containing a mobile phone receiving or receiving a message is own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the storage boxes;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oming output unit including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tinguishing the incoming state of the message reception state to distinguish the corresponding phras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개폐덮개의 외면에는, 상기한 보관함을 사용하는 이용객만이 그의 개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휴대전화기가 분실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로킹수단과,Locking mea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so that only the user using the storage box can achieve its opening to prevent the mobile phone is lost; 특정기업의 제조상품을 광고/홍보하는데 필요한 문구나 문양 등이 부가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고부와, An advertising unit for additionally expressing a phrase or a pattern necessary for advertising / promoting a manufactured product of a specific company; 목욕탕이나 스포츠센터 등과 같은 공중시설 이용시 요구되는 에티켓 조성을 위해, 휴대전화기의 진동모드 설정을 유도하기 위한 문구기재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In order to create an etiquette required when using a public facility such as a bath or a sports center, a stationery base unit is provided for inducing a vibration mode setting of the cellular phone.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출력모니터의 일측에는, 알림음을 발생시켜 이용객이 상기 출력모니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스피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One side of the output monitor, the incoming signal notifica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eaker for generating a sound to guide the user to watch the output monitor.
KR2020070006027U 2007-04-12 2007-04-12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KR2008000467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27U KR20080004676U (en) 2007-04-12 2007-04-12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27U KR20080004676U (en) 2007-04-12 2007-04-12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76U true KR20080004676U (en) 2008-10-16

Family

ID=4150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27U KR20080004676U (en) 2007-04-12 2007-04-12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676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83B1 (en) * 2013-01-08 2014-10-13 최이삭 Mobile phone holder
KR101999381B1 (en) * 2018-07-17 2019-07-11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Smart Instrument Charge and Storag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102658695B1 (en) * 2023-07-06 2024-04-17 김무성 Multifunctional wash farm system using AI, and its operat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83B1 (en) * 2013-01-08 2014-10-13 최이삭 Mobile phone holder
KR101999381B1 (en) * 2018-07-17 2019-07-11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Smart Instrument Charge and Storag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102658695B1 (en) * 2023-07-06 2024-04-17 김무성 Multifunctional wash farm system using AI, and its oper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5609B2 (en) System for alert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er of incoming call
ES2581953T3 (en) Wireless intercom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ireless intercom system
KR20100050031A (en) Mobile terminal
US8433281B1 (en) Emergency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80004676U (en) Arrival signal alarm apparatus of cellular phone
WO2006037814A2 (en)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JP2012230655A (en) Bag for emergency and emergency suppor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3338316A (en) Integrated security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H079528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WO2001033528A1 (en) Monitoring apparatus
JP2001157260A (en) Mobile phone
KR20050098744A (en) Received statement alarm system of cellular phone
KR10080863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wristwatch shape
KR200415057Y1 (en) A relay apparatus of portable telephone
JP4347780B2 (en)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296417B2 (en) Telephone terminal device
CN216905114U (en) Door lock with integrated doorbell
CN204305140U (en) A kind of mobile phone sound-conducting apparatus and the bag tool with this device
KR200353171Y1 (en) Establishment Employee Call System
RU194209U1 (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HEARING
KR100297509B1 (en) Computer keyboard includes wireless telephone
JP2004350775A (en) Child bag with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for bag, security system using child bag with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curity system using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for bag
WO2001050630A1 (en) Close range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KR200362189Y1 (en) Received statement alarm system of cellular phone
KR200420611Y1 (en) A Device of Call Recogni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entral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